KR20150083984A -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984A
KR20150083984A KR1020150094307A KR20150094307A KR20150083984A KR 20150083984 A KR20150083984 A KR 20150083984A KR 1020150094307 A KR1020150094307 A KR 1020150094307A KR 20150094307 A KR20150094307 A KR 20150094307A KR 20150083984 A KR20150083984 A KR 2015008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lastic clip
phone case
lower plat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2015009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984A/ko
Publication of KR2015008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바뀌면서 사용빈도가 급증함에 따라 휴대폰을 편하고 유용하게 사용하려는 노력도 증가되고 그에 따른 부대용품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부대용품들을 휴대폰과 별개로 챙겨야한다는 점과 그들 부대용품들을 휴대폰에 모두 장치한다면 휴대폰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가만히 살펴보면 우리들이 사용하는 부대용품들은 대부분 우리들의 휴대용품이나 흔히 구할 수 있는 일상용품으로 대체가 가능한 장치들이다.
본 고안은 그러한 점에 착안하여 휴대폰에는 그들 대체 가능한 장치들을 결속할 수 있는 결속장치만을 결합하고 활용 시 대체 가능한 휴대용품이나 일상용품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이지만 다양한 용도, 즉 휴대폰 파우치나 홀더, 휴대폰 고리, 이어폰줄 감개, 거치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휴대폰 결속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CLIP FOR FIX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휴대폰의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기술이다.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바뀌고 사용빈도가 급증하면서 과거의 휴대폰 보관과 휴대 방식도 바뀌었다. 즉 과거의 휴대폰은 통화와 문자 중심의 기능이 중심이었지만 스마트 폰의 변화는 통화와 문자 이외에도 음악 감상과 영화시청, 뉴스 검색 및 메일 교환 등 일상 정보를 비롯한 업무관련 정보의 교환까지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과거에는 주머니나 벨트 등에 착용하는 휴대폰 홀더에 보관하며 사용하는 형식이었으나 스마트폰으로 바뀌면서 보관의 개념보다는 늘 손에 휴대하며 활용하는 문화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이 스마트 폰으로 바뀌면서 휴대폰 줄 고리조차 없애는 등 휴대하기 어려운 형태로 만들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 액세서리 시장은 휴대폰 케이스와 액정필름이 80%이상 차지하는 등 휴대폰 의 휴대불편에 따른 파손과 분실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휴대폰을 휴대하고 활용하기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휴대폰 케이스에 결속장치를 장착시키고 그 결속장치를 활용하여 휴대폰을 용이하게 휴대하면서도 휴대폰의 안전한 파지를 위한 휴대폰 줄 고리, 이어폰 감개, 화면시청을 위한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다용도 결속장치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종래의 휴대폰 휴대 및 보관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바뀐 휴대폰 문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휴대, 보관 장치가 별도로 되어 있어 외출시 휴대폰과 따로 챙겨야하는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예를 든다면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301377(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한다.)에서는 휴대폰을 보관하기 위한 파우치를 별도로 준비하여 팔 등 신체에 착용하거나 가방 등 휴대품에 부착해야한다. 따라서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우치에서 꺼내야하는 불편함과 파우치를 늘 착용하거나 별도로 챙겨 나가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76557(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한다.)은 스마트 폰의 뒷면을 원형부착장치를 갖도록 함으로서 유리 등에 부착하여 보관과 거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부착 재질이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탈착의 어려운 문제도 가지고 있다.
그 밖에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208622(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한다.)도 휴대폰 케이스에 경사지지부를 장치하여 손목 휴대가 가능하고 지지부를 휴대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위 발명이 목적한대로 손목에 휴대하기 위해서는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하고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와 보관의 문제점 외에 스마트 폰의 안전한 파지를 위한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468850(이하 선행기술 4라고 한다.)의 경우 휴대폰의 안전한 파지를 위해 휴대폰 배면에 손가락 삽입 홀을 부착함으로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으나 손가락으로 삽입하여 스마트 폰을 안정되게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삽입홀 형성의 베이스 부재가 경직성을 가지고 있어 오랜 시간 사용 시 삽입홀에 끼워 넣은 손가락의 부상 가능성이나 통증 유발 가능성도 제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149244(이하 선행기술 5라고 한다.)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휴대폰과 분리된 홀더를 착용하는 방식으로 휴대폰과 홀더를 따로 챙겨야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으며 그 착용 장소도 벨트라는 한정된 곳에만 결속시켜야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결속 방향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고정 클립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경우 휴대폰이 홀더에서 빠질 수 있다는 문제를 가진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177012(이하 선행기술 6이라고 한다.)에서도 선행기술 5와 마찬가지로 벨트 이외에서는 사용되기 어렵고 클립의 회전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다른 기능으로의 사용이 어렵고 두 손으로 사용해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특히 휴대폰의 필수 부대용품인 이어폰의 경우 보관을 위한 감개를 많이 사용하지만 휴대폰과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로 챙겨야하는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장치들은 기능이 특정한 용도로 제한되고 휴대폰과 분리되어 있어 별도로 챙겨야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휴대폰에 간편한 결속장치만을 결합시키고 이 결속장치에 휴대품이나 주변의 일상용품을 결속시켜 활용하는 다용도 휴대폰 결속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문헌1]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301377
[문헌2]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476557
[문헌3]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208622
[문헌4]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468850
[문헌5]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149244
[문헌6]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149244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바뀌고 사용빈도가 급증하면서 과거의 휴대폰 보관과 휴대, 사용 방식이 바뀜에 따라 휴대폰 파우치, 안전파지를 위한 손가락 삽입홀, 거치대 등 다양한 용도의 휴대폰 부대용품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대용품은 휴대폰 활용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용도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부대용품을 휴대폰에 장착하거나 따로 챙겨야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 있는 일상용품들을 활용할 경우 각종 부대용품을 챙기지 않고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보관하기 위한 팔목 파우치나 벨트 홀더 등 특정한 곳에 휴대폰을 보관하는 대신에 우리가 차고 있는 시계 줄이나 벨트 또는 쉽게 손이 닿을 수 있는 착용 의복, 휴대 가방, 책자 등에 휴대폰을 원하는 곳에 직접 결속시킬 수 있다면 굳이 이들을 챙기지 않아도 원하는 곳에 쉽게 보관이나 휴대할 수 있어 좋을 것이다.
또한 휴대폰을 안정되게 파지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 홀이나 고리의 경우도 흔히 구할 수 있는 휴대폰 줄이나 고리를 연결하여 손가락 고리나 휴대폰 고정 줄로 활용할 수 있다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할 것이다.
그 뿐 아니라 각종 휴대폰 거치대 대신에 흔히 구할 수 있는 종이 등으로 휴대폰 거치가 가능하다고 한다면 굳이 휴대폰 거치대를 찾을 필요가 없을 것이며 이러한 결속장치는 이어폰 감개로 활용될 수 있어 별도로 챙겨야하는 기존의 이어폰 감개보다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결속장치는 결속을 위한 시간이 지체되거나 두 손을 사용하여 결속해야 하는 경우 실용성이 떨어진다. 즉 휴대폰 보관을 위한 결속 시 파우치나 홀더에 보관하는 것보다 시간이 지체되어서는 안 되며 두 손을 사용해야 할 경우도 실용성이 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신속하게 특정한 곳이 아닌 손길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가까운 곳에 자유롭게 결속 시켜 보관이나 휴대를 할 수 있고 또한 그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안전한 휴대폰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고리를 결속하거나 이어폰을 결속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종이 등 주변의 일상용품을 결속시켜 휴대폰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폰 부대용품을 단순화하고 다용도화 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길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의복이나 가방 및 명함, 책자 등 다양한 결속체에 휴대폰을 결속시키는 결속장치를 휴대폰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휴대폰을 한 손으로도 쉽게 결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탄성 클립을 활용하고 클립 내에 요철을 만들어 클립내의 결속체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어느 방향에서든지 결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탄성 클립형태의 결속장치가 360도 회전이 될 수 있어야한다.
이 때 휴대폰의 안전한 파지를 위해 휴대폰 줄을 걸 수 있도록 휴대폰 줄 걸이 홈을 형성하여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이 휴대폰 줄 걸이 홈은 이어폰을 감아 결속체에 결속시켜 보관하는 이어폰 감개 홈으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결속 장치는 휴대폰을 언제든지 손에 가까운 곳에 결속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사용 시에도 휴대폰 줄이나 고리를 결속시켜 휴대폰의 안전한 파지가 가능할 뿐 아니라 보관이 불편한 이어폰 감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종이 등 흔한 일상용품을 결속시켜 휴대폰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클립형태의 결속장치를 휴대폰 뒷면에 장치하여 상의의 윗주머니나 앞섶, 끝단, 옷깃 등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곳, 또는 휴대하고 있는 가방이나 시계 줄, 지갑의 덮개 등에 쉽게 결속 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방이나 명함, 책자 지갑 등 다양한 결속체를 거치대로 활용할 경우 가로 또는 세로의 화면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휴대폰을 잠시 상의 윗주머니 등에 넣고 허리를 숙이는 바람에 휴대폰을 바닥에 떨어뜨려 파손되거나 분실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함에 비추어 본 발명은 휴대폰을 주머니 등에 결속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파손이다 분실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대부분 스마트폰의 경우 디자인을 살리기 위해 휴대폰 줄 고리가 없이 출시됨에 따라 휴대가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들에게는 스마트 폰의 휴대폰 줄 고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어폰을 결속장치 둘레에 감아 결속시켜 놓을 경우 이어폰 감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처럼 회전 가능하고 결속력이 강한 탄성클립 장치를 활용한 본 발명의 기술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매우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뒷면에 결속장치를 결합시킨 사시도
도2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뒷면에 결속장치의 결합 순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아랫면에 형성된 결속체걸림요철의 부분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 고정축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폰 뒷면에 장치한 결속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라 명함이나 책자, 종이 등을 결속시켜 거치대로 활용한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결속장치를 이어폰 감개로 활용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는 탄성클립(100)을 T자 형태의 고정장치(300)을 사용하여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결합하는데 있어 고정축 아래면(305)을 강력접착제나 나사이음 방식으로 결합하는 결속장치로서 먼저 탄성클립(100) 아래판(102)의 중앙부에 원형의 고정축홈(101)을 만들어 고정축(301)을 끼워 넣은 다음 핸드폰 케이스의 뒷면에 나사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 고정시킨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을 의복이나 휴대하는 가방 또는 장신구 등에 결속시키기 위한 탄성클립(100)을 만드는데 있어서 탄성클립 위판(103)과 탄성클립아래판(102) 사이에 의복이나 장신구 등 결속체(400)가 탄성클립(100)의 탄성에 의해 맞물려 지도록 함에 있어 탄성클립 아래판(102)에 결속체걸림요철(104)를 형성하여 이들 의복 등 결속체(400)가 잘 빠져 나오지 않도록한다. 이 때 탄성클립 위판(103)에 결속체(400)를 쉽게 걸어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탄성클립 위판(103)을 밖의 방향으로 약간 경사각을 주어 아래판(102)과 유격(107)을 갖도록 하되 탄성클립 위판(103)이 몸에 닿을 경우 찔리지 않도록 끝단에 곡면으로 꺽어 곡면 걸림부(109)를 만는데 이 곡면 걸림부(109)는 탄성클립(100)을 옷(401)등 결속체(400)에 걸 때 단성클립 위판(103)이 미끄러지지 않고 걸리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또한 탄성클립(100)의 위판(103)과 아래판(102)이 연결되는 부분 양쪽에 휴대폰줄 인입홈(106)을 만들어 휴대폰 줄을 휴대폰줄 홈(107)걸 경우 휴대폰 줄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어폰 줄(403)을 탄성클립(100)의 둘레에 감은 후 이어폰 줄(403)의 아래쪽을 물림부(105)에 물려 결속시키면 이어폰 줄(403)은 풀리지 않고 잘 보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탄성클립(100)의 아래판(102) 중앙부에 고정축(401)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축홈(101)을 만들고 고정축(401)을 끼워 넣어 탄성클립(100)이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축아래면(305)에 연결나사홈(303)을 만들고 이와 접하는 휴대폰 케이스 뒷면(201) 중앙부에 연결나사구멍(203)을 만든 후, 연결나사(304)를 사용하여 휴대폰 케이스 뒷면(201)과 고정장치(300)를 연결 접합시킨다.
이에 따라 탄성클립 아래판(102)이 고정축머리(302)와 휴대폰케이스뒷면(201)사이에 고정되어 탄성클립(100)은 고정축(301)을 중심으로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고정축아래면(305)과 휴대폰케이스뒷면(201)을 연결나사(304)로 접합하는 대신에 강력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 결속 장치는 탄성클립 위판(103)의 곡면 걸림부(109)를 결속하고자하는 물체에 걸고 휴대폰케이스(200)를 들어 올려 의복 등 결속체(400)가 탄성클립 아래판(102)의 결속체걸림요철(104)에 걸리지 않고 탄성클립 위판(103)의 매끄러운 부분을 따라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할 경우 한손으로도 쉽게 휴대폰을 의복이나 가방, 장신구 등 결속체(400)에 결속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일상생활용품을 결합하여 휴대폰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 별도 보관해오던 이어폰 줄(403)을 휴대폰과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이어폰 줄 감개로 활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100 탄성클립 101 고정축홈
102 아래판 103 위판
104 결속체걸림요철 105 물림부
106 인입홈 107 휴대폰줄 홈
108 유격 109 곡면 걸림부
200 휴대폰케이스 201 휴대폰케이스뒷면
202 휴대폰카메라구멍 203 연결나사구멍
300 고정장치 301 고정축
302 고정축머리 303 연결나사홈
304 연결나사 305 고정축아래면
400결속체 401 주머니
402 종이 403 이어폰줄

Claims (4)

  1.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고정축(301)으로 접합시킨 탄성클립(100)이 수평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탄성클립 아래판(102)의 물림부(105)에 결속체걸림요철(104)을 돌기시키고 탄성클립 위판(103) 물림부(105)의 아래쪽은 경사각을 주어 아래판(102)과 유격(108)을 갖도록 하되 탄성클립 위판(103)의 아래 끝 부분은 아래판(102)과 수평이 되도록 곡면으로 꺽어 결속체를 걸수 있도록 곡면 걸림부(109)를 형성한 탄성클립(100)형태의 휴대폰 다용도 결속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탄성클립(100)을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접합시키는데 있어 탄성클립 아래판(102) 중앙부에 고정축(301)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축홈(101), 휴대폰케이스뒷면(201) 중앙부에 연결나사구멍(203)과 고정축아래면(305)에 연결나사홈(303)을 만든 후 고정장치(300)의 고정축(401)을 탄성클립 아래판(102)의 고정축홈(101)에 끼워 넣고 연결나사홈(303)을 휴대폰케이스뒷면(201) 중앙부의 연결나사구멍(203)에 맞춰 연결나사(304)를 사용하여 휴대폰케이스뒷면(201)과 고정장치(300)를 접합시킬 수 있도록 만든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클립(100)을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접합시키는데 있어 고정축아랫면(305)과 휴대폰케이스뒷면(201)을 연결나사(304)로 접합하는 대신에 고정축아래면(305)에 강력접착제를 도포하여 휴대폰케이스뒷면(201)에 접합시킬 수도 있도록 만든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클립(100)의 위판(103)과 아래판(102)이 연결되는 부분 양쪽에 만든 휴대폰 줄 인입홈(106)으로 연결되는 휴대폰줄 홈(106)이 구성된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KR1020150094307A 2015-07-01 2015-07-01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KR20150083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07A KR20150083984A (ko) 2015-07-01 2015-07-01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307A KR20150083984A (ko) 2015-07-01 2015-07-01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84A true KR20150083984A (ko) 2015-07-21

Family

ID=5387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307A KR20150083984A (ko) 2015-07-01 2015-07-01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9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514S1 (en) 2019-03-05 2020-07-21 Tom Downing Pocket retaining device
USD923325S1 (en) 2019-03-05 2021-06-29 Tom Downing Pocket retai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514S1 (en) 2019-03-05 2020-07-21 Tom Downing Pocket retaining device
USD923325S1 (en) 2019-03-05 2021-06-29 Tom Downing Pocket retai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8055B1 (en) Wrist holder for a smartphone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9038870B2 (en) Head mount apparatus for hands-free video record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20130300141A1 (en) Carrying aid equipped with thumbhole and button snap fastener to permit transporting and swiveling of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US9723116B2 (en) Restrain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880449B2 (en) Suction cup and strap mount for action video record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US10413047B2 (en) Hat holder
US20140263495A1 (en) Reversible Case and Armband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20110031160A1 (en) Neck cell
KR20140003807A (ko) 고리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20150139469A1 (en) Secure Storage Device for Wireless Headsets
KR20150083984A (ko)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US20210337056A1 (en) Apparatus for Grasping and Propping Electronic Devices
US20080305840A1 (en) Clip for wireless devices
KR20120080809A (ko) 스마트폰 커버
JP2007243893A (ja) 携帯電話のキャリーバッグ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US20120223111A1 (en) Accessory holder
US9706027B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KR20120006327U (ko) 들거나 멜 수 있는 손가방
JP2002194610A (ja) 携帯電話装着用バンド
GB2516492A (en) A Secure Flexible Portable Accessory Holder
US20240081498A1 (en) Mobile Device Carrying Device
JP2002369709A (ja) 携帯電話機の自然滑落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