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247A -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247A
KR20120082247A KR1020110003628A KR20110003628A KR20120082247A KR 20120082247 A KR20120082247 A KR 20120082247A KR 1020110003628 A KR1020110003628 A KR 1020110003628A KR 20110003628 A KR20110003628 A KR 20110003628A KR 20120082247 A KR20120082247 A KR 2012008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information
ball joint
forearm
crad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983B1 (ko
Inventor
최명재
Original Assignee
최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재 filed Critical 최명재
Priority to KR102011000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9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정보기기가 거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일단에 고정되어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볼조인트와 볼조인트를 수용하는 볼조인트 수용부를 구비하는 거치대; 볼조인트 수용부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거치대 고정부와 거치대 고정부에 연결되고, 끝단 각각이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회전팔을 구비하여 착용자와 거치대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 및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부의 끝단과 연결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팔뚝을 감싸 지지판을 착용자의 팔에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짐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하면 손으로 휴대용 정보기기를 지탱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휴대용 정보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Forearm handheld information devide holder}
본 발명은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정보기기 사용자의 팔뚝에 지지부를 감싸 고정시키고 거리조절용 회전팔로 지지부와 연결된 거치대에 휴대용 정보기기를 거치시킴으로서 휴대용 정보기기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용 정보기기를 들지 않고서도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과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여러 디지털 정보들을 집이나 사무실이 아닌 카페 등의 외부 장소 또는 이동중의 지하철, 버스 등의 실내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기기가 많이 이용된다. 또한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처리가능한 디지털 정보가 음악에서 게임, 동영상, 인터넷 등으로 확대되면서 점차 휴대용 정보기기의 크기와 기능도 다양화되는 실정이다.
특히 이동중의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태블릿 PC, 휴대용 DVD 재생기 등과 같은 다소 크기가 큰 휴대용 정보기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으로 휴대용 정보기기를 지탱하게 된다. 이때 휴대용 정보기기의 무게가 무거워 이를 지탱시 손목에 무리가 가며 팔이 아프고 저리는 등 신체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다른 짐이 있는 경우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나머지 한 손으로 기기조작을 해야하므로 휴대용 정보기기의 이용이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휴대용 정보기기를 손으로 지탱하지 않고서도 휴대용 정보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기기(40)가 거치되는 받침대(31)와 받침대(31) 일단에 고정되어 받침대(31)의 각도를 조절하는 볼조인트(33)와 볼조인트(33)를 수용하는 볼조인트 수용부(34)를 구비하는 거치대(30); 볼조인트 수용부(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거치대 고정부(27)와 거치대 고정부(27)에 연결되고, 끝단 각각이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회전팔을 구비하여 착용자와 거치대(30)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20); 및 연결부재(12)에 의해 회전부(20)의 끝단과 연결되는 지지판(11)과 지지판(11)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팔뚝을 감싸 지지판(11)을 착용자의 팔에 고정시키는 조임부(13)를 구비한 지지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0)는, 볼조인트(33)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31-2) 및 하부받침대(31-2)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대(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0)는 슬라이드식으로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받침대(31-1)는 가이드 돌기(31-3)를 구비하고, 하부받침대(31-2)는 가이드 돌기(31-3)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볼조인트 수용부(34)는, 볼조인트 수용부(3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조인트(33)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각도조절용 부재(35); 및 각도조절용 부재(35)와 볼조인트 수용부(34)의 내부 하면 사이에는 구비되는 스프링(34-2)를 더 포함하여 볼조인트(33)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고정부(27)에는 거치대 고정부(27)를 볼조인트 수용부(3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팔은, 일단이 거치대 고정부(27)에 연결되는 제1회전팔(23), 제1힌지(26)에 의해 일단이 제1회전팔(23)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회전팔(22) 및 제2힌지(25)에 의해 일단이 제2회전팔(2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3힌지(24)에 의해 연결부재(12)에 연결되는 제3회전팔(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조임부(13)는, 조임부(13) 끝단에 구비되어 조임부(13)를 상호 결합시키는 파스너(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구성하는 지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팔뚝에 고정되어 손으로 휴대용 정보기기를 지탱하지 않고서도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짐이 있어도, 양손의 사용을 자유롭게 하면서 동시에,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실시예에 다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는 카페 등의 장소는 물론 거리,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양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짐이 있는 경우에도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손으로 기기조작이 가능하므로 게임을 즐기거나 태블릿 PC에서 문서작성을 하는 등 용이하게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손으로 직접 휴대용 정보기기를 지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가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볼조인트와 회전팔에 의해 각도, 거리 및 높이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하므로 휴대용 정보기기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팔은 상호 밀착되어 접을 수 있으므로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회전팔을 접은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회전팔이 밀착되어 접히므로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이동시 소지가 용이하며 파손의 위험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거치대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지지부 및 회전부가 차지하는 부피가 더욱 줄어들고 거치대만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소지 및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는 휴대용 정보기기 뿐 아니라 책, 유인물 등 시청각 자료를 이용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회전팔과 거치대의 일단에 고정되는 볼조인트에 의해, 거치대와 착용자 간의 거리조절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해 휴대용 정보기기를 손으로 지탱하지 않고서도 편안한 각도에서 휴대용 정보기기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위에서 바라본 회전부가 펼쳐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구성 중 휴대용 정보기기가 거치된 거치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구성 중 거치대가 분리된 후 회전팔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사용자의 왼팔에 착용하고 휴대용 정보기기를 거치대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는 크게 휴대용 정보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0), 거치대(30)의 일단에 연결되어 거리조절이 가능한 회전부(20), 및 회전부(20)의 말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팔뚝에 본 발명인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고정시키는 지지부(1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치대(30)는 휴대용 정보기기를 거치하는 받침대(31), 받침대(31)의 일단에 고정되는 볼조인트(33) 및 볼조인트(33)를 수용하는 볼조인트 수용부(34)로 이루어진다.
받침대(31)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받침대(31)의 일부분이 마감될 수 있고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31)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슬라이드식으로 폭이 조절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정보기기의 크기에 맞게 받침대(31)의 폭을 조절하여, 휴대용 정보기기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31)는 볼조인트(33)의 일단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31-2)와 하부받침대(31-2)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대(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폭 조절을 위한 구성은 도 3 및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볼조인트(33)는 받침대(31)의 일단에 고정되며, 착용자가 받침대(31)에 거치된 휴대용 정보기기를 이용할 때, 시청각도 조절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한다. 볼조인트(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받침대의 하단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볼조인트(33)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조인트 수용부(34)는 볼조인트(33)를 수용하여 고정시킨다. 볼조인트 수용부(34)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볼조인트 수용부(34)는 볼조인트(33)에 밀착된 상태에서 받침대(31)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볼조인트(33)를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각도조절용 부재(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도조절용 부재(35)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 수용부(34)를 고정시키는 거치대 고정부(27)와 거치대 고정부(27)의 일단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팔로 이루어진다. 거치대 고정부(27) 및 복수의 회전팔은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회전팔은 3개로 구성된다. 즉, 타단이 거치대 고정부(27)와 연결되는 제1회전팔(23) 그리고, 타단이 제1회전팔(23)의 일단과 제1힌지(26)에 의해 연결되는 제2회전팔(22)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3회전팔(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제2힌지(25)에 의해 제2회전팔(2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3회전팔(21)의 타단은 제3힌지(24)에 의해 후에 설명될 지지부(10)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2)에 연결된다.
따라서, 복수의 회전팔 각각은 서로 힌지로 연결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각각이 회전 가능하여, 착용자와 거치대 사이의 거리조절 및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각 힌지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0)는 회전팔의 끝단과 연결되는 연결부재(12)를 구비한 지지판(11) 및 팔뚝을 감싸 지지판(11)을 착용자의 팔에 고정시키는 조임부(13)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팔이 3개일 경우 제3회전팔(21)은 그 타단이 연결부재(12)와 제3힌지(24)에 의해 지지판(11)에 연결된다. 즉, 제3힌지(24)에 의해, 제3회전팔(21)은 제3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지지판(11), 연결부재(12) 및 제3힌지(24)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조임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뚝을 감싸 지지판(11)이 사용자의 팔뚝에 고정되도록 지지판(11)의 양단부에 연결된다. 조임부(13)는 사용자의 팔뚝을 단단히 감싸, 충분히 회전부(20) 및 거치대(30)를 지지하도록 플라스틱, 밴드, 벨트, 가죽, 직물, 금속 등의 소재가 채용될 수 있다.
조임부(13)는 지지판(11)의 양단부에 그 소재에 따라 가열을 통한 융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조임부(13)는 조임부(13) 끝단 각각에 조임부(13) 각각을 상호결합시키는 파스너(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파스너(14)는 파스너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의 팔뚝과 닿는 조임부(13)의 내측에는 팔뚝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무늬, 돌기 등이 형성될 수 있고 고무, 실리콘, 스폰지 등의 재질로 부분적으로 마감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위에서 바라본 회전부가 펼쳐진 평면도이다. 거치대(30)는 회전부(20)를 통해 지지부(10)와 연결된다. 거치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고정부(27)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볼조인트 수용부(34)의 하단에 구비된 돌출부가 거치대 고정부(27)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거치대 고정부 고정나사(28)에 의해 거치대 고정부(2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회전팔은 상호 밀착되어 접힐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팔의 접힌 상태는 도 4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구성 중 휴대용 정보기기(40)가 거치된 상태의 거치대(30)의 측단면도이다. 받침대(31)는 상부받침대(31-1)와 상부받침대(31-1)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받침대(31-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31)는 휴대용 정보기기(40)의 크기에 맞도록 슬라이드식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슬라이드식 폭 조절을 위한 구성은 하부받침대(31-2)의 내측에 가이드 홈(31-4)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 홈(31-4)에 맞물려 수용되는 가이드 돌기(31-3)가 상부받침대(31-1)의 하단에 형성되어, 받침대(31)의 폭이 조절 가능하다.
볼조인트 수용부(34)는 받침대(31)의 하단에 구비된 볼조인트(33)를 수용하여 거치대(30)를 고정시킨다. 볼조인트 수용부(34)와 볼조인트(33)의 접촉부 사이에는 볼조인트(33)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스폰지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볼조인트 고정용 부재(34-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정보기기가 거치된 받침대(31)의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볼조인트 수용부(34)는 볼조인트 수용부(34) 내부로 삽입되어 볼조인트(33) 하면에 접하게 되는 각도조절용 부재(35)를 더 구비할 있다.
또한, 볼조인트 수용부(34)의 내부 하면과 각도조절용 부재(35) 사이에 스프링(3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용 부재(35)는 볼조인트 수용부(34) 내에서 스프링(34-2)에 의해 볼조인트(33)에 밀착되어 볼조인트(33)를 고정시키며 착용자는 각도조절용 부재(35)를 스프링(34-2) 쪽으로 밀어 볼조인트(33)를 이완시킨 후 거치대(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볼조인트 수용부(34)의 하단에는 거치대 삽입부(27)와 결합하여 거치대(3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분리가능한 거치대(30)의 경우, 거치대(30)를 거치대 삽입부(27)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28)를 수용하는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 구멍(34-1)이 돌출부에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구성 중 거치대(30)가 분리된 후 회전팔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1힌지(26), 제2힌지(25), 제3힌지(24) 및 거치대 고정부 고정나사(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팔이 밀착되어 접힐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된 부분 없이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회전팔이 접히게 되면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편리하게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0)가 분리되므로 보관 및 이동시에 부피가 줄어들고 고장, 파손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사용자의 왼팔에 착용하고 휴대용 정보기기(40)를 거치대(30)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양손이 자유로운 사용자는 회전부(20)의 각 회전팔을 회전시켜 거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거치대(30)에 구비된 볼조인트(33)를 이용해 휴대용 정보기기(40)의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방법>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의 사용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는 일반적으로 왼쪽 팔뚝에 본 발명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착용하게 된다. 사용자는 지지부(10)의 조임부(13)를 자신의 팔뚝에 감싸 파스너(14)로 조임부(13) 말단을 단단히 상호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거치대(30)에 휴대용 정보기기(40)를 거치하고 휴대용 정보기기(40)의 크기에 맞도록 받침대(30)의 폭을 조절한다. 받침대(31)의 폭이 알맞게 조절되었으면 거치대(30)가 사용자가 휴대용 정보기기(40)를 사용하기 편한 거리, 높이 및 각도가 되도록 회전팔을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각도조절용 부재(35)를 이용하여 휴대용 정보기기(40)의 화면이 잘 보이도록 받침대(31)의 각도를 조절한다.
거치대(30)가 회전팔과 분리 가능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30)에 휴대용 정보기기(40)를 거치한 후, 거치대 고정부 고정나사(28)에 의해 거치대(30)를 거치대 고정부(27)에 고정시키고, 거리, 높이 및 각도 조절을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는 카페 등의 장소는 물론 거리, 지하철 등의 교통수단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시 양손이 자유롭기 때문에 짐이 있는 경우에도 휴대용 정보기기(40)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양손으로 기기조작이 가능하므로 게임을 즐기거나 태블릿 PC에서 문서작성을 하는 등 용이하게 휴대용 정보기기(4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손으로 직접 휴대용 정보기기(40)를 지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손목에 무리가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볼조인트(33)와 회전팔에 의해 각도, 거리 및 높이조절이 자유롭게 가능하므로 휴대용 정보기기(40) 사용이 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팔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밀착되어 접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회전팔을 접은 상태에서 보관하게 된다. 회전팔이 밀착되어 접히므로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보관 및 이동시 소지가 용이하며 파손의 위험도 줄어든다. 또한 거치대(30)가 분리 가능한 경우 지지부(10) 및 회전부(20)가 차지하는 부피가 더욱 줄어들고 거치대(30)만 따로 보관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소지 및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는 휴대용 정보기기 뿐 아니라 책, 유인물 등 시청각 자료를 이용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지부 11 : 지지판
12 : 연결부재 13 : 조임부
14 : 파스너 20 : 회전부
21 : 제3회전팔 22 : 제2회전팔
23 : 제1회전팔 24 : 제3힌지
25 : 제2힌지 26 : 제1힌지
27 : 거치대 고정부 28 :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
30 : 거치대 31 : 받침대
31-1 : 상부받침대 31-2 : 하부받침대
31-3 : 가이드 돌기 31-4 : 가이드 홈
33 : 볼조인트 34 : 볼조인트 수용부
34-1 :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 구멍 34-2 : 스프링
34-3 : 볼조인트 고정용 부재 35 : 각도조절용 부재

Claims (8)

  1. 휴대용 정보기기(40)가 거치되는 받침대(31)와 상기 받침대(31)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대(31)의 각도를 조절하는 볼조인트(33)와 상기 볼조인트(33)를 수용하는 볼조인트 수용부(34)를 구비하는 거치대(30);
    상기 볼조인트 수용부(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거치대 고정부(27)와 상기 거치대 고정부(27)에 연결되고, 끝단 각각이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회전팔을 구비하여 착용자와 상기 거치대(30)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20); 및
    연결부재(12)에 의해 상기 회전부(20)의 끝단과 연결되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에 결합되어 상기 착용자의 팔뚝을 감싸 상기 지지판(11)을 상기 착용자의 팔에 고정시키는 조임부(13)를 구비한 지지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상기 볼조인트(33)에 고정되는 하부받침대(31-2) 및 상기 하부받침대(31-2)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대(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슬라이드식으로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31-1)는 가이드 돌기(31-3)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받침대(31-2)는 상기 가이드 돌기(31-3)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3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조인트 수용부(34)는,
    상기 볼조인트 수용부(34)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조인트(33)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각도조절용 부재(35); 및
    상기 각도조절용 부재(35)와 상기 볼조인트 수용부(34)의 내부 하면 사이에는 구비되는 스프링(34-2)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볼조인트(33)를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고정부(27)에는 상기 거치대 고정부(27)를 상기 볼조인트 수용부(3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거치대 삽입부 고정나사(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팔은,
    일단이 상기 거치대 고정부(27)에 연결되는 제1회전팔(23), 제1힌지(26)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1회전팔(23)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회전팔(22) 및 제2힌지(25)에 의해 일단이 상기 제2회전팔(22)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3힌지(24)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2)에 연결되는 제3회전팔(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13)는,
    상기 조임부(13)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13)를 상호 결합시키는 파스너(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20110003628A 2011-01-13 2011-01-13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124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28A KR101244983B1 (ko) 2011-01-13 2011-01-13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28A KR101244983B1 (ko) 2011-01-13 2011-01-13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47A true KR20120082247A (ko) 2012-07-23
KR101244983B1 KR101244983B1 (ko) 2013-03-18

Family

ID=4671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28A KR101244983B1 (ko) 2011-01-13 2011-01-13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6930A (zh) * 2012-09-07 2013-04-03 任一涛 便携式电脑夹持装置
KR101311793B1 (ko) * 2012-11-14 2013-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설구조물
KR20180130902A (ko)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N113798773A (zh) * 2021-10-12 2021-12-17 山东海盛海洋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下向焊接工装
KR20230094487A (ko) * 2021-12-21 2023-06-28 박선영 필기구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195A (en) * 1993-10-21 1994-06-21 Phillips Stephan 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mera
US20070164987A1 (en) * 2006-01-17 2007-07-19 Christopher Graham Apparatus for hands-free support of a device in front of a user's body
KR100983309B1 (ko) * 2008-08-12 2010-09-20 김국원 어깨 거치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20100066973A (ko) * 2008-12-10 2010-06-18 김록곤 휴대용 영상기기 받침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6930A (zh) * 2012-09-07 2013-04-03 任一涛 便携式电脑夹持装置
CN103016930B (zh) * 2012-09-07 2016-01-27 任一涛 便携式电脑夹持装置
KR101311793B1 (ko) * 2012-11-14 2013-09-2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설구조물
KR20180130902A (ko) * 2017-05-30 2018-12-10 (주)메세 인형 부착 가능한 촬영용 거치대
CN113798773A (zh) * 2021-10-12 2021-12-17 山东海盛海洋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下向焊接工装
CN113798773B (zh) * 2021-10-12 2024-02-06 山东海盛海洋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管件下向焊接工装
KR20230094487A (ko) * 2021-12-21 2023-06-28 박선영 필기구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983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10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499927B (zh) 便携式电子、电气设备的配件
US20090060473A1 (en) Portable Video Media Device Holder
CN103038722B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JP5879337B2 (ja) 携帯電子機器用のケースアクセサリ並びにそれ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7861985B2 (en) Hands-free device holder for securing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screen
US20120024918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3348173B (zh) 用于平面或平板计算设备的支架或支座
US20090218454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WO201516866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TW201321236A (zh)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US20140076748A1 (en) Device for storing tablet computer and support the same in at least two erected/standing positions
US20140197049A1 (en) Support from leg of user for electronic device or tablet computer and method
US20120074284A1 (en) Flexible Support Structure
WO2015020390A1 (ko)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U2013100107B4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ccessori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350362B1 (ko)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CN104490055B (zh) 便携式电子设备保护套
KR20120094453A (ko) 태블릿 pc용 케이스
KR2012013488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고정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