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73B1 -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73B1
KR101753173B1 KR1020150090509A KR20150090509A KR101753173B1 KR 101753173 B1 KR101753173 B1 KR 101753173B1 KR 1020150090509 A KR1020150090509 A KR 1020150090509A KR 20150090509 A KR20150090509 A KR 20150090509A KR 101753173 B1 KR101753173 B1 KR 101753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ase body
smartphone
groov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075A (ko
Inventor
고재송
Original Assignee
고재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송 filed Critical 고재송
Priority to KR102015009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장시간 파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 및 통증을 해소하는 한편, 스마트폰을 놓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엄지 및 검지 등 손가락의 조작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smart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장시간 파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 및 통증을 해소하는 한편, 스마트폰을 놓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엄지 및 검지 등 손가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화기능 이외에 무선인터넷 접속, 동영상 재생, 카메라 기능 등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도 점점 대형화되어가면서 스마트폰의 크기 또한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대형 스마트폰은 큰 화면을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답답하지 않고 시원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스마트폰의 휴대성은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는 시간이 점점 길어지게 되는 추세인데, 견고하게 스마트폰을 파지하지 못할 경우 떨어뜨려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위험성이 더욱 커지게 되고, 오랫동안 파지할 경우 손가락에 무리를 주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대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새끼손가락을 폰 아래쪽에 위치하여 폰을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나머지 손가락과 손바닥을 이용하여 살짝 스마트폰을 잡고 사용한다.
그런데 이때 새끼손가락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된다. 왜냐하면 새끼손가락이 거의 대부분의 폰 무게를 지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새끼손가락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른 손가락과 손바닥에 힘을 주어 폰을 잡게 되면 엄지와 검지를 이용한 화면 터치가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073호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미끄럼 방지 스트랩을 사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형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수단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590호는 파손방지와 거치대로 사용되는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도 거치대 기능을 가진 보조케이스들이 많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파지상태를 용이하게 하지 못하여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
이에 상기한 종래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344639호에는 스마트폰 미끄럼 방지기능 및 거치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한국 등록특허 제10-1344639호에는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모서리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각 모퉁이부분이 절개되어 4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인접하여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 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절개부와 탄성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모퉁이 부분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으로 소정각도 회전후 상기 본체의 지지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4개의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10-1344639호에 개시된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엄지가 걸리는 손가락 끼움부의 구조적 특성상, 엄지와 검지를 이용한 화면 터치가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한국 등록특허 제10-1344639호(도 4 참조)는, 엄지의 위치가 스마트폰의 하단부 모서리에 위치하는 구조로서, 하단 모서리의 손가락 끼움부에 엄지가 위치함에 따라 엄지의 자유도가 저하되며 이뿐만 아니라 엄지의 위치가 한정됨에 따라 검지의 자유도도 저하되어, 단순히 화면을 시청하는데에는 별 어려움이 없으나 이들 손가락을 이용한 화면 터치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5073호(2012. 12. 1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590호(2011. 12. 2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4639호(2013. 12. 1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2562호(2014. 04. 29.)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겪게 되는 불편함이나 통증을 해소함과 아울러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위험성을 해소하며, 나아가 엄지 및 검지 등 손가락의 자유도를 높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대한 터치가 한층 손쉽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들, 즉 스마트폰의 추락 방지, 손가락의 터치 자유도 증가 등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스마트폰의 전면은 노출되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 바디와 스트링은 손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는 합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링은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을 따라 모퉁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 상에는 스트링 거치홈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의 모퉁이들을 연결하는 부분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 상에 형성된 스트링 거치홈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와의 간섭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링 및 스트링 거치홈은 길이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 상에, 상기 스트링을 상기 스트링 거치홈으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한 스트링 탈거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링 탈거수단은, 상기 스트링에 대한 접근(access)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트링 거치홈이 형성되지 않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링 탈거수단은, 상기 스트링에 대한 접근(access)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트링 거치홈이 제거된 영역인 스트링 탈거용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은, 상기 요홈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이 테두리면의 길이 방향을 지나는 임의의 선에 대해 약 30~60도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배면 가장자리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로 기능할 수 있는 스트랩 링(Strap ring)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에는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홈이 형성되고, 각 오목홈 마다 홈 양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스트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서, 상기 스트링의 각 오목홈 양측을 연결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사출 성형시, 상기 각 오목홈 내측 부위에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가 딱딱한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질일 경우, 상기 오목홈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와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나 수지, 혹은 표면이 거친 섬유로 된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케이스 바디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로 기능할 수 있는 스트랩 링(Strap ring)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 링은 180도 범위에서 눕거나 서도록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일정한 각도마다 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링은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에 대해 360도 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가 제공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겪게 되는 불편함이나 통증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을 떨어뜨려 스마트폰이 파손되거나 훼손될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엄지 및 검지 등 손가락의 자유도를 높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대한 터치가 한층 손쉽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추락 방지, 손가락의 터치 자유도 증가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호케이스를 스마트폰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대한 스마트폰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링에 손가락이 삽입된 다양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가) 내지 (다)는 보호케이스 배면 측에 스트랩 링이 구비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트랩 링의 각도별 고정 상태를 예시한 후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과 스마트폰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트립 밴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스트링 및 스트립 밴드에 대한 손의 고정 위치를 보여주는 참고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차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1)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2; 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링(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바디(1)의 모퉁이들 사이 구간을 형성하는 부분 즉 케이스 바디(1)의 가장자리 면에, 상기 케이스 바디(1)의 외곽방향으로 탄성 확장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바디(1)는 스마트폰(S)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창이 위치하는 화면 부분은 노출되도록 상기 스마트폰(S)의 측면 및 배면을 커버(cover)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스트링(2)은 손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는 합성 고무 재질, 예컨대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나 우레탄 고무(Uretane rubber)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트링(2)은 길이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띠 모양의 줄(일명, 칼국수 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스트링(2)의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것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상기 스트링(2)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스트링(2)은 단면 모양이 사각형상을 띠되 네 모퉁이에는 곡률이 형성된 모양일 수 있고, 단면 형상이 장공형 혹은 원형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트링(2)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각 모퉁이(도 1의 'A'부 참조)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10)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이 끼워지는 스트링 거치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의 각 모퉁이와 모퉁이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링 부분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 상에 상기 스트링(2)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기 스트링 거치홈(11)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링(2)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네 모퉁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에는 상기 스트링 거치홈(11)에 형성되어, 상기 스트링 거치홈(11) 내에 위치한 스트링(2) 부분에 대해서는 외부의 다른 물체와의 간섭이 배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스트링(2)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4방 가장자리면(상단면, 하단면, 좌측면, 우측면)에 외곽방향으로 탄성 확장 가능하게 구비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 상에는 스트링(2)을 상기 스트링 거치홈(11)으로부터 탈거시켜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스트링(2) 사이로 손가락을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 스트링 탈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트링 탈거수단으로는, 상기 스트링(2)에 대한 접근(access)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트링 거치홈(11)이 형성되지 않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영역으로서, 거치홈이 형성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영역에서 스트링(2)은 그 두께만큼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3의 (가) 참조). 본 발명에서는 스트링 거치홈(11)이 형성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거치홈 영역에 비해 돌출된 영역을 스트링 탈거용 돌출부(111a)라고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케이스 바디(1)는 4개의 테두리면(10)을 가지므로, 상기 스트링 탈거용 돌출부(111a)도 각 테두리면(10)마다 구비되며, 각 테두리면(10)마다 적어도 한 군데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스마트폰(S)의 장시간 파지하여야 하거나, 스마트폰(S)을 놓치는 현상을 피하면서 스마트폰(S)의 화면에 대한 터치를 한층 쉽게 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케이스 바디(1)를 구성하는 4개의 테두리면(10)을 따라서 탄력 재질의 스트링(2)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스트링(2)과 케이스 바디(1) 사이에 손을 넣어 스마트폰(S)을 손으로 쥐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에 구비된 스트링 탈거용 돌출부(111a)로 엄지 혹은 검지 등 원하는 손가락을 진입시켜, 상기 스트링 탈거용 돌출부(111a) 상에 위치하는 스트링(2) 부분을 바깥으로 민 다음 파지하여 잡아당김으로써 탄성에 의해 늘어난 스트링(2)이 전체적으로 스트링 거치홈(11)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다음, 상기 탄성에 의해 늘어난 스트링(2)과 케이스 바디(1) 사이로 손가락을 밀어넣어 스마트폰(S)을 파지하게 된다.
일단, 탄성에 의해 늘어난 스트링(2)과 케이스 바디(1) 사이로 손가락을 밀어넣고 나면, 외력이 제거될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트링(2)이 원위치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트링(2)이 손가락 혹은 손등을 지지함으로써 스마트폰(S)을 느슨하게 파지하거나 놓치더라도 스마트폰(S)이 쉽게 손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링(2)의 지지력에 의해 스마트폰(S)의 장시간 파지에 따라 초래되던 사용자의 불편함 및 통증을 해소할 수 있고, 스마트폰(S)을 느슨하게 파지하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스마트폰(S)을 손에서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S)의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키 입력 및 화면 터치등을 위한 엄지 및 검지 등 손가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형태로 손가락을 스트링(2)과 케이스 바디(1) 사이로 삽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링(2)과 케이스 바디(1) 사이에 손가락을 원하는 대로 넣어서 스마트폰(S) 화면을 터치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중지 이후의 아래쪽 손가락 3개를 스트링(2) 사이로 넣게 되면 엄지 및 검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한층 편리한 화면 터치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 사용자의 폰 사용 편의성 및 기기에 대한 보호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S) 사용에 있어서의 안정감 및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서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기본 구성면에서 전술한 [실시예1]을 따르되, 스트링(2)과 더불어 스마트폰(S) 파지를 용이하게 하면서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화면 시청용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스트랩 링(3)을 추가로 구성한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케이스 바디(1)의 배면 가장자리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거치대로 기능할 수 있는 스트랩 링(3; Strap ring)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 링(3)은 180도 범위에서 눕거나 서도록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일정한 각도마다 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S)의 파지 혹은 거치에 쓰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링(3)이 원하는 각도에 고정되는 구성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적 구성(특허문헌 4의 도 9 내지 도 10 참조)으로서, 예컨대, 케이스 바디(1) 측에 구비되는 힌지에는 다수의 각도 고정용 홈이 형성되고 스트랩 링(3)의 힌지 결합부에는 상기 각도 고정용 홈에 맞물리는 탄성돌기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 링(3)을 원하는 각도에 고정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S)의 거치와 더불어 스마트폰(S)의 그립(grip)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준다.
즉, 상기 스트랩 링(3)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고정하고, 상기 스트랩 링(3) 내부로 검지나 중지 등의 손가락을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스트랩 링(3)은 손가락을 잡아주는 핑거 스트랩(Finger strap)으로 기능하여 한층 안정적인 스마트폰(S)의 그립을 가능하게 해주게 되며, 더불어 스마트폰(S)을 놓쳐 떨어뜨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키 입력 및 화면 터치등을 위한 엄지 등 손가락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트랩 링(3)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측에 형성된 링 거치홈(13)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와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측으로는 스트랩 링(3)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거치하기 위한 링 거치홈(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을 파지시에는 스마트폰(S) 사용 환경에 맞추어 탄성 재질의 스트링(2)과 상기 스트랩 링(3)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S)을 책상이나 바닥에 거치하는 경우에는 스트링(2)을 원하는 각도에 고정시켜 효과적으로 스마트폰(S)을 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역시, 스마트폰(S) 사용자의 폰 사용 편의성 및 기기에 대한 보호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S) 사용에 있어서의 안정감 및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서 사용할 때 매우 유용하다.
[실시예3]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마트폰이 본 실시 예의 보호케이스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 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1]의 구성을 따르되, 다만 스트링 탈거수단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탄성 재질의 스트링(2)이 설치되고, 상기 스트링(2)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네 모퉁이에서 고정(fixing)되며, 상기 케이스 바디(1)의 모퉁이와 모퉁이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링 부분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 상에 형성된 스트링 거치홈(11) 안에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1]과는 달리, 본 실시 예에 따른 스트링 탈거수단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테두리면(10)의 일부 영역이 제거된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으로써, 상기 테두리면(10)에서 일부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된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은 사용자가 스트링(2)에 대해 쉽게 접근(access)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을 통해 스트링(2)을 상기 스트링 거치홈(11)으로부터 탈거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스트링(2) 사이로 손쉽게 손가락을 밀어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이 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은, 상기 요홈(111b)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이 테두리면(10)을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임의의 선에 대해 약 30~60도 각도 범위 내의 임의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사각형이 아닌 평행사변형을 이룰 수도 있다.
이렇게 평행사변형을 이루도록 할 경우, 스마트폰을 몸 전방에서 조작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중지나 검지 혹은 엄지의 스트링(2)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좋다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111b)은, 사각형이나 평행사변형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하학적 형상이 손가락이 진입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 혹은 손가락 끝 부분과 유사한 대략 반타원형을 이룰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도 [실시예2]에서 설명한 구조의 스트랩 링(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스마트폰 케이스의 배면에, 도 7에 도시된 구조의 스트랩 링(3)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4]
도 10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해결 과제를 갖는 기술적 구성으로서, 구체적 세부 구조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역시, 스마트폰(S)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1)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2; 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신,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에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홈(112)이 형성되고, 각 오목홈(112) 마다 홈 양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스트링(2)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오목홈(112)의 형성을 위해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의 두께가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트링(2)은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서, 상기 스트링(2)의 각 오목홈(112) 양측을 연결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오목홈(112) 내측 부위에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일체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 바디(1)를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할 경우, 상기 스트링(2)의 일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1)의 오목홈(112) 내측 부위에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일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견고히 케이스 바디(1)와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바디(1)가 딱딱한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질일 경우, 상기 오목홈(112)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1)와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나 수지(예, 우레탄, 실리콘), 혹은 표면이 거친 섬유로 이루어진 마찰부재(11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테두리면(10) 상에 일부 영역이 내측으로 요입된 오목홈(11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트링(2) 내측으로 쉽게 접근(access)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기하학적으로 대략 반원형인 오목홈(112)의 양측 부위를 스트링(2)으로 연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스트링(2)과 마찰부재(112a) 사이 공간을 통한 손가락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는 도 11에 도시한 구조의 스트랩 링(3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 측에는, 상하 및 좌우를 포함하여 중심축 기준으로 수평방향에 대해 360도 자유롭게 회전가능함과 아울러, 자유롭게 회전한 후 그 상태에서 180도 범위에서 눕거나 서도록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일정한 각도마다 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트랩 링(3a)에 구비된다.
상기 스트랩 링(3a)이 수평방향에 대해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며, 눕거나 일어서는 구성에 있어서도 원하는 각도에 고정되는 구성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적 구성(특허문헌 4의 도 9 내지 도 11 참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컨대, 본 실시 예의 스트랩 링(3a)은 수평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한 그 상태에서 180도 범위에서 눕거나 서도록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일정한 각도마다 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트랩 링(3a)에 대해서도,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스트랩 링(3a)이 위치하는 링 거치홈(13)을 마련하여, 스트랩 링(3a)이 상기 링 거치홈(13)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 물체와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5]
도 1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트립 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스트링 및 스트립 밴드에 대한 손의 고정 위치를 보여주는 참고 사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한 해결 과제를 갖는 기술적 구성으로서, 구체적 세부 구조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역시, 스마트폰(S)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1)와,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2; 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기본 구성면에서 전술한 [실시예1]을 따르되,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10)을 따라 형성되는 스트링(2)과 더불어 스마트폰(S) 파지를 용이하게 하되 특히 스마트폰의 화면을 엄지나 검지로 터치하는데 유용하게 하기 위한 탄력 재질의 스트랩 밴드(30)를 배면에 추가로 구성한 점에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바디(1) 배면의 스트랩 밴드(30) 주위에는 상기 밴드 내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요입홈(11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고유한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스트랩 밴드(30)는 [실시예4]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도 스트랩 링 대신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실시 예의 스트랩 밴드(30)가 적용된 경우의 작용 효과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스트랩 밴드에 손이 고정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손가락 끝의 1번으로 표시된 부분은 케이스 바디(1)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트랩 밴드(30)에 고정될 손가락의 위치를 보여주고, 2번과 3번은 테두리 부분의 스트링(2)에 고정되는 손바닥의 위치를 보여준다.
즉,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1) 배면에 탄력을 가진 스트랩 밴드(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트랩 밴드(30)는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서 가로방향으로는 중간, 세로 방향으로는 중간보다 약간 아래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파지시, 케이스 바디(1) 배면의 스트랩 밴드(30) 안쪽으로는 1번 부분으로 표시된 손가락 중 하나가 삽입되고, 자연스럽게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스트링(2) 안쪽으로는 손바닥 중 3번 부분 근처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1) 테두리의 스트링(2)은 스마트폰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바닥과 스마트폰의 밀착을 돕는다.
즉, 도 13에 도시된 그림에서 3번 부분이나 2번 부분을 테두리의 스트링(2)에 고정하면 스트링의 탄력과 마찰력으로 인해 폰을 편리하게 사용하는데에 무리는 없다.
이에 추가로, 본 실시 예에서는, 1번 부분의 손가락 중 어느 하나로도 케이스 바디(1) 배면의 스트랩 밴드(30)에 고정시키면 스트랩 밴드(30)에 삽입된 손가락에 힘을 주어 폰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앉아서 혹은 서서 스마트폰 화면을 본다면 배면의 4개의 손가락이 스마트폰의 배면부를 받치고 있어서 테두리 부분의 스트링(2)만으로도 충분히 폰이 지지되지만, 폰 사용자가 하늘을 향해 드러누워서 사용하거나 특수한 경우(즉, 배면의 4개의 손가락이 스마트폰 배면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자세)가 되면, 스마트폰이 손바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처지거나 손가락 부분으로 툭 넘어지거나 원하지 않는 각도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 바디(1)의 배면에 스트랩 밴드(30)가 구비되어, 손가락의 1번 부분이 상기 스트랩 밴드(30)에 삽입되면, 상기 스트랩 밴드(30)으로 삽입된 손가락을 통해 스트랩 밴드(3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손이 이루는 각도를 사용자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어 누워서 사용하거나 특수한 경우 사용에 편리하고 일반적으로 사용시에도 한층 안정적으로 폰을 파지(grip)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대부분의 무게는 폰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는 손의 2번 또는 3번 부분에서 감당하고 있으므로 배면의 스트랩 밴드(30)에 꽂히는 손가락은 큰 무게를 지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손가락 하나 정도면 충분하므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손가락 하나 정도를 넣을 수 있는 스트랩 밴드(30)를 만들고, 그 위치는 스마트폰의 가로 방향(즉, 폭 방향)에 있어서는 중간에 세로 방향(즉,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중간보다 약간 아래에 만들어 준다.
즉, 스트랩 밴드(30)의 위치는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서 가로방향으로는 중간, 스마트폰의 파지시 손가락이 전체적으로 폰 중간보다 보통 살짝 아래에 위치시키는 경우가 많으므로 세로 방향으로는 중간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를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트랩 밴드(30)에 원하는 손가락의 끝 부분을 넣어 손바닥 안에서의 폰의 위치를 임의로 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 부분에, 도 12에 도시한 손의 2번이나 3번부분을 위치시키게 되는데 스마트폰의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이 평평하면 안정감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굴곡에 의해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굴곡에 의한 오목홈은 케이스 바디(1)의 테두리면 중에서도 세로 방향의 테두리면에는 필히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굴곡에 의한 오목홈 부분에서는 자연스레 스트링(2)이 노출되게 되고, 사용자는 그 부분을 이용하여 손가락을 쉽게 스트링(2) 안쪽으로 밀어 넣을 수도 있고, 안정감 있게 그 굴곡에 손가락을 위치시킬 수 있다. 가로 부분은 폭이 좁아 손가락을 거치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 바디의 위, 아래쪽에 배치되는 스트링(2)은 각각 양손을 고정시켜 폰을 가로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게임을 할 때 이용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안정감 있게 폰을 그립(grip)함과 아울러 넓은 스마트폰 액정을 엄지나 검지로 터치하기에는 용이한 구조이다. 즉, 본 실시 예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폰의 사이드 부분의 스트링(2)을 활용하여 폰을 손에 고정함으로써, 엄지와 검지는 넓은 활동 영역을 가지고 액정을 자유롭게 터치할 수 있게 한다.
요컨대, 본 실시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의 그립을 도와주는 것 이외에 적절한 위치에 폰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화면 터치를 자유롭게 하고, 특히 폰을 케이스 바디(1)의 사이드에 구비된 스트링(2) 및 배면에 구비된 스트랩 밴드(30)를 이용하여 손에 고정함으로써, 스마트폰이 자신의 손과 완전 일체화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2]에서는 스트랩 링(3)을 배면에 두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테두리 부근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랩 링(3)을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 중심부를 포함,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둘 수 있으며, 상기 스트랩 링(3)을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4]의 스트랩 링(3a)이, 전술한 [실시예1] 또는 [실시예3]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스트링(2)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모든 테두리면(10)에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테두리면에 선택적으로 둘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1)는 고무 재질이어도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마찰을 높일 수 있도록 손가락이 고정될 적절한 위치(즉, 스트링 거치홈이나 탈거용 요홈, 그리고 케이스 바디(1) 배면의 스트랩 밴드(30) 내측 부위)에만 고무나 수지 혹은 표면이 거친 섬유로 된 마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 바디(1)의 전체가 아닌 손가락이 고정될 적절한 위치, 즉 손과의 접촉이 이루어질 부분에 대해 부분적으로 고무나 수지 혹은 표면이 거친 섬유로 된 마찰 부재가 개재(介在)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S: 스마트폰 1: 케이스 바디
10: 테두리면 11: 스트링 거치홈
111a: 스트링 탈거용 돌출부 111b: 스트링 탈거용 요홈
112: 오목홈 112a: 마찰부재
115: 요입홈 2: 스트링(string)
3, 3a: 스트랩 링(strap ring) 13: 링 거치홈
30: 스트랩 밴드

Claims (16)

  1.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커버하도록 씌워지는 케이스 바디; 및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의 적어도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스트링(String);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로서:
    상기 스트링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모퉁이들 사이 구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바디의 가장자리 면에, 상기 케이스 바디의 외곽방향으로 탄성 확장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스마트폰의 전면은 노출되도록 상기 스마트폰의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 바디와 스트링의 적어도 손과의 접촉부는 손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는 합성 고무 재질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섬유로 된 마찰 부재가 개재(介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모퉁이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 상에는 상기 스트링이 끼워지는 스트링 거치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및 스트링 거치홈은 길이에 비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띠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 상에,
    상기 스트링을 상기 스트링 거치홈으로부터 탈거시키기 위한 스트링 탈거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탈거수단은,
    상기 스트링에 대한 접근(access)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트링 거치홈이 형성되지 않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탈거수단은,
    상기 스트링에 대한 접근(access)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트링 거치홈이 제거된 영역인 스트링 탈거용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 탈거용 요홈은,
    상기 요홈 중앙을 지나는 중심선이 테두리면의 길이 방향을 지나는 임의의 선에 대해 30~60도 범위 내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테두리면에는 손가락을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 마다 홈 양측 부위를 연결하도록 스트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서,
    상기 스트링의 각 오목홈 양측을 연결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사출 성형시, 상기 각 오목홈 내측 부위에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 바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가 딱딱한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질일 경우,
    상기 오목홈 내면에는 상기 케이스 바디와 손가락과의 마찰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고무나 수지, 혹은 표면이 거친 섬유로 된 마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으며, 스마트폰 거치대로 기능할 수 있는 스트랩 링(Strap ring)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링은 180도 범위에서 눕거나 서도록 회동가능하며, 회동시 일정한 각도마다 그 위치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링은 전,후 및 좌,우를 포함하여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에 대해 360도 범위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16.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의 배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탄력을 갖는 재질로 된 스트랩 밴드(Strap band)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20150090509A 2015-06-25 2015-06-25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101753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09A KR101753173B1 (ko) 2015-06-25 2015-06-25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509A KR101753173B1 (ko) 2015-06-25 2015-06-25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5A KR20170001075A (ko) 2017-01-04
KR101753173B1 true KR101753173B1 (ko) 2017-07-04

Family

ID=5783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509A KR101753173B1 (ko) 2015-06-25 2015-06-25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2312B2 (en) 2021-04-05 2023-10-17 Red Heeler Group, LLC Stretchy net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55524A1 (en) * 2017-01-20 2018-07-20 Chen-Kee Yuan Suppor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935132B1 (ko) 2017-02-07 2019-01-04 박신호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CN107168572A (zh) * 2017-05-03 2017-09-15 重庆津油纳米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防摔的触摸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639B1 (ko) * 2012-09-12 2013-12-26 임대섭 스마트폰 거치장치
KR200471949Y1 (ko) * 2013-03-11 2014-03-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전화 케이스
KR101392562B1 (ko) * 2013-04-05 2014-05-09 최상효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WO2014085820A1 (en) * 2012-11-30 2014-06-05 William Gayler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073B1 (ko) 2010-08-27 2012-12-24 이상현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57590Y1 (ko) 2011-06-27 2011-12-26 이수연 스탠딩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639B1 (ko) * 2012-09-12 2013-12-26 임대섭 스마트폰 거치장치
WO2014085820A1 (en) * 2012-11-30 2014-06-05 William Gayler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KR200471949Y1 (ko) * 2013-03-11 2014-03-2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전화 케이스
KR101392562B1 (ko) * 2013-04-05 2014-05-09 최상효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2312B2 (en) 2021-04-05 2023-10-17 Red Heeler Group, LLC Stretchy net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75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8664B1 (en) Case assembl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230202716A1 (en) Ergonomic case/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JP5665035B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KR101735010B1 (ko) 링 케이스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20120091312A1 (en) One-handed, back-based support for a hand-held object
US20130146625A1 (en)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US20120267402A1 (en) Grip and hands-free support for multimedia devices
US9581286B2 (en) Tablet computer holding device
CA2827491C (en) Holder for a flat plate such as a tablet computer
US20190053613A1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US20220410362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KR200464283Y1 (ko)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WO2015100410A1 (en) Universal holder for supporting hand-held devices
US8428662B2 (en) Hand held mobile device containing comfort perches
KR101485921B1 (ko) 큰 화면을 한손으로 휴대하면서 터치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 커버
KR101261334B1 (ko) 쿠션에 감아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기기 거치대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CN105011519A (zh) 平板电脑套座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