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28B1 -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28B1
KR101370928B1 KR1020130001389A KR20130001389A KR101370928B1 KR 101370928 B1 KR101370928 B1 KR 101370928B1 KR 1020130001389 A KR1020130001389 A KR 1020130001389A KR 20130001389 A KR20130001389 A KR 20130001389A KR 101370928 B1 KR101370928 B1 KR 10137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obile phone
case
coupling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형
Original Assignee
서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형 filed Critical 서태형
Priority to KR102013000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측 또는 양측에 제1홀더결합부가 형성되고,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 제2홀더결합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휴대폰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1, 2홀더결합부에 일단부가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이 관통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분리된 홀더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분실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Mobile phone protective case}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더의 일측에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는 제1, 2홀더결합부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홀더결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홀더를 착, 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에 와서 휴대폰, PDA, DMB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필수적인 소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휴대폰이다.
상기 휴대폰은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 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카메라,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 등도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현재 상기한 휴대폰은 일명 '스마트폰'으로 명명되는 지능형 휴대폰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 때문에 수요자에게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고가이면서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휴대폰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며 일종의 액세서리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강하며, 최근 스마트폰은 배터리와 메모리 등의 성능발달로 경량화되면서 휴대가 용이함에 따라 점차 대화면의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휴대폰의 보호를 위한 케이스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휴대폰의 화면이 넓어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기기의 폭이 넓어질 수밖에 없어 손이 작은 사용자들에게는 한 손만으로 기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어려워져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손으로 잡고 기기를 사용할 때, 손에 땀이 나거나 미끄러지는 경우 등에 의해 고가(高價)인 기기들을 떨어트려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폰을 통해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DMB 수신, 네비게이션을 이용할 때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소정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 구조물이 없었기 때문에 손으로 잡고 이용해야 하는 신체 동작의 제약 사항이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의해 손목,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 증후군이라는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에 대하여 선출원 된 등록특허 10-1185358호(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에 제안된 종래문헌을 살펴보면, 폴리우레탄재로 되어 배면에 손가락 걸이구 또는 거치구를 형성한 채, 휴대폰의 배면에 끼워져 실치되는 통상의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중앙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와 일체로 되는 복수의 손가락 걸이구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의 장 변 및 단 변 측 일 측에는 케이스 본체와 일체로 되어 내부에 텐션봉을 매립 설치한 채, 각각 선택적으로 일으켜 세울 수 있게 한 복수의 거치구를 형성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문헌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거는 걸이구의 위치 및 형상이 제한적이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이 왼손인 경우 종래문헌의 기술에 따라 손가락 걸이구에 맞춰 파지가 용이하나, 사용자가 왼 손잡이인 경우 오른손 파지자 불가능하여 왼손 사용자에게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거치구를 통해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으나, 거치구가 파손되면 다시 재결합할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를 다시 구입해야 하는 등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 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홀더의 일측에 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되는 제1, 2홀더결합부가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2홀더결합부의 위치에 따라 홀더를 착, 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분리된 홀더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분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 또는 양측에 제1홀더결합부가 형성되고,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 제2홀더결합부가 형성되며, 정면에 휴대폰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제1, 2홀더결합부에 일단부가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이 관통 형성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의 일단부에는 결합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2홀더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가 분실되지 않도록 홀더를 보관하는 홀더수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홀더수납부는 상기 홀더가 수납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식 또는 자석,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한 접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의 액정화면을 덮는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와 인접되는 커버의 일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는 제2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홀더는 외형이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을 갖춘 캐릭터로 디자인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분리된 홀더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분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분해상태도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홀더가 제1홀더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홀더가 제2홀더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사용상태의 예시도
도 6의 a, b, c, d는 본 발명의 홀더가 각 위치에 따라 결합 및 수납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홀더가 홀더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홀더가 홀더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일측 또는 양측에 제1홀더결합부(220a)가 형성되고,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 제2홀더결합부(220b)가 형성되며, 정면에 휴대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20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 일단부가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310)이 관통 형성된 홀더(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300)의 일단부에는 결합돌출부(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20)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홀(2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300)가 분실되지 않도록 홀더(300)를 보관하는 홀더수납부(21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홀더수납부(210)는 상기 홀더(300)가 수납돌기(212)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식 또는 자석(216),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한 접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100)의 액정화면을 덮는 커버(230)가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200)와 인접되는 커버(230)의 일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는 제2파지홀(232)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300)는 외형이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을 갖춘 캐릭터로 디자인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으로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분해상태도이며,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홀더가 제1홀더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도이고, 도 4의 a, b는 본 발명의 홀더가 제2홀더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의 실시예도이며, 도 5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사용상태의 예시도이고, 도 6의 a, b, c, d는 본 발명의 홀더가 각 위치에 따라 결합 및 수납되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홀더가 홀더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홀더가 홀더수납부에 수납되는 상태의 다른 실시예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200)에 착, 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310)이 형성된 홀더(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파지홀(310)에 손가락을 넣어 휴대폰(100)을 파지함으로써, 상기 휴대폰(100)을 안전하게 사용함은 물론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떨어져서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300)가 분실되지 않도록 홀더(300)를 수납하는 홀더수납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200)는 휴대폰(100)이 수납됨과 동시에 이 휴대폰(100)이 파손되거나 흠집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커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200)는 휴대폰(100)의 기능과 연관되어 다양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300)의 일측에는 결합돌출부(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20)와 대응 결합되는 제1홀더결합부(220a)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20)와 대응 결합되는 제2홀더결합부(220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왼손 또는 오른손 상관없이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으며, 테이블이나 책상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상기 홀더(300)를 케이스 본체(200)로부터 분리하여 제1홀더결합부 또는 제2홀더결합부(220b)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20)에 대응되는 결합홀(222)이 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된다.
상기 홀더(300)의 결합돌출부(320)는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의 결합홀(222)을 따라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밀어 넣어 결합함으로써, 수직방향에서 잡아당겨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출부(320)의 양 측면에 끼움돌기(32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의 결합홀(222)에는 상기 끼움돌기(324)와 대응하여 끼움홈(226)이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돌출부(320)는 도 4의 구성과는 다르게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 수직방향으로 밀어넣어 끼움 결합하여 간편하게 홀더(300)를 착, 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오른손 사용자가 용이하게 왼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300)가 오른쪽에 결합할 수 있고, (b)는 왼손 사용자가 용이하게 오른손으로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300)가 왼쪽에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수납부(210)는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배면에 홀더(300)를 보관하는 수납돌기(2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돌기(212)의 양쪽 내측면에 슬라이드홈(214)이 형성되어 상기 홀더(300)가 슬라이드홈(214)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어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300)를 도 6의 (a)는 상기 홀더(300)를 홀더수납부(210)에 수납된 상태이고, (b) 및 (c)는 상기 홀더(300)가 좌, 우 측변에 결합된 상태이며, (d)는 상기 홀더(300)가 하측 변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의 용도 및 사용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홀더(300)를 착, 탈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홀더수납부(210)를 상기 케이스 본체(20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홀더(300)가 홀더수납부(210)에 수납된 상태에서 펼쳐져 거치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수납부(210)와 홀더(300)에는 케이스 본체(200)로부터 홀더(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각각 자석(216), 벨크로테이프 중 어느 한가지로 이루어져 홀더(300)를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2홀더결합부(220b)에 홀더(300)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휴대폰(100)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폰(100)의 액정화면을 덮는 커버(230)가 회동가능하게 일체로 더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200)와 인접되는 커버(230)의 일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는 제2파지홀(2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른 바람직한 예로 상기 제2파지홀(232)에 엄지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고, 상기 제1파지홀(310)에 검지 및 중지를 끼워 휴대폰(100)을 안전하게 파지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본체(200) 및 홀더(3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캐릭터로 외형이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동식물을 묘사하거나 만화 캐릭터를 형상화하여 외형 형상이 변경되며,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휴대폰 케이스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고, 휴대폰 케이스의 배면에 분리된 홀더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홀더의 분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100: 휴대폰 200: 케이스 본체
210: 홀더수납부 212: 수납돌기
214: 슬라이드홈 216: 자석
220a: 제1홀더결합부 220b: 제2홀더결합부
222: 결합홀 226: 끼움홈
230: 커버 232: 제2파지홀
300: 홀더 310: 제1파지홀
320: 결합돌출부 324; 끼움돌기

Claims (6)

  1. 일측 또는 양측에 제1홀더결합부(220a)가 형성되고, 배면 중 양측 변과 하변에 제2홀더결합부(220b)가 형성되며, 정면에 휴대폰(100)을 수납하여 보호하는 케이스 본체(200)와;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 일단부가 착, 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홀(310)이 관통 형성된 홀더(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의 일단부에는 결합돌출부(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2홀더결합부(220a,220b)에는 상기 결합돌출부(320)에 대응 결합되는 결합홀(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300)가 분실되지 않도록 홀더(300)를 보관하는 홀더수납부(2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수납부(210)는 상기 홀더(300)가 수납돌기(212)에 끼움 결합되는 착탈식 또는 자석(216),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한 접착식 중 어느 한가지 방식으로 선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200)의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휴대폰(100)의 액정화면을 덮는 커버(230)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넣어 휴대폰(100)을 파지할 수 있는 제2파지홀(2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300)는 외형이 다양한 형상 및 모양을 갖춘 캐릭터로 디자인되어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1020130001389A 2013-01-07 2013-01-07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10137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89A KR101370928B1 (ko) 2013-01-07 2013-01-07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389A KR101370928B1 (ko) 2013-01-07 2013-01-07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928B1 true KR101370928B1 (ko) 2014-03-12

Family

ID=5064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389A KR101370928B1 (ko) 2013-01-07 2013-01-07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9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903A (zh) * 2017-11-30 2019-06-07 艾兰特有限责任公司 便携式终端支座
KR102133135B1 (ko) * 2019-10-31 2020-07-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4903A (zh) * 2017-11-30 2019-06-07 艾兰特有限责任公司 便携式终端支座
KR102133135B1 (ko) * 2019-10-31 2020-07-10 박광현 휴대 단말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KR20180057071A (ko) 이동통신단말기 보호용 커버
KR200463097Y1 (ko) 릴타입 이어폰이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탈부착이 가능한 릴타입 이어폰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370928B1 (ko)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200460470Y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3092Y1 (ko)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
US10187105B2 (en) Portable product lanyard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JP2015032975A (ja) 防塵プラグを挿入可能であるとともにイヤホンコードを収納可能な携帯電話保護ケース
CN204120423U (zh) 一种设有腕带的新型保护套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0417498Y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홀더
KR20130001381U (ko)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0476114Y1 (ko) 모바일 기기 거치구
CN210490954U (zh) 一种带保护套的手机支架
KR101256657B1 (ko) 휴대폰 지지 장치
JP2004081258A (ja) フィンガー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