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35B1 - 휴대 단말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35B1
KR102133135B1 KR1020190137130A KR20190137130A KR102133135B1 KR 102133135 B1 KR102133135 B1 KR 102133135B1 KR 1020190137130 A KR1020190137130 A KR 1020190137130A KR 20190137130 A KR20190137130 A KR 20190137130A KR 102133135 B1 KR102133135 B1 KR 10213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se body
support
cas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현
Original Assignee
박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현 filed Critical 박광현
Priority to KR102019013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슬라이드 방식으로 케이스 보디에서 받침판을 뽑은 다음, 받침판에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때에 따라 받침판을 꺾어서 휴대 단말을 지지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얇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받침판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 부분과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받침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받침 부분에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휴대 단말을 세워서 지지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케이스 보디에서 슬라이딩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보디를 중심으로 받침판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보디의 방향, 즉 휴대 단말의 사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방향에서 쉽게 휴대 단말을 지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용 케이스{CASE FOR HANDY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보디 뒤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일부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받침판을 장착하고, 이 받침판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을 보거나, 휴대 단말을 지지하게 하여 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체 두께가 얇아지게 하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바닥에 떨어졌을 때 충격 흡수를 위해 케이스에 끼워서 사용하고, 또한 움직일 때나 스마트폰을 오래 잡고서 볼 수 있도록,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은 거치대나 거치 링을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75326호
스마트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따라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1연결 홀이 형성된 제1원형 링과, 상기 제1원형 링의 둘레 면에 결합한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연결 홀이 형성된 제2원형 링을 포함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실용 제20-0488765호
스마트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따라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1연결 홀이 형성된 와이 링과, 상기 와이 링의 둘레 면에 결합하며 레그 링이 결합하도록 회전가이드 홀이 천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드 홀에 끼워진 제2수지관체와, 상기 레그 링의 제2연결 홀에 결합된 제2힌지 축을 포함하는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연결 홀이 형성된 레그 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 축은 중앙부위가 원통형의 기둥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사각 또는 삼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 홀에는 제2힌지 축이 제2수지관체에 끼워지며 고정된 후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상기 제 2힌지축에 레그링의 제 2연결홀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실용 제20-0489984호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이 수용되는 수납부, 수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혀지거나 펴지는 연결부 및 수납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밴드부는 상기 연결부를 접어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거치대나 거치 링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거치대나 거치 링이 외부에 노출함으로, 그만큼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케이스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진다.
(2) 이는, 스마트폰을 주머니 등에 집어넣고 다니는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주머니에 스마트폰을 집어넣거나 빼낼 때 주머니가 찢어지는 등 파손의 우려도 있다.
(3) 거치대나 거치 링에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려면 이 거치대나 링을 회전하거나 돌려서 방향을 맞춰서 위치 조절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사용에도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75326호 (등록일: 2018.06.29) 한국등록실용 제20-0488765호 (등록일: 2019.03.09) 한국등록실용 제20-0489984호 (등록일: 2019.08.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케이스 보디에서 받침판을 뽑은 다음, 이 받침판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을 사용하거나 받침판을 꺾어서 휴대 단말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얇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한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상기 받침판은 이처럼 케이스 보디에서 받침판을 슬라이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안내 부분과 여기에 연약 부분이나 경첩 등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받침 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받침 부분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을 세워서 지지하게 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은 케이스 보디에서 슬라이딩하게 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보디를 중심으로 받침판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케이스 보디의 방향, 즉 휴대 단말의 사용 방향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방향에서 쉽게 휴대 단말을 지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게 한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T)을 끼워서 사용하는 케이스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보디(100)에는, 뒷면에 상기 케이스 보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 가이드(110); 상기 가이드(110)에 수납하고, 가이드 안내를 받아서 일부가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돌출하되, 상기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돌출한 쪽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구멍(121)을 갖춘 받침판(12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120)은, 상기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안내 부분(120')과 손가락 구멍(121)을 형성한 받침 부분(120")을 접어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는, 휴대 단말(T)을 끼워서 사용하는 케이스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보디(100)는, 제한된 길이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뒷면에 상기 케이스 보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 제1가이드(110'); 상기 제1가이드(110')와 나란하게 형성하되, 한쪽이 상기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된 제2가이드(110"); 및 상기 제1가이드(110') 안내를 받는 제1 핀(123')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안내 부분(120'),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제2 핀(123")이 상기 제2가이드(110")에서 이탈함에 따라 상기 제1 핀(123')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케이스 보디(100)를 거치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보디(100)에서 밖으로 이탈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구멍(121)을 갖추면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받침판(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안내 부분(120')과 상기 받침 부분(120")은, 연약 부분(124') 또는 핀(124")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1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 부분(120')과 상기 받침 부분(120")은 핀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손가락 구멍(121)에는 내주와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호 커버(12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손가락 구멍(121)은, 길게 형성하여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케이스 보디에 수납한 받침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케이스 보디의 전체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다.
(2) 이에, 케이스 보디를 주머니 등에 집어넣고 다닐 때도 불편함이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3) 또한, 받침판을 구성하는 안내 부분과 받침 부분을 연약 부분이나 핀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받침 부분을 접을 수 있어 휴대 단말을 거치해서 사용할 때 이 받침 부분을 이용하여 쉽게 지지하여 편안하게 볼 수 있다.
(4) 또한, 상기 받침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구멍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움직일 때나 차 안과 같이 진동이나 떨림 등이 생길 수 있는 곳에서 휴대 단말을 이용할 때,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어 휴대 단말을 떨어뜨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이때, 손가락 구멍은 두 개를 형성하거나, 하나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휴대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6) 또한, 받침판은 케이스 보디에서 슬라이딩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을 보는 방향을 바꾸면서도 원하는 방향에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판을 구성하는 안내 부분과 받침 부분의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손가락 구멍에 끼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이용하여 받침판을 세워서 휴대 단말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판의 제1 변형예로서, 안내 부분과 받침 부분을 핀으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판의 제1 변형예로서, 안내 부분과 받침 부분을 핀으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판의 제1 변형예로서, 안내 부분과 받침 부분을 핀으로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받침판의 제2 변형예로서, 손가락 구멍을 길게 하나로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 방식의 휴대 단말용 케이스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대가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슬라이딩 전 상태를, (b)는 슬라이딩하는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회전대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에서 슬라이딩한 회전대를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휴대 단말(T)을 끼워서 사용하는 케이스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 보디(100)에는, 길게 가이드(110)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110)에는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안내 부분(120')과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받침 부분(120")을 포함한 받침판(120)을 갖춤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받침판(120)을 케이스 보디(100) 안에 수납하게 하고, 사용할 때는 안내 부분(120')의 안내를 받아 받침 부분(120")만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돌출하게 하여 여기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T)을 사용하거나 받침 부분(120")을 접어서 휴대 단말(T)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 부분(120')과 받침 부분(120")은 연약 부분(124')으로 연결하거나, 핀(124")으로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간단하게 제작하여 때에 따라 쉽게 받침 부분(120")을 접어서 휴대 단말(T)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받침 부분(120")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 구멍(121)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하거나, 하나의 손가락 구멍(121)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휴대 단말(T) 이용자가 손가락의 굵기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휴대할 수 있는 개인용의 휴대 단말로,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그리고 태블릿 PC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를 갖추고 손에 들고 다니면서 이용하는 휴대 단말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케이스 보디
케이스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에 휴대 단말(T)을 끼워서 휴대 단말(T)을 보호하거나 외관 디자인 등을 개선할 때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케이스 보디(100)에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뒷면에 가이드(110)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10)에는 받침판(120)을 갖춰서 때에 따라 손가락에 끼워서 휴대 단말(T)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T)을 세워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가. 가이드
가이드(11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후술할 받침판(120)을 케이스 보디(110)에 수납한 상태로 보관하고, 때에 따라 이 받침판(120) 일부가 케이스 보디(110) 밖으로 인출하게 하여 인출한 부분에 손가락을 끼우거나 휴대 단말(T)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11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후술할 받침판(120)을 안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110)는 케이스 보디(1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때, 가이드(110)는 받침판(120)을 수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받침판(120)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1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나란하게 형성하여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위치 고정 홈(11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받침판(120)이 슬라이딩할 때 이 위치 고정 홈(111) 중 어느 하나에 걸려 더는 움직이지 않게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위치 고정 홈(111)은 받침판(120)이 가이드(110)에 완전히 수납한 때와 후술할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에서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할 때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 두 개 사이에 더 많은 개수의 위치 고정 홈(1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나. 받침판
받침판(1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120)은, [도 1]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술한 가이드(110)에 수납할 수 있게 하고, [도 4]와 같이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려고 할 때는 후술할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인출하게 하며, [도 5]와 같이 이처럼 인출한 받침 부분(120")을 접음에 따라 휴대 단말(T)을 세워 거치하여 볼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실질적으로 가이드(1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하는 안내 부분(120'), 그리고 이 안내 부분(120')에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받침 부분(120")을 포함한다.
1. 안내 부분
안내 부분(120')은, [도 1]·[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1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를 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110)에 수납한 받침판(120)을 잡아당겨서 인출하더라도 후술할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이 되고 상기 안내 부분(120')은 가이드(110) 밖으로 이탈하지 않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 부분(12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술한 위치 고정 홈(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위치 고정 돌기(125)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상기 위치 고정 돌기(125)는 가장 안쪽에 있는 위치 고정 홈(111)에 끼워지면 받침판(120)이 케이스 보디(100) 안에 수납하게 하고, 반대로 가장 바깥에 있는 위치 고정 홈(111)에 걸리면 후술할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부분(120')은 손을 이용하여 강제로 가이드(110)에 끼워서 수납하게 하거나 강제로 잡아당겨서 인출함에 따라 위치 고정 돌기(125)가 강제로 이웃한 위치 고정 홈(111)에 강제로 끼워졌다가 빠지면서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받침 부분
받침 부분(120")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안내 부분(120')의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의 회전은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때에 따라 휴대 단말(T)을 거치하여 세워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받침 부분(12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접거나 펼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 부분(120")과 안내 부분(120')의 경계에는 연약 부분(124')을 형성하거나, 핀(124")으로 연결하여 회전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안내 부분(120')과 상기 받침 부분(120")의 경계를 이들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두께가 얇아지게 하여 통상의 기술로 제작하는 연약 부분(124')을 구성함으로써, 이 연약 부분(124')을 통해 안내 부분(120')을 기준으로 받침 부분(120")을 접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안내 부분(120')과 받침 부분(120")의 경계를 요철 형태나 경첩 형태로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고, 이들을 하나의 핀(124")을 끼워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쉽게 받침 부분(12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약 부분(124')은 받침판(120)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연질 재질로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핀(124")은 금속 재질로 제작했을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약 부분(124')은 금속 재질로 안내 부분(120')과 받침 부분(120")을 제작하고, 이들 사이의 연결 부분을 2중 사출 형태로 사출 성형한 재질로 받침판(120)을 제작할 때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받침 부분(120")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구멍(121)을 관통 형성한다. 손가락 구멍(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인출하게 빼냈을 때,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T)이 손에서 떨어져서 파손되거나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손가락 구멍(121)을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특히, 상기 손가락 구멍(121)에는, [도 8]과 같이, 그 내주가 깨끗하게 가공했더라도 가장자리 등에 손가락이나 손등 등이 베이는 등 상체를 입을 우려가 있을 때는 손가락 구멍(121)의 내면과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도록 보호 커버(122)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커버(122)로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쉽게 강제로 끼워서 장착하면서도 손을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가락 구멍(121)은, [도 9]와 같이,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가락 구멍(121)은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넓이로 제작함으로써, 두 개의 손가락으로 휴대 단말(T)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T)을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받침판을 케이스 보디 안에 수납하게 하고, 사용할 때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받침판을 꺼내서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거나 휴대 단말을 기대서 거치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휴대단말 케이스의 전체 두께를 얇게 제작하면서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휴대 단말용 케이스는,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받침판(120)이 케이스 보디(100)에서 인출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받침판(120)이 슬라이딩 기능을 하게 하는 제1 및 제2가이드(110', 110"), 그리고 이들 안내를 받게 하고 또한 회전 지지하는 제1핀(123') 및 제2핀(12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가.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제1가이드(110')와 제2가이드(110")는,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케이스 보디(100)에 나란하게 형성한다. 이는, 받침판(120)에 형성한 제1핀(123')과 제2핀(123")이 각각 이들 제1가이드(110')와 제2가이드(110") 안내를 받아 움직이면서 받침판(120)이 케이스 보디(100) 위에 겹쳐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110')와 제2가이드(110")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하 2중 구조로 형성하거나,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양쪽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핀(123')과 제2핀(123")이 제1가이드(110')와 제2가이드(110") 안내를 받을 때는 받침판(120)이 어느 한쪽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2가이드(110")는,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한쪽을 개방하여 후술할 제2핀(123")이 제2가이드(110")의 안내를 받게 하거나, 이 제2가이드(110")에서 이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110")는 안내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했을 때 후술할 제2핀(123")이 이 제2가이드(110")에서 이탈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2가이드(110")에서 제2핀(123")이 이탈한 받침판(120)을 회전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나. 제1핀
제1핀(123')은,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상술한 제1가이드(110')에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받침판(120)에 장착한다. 특히, 상기 제1핀(123')은 상술한 안내 부분(120')이 어느 한쪽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고, 받침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하면 더는 움직이지 않게 하고, 그 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다. 제2핀
제2핀(123")은,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상술한 제2가이드(1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받침판(120)에 장착한다. 특히, 상기 제2핀(123")은 상술한 안내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하지 않을 때는 제1핀(123")과 함께 나란하게 움직이고, 상기 안내 부분(120')이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하면 함께 제2가이드(110")에서 이탈하게 하여 상기 받침판(120)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회전하는 받침판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손가락을 끼워서 사용하거나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판 위치를 임의로 회전하게 하여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케이스 보디
110: 가이드
110', 110": 제1, 제2가이드
111: 위치 고정 홈
120: 받침판
120': 안내 부분
120": 받침 부분
121: 손가락 구멍
122: 보호 커버
123', 123": 제1, 제2핀
124': 연약 부분
124": 핀
125: 위치 고정 돌기
T: 휴대 단말

Claims (5)

  1. 삭제
  2. 휴대 단말(T)을 끼워서 사용하는 케이스 보디(1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 보디(100)는, 제한된 길이 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뒷면에 상기 케이스 보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한 제1가이드(110'); 상기 제1가이드(110')와 나란하게 형성하되, 한쪽이 상기 케이스 보디(100) 밖으로 노출된 제2가이드(110"); 및
    상기 제1가이드(110') 안내를 받는 제1 핀(123')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안내 부분(120'),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110")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제2 핀(123")이 상기 제2가이드(110")에서 이탈함에 따라 상기 제1 핀(123')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케이스 보디(100)를 거치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 보디(100)에서 밖으로 이탈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구멍(121)을 갖추면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받침판(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서,
    상기 손가락 구멍(121)은,
    길게 형성하여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20190137130A 2019-10-31 2019-10-31 휴대 단말용 케이스 KR10213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30A KR102133135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 단말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30A KR102133135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 단말용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265A Division KR20210052178A (ko) 2020-07-02 2020-07-02 휴대 단말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135B1 true KR102133135B1 (ko) 2020-07-10

Family

ID=7160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130A KR102133135B1 (ko) 2019-10-31 2019-10-31 휴대 단말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13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928B1 (ko) * 2013-01-07 2014-03-12 서태형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7367Y1 (ko) * 2017-04-13 2018-09-07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 트레이를 받침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88765Y1 (ko)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9984Y1 (ko)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928B1 (ko) * 2013-01-07 2014-03-12 서태형 휴대폰 보호용 케이스
KR101875326B1 (ko)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7367Y1 (ko) * 2017-04-13 2018-09-07 주식회사 하나통신 카드 트레이를 받침대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
KR200488765Y1 (ko)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9984Y1 (ko)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3147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55772B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58313Y1 (ko)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243217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EP2887179B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040637A (ko) 휴대폰 또는 유사 기기용 케이스
KR20190114863A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US20210212454A1 (en) Portable reading stand
KR102133135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JP3181524U (ja) 立てられ、保持可能、コード巻取可能な携帯電話ケース
KR20110096869A (ko) 휴대기기 거치대
KR102272058B1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JP2015046074A (ja) 保護カバー
KR20210052178A (ko) 휴대 단말용 케이스
CN215897787U (zh) 一种手机保护壳及其槽式推拉开合支架
JP6184548B1 (ja) 携帯電子製品用のホルダー
CN215897793U (zh) 一种手机保护壳及其套式推拉开合支架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0487647Y1 (ko)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102626225B1 (ko) 폴더블 휴대기기용 자동 힌지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