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187B1 -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 Google Patents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187B1
KR102025187B1 KR1020190054301A KR20190054301A KR102025187B1 KR 102025187 B1 KR102025187 B1 KR 102025187B1 KR 1020190054301 A KR1020190054301 A KR 1020190054301A KR 20190054301 A KR20190054301 A KR 20190054301A KR 102025187 B1 KR102025187 B1 KR 10202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ad
guide
car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여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창기 filed Critical 여창기
Priority to KR102019005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에 관한 것이다. 스트랩은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간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며,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다. 패드는 내부에 스트랩을 수용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스트랩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고, 스트랩이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질 때 스트랩의 구부러진 부위를 인출시키도록 한쪽 면에 인출홀이 형성된다. 스트랩 가이드는 패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랩의 동작을 안내하며, 스트랩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토퍼를 걸어서 스트랩의 근접 이동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Multipurpose card wallet holder}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음성통화 외에 인터넷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는 손에 휴대단말기를 쥐고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큰 화면으로 인해 폭이 넓은 편이기 때문에, 손이 작은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를 쥐고 사용할 때,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자칫하여 타인과 부딪혀 휴대단말기를 떨어뜨릴 경우, 휴대단말기의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는 스트랩과, 패드, 및 스트랩 가이드를 포함한다. 스트랩은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간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며,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된다. 패드는 내부에 스트랩을 수용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스트랩의 한쪽 단부를 고정하고, 스트랩이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질 때 스트랩의 구부러진 부위를 인출시키도록 한쪽 면에 인출홀이 형성된다. 스트랩 가이드는 패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랩의 동작을 안내하며, 스트랩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토퍼를 걸어서 스트랩의 근접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는 휴대단말기를 안정되게 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카드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것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스트랩의 중간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트랩 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또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있어서,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카드 포켓 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카드 포켓에 수납된 카드를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카드 포켓 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 카드 포켓에 카드를 수납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스트랩의 중간 부위가 구부러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트랩 가이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는 스트랩(110)과, 패드(120), 및 스트랩 가이드(130)를 포함한다.
스트랩(110)은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간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한다. 즉, 스트랩(110)은 패드(120)에 고정된 고정 단부에 대해 자유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간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한다. 스트랩(11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트랩(11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트랩(110)은 반대쪽 단부, 즉 자유 단부에 스토퍼(111)가 형성된다. 스토퍼(111)는 스트랩(100)의 동작시 스트랩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이동한다. 스토퍼(111)는 스트랩(11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트랩 가이드(130)에 걸려 정지됨으로써, 스트랩(110)의 근접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스토퍼(111)는 스트랩(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11)는 스트랩(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111)는 스트랩(110)의 자유 단부에 스트랩(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스트랩(110)의 양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11)는 스트랩(110)의 양 옆으로 턱을 각각 형성한다.
스트랩(110)은 한쪽 단부, 즉 고정 단부에 고정편(11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의 고정 단부를 패드(12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의 고정 단부에 스트랩(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스트랩(110)의 양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112)은 끝 부위가 스트랩(110)의 한쪽 가장자리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의 중간 부위쪽으로 스트랩(110)의 양 옆 부위를 따라 일부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편(112)은 스트랩(110)의 끝 부위에 연결된 상태로 스트랩(110)의 양 옆 부위로부터 각각 절개되어 끊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편(112)의 면적이 증대되더라도 스트랩(110)의 동작 길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스트랩(110)은 스토퍼(111)와 고정편(112)을 제외한 중간 부위가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패드(120)는 내부에 스트랩(110)을 수용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스트랩(110)의 한쪽 단부를 고정한다. 패드(120)는 한쪽 면의 가운데를 따라 스트랩(110)을 좌우 대칭되게 위치시킨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스트랩(110)의 한쪽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패드(120)는 후술할 고정체(150)를 매개로 스트랩(110)의 고정편(112)을 부착할 수 있다.
패드(120)는 스트랩(110)이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질 때 스트랩(110)의 구부러진 부위를 인출시키도록 한쪽 면에 인출홀(121)이 형성된다. 인출홀(121)은 스트랩(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사각 장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출홀(121)은 스트랩(110)을 원활하게 인출시키도록 스트랩(110)의 폭보다 설정 유격만큼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인출홀(121)은 한쪽 단이 스트랩(110)의 한쪽 단에 일치하고, 반대쪽 단이 스트랩 가이드(130)의 제1,2 가이드홀(131a, 131b)의 연결 부위에 일치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트랩(110)은 펼쳐진 상태에서 패드(120) 내부에 수용되어 패드(120)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드(120)는 스트랩(110)이 배치된 쪽의 반대쪽에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20)를 부착한 경우,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20)는 패드(120)를 통해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거치될 수 있다.
스트랩(110)은 펼쳐진 상태에서 인출홀(121)을 통해 노출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트랩(110)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패드(120)의 인출홀(121)을 통해 스트랩(110)의 파지홀(113)에 손가락을 끼워 당겨냄으로써, 스트랩(110)의 중간 부위를 인출홀(121)로부터 손쉽게 인출시킬 수 있다. 파지홀(113)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스트랩(110)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파지홀(113)은 3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120)는 스트랩(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스트랩(110)의 길이보다 길고 스트랩(110)의 폭보다 넓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120)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는 중앙이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120)는 각 코너 부위가 라운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패드(120)는 사각형상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패드(120)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패드(120)는 2장의 패드용 시트 부재들(120a, 120b) 사이에 스트랩 가이드(130) 및 고정체(150)를 배치한 상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패드용 시트 부재들(120a, 120b)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어느 하나의 패드용 시트 부재(120a)는 전술한 인출홀(121)을 갖는다.
패드(120)는 스트랩(110)이 배치된 쪽의 반대쪽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122)가 접착될 수 있다. 패드(120)의 반대쪽에 카드 포켓(140)이 형성되는 경우, 접착 부재(122)는 카드 포켓(140)의 포켓용 시트 부재(141)의 바깥쪽에 접착될 수 있다. 접착 부재(122)의 노출된 접착 면이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의 후면에 접착됨으로써, 패드(120)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120)는 휴대단말기(20)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패드(120)는 접착 부재(122) 대신, 젤 타입의 점착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120)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 또는 휴대단말기(20)에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된다.
스트랩 가이드(130)는 패드(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스트랩(110)의 동작을 안내하며, 스트랩(11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스토퍼(111)를 걸어서 스트랩(110)의 근접 이동을 제한한다. 예컨대, 스트랩 가이드(130)는 가이드 본체(131)와, 제1 가이드 커버(132), 및 제2 가이드 커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31)는 스토퍼(111)를 끼워 스트랩(110)의 동작에 따른 스토퍼(1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홀(131a)과, 스트랩(110)의 한쪽 단부와 가까운 단부로부터 제1 가이드홀(131a)보다 좁은 폭으로 절개되어 제1 가이드홀(131a)과 통하게 연결된 제2 가이드홀(131b)을 구비한다.
제1 가이드홀(131a)은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홀(131a)은 스토퍼(111)와 헐거운 끼워맞춤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즉, 제1 가이드홀(131a)은 스토퍼(111)의 폭보다 설정 유격만큼 넓은 폭을 갖는다. 따라서, 스토퍼(111)는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되면서 제1 가이드홀(13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홀(131b)은 제1 가이드홀(131a)과의 양쪽 연결 부위에 턱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턱들에 스토퍼(111)가 걸릴 수 있게 한다. 제2 가이드홀(131b)은 사각 장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홀(131b)은 길이 방향 중심선이 제1 가이드홀(131a)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홀(131b)은 인출홀(121)의 좌우 폭과 동일한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스토퍼(111)는 양 옆에 위치 고정홈(11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10)이 구부러져 스토퍼(111)가 제1,2 가이드홀(131a, 131b)의 연결 부위에 걸린 상태에서, 제1 가이드홀(131a)은 양쪽 내벽에 스토퍼(111)의 위치 고정홈(111a)들과 각각 끼움 결합하는 위치 고정돌기(131c)들을 갖는다. 따라서, 스트랩(110)은 최대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31)는 사각 판상 부재에 제1,2 가이드홀(131a, 131b)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131)는 스트랩(11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본체(131)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커버(132)는 인출홀(121)과 가까운 가이드 본체(131)의 한쪽 면에 고정되어 제1 가이드홀(131a)을 덮는다. 제1 가이드 커버(132)는 사각 판상 부재에 제2 가이드홀(131b)과 대응되는 부위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커버(132)는 제2 가이드홀(131b)을 제외한 가이드 본체(131)의 한쪽 면을 완전히 덮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커버(132)는 제2 가이드홀(131b)을 개방시킴에 따라 인출홀(121)과 통하게 한다.
제2 가이드 커버(133)는 가이드 본체(131)의 반대쪽 면에 고정되어 제1,2 가이드홀(131a, 131b)을 덮는다. 제2 가이드 커버(133)는 사각 판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커버(133)는 가이드 본체(131)의 반대쪽 면을 완전히 덮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제1 가이드홀(131a)의 양쪽을 각각 덮어 스토퍼(111)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미끄럼면을 제공한다. 즉,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은 제1 가이드홀(131a)과 각각 대응되는 안쪽 면이 스토퍼(111)를 면접촉시켜 지지한 상태로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안내한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스토퍼(111)를 원활하게 이동 안내할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각각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양면 테이프(132a, 133a)에 의해 가이드 본체(131)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2 가이드 커버(132, 133)는 패드(120)의 내벽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의 사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가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휴대단말기(20)에 부착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는 사용자에 의해 패드(120)를 통해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스트랩(110)은 패드(120)의 내부에서 패드(120)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인출홀(121)을 통해 스트랩(110)의 중간 부위를 집어서 인출홀(121)로부터 인출시킨다. 그러면, 스트랩(110)은 자유 단부의 스토퍼(111)가 스트랩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고정 단부로 근접되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랩(110)은 중간 부위가 볼록하게 구부러져 고리 모양의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때, 스트랩 가이드(130)의 위치 고정돌기(131c)들이 스토퍼(111)의 위치 고정홈(111a)들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스트랩(110)은 최대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트랩(110)의 고리 모양 공간에 손가락을 걸고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를 쥘 수 있게 되므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에 장착된 휴대단말기(20)를 한 손으로 안정되게 쥔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트랩(110)을 전술한 형태로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면, 사용자는 스트랩(110)의 볼록 부분을 누른다. 그러면, 스토퍼(111)의 위치 고정홈(111a)은 스트랩 가이드(130)의 위치 고정돌기(131c)들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스트랩(110)은 자유 단부의 스토퍼(111)가 스트랩 가이드(130)의 안내를 받아 고정 단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패드(120)에 나란하게 펼쳐지게 된다.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스트랩(110)의 중간 부위를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를 바닥에 두면, 휴대단말기(20)를 경사진 상태로 거치하는 스탠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20)는 영구자석(미도시)을 내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내부에 영구자석과 자력으로 붙을 수 있는 자성 금속패드(40)가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패드(120)는 영구자석을 내장하는 대신, 자성 금속패드를 내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내부에 패드(120)의 자성 금속패드를 자력으로 붙일 수 있는 영구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를 차량 내부에 부착해서 거치할 수 있다.
한편, 패드(120)가 영구자석을 내장하는 경우, 접착 부재(122)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10)의 후면 또는 휴대단말기(20)의 후면에는 영구자석과 자력으로 붙을 수 있는 자성 금속패드가 부착됨으로써,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100)는 카드 포켓(140) 및 고정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포켓(140)은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출입구를 통해 카드(30)를 수납하도록 패드(12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다.
카드 포켓(140)은 포켓용 시트 부재(141)가 패드(120)의 반대쪽 면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141)는 패드(120)의 반대쪽 면에 배치된 상태로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를 향한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패드(120)에 재봉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카드 포켓(140)을 형성할 수 있다.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는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141)는 패드(120)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패드(120)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141)는 포켓 본체부(141a)와 포켓 연장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포켓 본체부(141a)는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를 향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패드(120)의 나머지 가장자리와 일치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포켓 연장부(141b)는 포켓 본체부(141a)로부터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출입구를 형성한다.
포켓 연장부(141b)는 양쪽 옆이 패드(120)의 양쪽 가장자리보다 각각 안쪽에 위치한 상태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포켓 연장부(141b)는 중앙이 패드(120)의 한쪽 가장자리 중앙과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포켓 연장부(141b)는 중앙과 양쪽 옆이 볼록한 곡선 형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 연장부(141b)는 카드 포켓(140)에 대한 카드(30)의 수납 면적을 증대시키면서도 카드 포켓(140) 내의 카드(30)에 대한 패드(120)의 젖힘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패드(120)는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보다 안쪽에서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와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접힘 가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체(150)는 스트랩(110)의 한쪽 단부를 고정한 상태로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스트랩 가이드(13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패드(120)의 접힘 가능부(123)를 형성하도록 패드(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120)는 고정체(150)와 스트랩 가이드(130)의 이격된 사이에 접힘 가능부(123)를 갖게 되며,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보다 안쪽에서 카드 포켓(140)의 출입구와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접힘 가능부(123)를 따라 쉽게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카드(30)가 카드 포켓(140)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체(150)가 배치된 패드(120)의 한쪽 부위를 스트랩 가이드(130)가 배치된 패드(120)의 다른쪽 부위에 대해 패드(120)의 접힘 가능부(123)를 중심으로 카드(30)로부터 멀리 젖힌 후, 그 상태로 카드(30)를 카드 포켓(140)으로부터 쉽게 인출시킬 수 있다.
고정체(150)와 스트랩 가이드(130)는 패드(120)의 접철 가능부(123)를 포켓 연장부(141b)에 대응시키되, 포켓 본체부(141a)와 포켓 연장부(141b)의 경계에 인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120)는 카드(30)로부터 젖혀지는 부위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됨으로써, 카드(30) 인출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패드(120)는 접힘 가능부(123)와 대응되는 내벽 부위끼리 접착제 등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고정체(150)는 제1,2 고정패드(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패드(151)는 인출홀(121)을 향한 고정편(112)의 한쪽 면에 고정된다. 제1 고정패드(151)는 스트랩(110)의 동작시 스트랩(110)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인출홀(121)과 대응되는 부위가 일부 절개되어 고정편(112)과 동일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2 고정패드(152)는 일부분이 고정편(112)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편(112)의 반대쪽 면에 고정되며, 나머지 부분이 고정편(112)의 양 옆에 인접한 스트랩(110) 부위를 면접촉해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패드(152)는 스트랩 가이드(130)를 향한 부위가 스트랩 가이드(130)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 고정패드(151)는 제1 가이드 커버(13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패드(152)는 제2 가이드 커버(133)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2 고정패드(151, 152)는 고정편(112)의 양쪽 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트랩 가이드(13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2 고정패드(151, 152)는 양면 테이프(151a, 152a)에 의해 고정편(112)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2 고정패드(151, 152)는 패드(120)의 내벽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의 카드 포켓 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 카드 포켓에 카드를 수납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패드(220)의 인출홀(121)이 후방에 위치되고 스트랩(110)의 고정단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기준으로, 카드 포켓(240)은 패드(220)의 좌측에 출입구를 갖도록 패드(220)의 반대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예의 고정체(150)와 스트랩 가이드(130)는 상호 이격되지 않고 이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241)는 패드(220)의 반대쪽 면에 배치된 상태로 패드(220)의 좌측 가장자리를 향한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가 패드(220)에 재봉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카드 포켓(240)을 형성할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241)의 좌측 가장자리는 패드(220)의 좌측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위치함으로써, 카드 포켓(240)의 출입구를 패드(220)의 좌측 가장자리보다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드(30)는 카드 포켓(240)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 일부가 카드 포켓(240)의 출입구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노출된 카드(30) 부위를 당겨서 카드(30)를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
패드(220)는 좌측의 상,하측 코너 부위가 라운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용 시트 부재(241)는 좌측의 상,하측 코너 부위가 라운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드 포켓(240)은 예시된 바와 반대되게 패드(220)의 우측에 출입구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카드 포켓(240)은 인출 밴드(246)를 구비할 수 있다. 인출 밴드(246)는 패드(220)의 좌우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인출 밴드(246)는 패드(220)의 좌우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쪽 단부가 카드 포켓(240) 내에서 패드(220)의 반대쪽 면 중앙에 고정되고, 다른쪽 단부가 카드 포켓(240)의 출입구를 통해 인출되어 패드(22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카드(30)가 인출 밴드(246)와 패드(220) 사이로 끼워져 카드 포켓(240)에 수납되면, 인출 밴드(246)의 중간 부위가 카드(30)와 맞닿은 상태로 카드 포켓(240)의 안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카드(30)가 카드 포켓(240)에 완전히 수납되면, 인출 밴드(246)의 중간 부위가 카드(30)와 맞닿은 상태로 카드 포켓(240)의 안쪽 끝에 위치하고, 인출 밴드(246)의 다른쪽 단부가 패드(22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드(30)를 카드 포켓(240)으로부터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 인출 밴드(246)의 다른쪽 단부를 패드(220)의 바깥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인출 밴드(246)의 중간 부위가 카드(30)와 맞닿은 상태로 카드 포켓(240)의 출입구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카드(30)가 카드 포켓(240)의 출입구로부터 손쉽게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인출 밴드(246)는 한쪽 단부가 카드 포켓(240) 내에서 포켓용 시트 부재(241)의 중앙에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스트랩 111..스토퍼
111a..위치 고정홈 112..고정편
113..파지홀 120, 220..패드
121.인출홀 122..접착 부재
123..접힘 가능부 130..스트랩 가이드
131..가이드 본체 131a..제1 가이드홀
131b..제2 가이드홀 132..제1 가이드 커버
133..제2 가이드 커버 140, 240..카드 포켓
141, 241.. 포켓용 시트 부재 150..고정체
151..제1 고정패드 152..제2 고정패드
246..인출 밴드

Claims (5)

  1. 한쪽 단부에 대해 반대쪽 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 중간 부위가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도록 동작하며, 한쪽 단부에 고정편이 양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반대쪽 단부에 스토퍼가 양 옆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스트랩;
    내부에 상기 스트랩을 수용한 상태로 한쪽 가장자리에 상기 스트랩의 고정편을 고정하고, 상기 스트랩이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질 때 상기 스트랩의 구부러진 부위를 인출시키도록 한쪽 면에 인출홀이 형성된 패드; 및
    상기 패드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랩의 동작을 안내하며, 상기 스트랩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를 걸어서 상기 스트랩의 근접 이동을 제한하는 스트랩 가이드;
    상기 패드의 한쪽 가장자리에 인접한 출입구를 통해 카드를 수납하도록 상기 패드의 반대쪽 면에 형성된 카드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 가이드는,
    상기 스토퍼를 끼워 상기 스트랩의 동작에 따른 상기 스토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홀과, 상기 스트랩의 고정편과 가까운 단부로부터 상기 제1 가이드홀보다 좁은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홀과 통하게 연결된 제2 가이드홀을 구비한 가이드 본체;
    상기 인출홀과 가까운 상기 가이드 본체의 한쪽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홀을 덮는 제1 가이드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반대쪽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2 가이드홀을 덮는 제2 가이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보다 안쪽에서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와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접힘 가능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랩의 고정편을 고정한 상태로 상기 카드 포켓의 출입구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스트랩 가이드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패드의 접힘 가능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패드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고정편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인출홀을 향한 고정편의 한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패드의 내벽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패드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편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편의 반대쪽 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패드의 내벽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인출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4301A 2019-05-09 2019-05-09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202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01A KR102025187B1 (ko) 2019-05-09 2019-05-09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01A KR102025187B1 (ko) 2019-05-09 2019-05-09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187B1 true KR102025187B1 (ko) 2019-09-25

Family

ID=6806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01A KR102025187B1 (ko) 2019-05-09 2019-05-09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2136A1 (en) * 2021-03-29 2022-10-06 Otter Products, Llc Collapsible and extendable device gri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697B1 (ko) * 2015-01-27 2016-04-29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홀더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697B1 (ko) * 2015-01-27 2016-04-29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휴대폰 홀더
KR101705820B1 (ko) * 2016-06-30 2017-02-10 여창기 매직 홀더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2136A1 (en) * 2021-03-29 2022-10-06 Otter Products, Llc Collapsible and extendable device gr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29B1 (ko) 다용도 홀더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KR101705820B1 (ko) 매직 홀더
US20180348541A1 (en) Pop-up type holder and stand mobile device accessory for holding eyeglasses
EP2708974A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including stylus pen holding means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483146B1 (ko) 다기능 휴대폰 케이스
KR101655371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101635152B1 (ko)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989189B1 (ko)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JP6184548B1 (ja) 携帯電子製品用のホルダー
KR101647611B1 (ko)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101999915B1 (ko) 핸드폰 케이스
KR200487647Y1 (ko) 슬라이드 개폐형 다용도 수납 케이스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102532654B1 (ko) 휴대단말기용 홀더
KR101489095B1 (ko) 이어폰 수납 및 정리가 가능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