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791B1 - 폴더블 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791B1
KR102290791B1 KR1020200008777A KR20200008777A KR102290791B1 KR 102290791 B1 KR102290791 B1 KR 102290791B1 KR 1020200008777 A KR1020200008777 A KR 1020200008777A KR 20200008777 A KR20200008777 A KR 20200008777A KR 102290791 B1 KR102290791 B1 KR 10229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ldable phone
opening
fixed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923A (ko
Inventor
김중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킨플레이어
Priority to KR1020200008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9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59Flexible luggage; Hand b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카드, 명함, 지폐 등의 물품을 휴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폰 케이스{foldable phone case}
본 발명은 폴더블 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 커버를 구현함과 아울러 폴더블 폰이 펼쳐진 상태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파지부가 형성되는 폴더블 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통하여 다양한 첨단 기술과 멀티 기능을 구현하게 되면서 가격 또한 고가(高價)로 책정되어 사용자는 스마트폰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 케이스의 초기 모델로는 연질의 러버 재질로 스마트폰 외관을 감싸주는 이른바 젤리 혹은 실리콘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부분을 접철 가능하게 덮개로 개방 및 폐쇄하는 구조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에 따라 접어서 디스플레이를 보관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폴더블 폰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폴더블 폰의 경우, 서로 포개어지는 두 부분의 본체를 각각 보호하기 위한 2개의 커버가 필요하다.
종래의 폴더블 폰에 적용되는 케이스는 폴더블 폰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커버와 상기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경우 폴더블 폰을 펼쳐놓으면, 케이스의 접히는 부분만 외측으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평행하게 놓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더블 폰의 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커버는 카드 또는 명함 등의 휴대품을 수용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부가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더블 폰을 펼쳤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어려워 두 손으로 이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두 손에 놓여지는 폴더블 폰의 경우에도 단순히 손위에 놓이는 상태로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자칫 실수할 경우 폴더블 폰을 쉽게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956481호(2019.03.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 커버를 구현함과 아울러 폴더블 폰이 펼쳐진 상태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파지부가 형성되는 폴더블 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는,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 커버의 폭방향 단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커버 및 수납 커버의 원단 내부에는 보강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커버는 상기 폴더블 폰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돌출된 폭방향 일측면을 폴더블 폰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 커버와 개폐 커버 사이에 높낮이 차이를 가지는 파지용 단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용 단차면 형성시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가 파지용 단차면의 절곡부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커버를 폴더블 폰으로부터 탈착시키고 후방향으로 젖히면 상기 폴더블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 커버에는 폴더블 폰의 스피커와 연통하는 스피커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연통부는 일측이 상기 개폐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공명 현상으로 소리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커버와 개폐 커버는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와 타측 본체에 이미 다른 보호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그 후면에 추가적으로 덧붙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커버에는 폴딩부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폴더블 폰의 본체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함과 아울러 고정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 홀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대하여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 커버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카드, 명함, 지폐 등의 물품을 휴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부착이 가능한 개폐 커버의 구조를 이용하여 펼쳐진 상태의 폴더블 폰을 한 손으로 안정감 있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고가의 폴더블 폰이 사용 중 추락하여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커버에는 음성을 통과시키는 스피커 연통부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공명 현상으로부터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폴더블 폰 케이스를 한층 미려하고 심플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에 폴더블 폰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를 이용하여 파지용 단차면을 형성하는 과정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를 거치대로 활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를 공명 현상으로 소리를 증폭시는 구조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파지용 단차면을 이용한 손잡이 역할을 실제 제품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가 다른 보호 케이스의 후면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의 고정 커버에 고정 홀더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상하방향으로 접히는 폴더블 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는 폴더블 폰(10)의 일측 본체(11)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100), 상기 고정 커버(100)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10)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12)를 덮는 개폐 커버(200), 상기 개폐 커버(200)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100)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300), 상기 수납 커버(300)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10)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 커버(100)는 폴더블 폰(10)의 일측 본체(11)에 면밀착하는 상태로 고정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표면에는 접착용 고정패드(1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용 고정패드(110)는 평판형 베이스 플레이트 표면에 갤타입 또는 액상의 접착성 수지재를 도포하여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접착성 고정패드(110)는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접착용 고정패드(110)에 의해 부착된 상태의 폴더블 폰(10)과 고정 커버(100)를 상호 떼어내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할 경우 상기 폴더블 폰과 고정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후 다시 재접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용 고정패드(110)는 폴더블 폰(10)에 부착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접착재의 표면층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용 비닐(미도시)이 부착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커버(100)에는 폴딩부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폴더블 폰(10)의 본체(11)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함과 아울러 고정 결합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정 홀더부(120)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부(120)는 충격흡수가 우수한 합성수지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더블 폰(10)의 본체(11) 바닥면을 함께 지지할 수 있는 바닥판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폰(10)의 본체(11)는 상기 고정 홀더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폴딩부측을 통해 상기 고정 커버(100)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착탈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 커버(200)는 상기 고정 커버(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폴더블 폰(10)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10)의 타측 본체(12)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 커버(200), 개폐 커버(200) 및 후술할 수납 커버(30)는 가죽 또는 인조원단 또는 합성수지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소재에 관하여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수납 커버(300)는 상기 개폐 커버(200)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커버(100)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수납 커버(300)는 사용자의 카드 또는 명함 등의 휴대품을 수용할 수 있는 편의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수납 커버(300)와 개폐 커버(200)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카드, 명함, 지폐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납 커버(300)의 표면에도 추가적으로 소정 넓이를 가지는 수납 절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각종 카드 등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 커버(100) 및 수납 커버(200)의 원단 내부에는 보강판(5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판(500)은 상기 고정 커버(100) 및 수납 커버(300)의 강도 증진과 휨 발생을 억제시키도록 내구성 향상시켜 상기 폴더블 폰(10)을 한층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 커버(100) 및 수납 커버(300)의 원단 내부에 설치되는 보강판(50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화시키거나 재봉처리하여 일체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커버(300)의 폭방향 단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100)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310)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블 폰(10)을 완전히 펼칠 경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을 감싸는 부분이 수평하게 펴지면서 상기 개폐 커버(200)는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12)의 폭방향 넓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 커버(200)의 돌출된 폭방향 일측면을 폴더블 폰(10)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 상기 개폐 커버(200)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커버(100)와 개폐 커버(200) 사이에 높낮이 차이를 가지는 파지용 단차면(25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용 단차면(250)을 형성함에 따라 폴더블 폰(10)이 펼쳐진 상태에 사용자가 한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도 7 사진 참조).
또한, 상기 파지용 단차면(250) 형성시 상기 연장 돌출부(310)의 단부가 파지용 단차면(250)의 절곡부 내측면에 접촉한다.
즉, 상기 연장 돌출부(310)가 파지용 단차면(250)의 절곡되는 내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파지용 단차면을 움켜 쥐는 사용자의 손가락 힘에 의해 상기 파지용 단차면(25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골조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는 폴더블 폰(10)을 바닥면에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거치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 커버(200)를 폴더블 폰(10)으로부터 이탈시키고 후방향으로 젖히면 상기 폴더블 폰(10)을 소정 각도로 기울여 거치하는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 돌출부(310)가 폴더블 폰(10)의 후면과 접촉하여 한층 안정감 있는 거치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커버(300)에는 폴더블 폰(10)의 스피커(13)와 연통하는 스피커 연통부(330)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연통부(330)는 일측이 상기 개폐 커버(200)에 의해 폐쇄되어 공명 현상으로 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를 외부에서 바라볼 때 상기 스피커 연통부(330)가 노출되지 않아 한층 미려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명현상에 의해 스피커 연통부(330)가 노출되는 것에 비해 좀 더 확대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자석(400)은 상기 수납 커버(3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폴더블 폰(10)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폐 커버(200)를 폴더블 폰(10)으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석(400)은 상기 수납 커버(300)의 상,하단 모서리 지점을 기준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폴더블 폰(10) 자체에는 2개의 본체(11,12)가 서로 폴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400)은 폴더블 폰(10)의 타측 본체(12)에 설치되는 자석의 극성에 맞추어 당겨주는 방향의 극성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더블 폰(10)에 설치되는 자석과 수납 커버(300)에 설치되는 자석(400)의 인력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 커버(200)가 폴더블 폰(10)의 타측 본체(12)를 덮는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커버(100)와 개폐 커버(200)는 폴더블 폰(10)의 일측 본체(11)와 타측 본체(12)에 이미 다른 보호 케이스(15)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그 후면에 추가적으로 덧붙여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폴더블 폰(10)을 제조하는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품 케이스(15)의 경우, 정품인증을 위한 낙인(15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품 케이스(15)의 후면에 대해서도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정 커버(100)에는 낙인(15a)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홈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폰 케이스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상하방향으로 접히는 폴더블 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고정 커버
110 : 접착용 고정패드
200 : 개폐 커버
250 : 파지용 단차면
300 : 수납 커버
310 : 연장 돌출부
330 : 스피커 연통부
400 : 자석
500 : 보강판

Claims (9)

  1.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 커버의 폭방향 단부에는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 및 수납 커버의 원단 내부에는 보강판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는 상기 폴더블 폰을 펼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돌출된 폭방향 일측면을 폴더블 폰 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면 상기 고정 커버와 개폐 커버 사이에 높낮이 차이를 가지는 파지용 단차면을 형성하며,
    상기 파지용 단차면 형성시 상기 연장 돌출부의 단부가 파지용 단차면의 절곡부 내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를 폴더블 폰으로부터 탈착시키고 후방향으로 젖히면 상기 폴더블 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폰 케이스.
  7.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납 커버에는 폴더블 폰의 스피커와 연통하는 스피커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연통부는 일측이 상기 개폐 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공명 현상으로 소리를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폰 케이스.
  8.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 커버와 개폐 커버는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와 타측 본체에 이미 다른 보호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그 후면에 추가적으로 덧붙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폰 케이스.
  9. 폴더블 폰의 일측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
    상기 고정 커버에 연결되며 폴더블 폰의 폴딩부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상기 폴더블 폰의 타측 본체를 덮는 개폐 커버;
    상기 개폐 커버의 이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커버를 향해 개방되는 수납 커버; 및,
    상기 수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폴더블 폰에 인력을 작용시키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 커버에는 폴딩부측 테두리를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에 폴더블 폰의 본체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함과 아울러 고정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고정 홀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폰 케이스.
KR1020200008777A 2020-01-22 2020-01-22 폴더블 폰 케이스 KR10229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77A KR102290791B1 (ko) 2020-01-22 2020-01-22 폴더블 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77A KR102290791B1 (ko) 2020-01-22 2020-01-22 폴더블 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23A KR20210094923A (ko) 2021-07-30
KR102290791B1 true KR102290791B1 (ko) 2021-08-18

Family

ID=7714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77A KR102290791B1 (ko) 2020-01-22 2020-01-22 폴더블 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330B1 (ko) * 2021-08-19 2021-11-18 윤광규 폴더블 휴대폰을 위한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58Y1 (ko)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4403Y1 (ko) 2012-09-05 2014-09-16 최동일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304A (ko) * 2012-09-12 2014-03-27 노권식 휴대폰 케이스의 가공방법 및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5210U (ko) * 2013-03-21 2014-10-07 주식회사 플레이텍 휴대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956481B1 (ko) 2017-12-11 2019-03-08 김돈수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03Y1 (ko) 2012-09-05 2014-09-16 최동일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200466058Y1 (ko) * 2013-01-03 2013-04-03 (주)폭스자일코리아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23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7594821B (zh) 带支架的智能电话携带套
KR20070084539A (ko) 휴대용 전자 장치용 직접 장착식 파우치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2396862B1 (ko) 접혀지는 휴대폰을 위한 그립톡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KR101275281B1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78010Y1 (ko) 휴대폰용 카드지갑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80002587U (ko) 지갑겸용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180008148A (ko) 고리가 일체로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용 카드 케이스
KR101499381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73012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102266193B1 (ko) 스마트폰 케이스
KR20120000423U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단말기용 케이스
KR101695098B1 (ko) 다기능 스마트폰 보호 파우치
CN209359837U (zh) 电子产品保护套
KR200472575Y1 (ko) 핸드폰 부착형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