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901A -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901A
KR20200130901A KR1020190055394A KR20190055394A KR20200130901A KR 20200130901 A KR20200130901 A KR 20200130901A KR 1020190055394 A KR1020190055394 A KR 1020190055394A KR 20190055394 A KR20190055394 A KR 20190055394A KR 20200130901 A KR20200130901 A KR 20200130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elastic plate
foldable portable
case
hing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998B1 (ko
Inventor
김돈수
Original Assignee
김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돈수 filed Critical 김돈수
Priority to KR102019005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0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케이스커버를 힌지탄력판과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커버에 장착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내,외측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복수개의 평판부(P)와 상기 평판부(P)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S)로 구성되어,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1)에 장착하는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는,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외측면에서 평판부(P)를 감싸며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내측면에 요(凹)홈의 단턱끼움홈(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와;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외측에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강핀(60)이 간격을 두고 중앙 굽힘부(T1)에 수용되고 양단 고정부(T2)는 상기 단턱끼움홈(32)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탄력판(50)과;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상부에서 단턱끼움홈(32)에 끼워져 힌지탄력판(50)을 고정하는 케이스캡(39)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굽힘부(T1)에 수용된 보강핀(60)은, 케이스커버(30)의 접혀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배열되게 성형한다.
또한,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에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를 지지하도록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탄력보강돌기(53)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탄력판(50)은 연질재질로 성형되어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핀(60)을 수용하며, 상기 보강핀(60)과 보강핀(60) 사이에 만곡진 접힘면(T3)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면(T3)을 중심으로 보강핀(60)이 수용된 힌지탄력판(50)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중앙 굽힘부(T1)는 연질재질로 성형되고, 양단 고정부(T2)는 경질재질로 성형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돌기끼움홀(54)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돌기끼움홀(54)을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rotective Cases for Foldable Mobile Phones}
본 발명은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케이스커버를 힌지탄력판과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커버에 장착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내,외측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전면 디스플레이는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는데, 상기 휴대단말기 떨어뜨려 전면 디스플레이가 파손되는 일이 꾸준히 발생되며, 이를 사용자가 시간과 금전을 들여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등장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케이스가 단순한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더하여 다양한 기능 및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유리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블 휴대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는 원하는 형태로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이 부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경우에도 동일한 화질을 구현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강하며, 휘거나 굽힐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기존 유리기판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산업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잡지, 교과서, 서적, 만화와 같은 출판물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자책 분야와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 PC, 실시간 정보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 등 새로운 휴대용 IT 제품 분야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활용분야가 돌 수 있으며, 이외에도 유연한 플라스틱 기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의류용 패션, 의료용 진단 분야에까지 확대 적용될 수 있는 제품이다.
하지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휴대단말기만을 휴대하는 경우에는 눌림, 긁힘 등에 쉽게 디스플레이가 훼손될 수 있어,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특징에 의한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접히는 부위를 제외하고 나머지 부위에 대해서만 보호케이스가 장착되는 반면에, 접히는 부위에는 변형에 따른 이유로 별다른 케이스를 장착하지 못하여 긁힘 및 충격 등에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는 종래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와 같이 배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아니라 접히는 부위를 제외하고 전방 및 후방의 배면 상,하와 좌,우 어느 일측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보호케이스가 좌,우 어느 한방향으로 유동되면서 분리되는 폐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6481호.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공고일자 2019년 03월 08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일체형 보호케이스에 장착함과 더불어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접거나 구부려지는 변형부위도 보호케이스를 통해 보호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평판부에 각각 장착된 보호케이스를 힌지탄력판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가 접거나 펼쳐지는 동작 또는 둥글게 감는 동작에서도 상기 힌지탄력판을 통해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힌지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복수개의 평판부(P)와 상기 평판부(P)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S)로 구성되어,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1)에 장착하는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는,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외측면에서 평판부(P)를 감싸며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내측면에 요(凹)홈의 단턱끼움홈(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와;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외측에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강핀(60)이 간격을 두고 중앙 굽힘부(T1)에 수용되고 양단 고정부(T2)는 상기 단턱끼움홈(32)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탄력판(50)과;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상부에서 단턱끼움홈(32)에 끼워져 힌지탄력판(50)을 고정하는 케이스캡(39)을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굽힘부(T1)에 수용된 보강핀(60)은, 케이스커버(30)의 접혀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배열되게 성형한다.
또한,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에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를 지지하도록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탄력보강돌기(53)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탄력판(50)은 연질재질로 성형되어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핀(60)을 수용하며, 상기 보강핀(60)과 보강핀(60) 사이에 만곡진 접힘면(T3)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면(T3)을 중심으로 보강핀(60)이 수용된 힌지탄력판(50)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중앙 굽힘부(T1)는 연질재질로 성형되고, 양단 고정부(T2)는 경질재질로 성형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돌기끼움홀(54)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돌기끼움홀(54)을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장공의 가이드끼움홀(55)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가이드끼움홀(55)을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캡(39)을 단턱끼움홈(32)에 결합해 내부에 이동공간(H)이 구비되게 하여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가 이동공간(H)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폴더블 휴대단말기(1)가 펼쳐지거나 평판부(P)가 서로 마주하게 내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고정부(T2)의 가이드끼움홀(55)이 이동공간(H)에서 변형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고,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평판부(P)가 서로 대향되게 외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고정부(T2)의 가이드끼움홀(55)이 이동공간(H)에서 평판부(P)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일체형 보호케이스에 장착시켜 보호하면서도,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가 여러겹으로 접거나 펼치는 구성 또는 둥글게 감는 구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평판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커버를 힌지탄력판을 통해 일체 연결하면서도, 상기 힌지탄력판이 폴더블 휴대단말기의 변형부와 함께 부드럽게 접히면서 들뜨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보호케이스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구성인 힌지탄력판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힌지탄력판의 요부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보호케이스의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보호케이스의 외측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인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는, 한 쌍의 케이스커버를 힌지탄력판과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커버에 장착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내,외측 방향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폴더블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평판부(P)와 상기 평판부(P)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S)로 구성되어,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1)에 장착되어, 상기 폴더블 휴대단말기(1)와 함께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한 보호케이스(10)에 대한 설명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커버(30)는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평판부(P)에 대응해 복수개가 구비되나,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평판부(P)의 외측면을 감싸며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내측면에 요(凹)홈의 단턱끼움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외측에는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탄력판(50)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양단부가 단턱끼움홈(32)에 각각 끼워지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탄력판(50)은,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외측에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 사이에 위치되며, 중앙 굽힘부(T1)에 복수개의 보강핀(60)이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양단 고정부(T2)는 상기 단턱끼움홈(32)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중앙 굽힘부(T1)는 비교적 부드러운 실리콘 등의 연질재질로 성형되고, 양단 고정부(T2)는 비교적 단단한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등의 경질재질로 성형되도록 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은 중앙 굽힘부(T1)의 내부에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재질의 보강핀(60)을 수용한 상태로 성형되는데, 상기 보강핀(60)의 수용에 따라 굽힘부(T1)의 형상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보강핀(60)과 보강핀(60) 사이에 만곡진 접힘면(T3)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면(T3)을 중심으로 보강핀(60)이 수용된 힌지탄력판(50)이 용이하게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탄력판(50)에 수용되는 보강핀(60)의 간격은 휴대단말기(10)의 변형부(S)에 대응해 간격이 비교적 멀거나 비교적 가깝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힌지탄력판(50)의 양단 고정부(T2)가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중앙 굽힘부(T1)가 접혀져 상기 케이스커버(30)에 장착된 폴더블 휴대단말기(1)가 내,외측 방향으로 접거나 펼치는 동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굽힘부(T1)에 수용된 보강핀(60)은, 케이스커버(30)의 접혀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배열되게 성형하고, 더불어 격자형상을 갖고 중앙 굽힘부(T1)에 수용되게 성형하여, 힌지탄력판(50)의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 양측 모서리를 따라 탄력보강돌기(53)를 돌출 형성시켜, 상기 접힘면(T3)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에 상기 탄력보강돌기(53)가 접촉하여 지지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 위치하는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는 접착 또는 융착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일체 결속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단턱끼움홈(32)에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돌기끼움홀(54)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돌기끼움홀(54)을 끼워 상호 조립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힌지탄력판(50)의 상부에서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 끼워져 힌지탄력판(50)을 케이스커버(30)에 고정하는 케이스캡(39)이 더 포함되는데, 상기 케이스캡(39)은 접착 또는 융착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일체 결속되며, 상기 단턱끼움홈(32)과 케이스캡(39)의 결합을 통해 그 내부에 이동공간(H)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장공의 가이드끼움홀(55)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가이드끼움홀(55)을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캡(39)이 단턱끼움홈(32)에 결합되어 구비된 이동공간(H)에서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폴더블 휴대단말기(1)가 펼쳐지거나 도 7과 같이 평판부(P)가 서로 마주하게 내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고정부(T2)의 가이드끼움홀(55)이 이동공간(H)에서 변형부(S)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가이드끼움홀(55)의 길이는 상기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의 평판부(P)가 서로 마주하게 내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이 늘어나며 복귀 탄력을 갖게 한다.
또, 도 8과 같이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평판부(P)를 외측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가 이동공간(H)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변형부(S)를 지지하는 접힘면(T3)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해 외관미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실시예로서 다수의 평판부(P)와 상기 평판부(P)를 연결하는 변형부(S)로 구성된 다중 폴더블 단말기기 및 도 9에서와 같이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가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1)에 지지되어 접힘면(T2)과 함께 둥글게 감겨 보관되거나 펼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폴더블 휴대단말기 P. 평판부
S. 변형부
10. 보호케이스 30. 케이스커버
32. 단턱끼움홈 36. 판고정돌기
38. 케이스캡 50. 힌지탄력판
53. 탄력보강돌기 54. 돌기끼움홀
55. 가이드끼움홀 60. 보강핀
T1. 굽힘부 T2. 고정부
T3. 접힘면

Claims (8)

  1. 복수개의 평판부(P)와 상기 평판부(P)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S)로 구성되어, 접거나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블 휴대단말기(1)에 장착하는 보호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10)는,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외측면에서 평판부(P)를 감싸며 조립되도록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내측면에 요(凹)홈의 단턱끼움홈(32)이 형성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와;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 외측에서 복수개의 케이스커버(30)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보강핀(60)이 간격을 두고 중앙 굽힘부(T1)에 수용되고 양단 고정부(T2)는 상기 단턱끼움홈(32)에 각각 끼워지는 힌지탄력판(50)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탄력판(50)의 상부에서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 끼워지면서, 중간에 위치한 힌지탄력판(50)을 단턱끼움홈(32)에 고정하는 케이스캡(39)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탄력판(50)의 굽힘부(T1)에 수용된 보강핀(60)은,
    케이스커버(30)의 접혀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속 배열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탄력판(50)의 접힘면(T3)에는,
    휴대단말기(1)의 변형부(S)를 지지하도록 양측 모서리를 따라 돌출된 탄력보강돌기(5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탄력판(50)은 연질재질로 성형되어 내부에 금속재질의 보강핀(60)을 수용하며, 상기 보강핀(60)과 보강핀(60) 사이에 만곡진 접힘면(T3)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면(T3)을 중심으로 보강핀(60)이 수용된 힌지탄력판(50)이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힌지탄력판(50)의 중앙 굽힘부(T1)는 연질재질로 성형되고, 양단 고정부(T2)는 경질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돌기끼움홀(54)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돌기끼움홀(54)을 끼워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커버(30)의 단턱끼움홈(32)에는 복수개의 돌출된 판고정돌기(36)를 형성하고,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에는 상기 판고정돌기(36)에 끼워지는 장공의 가이드끼움홀(55)을 복수개 형성시켜 상기 판고정돌기(36)에 가이드끼움홀(55)을 끼워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스캡(39)을 단턱끼움홈(32)에 결합해 내부에 이동공간(H)이 구비되게 하여 상기 힌지탄력판(50)의 고정부(T2)가 이동공간(H)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폴더블 휴대단말기(1)가 펼쳐지거나 평판부(P)가 서로 마주하게 내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고정부(T2)의 가이드끼움홀(55)이 이동공간(H)에서 변형부(S)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고,
    폴더블 휴대단말기(1)의 평판부(P)가 서로 대향되게 외측으로 접혀지는 과정에서는 고정부(T2)의 가이드끼움홀(55)이 이동공간(H)에서 평판부(P)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0190055394A 2019-05-13 2019-05-13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64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94A KR102643998B1 (ko) 2019-05-13 2019-05-13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394A KR102643998B1 (ko) 2019-05-13 2019-05-13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01A true KR20200130901A (ko) 2020-11-23
KR102643998B1 KR102643998B1 (ko) 2024-03-06

Family

ID=7368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394A KR102643998B1 (ko) 2019-05-13 2019-05-13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2A (ko) * 2021-03-04 2022-09-14 김돈수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WO2022199056A1 (zh) * 2021-03-26 2022-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可折叠显示模组的盖板、可折叠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035740A (ko) 2021-09-06 2023-03-14 한성우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30048693A (ko) 2021-10-05 2023-04-12 조재민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03U (ko) * 2017-06-22 2019-01-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
KR101956481B1 (ko) 2017-12-11 2019-03-08 김돈수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03U (ko) * 2017-06-22 2019-01-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 케이스
KR101956481B1 (ko) 2017-12-11 2019-03-08 김돈수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52A (ko) * 2021-03-04 2022-09-14 김돈수 롤러블 스마트폰용 보호케이스
WO2022199056A1 (zh) * 2021-03-26 2022-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可折叠显示模组的盖板、可折叠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035740A (ko) 2021-09-06 2023-03-14 한성우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30049600A (ko) 2021-09-06 2023-04-13 한성우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KR20230048693A (ko) 2021-10-05 2023-04-12 조재민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98B1 (ko) 202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81B1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643998B1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2328330B1 (ko) 폴더블 휴대폰을 위한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US8267251B2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CN107594821B (zh) 带支架的智能电话携带套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200466058Y1 (ko) 받침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40076747A1 (en) Case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and a card
US20180191395A1 (en) Card storage mobile phone case
KR102423199B1 (ko) 카드수납구조를 포함하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
KR101191867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2228224B1 (ko) 폴더블폰 커버
KR102396862B1 (ko) 접혀지는 휴대폰을 위한 그립톡 카드수납 휴대폰 케이스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230049600A (ko)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KR102290791B1 (ko) 폴더블 폰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39205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495934Y1 (ko) 반자동 개폐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휴대폰 케이스
KR20190090649A (ko)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230048693A (ko) 폴더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36667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