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667B1 - 핸드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핸드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667B1
KR101636667B1 KR1020160001133A KR20160001133A KR101636667B1 KR 101636667 B1 KR101636667 B1 KR 101636667B1 KR 1020160001133 A KR1020160001133 A KR 1020160001133A KR 20160001133 A KR20160001133 A KR 20160001133A KR 101636667 B1 KR101636667 B1 KR 101636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magnet
cover
slide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도순
박영한
Original Assignee
신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순 filed Critical 신도순
Priority to KR102016000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촬영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와 핸드폰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 제 1 자석이 부착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 양측이 끼워져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좌우측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 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드판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핸드폰 보호케이스 {Case for protecting mobile phone}
본 발명은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촬영을 용이하게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은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핸드폰을 오랫동안 안전하고 청결하게 사용하고자 핸드폰의 기종별로 핸드폰 보호케이스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공을 통해사 카메라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파손 또는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02호인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을 덮어 보호하는 플립커버를 포함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전면 상에 장홈이 형성되고 평행하는 레일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일홈부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레일홈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가능하게 조합되도록 배면에 레일턱부가 구비되고 레일턱부의 하측 단부에는 결합돌부를 구비하여 결합홈에 인위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결합돌부가 타이트하게 결합되며, 배면에는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을 상기 장홈 내에서 안내되어 제한하는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전면 일측에는 핸드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통공부가 형성되며 통공부가 형성된 전면 하측에는 핸드폰의 배면을 탈부착하기 위한 점착테이프가 부착되고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플립커버를 부착하는 부착턱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통공부를 핸드폰 기종에 따른 카메라 렌즈의 형상 및 카메라 렌즈의 위치를 모두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고, 접착테이프로 핸드폰 후면에 부착하기 때문에 핸드폰 보호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핸드폰 배면의 외관이 흉한 문제점이 있으며, 슬라이딩 플레이트, 받침판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02호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통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쉽게 촬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통공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카메라 렌즈를 비롯하여 핸드폰 뒷면에 구성되는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렌즈,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 손전등용 LED를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와 핸드폰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제 1 자석이 부착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 양측이 끼워져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좌우측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 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드판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 뒷면에 구성된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기 위해서 형성된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통공이 없기 때문에 카메라 렌즈를 비롯하여 휴대폰 뒷면에 구성되는 스피커, 손전등용 LED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휴대폰의 뒷면을 깨끗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호케이스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 동작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로 촬영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통공에 걸리는 돌출부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대경이 결합된 핸드폰 보호케이스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보호케이스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커버부(100), 슬라이드부(200) 및 케이스부(300)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커버부(100)는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110)와 핸드폰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 커버부(1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스마트폰은 터치를 통해서 동작함으로 터치되는 상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덮개 커버부(110)가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 손에 올려져 핸드폰을 사용하기 용이하게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00)는 제 1 자석(211)이 부착된 슬라이드판(210)과, 상기 슬라이드판(210) 양측이 끼워져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좌우측에 레일홈(22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211)과 부착되는 제 2 자석(221)이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120) 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석(221)과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제 1 자석(211)과 부착되는 제 3 자석(222)이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110)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 커버부(120)에 강제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부(200)는 보다 이해를 돕고자 슬라이드판(210)과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부(300)를 생략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우선 도 2에 도시된 (a)와 같이, 제 1 자석(211)과 제 3 자석(222)이 서로 부착된 상태는 통상적으로 핸드폰 보호케이스가 핸드폰을 보호하는 상태 즉, 덮개 커버부(110)가 핸드폰 전체를 감싼 상태가 되고 또한,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서 케이스부(30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핸드폰을 올리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b)와 같이, 슬라이드판(210)은 슬라이드몸체부(220)의 레일홈(223)을 따라 진행하다가 제 1 자석(211)과 제 2 자석(221)이 부착되면서 자력의 힘에 의해서 더 이상의 진행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자석(211)과 제 2 자석(221)이 부착된 상태에서 핸드폰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가 핸드폰 보호케이스의 바닥 커버부(120) 위로 나타나 자연스럽게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핸드폰 보호케이스는 바닥 커버부(120)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촬영이 가능한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 바닥 커버부(120)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공을 통해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결국,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b)와 같이 동작된 이후에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케이스부(300)에 끼워져 고정되는 핸드폰을 내리게 되는데 도 2에 도시된 (a)와 같이, 슬라이드판(210)은 슬라이드몸체부(220)의 레일홈(223)을 따라 진행하다가 제 1 자석(211)과 제 3 자석(222)이 부착되면 자력에 의해서 진행을 멈추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핸드폰 보관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판(210)은 걸림통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몸체부(220)는 상기 걸림통공(212)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리는 돌출부(2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걸림통공(212)과 돌출부(224)는 슬라이드판(210)이 위로 올라갈 때 도 4에 도시된 A부분 즉, 걸림통공(212)의 하단에 돌출부(224)가 걸리고, 슬라이드판(210)이 아래로 내려갈 때 도 4에 도시된 B부분 즉, 걸림통공(212)의 상단에 돌출부(224)가 걸리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판(210)은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핸드폰을 위로 올리면 제 1 자석(211)과 제 2 자석(221)이 서로 부착되어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였지만, 사용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제 1, 2 자석(211, 221)이 탈착되어 올라가는 것까지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224)가 걸림통공(212)의 A부분에서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판(210)은 촬영 이후에 다시 핸드폰 보관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핸드폰을 아래로 내리면 제 1 자석(211)과 제 3 자석(222)이 서로 부착되어 더 이상 내려가지 않지만 사용자의 과도한 힘에 의해서 제 1, 3 자석(211, 222)이 탈착되어 내려가는 것까지 방지하기 위해서 돌출부(224)가 걸림통공(212)의 B부분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통공(212)은 슬라이드판(210)에 형성할 수 있는 만큼 다수개 형성하여도 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측면에서 2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자석(211)을 슬라이드몸체부(220)에 구성하고 상기 제 2, 3 자석(221, 222)을 슬라이드판(210)에 구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통공(212)을 슬라이드몸체부(220)에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224)를 슬라이드판(210)에 구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게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 커버부(110)는 핸드폰의 표시창이 보이도록 확대경(11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확대경은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문자, 기호, 숫자 등이 작게 표시되어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으로 전부 오픈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가 될 때까지 덮개 커버부(110)에서 쉽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사용자는 전화가 왔을 때 덮개 커버부(110)를 조금만 들어올려도 발신자 전화번호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300)는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110)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드판(210)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300)는 상기 슬라이드판(210)에 강제 결합됨에 따라 케이스부(300)에 끼워지는 핸드폰을 올리고 내림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판(210)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작용을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커버부 110 : 덮개 커버부
111 : 확대경 120 : 바닥 커버부
200 : 슬라이드부 210 : 슬라이드판
211 : 제 1 자석 212 : 걸림통공
220 : 슬라이드몸체부 221 : 제 2 자석
222 : 제 3 자석 223 : 레일홈
224 : 돌출부 300 : 케이스부

Claims (3)

  1. 핸드폰 상부를 덮는 덮개 커버부와 핸드폰을 지지하는 바닥 커버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제 1 자석이 부착된 슬라이드판과, 상기 슬라이드판 양측이 끼워져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좌우측에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2 자석이 휴대폰에 구비된 카메라 렌즈가 상기 바닥 커버부 보다 높게 올라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일정거리 하부에 상기 제 1 자석과 부착되는 제 3 자석이 휴대폰 전체를 덮개 커버부가 덮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 커버부에 강제 결합되는 슬라이드몸체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부; 및
    상기 핸드폰 앞면이 상기 덮개 커버부에 의해서 덮어지도록 끼워지면서 상기 슬라이드판에 강제 결합되어 고정되는 케이스부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슬라이드판은 걸림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몸체부는 상기 걸림통공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 커버부는
    핸드폰의 표시창이 보이도록 확대경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20160001133A 2016-01-05 2016-01-05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636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33A KR101636667B1 (ko) 2016-01-05 2016-01-05 핸드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33A KR101636667B1 (ko) 2016-01-05 2016-01-05 핸드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667B1 true KR101636667B1 (ko) 2016-07-05

Family

ID=5650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33A KR101636667B1 (ko) 2016-01-05 2016-01-05 핸드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23B1 (ko) 2017-03-07 2017-09-12 황덕기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817A (ko) * 2013-01-14 2013-02-28 이주영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3245Y1 (ko) * 2012-07-11 2014-06-20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90973A (ko) * 2014-01-30 2015-08-07 노정호 돋보기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KR101544093B1 (ko) * 2015-04-07 2015-08-12 김연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8502Y1 (ko) 2014-06-02 2015-10-14 강성진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245Y1 (ko) * 2012-07-11 2014-06-20 손정호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020817A (ko) * 2013-01-14 2013-02-28 이주영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150090973A (ko) * 2014-01-30 2015-08-07 노정호 돋보기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78502Y1 (ko) 2014-06-02 2015-10-14 강성진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101544093B1 (ko) * 2015-04-07 2015-08-12 김연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23B1 (ko) 2017-03-07 2017-09-12 황덕기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WO2018164374A1 (ko) * 2017-03-07 2018-09-13 황덕기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287B1 (ko) 투시창이 마련된 지갑형 핸드폰 케이스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10728754B2 (en) Portable device acessory
KR101522003B1 (ko)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US201701051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rivacy
KR101504759B1 (ko)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KR101636668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794240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KR101636667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80407Y1 (ko)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0408Y1 (ko) 카메라 노출공의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JP2016201778A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KR20047412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1869218B1 (ko) 스마트폰의 위치 이동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KR200464019Y1 (ko) 받침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파우치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0478502Y1 (ko) 카메라 보호용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0487466Y1 (ko) 사진촬영이 용이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793374B1 (ko)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170004090A (ko) 카메라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마트폰이 휴대된 장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