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407Y1 -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407Y1
KR200480407Y1 KR2020150001468U KR20150001468U KR200480407Y1 KR 200480407 Y1 KR200480407 Y1 KR 200480407Y1 KR 2020150001468 U KR2020150001468 U KR 2020150001468U KR 20150001468 U KR20150001468 U KR 20150001468U KR 200480407 Y1 KR200480407 Y1 KR 200480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ver
smartphone
cas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현
Original Assignee
손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현 filed Critical 손성현
Priority to KR2020150001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해 수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그 장착된 위치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판 형상의 전면 덮개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및 카메라의 주변 부위까지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공; 상기 후면 덮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덮개; 상기 후면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후면 또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덮는 케이스가 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omitted}
본 고안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을 하나의 케이스에 의해 수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폰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그 장착된 위치에 관계없이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사용되는 휴대폰은 터치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종래의 플립형폰과 폴더형폰과는 달리 전면 개방부 없이 터치로 작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케이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경질의 하드 케이스로서, 이러한 하드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제조회사와 모델별로 크기와 모양에 맞게 금형에 의해 제작되어 스마트폰의 외부에 씌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스마트폰은 다수의 제조회사에서 출시하는 모델마다 그 형태가 다르므로, 본체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는데, 수많은 모델별로 금형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용이 소요되며, 이로인해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교체할 때마다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록특허 10-1205556(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서는 휴대폰이 장착된 휴대폰 케이스의 뚜껑의 내측면에 소정의 수납부가 구비된 공지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본체 내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고정기판이 상기 본체와 일체로 또는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기판의 내측면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가이더가 상하 이동되고 내측면에 휴대폰 또는 휴대폰 지지기판이 탑재되는 이동기판이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판의 좌측 단부의 중심선상에 스프링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기판의 우측 단부의 중심선상에 각각 고정 연결되어, 이동기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휴대폰 지지기판은 휴대폰을 탑재하기 위하여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젤리형의 연성 플라스틱 또는 벌크로 테입이나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휴대폰 즉 스마트폰을 지지기판에 부착시킬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지기판이 탑재된 이동기판을 상측으로 밀어서 휴대폰 케이스의 상측으로 카메라 부위를 슬라이딩시켜 노출시키도록 하며, 이때 스프링에 의해 이동기판이 탄성력을 가져서 원터치 방식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는 이동기판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생산 수율이 매우 낮고, 또한 그만큼 제조비용이 증가되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동기판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력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탄성력에 의해 자칫 휴대폰 케이스가 손에서 이탈하여 떨어뜨릴 수 있어서 휴대폰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잦은 탄성력의 충격에 의해 지지기판에 부착된 휴대폰이 지지기판으로부터 이탈하여 휴대폰 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이 또한 휴대폰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크기와 형태에 관계없이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마트폰이 장착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 부위에 다양한 위치를 갖는 카메라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노출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러한 노출공을 슬라이드 덮개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판 형상의 전면 덮개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및 카메라의 주변 부위까지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공;
상기 후면 덮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덮개;
상기 후면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후면 또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덮는 케이스가 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후면 덮개에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노출공을 형성함으로써 굳이 스마트폰을 탄성력을 가지고 슬라이딩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의 절감은 물론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덮개에 의하여 카메라 노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어서, 외관상 보기 좋고, 아울러 카메라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스마트폰 케이스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후면 덮개의 분해도.
도3은 후면 덮개의 단면구조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본 고안은 참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케이스(1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평평한 판 형태로 된 후면덮개(110)가 구비되고, 그 일측부에는 연결부(180)에 의해 연결된 평평한 판 형태의 전면덮개(17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후면덮개(110) 및 전면덮개(170)는 가죽, 인조가죽, 천 등의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측에 하드지, 또는 플라스틱 판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성된 형태이며, 연결부(180)는 연질의 재질로만 구성되어 전면덮개(170)가 후면덮개(110)의 전면부로 회전하여 덮이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후면덮개(110)에는 그 상측부위에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관통된 카메라 노출공(13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카메라 노출공(130)은 가로 및 세로 각각 4~6cm의 크기를 가지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후면덮개(110)의 대략 1/4~1/2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는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200)의 후면에 장착된 카메라(210)가 그 장착된 위치에 관계없이 모두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서, 다양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및 그 카메라의 주변 부위까지 노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노출공(130)이 형성되지 않은 후면덮개(110)의 내측면 하측부에는 접착재 또는 양면 테이프로 된 부착부(120)가 구비되어 스마트폰(200)을 부착시켜 고정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스마트폰(200)의 후면부위는 사출에 의해 매끈한 형태를 가지므로, 흡착부재 또는 접착재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120)에는 스마트폰(200)의 후면 또는 스마트폰(200)의 후면부를 케이스 즉 하드 케이스 또는 유연한 재질의 케이스(일명 젤리 케이스)의 후면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착부(120) 및 카메라 노출공(130)에 의해 모델별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스마트폰(200)의 부착하여 수납할 수 있음은 물론 모델별로 서로 카메라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노출공(130)에 의해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노출시킬 수 있지만, 스마트폰(200)의 후면부와 카메라(210)에 이물질이 묻거나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카메라 노출공(130)을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후면덮개(110)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13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덮개(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카메라 노출공(130)의 양측에 슬라이딩홈(150)이 형성되어 그 슬라이딩홈(150)에서 슬라이드 덮개(16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카메라 노출공(130)이 개폐된다.
이러한 슬라이딩홈(150)은 후면덮개(110)의 내측까지 연장됨으로써 슬라이드 덮개(160)가 개방될 때는 후면덮개(110)의 내측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되는데, 그 예로서 후면덮개(110)를 구성하는 3장의 원단(111,112,113)이 겹쳐져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면 원단(111)과 하부면 원단(113)에는 각각 카메라 노출공(130)이 형성되고, 가운데 위치한 원단(112)에는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원단(111,113)에 형성된 카메라 노출공(130)보다 크게 슬라이딩 공간부(140)가 형성되어 상하부면 원단(111,113)과 가운데 위치한 원단(112)의 단차에 의해 슬라이딩 홈(150)이 형성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죽, 인조가죽, 천 등의 연질로 된 제1원단(111)과 제3원단(113)에 동일한 크기와 위치를 갖는 카메라 노출공(130-1.130-2)이 형성되고, 가운데 적층되는 제2원단(112)은 경질의 하드지 또는 플라스틱 판재로 되어 슬라이드 덮개(16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공간부(140)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딩 공간부(140)는 도3(a)의 평단면도와 같이 그 좌우 양측이 카메라 노출공(130)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하 크기는 카메라 노출공(130)의 대략 2배 크기를 가져서 도3(b)의 측단면도와 같이 슬라이등 덮개(160)가 개방될 때 슬라이딩 공간부(140)로부터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원단(111)과 제3원단(113) 사이에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케이스(3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전면덮개(360)와 함께 하는 후면덮개(310)에는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200)의 카메라(210)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노출공(3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 노출공(320)은 후면덮개(310)의 상측부위로부터 하단까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 예로서, 카메라 노출공(320)의 상단은 후면덮개(310)의 상단으로부터 0.5~1cm 정도 이격되고, 좌우폭은 4~5c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후면덮개(310)는 3장의 원단(311,312,313)이 겹쳐져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노출공(320)의 양측에 슬라이딩홈(330)이 형성되는데, 제1원단(311)과 제3원단(313)은 가죽, 인조가죽, 천 등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고, 제2원단(312)는 하드지 또는 플라스틱 판재로 되어 제1원단(311) 및 제3원단(313)과의 단차에 의해 슬라이딩 홈(330)이 형성된다.
또한, 후면덮개(310)의 내측면 부위 즉 카메라 노출공(320)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접착재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한 부착부(350)가 구비된다.
상기의 카메라 노출공(320)을 개폐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덮개(340)가 슬라이딩홈(3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데, 슬라이드 덮개(340)가 후면덮개(310)의 하측으로 이탈되면서 카메라 노출공(320)을 개방시키기 때문에 카메라(210)가 스마트폰(200)의 후면에서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외부로의 노출이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슬라이트 덮개(340)의 안쪽면에는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카드 수납부(341)가 구비되어 별도의 지갑을 구비하지 않고도 카드 수납부(341)를 통해 신용카드, 교통카드, 각종 멤버쉽 카드 등을 소지할 수 있게 된다.
110 : 후면덮개 120 : 부착부
130 : 카메라 노출공 140 : 슬라이딩 공간부
150 : 슬라이딩 홈 160 : 슬라이드 덮개

Claims (5)

  1. 판 형상의 후면 덮개와, 상기 후면 덮개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판 형상의 전면 덮개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후면 덮개의 상측부위로부터에 하단까지 개방되어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된 카메라 및 카메라의 주변 부위까지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공;
    상기 후면 덮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덮개;
    상기 후면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후면 또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덮는 케이스가 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노출공은 상기 후면 덮개의 하측이 개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카메라 노출공의 양측에 슬라이딩 홈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덮개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카메라 노출공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50001468U 2015-03-06 2015-03-06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0480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68U KR200480407Y1 (ko) 2015-03-06 2015-03-06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468U KR200480407Y1 (ko) 2015-03-06 2015-03-06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407Y1 true KR200480407Y1 (ko) 2016-05-20

Family

ID=56098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468U KR200480407Y1 (ko) 2015-03-06 2015-03-06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4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374B1 (ko) * 2016-04-14 2017-11-03 이석원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WO2019013576A1 (ko) * 2017-07-14 2019-01-17 전효진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20190008080A (ko) * 2017-07-14 2019-01-23 전효진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56B1 (ko)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56236B1 (ko) *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KR101442157B1 (ko) * 2012-12-03 2014-09-23 최정욱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56B1 (ko)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42157B1 (ko) * 2012-12-03 2014-09-23 최정욱 휴대폰 케이스
KR101356236B1 (ko) *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374B1 (ko) * 2016-04-14 2017-11-03 이석원 카메라 여닫이창이 구비된 스마트폰용 크래들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케이스
WO2019013576A1 (ko) * 2017-07-14 2019-01-17 전효진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20190008080A (ko) * 2017-07-14 2019-01-23 전효진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102067337B1 (ko) * 2017-07-14 2020-01-16 전효진 개선된 구조의 스마트폰 뒷면 커버
KR102203642B1 (ko) 2019-12-09 2021-01-15 이서호 카메라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407Y1 (ko) 카메라 노출공의 슬라이드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JP5728053B2 (ja) 携帯電話ケース
CN201986291U (zh) 与具有屏幕的电子设备一起使用的壳体、附接设备
KR101421220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CN101673897B (zh)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KR200479825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30020817A (ko)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CN103548275A (zh) 具有可伸缩支架的电子设备壳体
KR101544093B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80408Y1 (ko) 카메라 노출공의 덮개를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20130004432U (ko)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KR101504759B1 (ko) 왕복 이동 슬라이더를 가지는 유닛 및 이를 장착한 케이스
KR20200130901A (ko) 폴더블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86453Y1 (ko) 스마트폰용 카메라 가림장치
KR101636668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60000531U (ko) 카드의 분실방지장치를 갖춘 휴대폰케이스
KR20150000251U (ko) 직선 운동이 가능한 휴대폰 홀더가 구비된 수첩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81246Y1 (ko) 슬라이딩 휴대전화 케이스
EP2198341B1 (en) Shutter arrangement for covering a camera lens
KR20140000449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00060A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636667B1 (ko) 핸드폰 보호케이스
KR20160004503U (ko) 스마트폰이 부착되는 수납장치
KR101872008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7277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