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825Y1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825Y1
KR200479825Y1 KR2020140003213U KR20140003213U KR200479825Y1 KR 200479825 Y1 KR200479825 Y1 KR 200479825Y1 KR 2020140003213 U KR2020140003213 U KR 2020140003213U KR 20140003213 U KR20140003213 U KR 20140003213U KR 200479825 Y1 KR200479825 Y1 KR 200479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ing
receiving groove
portable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984U (ko
Inventor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임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성 filed Critical 임재성
Priority to KR2020140003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82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8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일면에 단말기가 장착되고 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타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일단을 단말기 커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마련된 카메라 노즐이나 입출력 포트들을 단말기와 케이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범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장착된 단말기가 단말기 케이스의 상하부로 노출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가 상용화됨에 따라 단순 목적을 위한 기능의 단말기에서 다양한 부가 기능이 더해진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고, 나아가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용 컴퓨터로서의 기능과 자기 자신만의 유니크한 액세서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품주기가 빨라지고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고가의 장비로 인식되어 분실이나 파손을 우려한 보호용 케이스 등이 선호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호용 케이스가 마련되고 마련된 보호용 케이스에 개인 휴대물을 수납하는 기능, 지갑 기능, 다이어리 기능, 메모리 저장기능, 배터리 충전 기능, 리모컨 기능 및 빔 프로젝트 기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목적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는 제조사의 지적 재산권의 유무,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 등과 같은 목적에 의해 단말기의 크기나 형상, 입출력 포트의 위치나 형상, 카메라 렌즈의 위치나 크기 및 형상 등이 제각각으로 제조됨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범용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각 제품에 한정되어 사용 되어지며, 단말기의 교체와 함께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케이스나 단말기의 크기보다 큰 케이스가 제공되어 여러 크기나 형상의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범용적으로 사용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케이스는 케이스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적 요소들이 부가됨으로써, 부피나 무게가 증가하고 심미감이 저하되어 심플하게 휴대를 목적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본질적인 목적에 상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존 단말기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된 케이스는 단말기 보다 단말기 케이스가 크게 마련됨으로써, 단말기 케이스에 단말기의 입출력 포트들이 가려져 별도의 기능을 사용할 때, 단말기를 케이스에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결론하면, 상기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케이스들은 제각각으로 제공되어 카메라 렌즈, 이어폰 포트, 메모리 입출력 포트 그리고 충전포트 등의 다양한 위치나 형상을 보편적이고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가 길이방향의 양단이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일면에 단말기가 장착되고 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타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일단을 단말기 커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어 탄성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턱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걸림턱과 일체화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양측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커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노출정도가 복수개로 마련된 상기 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슬라이딩 될 때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 상기 이동부의 상기 수용홈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일단이 상기 단말기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단말기와 접하는 면에 너비방향의 평면상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너비방향에서의 수평면상으로 회전될 때,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기 위한 외주연부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는 내주연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부재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마련된 카메라 노즐이나 입출력 포트들을 단말기와 케이스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범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상하로 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각각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회전되어 측면으로 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이하 "단말기 케이스"라 한다)로부터 휴대용 단말기(C)(이하 "단말기"라 한다)가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돌출될 수 있는 기능과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단말기(C)의 크기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100)는 전면커버(110), 후면커버(120), 베이스부(130), 이동부(140) 및 레일부(150)를 포함한다.
전면커버(110)는 단말기(C)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단말기(C)를 향하는 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가죽이나 합성수지로 마련되어 단말기 케이스(100)의 일면을 형성한다.
후면커버(120)는 단말기(C)의 후면을 덮는 것으로, 일면에 단말기(C)가 부착되고 측면이 상기 전면커버(110)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커버(110)와 함께 단말기(C)를 감싸므로써, 상기 전면커버(110)와 함께 단말기(C)를 보호하는 단말기 케이스(100)의 타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는 단말기(C)를 제공하는 각 제조사의 단말기(C) 크기를 고려하여 가장 큰 단말기(C)를 기준으로 마련되어 그 이하로 마련되는 작은 크기의 단말기(C) 역시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120)를 마련하여 단말기(C)를 보호하는 케이스(100)로 상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후면커버(120)만이 구비된 단말기 케이스(100) 또는 후술 될 베이스부(130)가 후면커버(120)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100)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베이스부(130)는 후면커버(120)의 내부면 즉, 개폐 시 전면커버(110)를 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단말기(C)를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C)의 길이방향의 양단을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판넬 형상의 베이스부(130)의 외주연부는 후면커버(120)에 인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베이스부(130) 전체가 후면커버(120)에 접합된 상태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케이스(100)의 액세서리 기능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베이스부(130)의 크기는 장착되는 단말기(C)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단말기(C)의 크기 중 가장 작은 단말기(C)의 크기보다 작게 만들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부(130)는 높은 충격에도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과 파손이 경감될 수 있고, MBP(Maximum Bending Potential) 특성이 높아 일방향으로의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분열크랙(Spider crack)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하나의 크랙만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의 수축 및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에폭시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중 에폭시 글라스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과 특징을 갖는 베이스부(130)는 단말기(C)의 상하유동을 위한 수용홈(132)과 가이드홈(134)을 포함한다.
수용홈(132)은 후술 될 이동부(140)를 수용하여 이동부(140)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로 베이스부(130)의 전면커버(110)를 향하는 면에 후면커버(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가이드홈(134)은 이동부(140)를 구속하고 이동부(140)의 상하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부(140)의 양측단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32)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을 따라 상기 수용홈(132)에서 연장형성된다.
이동부(140)는 일면에 단말기(C)가 부착되고 타면이 상기 베이스부(130)를 통해 후면커버(120)에 장착되어 단말기(C)를 단말기 케이스(100)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가이드부재(142) 및 걸림홈(144)을 포함한다.
가이드부재(142)는 상기 이동부(140)의 이동방향으로의 양측단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베이스부(13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4)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수용홈(132)에 의한 이동부(140)의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이 안내된다.
걸림홈(144)은 이동부(140)의 후면커버(120)를 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전면커버(110) 방향으로 인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부(140)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후술 될 걸림턱(152)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후술 될 레일부(150)의 수량만큼 복수개로 구비된다.
레일부(150)는 상기 수용홈(132)과 함께 후술될 이동부(140)의 상하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과 이동부(140)를 고정하는 역할을 병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134) 사이에 수용홈(132)을 따라 상하로 연장형성되며, 필요에 의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40)의 고정을 위한 복수개의 걸림턱(152)을 포함한다.
걸림턱(152)은 상기 레일부(150)가 전면커버(110) 방향 또는 장착되는 단말기(C) 방향으로 구부러져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동부(140)가 고정될 지점을 형성한다. 걸림턱(152)은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단말기(C)가 부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때, 여러가지 크기와 형상의 단말기(C)의 상하부 방향으로의 노출정도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걸림턱(152)과 걸림홈(144)이 각각 베이스부(130)와 이동부(14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각각 이동부(140)와 베이스부(130)에 마련되는 것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일부(150)를 포함한 걸림턱(152)과 걸림홈(144)이 수용홈(132)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턱(152)에 걸림홈(144)이 인입되어 끼워질 때, 걸림턱(152)은 가이드레일(134)이 개방된 방향 즉, 걸림홈(144)과 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걸림홈(144)이 걸림턱(152)에 접하여 걸림턱(152)을 가압하면 걸림턱(152)은 구부러진 형상이 재질의 탄성에 의해 신장되어 펼쳐짐으로써 걸림홈(144) 내부로 인입되고, 내재화된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수축되어 되돌아 옴으로써, 걸림턱(152)이 걸림홈(144)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는 이동부(140)에 장착되어 베이스부(130)를 따라 단말기 케이스(100) 상하부로 돌출되어 노출됨으로써, 단말기 케이스(100)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단말기(C)의 외부에 마련된 각각의 포트들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자성체(200)가 마련되어 상기 레일부(150)에 형성된 걸림턱(152)과 이동부(14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44)에 의한 고정효과와 더불어 자성에 의한 고정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자성체(200)는 자계 안에서 자화되는 물질들의 총체를 말하며, 자성을 띄지 않으나 자화될 수 있는 물질부터 자성을 갖는 영구자석을 이르는 말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자성체(200)은 소정의 영구자석으로, 단말기(C)의 내부 기기의 작동 기능에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자성체(200)는 베이스부(130)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대응되는 이동부(140)의 저면에 자성체(200)가 마련되어 이동부(140)가 슬라이딩되어 상하로 유동하며, 목적한 위치에 위치한 영구자석의 자성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자성체(200)는 조밀하게 형성되어 마련된 자성체(200)의 간격을 통해 단말기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는 단말기(C)의 노출정도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30)에 영구자석이 마련되고, 이동부(140)의 저면에 자성체(200)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베이스부(130)에 자성체(200)가 마련되고 이동부(140)의 저면에 영구자석이 마련되는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걸림홈(144)과 걸림턱(152)에 의한 고정효과와 더불어 자성체(200)에 의한 고정효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써, 상기 두 가지 기능 중 한 가지 기능을 상실할 때에도 신뢰도 높은 고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의 이동부(140)에는 회전부재(300)가 마련되어, 이동부(140)에 의해 단말기(C)가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상하로 노출될 수 있고, 나아가 회전부재(300)에 의해 단말기 케이스(100)의 측면으로 단말기(C)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부 또는 하부가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140)는 전면커버(110)를 향하는 면에 단말기 케이스(100)와 나란한 평면상의 회전을 위해 낮은 높이의 원통 형상의 회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300)는 전술한 걸림턱(152)과 걸림홈(144)과 유사한 걸림돌기(310)와 회전부재 걸림홈(320)을 포함한다.
걸림돌기(310)은 회전부재(300)의 외주연부를 따라 마련되어 전술한 걸림턱(152)과 같은 재질 및 같은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재질의 탄성에 의해 신장과 수축되어 고정지지점을 제공한다.
회전부재 걸림홈(320)은 이동부(140)의 단말기(C)를 향하는 면에 구비되어 전술한 상기 걸림홈(144)와 같은 재질 및 같은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310)에 대응되어 재질의 탄성에 의해 신장과 수축되어 단말기(C)의 고정지지점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부재(300)에 의해 단말기(C)의 길이방향의 상부나 하부 양단은 단말기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단말기(C)가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사용될 때, 단말기(C)를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되는 단말기(C)의 자유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즉, 단말기(C)가 가로 방향으로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됨으로 인해, 단말기 케이스(100)의 사용 용도 역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상하로 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크기가 각각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회전되어 측면으로 노출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단말기(C)가 단말기 케이스(10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회전될 수 있으며, 이동되고 회전됨과 동시에 고정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어, 단말기의 크기와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으며, 단말기 케이스(100)와 결합된 단말기(C)의 자유도를 극대화하여 단말기 케이스(100)의 사용용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단말기(C)는 베이스부(130)와 이동부(140)를 통해 상하로 길이방향의 양단이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상부 후면이나 전면에 위치한 렌즈로 사진 촬영을 할 수 있고, 이어폰 포트나 충전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입출력포트 등을 케이스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걸림턱(152)가 가이드레일(134)에 마련되어 단말기(C)의 크기에 따른 노출거리(a 또는 b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300)가 마련되어 단말기(C)가 상하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 단말기 케이스(100) 상에 위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단말기 케이스(100)를 거치대로 사용하여 단말기(C)를 조작할 수 있다거나 하는 다양한 사용 목적에 따른 용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기(C)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장착된 단말기(C)의 상기 양단에 마련된 카메라 노즐이나 입출력 단자들을 케이스에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을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10 : 전면커버
120 : 후면커버 130 : 베이스부
132 : 수용홈 134 : 가이드홈
140 : 이동부 142 : 가이드부재
144 : 걸림홈 150 : 레일부
152 : 걸림턱 200 : 자성체
300 : 회전부재 310 : 걸림돌기
320 : 회전부재 걸림홈 C : 단말기

Claims (8)

  1. 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
    일면에 단말기가 장착되고 타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타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일단을 단말기 커버에서 노출되도록 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홈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한 쌍으로 배치되며 탄성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턱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걸림턱과 일체화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홈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양측단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커버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노출정도가 복수개로 마련된 상기 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6. 제 1항 및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슬라이딩 될 때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저면과 상기 이동부의 상기 수용홈을 향하는 면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일단이 상기 단말기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단말기와 접하는 면에 너비방향의 평면상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동부의 너비방향에서의 수평면상으로 회전될 때,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기 위한 외주연부를 따라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는 내주연부에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상기 회전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회전부재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20140003213U 2014-04-22 2014-04-22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479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13U KR200479825Y1 (ko) 2014-04-22 2014-04-22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213U KR200479825Y1 (ko) 2014-04-22 2014-04-22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84U KR20150003984U (ko) 2015-10-30
KR200479825Y1 true KR200479825Y1 (ko) 2016-03-10

Family

ID=5443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13U KR200479825Y1 (ko) 2014-04-22 2014-04-22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8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40B1 (ko) * 2017-06-19 2017-11-07 김연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KR101946952B1 (ko) * 2018-09-17 2019-02-12 김연수 휴대폰 케이스
KR102064841B1 (ko) * 2018-11-30 2020-02-11 장의형 휴대폰 케이스
US11362696B2 (en) 2017-12-07 2022-06-14 Eui Hyoung Jang Mobile phone c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611B1 (ko) * 2015-12-28 2016-08-10 황호진 지갑형 스마트폰 멀티케이스
KR200480906Y1 (ko) * 2016-03-25 2016-07-25 주식회사 아트제이로 휴대폰 케이스
KR200485180Y1 (ko) * 2017-06-23 2017-12-05 유성호 이동통신 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1848780B1 (ko) * 2017-12-26 2018-04-13 김정래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69218B1 (ko) * 2018-02-09 2018-06-19 주식회사 파인데이 스마트폰의 위치 이동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556B1 (ko) *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5995Y1 (ko) 2011-01-20 2013-03-21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356236B1 (ko)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95Y1 (ko) 2011-01-20 2013-03-21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205556B1 (ko) * 2012-08-22 2012-11-27 유창섭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56236B1 (ko) 2013-05-22 2014-02-03 김대인 카메라 노출이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을 휴대가능한 장지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240B1 (ko) * 2017-06-19 2017-11-07 김연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WO2018236074A3 (ko) * 2017-06-19 2019-02-21 김연수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의 슬라이드 장치
US11362696B2 (en) 2017-12-07 2022-06-14 Eui Hyoung Jang Mobile phone case
KR101946952B1 (ko) * 2018-09-17 2019-02-12 김연수 휴대폰 케이스
KR102064841B1 (ko) * 2018-11-30 2020-02-11 장의형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84U (ko) 2015-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825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9660683B2 (en) Protective cover
KR101205556B1 (ko) 지갑 수납 기능 강화를 위한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KR101288042B1 (ko) 카드 수납이 가능한 핸드폰 보호 케이스
US10452101B2 (en) Alignment structure
TW201401680A (zh) 晶片卡固持結構
US9047056B2 (en) Protective casing having keyboard
KR101757399B1 (ko)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417234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오픈 스마트폰 케이스
US11340658B2 (en) Electronic device
US20150181734A1 (en) Card load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00449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140029844A (ko)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0471353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KR200472146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어플부재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
KR20160129502A (ko) 스트랩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40059885A (ko) 수납케이스의 부착이 용이한 휴대기기 커버
KR200468710Y1 (ko) 휴대 단말기용 손가락 삽입 파지구 및 이를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20140001471U (ko) 모바일 단말용 파우치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US10437285B2 (en) Mobile frame
US878379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ard holder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047412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