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44A -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844A
KR20140029844A KR1020120095725A KR20120095725A KR20140029844A KR 20140029844 A KR20140029844 A KR 20140029844A KR 1020120095725 A KR1020120095725 A KR 1020120095725A KR 20120095725 A KR20120095725 A KR 20120095725A KR 20140029844 A KR20140029844 A KR 20140029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device
sliding
portable cas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6692B1 (ko
Inventor
이호경
Original Assignee
이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경 filed Critical 이호경
Priority to KR1020120095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6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는 휴대기기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바닥부,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에 대응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SLIDABLE CASE FOR CARRY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딩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삽입된 휴대기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로부터 휴대기기를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것이 용이한 슬라이딩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와 같은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휴대기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기기를 꾸미기 위하여 휴대기기에 액세서리를 연결하기도 하고 휴대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의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휴대대기기를 삽입할 때, 휴대기기를 케이스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휴대기기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휴대기기의 외관에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휴대기기를 케이스와 분리하거나 삽입할 때, 케이스를 억지로 벌리거나 끼워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케이스에 삽입된 휴대기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로부터 휴대기기를 분리하거나 삽입하는 것이 용이한 슬라이딩 기능을 가진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휴대기기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바닥부,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에 대응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우레탄, 러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및 상기 걸림턱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걸림턱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걸림턱은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를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또는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는 이격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가이드부의 상면 또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휴대기기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커버부에는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형상변형유도홈을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모서리커버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우레탄, 러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및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기기가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의하면 상기 휴대기기와 상기 케이스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슬라이딩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마찰로 인한 휴대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서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딩 될 때, 수납공간의 위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휴대기기가 멈추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공간에 물품을 편리하게 수납하거나 수납공간으로부터 편리하게 물품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2 사용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3 사용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4 사용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5 사용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제 2 사용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모서리커버부에 형상변형유도홈이 형성된 경우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모서리커버부에 형상변형유도홈이 형성된 경우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제3 사용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1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2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적용 가능한 스토퍼가 형성된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적용 가능한 스토퍼가 형성된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기기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MP3 플레이어, 태블릿(tablet) PC 등을 포함하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200)는 휴대기기를 탈착할 수 있는 케이스(100, 200)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는, 휴대기기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바닥부(110)와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에 대응하며, 바닥부(110)의 상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측면부(120) 및 측면부(120)의 일단에서 케이스(100)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의 상면의 일단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50)은 바닥부(110)의 일단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용자가 휴대기기가 수납된 케이스(100)를 휴대하는 경우에, 휴대기기의 일단부가 걸림턱(150)에 지지되어, 휴대기기가 케이스(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일단에 대향하는 부분의 걸림턱(150)에는 경사각을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케이스(100)에서 슬라이딩할 때, 휴대기기의 일단이 걸림턱(150)을 쉽게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휴대기기의 구조에 따라서 휴대기기의 측면에 돌출된 턱이 형성되거나 측면에 돌출된 턱 없이 매끈한 구조로 된 경우도 있으며, 측면이 라운딩된 곡면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슬라이딩가이드부(130)는 휴대기기의 구조에 따라 휴대기기의 측면의 돌출된 턱을 덮거나 휴대기기의 측면의 상단을 덮어 휴대기기가 케이스(100)에 슬라이딩될 때 휴대기기를 가이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의 제2 사용예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기기를 케이스(100) 내에서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턱(150)은 휨 성질이 좋은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휨 성질이 좋은 상기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은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턱(150)은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바닥부(11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의 제3 사용예시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50)이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 휨 성질이 좋기 때문에 휴대기기가 슬라이딩되는 경우 아래 방향으로 휘어져 휴대기기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150)은 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의 제4 사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100)의 제5 사용예시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150)은 스프링(151)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휴대기기가 슬라이딩하는 경우에,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휴대기기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평상시에는 스프링(151)에 의해 위 방향으로 돌출 유지되어 휴대기기가 케이스(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50)의 일단이 고정되고 걸림턱(150)이 판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휴대기기가 슬라이딩하는 경우에, 걸림턱(150)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휴대기기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평상시에는 스프링(151)에 의해 위 방향으로 돌출 유지되어 휴대기기가 케이스(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 상기 측면부(120) 및 슬라이딩가이드부(130)는 상기 걸림턱(150)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110), 상기 측면부(120), 및 슬라이딩가이드부(130)와 상기 걸림턱(150)은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110), 측면부(120), 슬라이딩가이드부(130) 및 걸림턱(1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기기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바닥부(210)와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에 대응하며, 바닥부(210)의 상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측면부(220) 및 측면부(220)의 일단에서 케이스(200)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가이드부(230)를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바닥부(210)로부터 이격되며, 휴대기기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기 위하여 측면부(2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커버부(240)를 포함한다. 모서리커버부(240)는 휴대기기가 케이스(200)에 장착될 시에 휴대기기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기 위하여 측면부(220)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며, 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의 사용예시를 나타내는 제1 사용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의 제2 사용예시도이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가 케이스(200)에서 슬라이딩되지 않을 때에 모서리커버부(240)는 휴대기기의 모서리를 감싸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00)를 휴대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딩되어 케이스(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휴대기기를 미는 경우, 모서리커버부(240)는 바깥 방향으로 벌어지고 휴대기기가 케이스(200)의 바깥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케이스(200)에 삽입할 때, 모서리커버부(240)를 벌려 휴대기기를 케이스(200)에 제1 방향으로 삽입하면, 휴대기기가 용이하게 케이스(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제1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를 나타내는 제2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200)의 사용예시를 나타내는 사용예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서리커버부(240)는 휴대기기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형상변형유도홈(260)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모서리커버부(240)가 바깥방향으로 잘 벌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모서리커버부(240)의 외측의 둘레, 내측의 둘레 또는 양측 둘레에 적어도 하나의 형상변형유도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210), 측면부(220), 슬라이딩가이드부(230) 및 모서리커버부(24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서리커버부(240) 는 바닥부(210), 측면부(220), 슬라이딩가이드부 (230)와는 다른 휨 성질이 좋은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커버부(240)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닥부(210), 측면부(220) 및 슬라이딩가이드부(230)의 재질과 모서리커버부(240)의 재질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200)는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바닥부(210), 측면부(220), 슬라이딩가이드부(230) 및 모서리커부(2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소재, 연성플라스틱,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러버(rubber)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1 단면도이다.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13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가이드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휴대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2 단면도이다.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가이드부(170)는 바닥부(110)의 상면에는 접촉하지 않고, 상기 측면부(120)의 내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가이드부(170)는 휴대기기의 저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바닥부(110)의 상면과 휴대기기의 저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기기를 케이스(100)에서 슬라이딩하는 경우 휴대기기의 저면의 일부만 이격가이드부(170)와 접촉하게 되어, 휴대기기의 슬라이딩 시에 휴대기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스토퍼가 형성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가이드부(17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7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면부(11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7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71)는 휴대기기가 케이스(100)에서 슬라이딩 시에 휴대기기가 걸리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110)에 수납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171)는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는 위치에 상기 휴대기기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이 구분되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6은 상기 제1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스토퍼(171)는 제2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스토퍼가 형성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가이드부(230)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31)는 휴대기기가 케이스(200)에서 슬라이딩 시에 휴대기기가 걸리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상기 바닥부(210)에 수납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231)는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는 위치에 상기 휴대기기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수납공간이 구분되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18은 상기 제2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스토퍼(231)는 제1 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바닥부
120: 측면부 130: 슬라이딩가이드부
140: 모서리커버부 150: 걸림턱
160: 형상변형유도홈 170: 이격가이드부
171: 스토퍼 200: 케이스
210: 바닥부 220: 측면부
230: 슬라이딩가이드부 240: 모서리커버부
260: 형상변형유도홈 270: 이격가이드부
271: 스토퍼

Claims (17)

  1.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바닥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바닥부;
    상기 휴대기기의 양측면에 대응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드 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의 일단에서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가 상기 휴대기기용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면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탄성부재의 지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인,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 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우레탄, 러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및 상기 걸림턱은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걸림턱과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걸림턱은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를 대향하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또는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는 이격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가이드부의 상면 또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의 하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휴대기기의 모서리부분을 감싸기 위하여 상기 측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커버부에는 상기 휴대기기가 슬라이딩 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형상변형유도홈을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는 상기 모서리커버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측면부와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이중사출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탄성소재 또는 연성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우레탄, 러버 또는 실리콘 중 하나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측면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및 상기 모서리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20120095725A 2012-08-30 2012-08-30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141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25A KR101416692B1 (ko) 2012-08-30 2012-08-30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725A KR101416692B1 (ko) 2012-08-30 2012-08-30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44A true KR20140029844A (ko) 2014-03-11
KR101416692B1 KR101416692B1 (ko) 2014-07-15

Family

ID=5064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725A KR101416692B1 (ko) 2012-08-30 2012-08-30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6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7807A (ja) * 2015-07-31 2018-09-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バッテリ及びヒンジを備えたシングルピースケース
EP3582475A1 (en) * 2018-06-15 2019-1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EP3582476A1 (en) * 2018-06-15 2019-1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CN110708982A (zh) * 2017-03-10 2020-01-17 五十岚真 移动电子设备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17Y1 (ko) * 2015-04-08 2017-03-15 주식회사 탐진 이중사출 조명등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23Y1 (ko) * 2006-01-05 2006-03-29 송태성 슬라이드형 휴대폰 보호커버
KR100958645B1 (ko) * 2008-04-01 2010-05-20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7807A (ja) * 2015-07-31 2018-09-20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バッテリ及びヒンジを備えたシングルピースケース
US10389150B2 (en) 2015-07-31 2019-08-20 Apple Inc. Single piece case with a battery and a hinge
US10804719B2 (en) 2015-07-31 2020-10-13 Apple Inc. Case with a hinge and multiple charging mechanisms
CN110708982A (zh) * 2017-03-10 2020-01-17 五十岚真 移动电子设备壳
EP3582475A1 (en) * 2018-06-15 2019-1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EP3582476A1 (en) * 2018-06-15 2019-1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10666310B2 (en) 2018-06-15 2020-05-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11063626B2 (en) 2018-06-15 2021-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rotective case for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692B1 (ko) 201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692B1 (ko)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101568165B1 (ko) 수납 공간을 갖는 전자기기용 케이스
US9653934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finger grips
KR101689410B1 (ko) 액세서리 부착 메커니즘
US9915394B2 (en) Positionable lift stand
US9831905B1 (en) Control feature of a protective case for engaging a switch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576423B1 (ko) 휴대폰 케이스의 휴대폰 고정 장치
US8902583B2 (en) Holding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rewith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US20140319190A1 (en) Protective case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KR101220507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50003984U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757399B1 (ko) 카드 수납기능이 있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102196475B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KR200473245Y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1191719B1 (ko) 휴대 단말용 보호 장치
JP2013093002A (ja) カバーケースおよびカバーケースセット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10971779B2 (en) Hold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473092Y1 (ko) 스마트 폰 그립 장치 및 이를 갖는 스마트 폰 케이스
KR10183567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