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77B1 -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77B1
KR101835677B1 KR1020170091562A KR20170091562A KR101835677B1 KR 101835677 B1 KR101835677 B1 KR 101835677B1 KR 1020170091562 A KR1020170091562 A KR 1020170091562A KR 20170091562 A KR20170091562 A KR 20170091562A KR 101835677 B1 KR101835677 B1 KR 101835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arrier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김지웅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웅, 주식회사 에스지글로벌 filed Critical 김지웅
Priority to KR102017009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 외측의 적으도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몸체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여 손가락을 수용하는 고리와, 일측에 상기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고리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리운반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Case for protecting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의 위치가 가변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길이 및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대하여 고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가 선택적으로 탈거되되 탄성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의 위치 조정에 의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양한 각도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 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 카메라,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 등도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일명 '스마트폰'으로 명명되는 지능형 휴대폰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 때문에 수요자에게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키패드와 같은 별도의 이격수단을 단말기 자체에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휴대폰을 더욱 소형화할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를 보다 크게 활 수 있는 설계상의 장점 때문에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또한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이나 실수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제품은 보호필름과 보호케이스로 구분된다.
보호필름은 액정화면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품이다. 흠집 또는 스크래치로 인해 액정화면의 투시도가 떨어지면, 액정화면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기 보호필름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액정 화면상에 부착하여 사용되며, 투과율이 높은 폴리카보네이트, PET,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한 제품과 고투명성과 고감도 터치감을 갖는 강화유리를 이용한 제품이 있다.
한편, 보호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 중 액정화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품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08713호에는 도 1과 같이 휴대폰의 외면에 씌워지고 내측으로 휴대폰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 및 수용홈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10739호에는 도 2와 같이 스마트폰이 체결될 수 있는 커버 형태로 구성되되 낙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에어백 쿠션 역할을 하는 에어 쿠션 하우징 본체를 포함하는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5568호에는 도 3과 같이 커버체 내에 다층 구조를 갖는 동시에 에어충진부를 형성하여 기기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버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액정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 손만으로 기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어려워졌다.
또한 고성능으로 진화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스마트폰을 쥔 상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주시하는 시간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손에 땀이 나거나 미끄러지는 경우 떨어트려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손목, 어깨, 목 등의 통증을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3-0007175호에는 도 4와 같이 접착패드(18)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 후방에 부착되고, 고리(13)를 구비하여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783호에는 손가락을 끼워 단말기를 잡을 수 있고, 임의 각도로 유지하여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108호에 개시된 스마트폰 떨어뜨림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074호에 개시된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개시된 기술은 휴대폰의 배면 쪽에서 한쪽이 고정된 상태로 다른 쪽이 위치 이동하여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손가락을 끼우는 위치가 일 방향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8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59815호에 개시된 휴대폰 케이스이고, 도 9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431호에 개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로서, 양측이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측을 모아 중앙에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3820호에는 도 10과 같이 고정나사(5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스마트링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탈착형 스마트링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파지시에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이 금속으로 제조되고, 스마트폰의 뒷면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두께 증가 및 무선충전 전파 방해로 인해 무선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손크기를 가지는 사용자에게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의 위치가 가변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길이 및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대하여 고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리가 선택적으로 탈거되되 탄성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리의 위치 조정에 의해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리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양한 각도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몸체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여 손가락을 수용하는 고리와, 일측에 상기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고리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리운반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운반체의 양측과 끼움 결합하여 고리운반체의 직선 왕복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에 평행하게 돌출 또는 함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운반체 일측에는, 상기 고리운반체가 안내하는 고리의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리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고리교차안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운반체와 케이스몸체의 끼움 결합부위에는, 상기 고리운반체가 직선 운동시에 일측을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리운반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상기 고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고리교차안내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삽입유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는 다각형 형상의 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리와 지지대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에 대한 고리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여 고리를 지지대 쪽으로 인장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다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 부품은 이탈이 제한된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여 상기 고리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의 위치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길이 및 폭방향으로 가변하고, 고리를 3차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며 무선충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면에 대하여 고리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게 되어 활용도가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리가 선택적으로 탈거되되 탄성부재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낙하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 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08713호에 개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10739호에 개시된 에어 쿠션이 장착된 스마트폰용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3 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5568호에 개시된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3-0007175호에 개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0783호에 개시된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의 사시도.
도 6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108호에 개시된 스마트폰 떨어뜨림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7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074호에 개시된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의 사시도.
도 8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59815호에 개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431호에 개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3820호에 개시된 탈착형 스마트링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외형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와 휴대용 전자기기가 결합된 다른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16 "A"부의 다양한 실시예의 확대도.
도 18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서 고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서 고리의 다른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
도 20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서 고리의 또 다른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1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서 고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에서 고리 회전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3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이하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제1실시예의 외형과 작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제2실시예의 외형 및 작용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는 휴대용 전자기기(도 15의 도면부호 "E" 참조)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가 커짐에 따라 파지하기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떨어뜨려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손가락이 끼워지는 고리(140)가 구비된다.
상기 고리(140)는 링형상으로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되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크기나 휴대용 전자기기(E)의 파지 형태가 다양하더라도 고리(140)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리(14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E)의 후방으로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무선 충전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는 휴대용 전자기기(E)의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몸체(120)와, 상기 케이스몸체(120)의 전방(휴대용 전자기기(E)를 수용하는 면의 반대면)에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고리(140)와, 일측에 상기 고리(140)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몸체(12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여 휴대용 전자기기(E)에 대한 고리(140)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리운반체(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몸체(120)는 내부가 후방으로 개구되어 휴대용 전자기기(E)를 수용하며, 유연성과 탄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E)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몸체(1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E)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고리운반체(160)가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범위 내라면 휴대용 전자기기(E)의 테두리만 둘러 보호하는 범퍼형태의 케이스(100)로 변경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고리(14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부분으로서, 감성불만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내부는 원형으로 천공되며, 외면 일측은 상기 고리운반체(160)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고리(140)와 고리운반체(160)의 결합 구조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120)의 좌/우측면에는 직선가이드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직선가이드부(122)는 케이스몸체(120)의 양측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리운반체(160)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고리(140)를 잡아 아래로 당기게 되면, 도 12와 같이 고리운반체(160)와 고리(140)는 동시에 슬라이딩하여 케이스몸체(120)의 하측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다양한 손크기를 갖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휴대용 전자기기(E)의 파지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리(140)는 도 13과 같이 좌/우 방향(케이스몸체(120)의 폭방향)으로도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즉 상기 고리운반체(160)에는 고리(140)의 후단부가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되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고리교차안내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교차안내부(142)는 상기 고리(140)를 케이스몸체(120)의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부(122)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케이스몸체(120)의 전면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고리(1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고리교차안내부(142)의 작용에 의해 상기 고리(140)는 도 14와 같이 케이스몸체(120)의 폭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고리운반체(160)가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기 위한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와 휴대용 전자기기(E)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고리운반체(160)는 직선가이드부(12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직선가이드부(122)는 케이스몸체(120)의 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리운반체(160)의 양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직선가이드부(122)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케이스몸체(120)의 길이 방향으로 고리(140)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리운반체(160)의 측면에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홈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케이스몸체(120)와 고리운반체(160)가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직선가이드부(122)는 도 16과 같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와 휴대용 전자기기(E)가 결합된 다른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16 "A"부의 다양한 실시예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직선가이드부(122)는 케이스몸체(12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운반체(160)의 절곡된 단부 내측에는 직선가이드부(1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선가이드부(122) 인근 즉, 고리운반체(160)와 케이스몸체(120)의 끼움 결합부위에는 구속부(162)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162)는 고리운반체(160)가 직선 운동시에 선택적으로 간섭력을 발생하여 인위적으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구속부(162)는 직선가이드부(122)에 끼움 결합된 고리운반체(160)의 단부에 형성되되 직선가이드부(122)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또는 함몰되어 서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걸림력을 발생하여 고리운반체(16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고리운반체(160) 및 고리(140)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162)는 직선가이드부(122) 인근에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고리(140)가 고리운반체(16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한 세부 구조를 첨부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에서 고리(14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고리(140)의 하단부에는 지지대(18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80)는 고리운반체(16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상기 고리(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고리(140)가 고리운반체(1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180)는 상기 고리(14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182)와, 상기 고리교차안내부(142)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182)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삽입유지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140)는 수용부(182)를 기준으로 상부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삽입유지부(184)와 고리교차안내부(142)의 걸림 구속에 의해 상방향 이탈이 방지되고 전/후 방향 슬라이딩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리(140)는 도 19와 같이 수용부(182)를 기준으로 회전하되, 필요에 따라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에서 고리(140)의 다른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로서, 도면과 같이 상기 지지대(180)의 상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82)는 상방향으로 개구되어 고리(140)가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82)의 내부가 다각형 형상의 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82)에 삽입되는 고리(140)의 일부도 동일한 다각형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끼움으로써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때마다 면접촉에 의해 각도를 유지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80)는 하부가 뚫린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대(180)에는 고리교차안내부(142)가 하측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하고 상기 삽입유지부(184)는 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상기 고리(140)가 고리교차안내부(142)를 따라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고리(140)가 수용부(182)로부터 이탈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에서 고리(140)의 또 다른 결합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에서 고리(140)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고리(140)와 지지대(180)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180)에 대한 고리(140)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여 고리(140)를 지지대(180) 쪽으로 인장하는 복귀수단(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수단(190)은 탄성부재가 적용되되 양단부는 수용부(182) 및 지지대(180)에 각각 구속됨으로써 도 21과 같이 상기 고리(140)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져 멀어지는 경우 탄성복원력을 발생함으로써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리(140)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수용부(182)와 함께 회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작용할 수 있다.
즉,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100)에서 고리(140) 회전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상기 지지대(180)를 다수 부품(185)으로 분리하여 제조하되 다수 부품(185)은 서로 이격이 제한된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고리(140)가 회전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3과 같이 상기 고리운반체(160) 일측을 절제하여 도피부(164)를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등의 전방을 차폐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2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E)의 상/하부에 결합하고, 한 쌍의 케이스몸체(120) 사이에는 가늘고 긴 핀 형태의 직선가이드부(122)를 구비하여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며, 직선가이드부(122)는 고리운반체(160)에 천공 형성된 구속부(162)를 관통하도록 하여 고리운반체(160)가 휴대용 전자기기(E)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6과 같이 케이스몸체(120)와 고리운반체(160)에 걸림돌기(124)와 걸림홈(166)을 구비하여 고리운반체(160)를 상측으로 슬라이딩시에 걸림 구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고리(14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7 과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20)를 한 쌍으로 구성하되, 휴대용 전자기기(E)의 좌/우측을 감싸도록 배치하고, 한 쌍의 케이스몸체(120) 상/하측에는 양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재(126)를 구비하여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운반체(160)는 케이스몸체(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8과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120)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네 모서리부위만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몸체(120)의 상/하부에는 결합부재(126)가 구비되며, 케이스몸체(120)의 좌/우측에는 서로 분리된 케이스몸체(120)를 벌어지지 않게 구속함과 동시에 고리운반체(160)의 직선 왕복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직선가이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9와 같이 상기 케이스몸체의 상부 두께를 증가시키고 핀 형태의 직선가이드부(122)를 구비하여 상기 구속부(162)를 관통하도록 결합함으로써 고리(140)의 직선 왕복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0과 같이 직선가이드부(122)는 케이스몸체(120)에 함몰 형성하고, 구속부(162)는 고리운반체(16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직선가이드부(122)에 끼워짐으로써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20. 케이스몸체
122. 직선가이드부 124. 걸림돌기
140. 고리 142. 고리교차안내부
160. 고리운반체 162. 구속부
164. 도피부 166. 걸림홈
180. 지지대 182. 수용부
184. 삽입유지부 185. 부품
190. 복귀수단 E.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10)

  1. 삭제
  2. 휴대용 전자기기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몸체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여 손가락을 수용하는 고리와,
    일측에 상기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고리의 위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고리운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고리운반체의 양측과 끼움 결합하여 고리운반체의 직선 왕복 운동 방향을 안내하는 직선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에 평행하게 돌출 또는 함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운반체 일측에는,
    상기 고리운반체가 안내하는 고리의 움직임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고리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고리교차안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운반체와 케이스몸체의 끼움 결합부위에는,
    상기 고리운반체가 직선 운동시에 일측을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리운반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며,
    상기 고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고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고리교차안내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삽입유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다각형 형상의 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와 지지대 일측에는,
    상기 지지대에 대한 고리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여 고리를 지지대 쪽으로 인장하는 복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다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 부품은 이탈이 제한된 상태로 상대 회전 가능하여 상기 고리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20170091562A 2017-07-19 2017-07-19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101835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2A KR101835677B1 (ko) 2017-07-19 2017-07-19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562A KR101835677B1 (ko) 2017-07-19 2017-07-19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677B1 true KR101835677B1 (ko) 2018-03-07

Family

ID=6168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562A KR101835677B1 (ko) 2017-07-19 2017-07-19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06A (ko) * 2018-10-08 2020-04-17 권희수 마사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00573B1 (ko) * 2019-08-06 2021-01-07 이준성 휴대폰 액세서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006A (ko) * 2018-10-08 2020-04-17 권희수 마사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150947B1 (ko) * 2018-10-08 2020-09-02 권희수 마사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2200573B1 (ko) * 2019-08-06 2021-01-07 이준성 휴대폰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US94560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rotective cover and grip for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 devices
US9685986B2 (en) Device cover for accessory attachment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9027814B2 (en) Holster accommodating different sized portable device cases
US20160007705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0332Y1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
US940844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97363A (ko) 휴대용 전자 장치용 케이스
KR10183567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KR20140036700A (ko) 이동단말기 후면 커버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0464283Y1 (ko)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KR200487851Y1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150003379U (ko)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2017013313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겸용 파지구
KR20140029844A (ko) 슬라이딩 가능한 휴대기기용 케이스
KR20130001825A (ko) 거치 기능을 갖는 포장 케이스
KR101346572B1 (ko) 휴대 기기용 케이스
KR101166693B1 (ko) 전자제품용 부속품케이스
KR10131093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의 보호 장치
KR20120003972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130004913U (ko)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