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73B1 - 휴대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73B1
KR102200573B1 KR1020190095800A KR20190095800A KR102200573B1 KR 102200573 B1 KR102200573 B1 KR 102200573B1 KR 1020190095800 A KR1020190095800 A KR 1020190095800A KR 20190095800 A KR20190095800 A KR 20190095800A KR 102200573 B1 KR102200573 B1 KR 10220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upled
slider
side fram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김선호
임선택
김창룡
Original Assignee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성 filed Critical 이준성
Priority to KR102019009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폰 액세서리는 핸드폰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핸드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가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핸드폰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위치전환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폰 액세서리{accessory for mobile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휴대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휴대폰 사용자는 휴대폰의 편의성을 높이고 각종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휴대폰 액세서리를 휴대폰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 액세서리는 주로 휴대폰의 후면이나 측면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휴대폰 액세서리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34788호의 개시된 것과 같은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되는 링형 고리를 들 수 있다. 손가락을 링형 고리에 끼워 휴대폰을 들 수 있도록 하는 액세서리이다.
또한, 휴대폰 액세서리의 다른 예로 휴대폰의 후면에 부착하거나 휴대폰 케이스 후면에 부착 또는 설치하여 휴대폰을 책상이나 바닥에 세워둘 수 있는 지지대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액세서리는 휴대폰이나 휴대폰 케이스 후면에 설치되는 특성상 무선충전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개인 휴대용 장치의 배터리가 전자기유도 현상에 의해 무 접점 방식으로 충전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무선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가 위치한 휴대폰의 후면을 무선충전기 위에 올려놓아야 하지만, 액세서리가 장착된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의 후면에 액세서리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충전기에 반듯하게 올려 둘 수 없어서 무선충전을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8073호에는 무선충전기기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휴대폰의 후면에 아이링과 같은 액세서리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거치식 충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특정 모양의 액세서리만 충전 가능할 뿐 그 외에 다른 종류나 다른 모양의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폰은 충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8073호: 무선충전기기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폰 액세서리는 핸드폰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상기 핸드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핸드폰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위치전환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전후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벤딩부와, 상기 이동바의 타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벤딩부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핸드폰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바와, 상기 핸드폰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사이드바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 2사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전환수단은 상기 제 1사이드바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과, 상기 제 2사이드바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과, 상기 제 1벤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홈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1피벗부와, 상기 제 2벤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홈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2피벗부를 구비한다.
상기 위치전환수단은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홈의 일부를 막아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을 제한시키는 이동제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이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슬라이더를 사용자가 휴대폰의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쉽게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액세서리 도구가 장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휴대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휴대폰 액세서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요부를 발췌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휴대폰 액세서리가 휴대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휴대폰 액세서리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휴대폰 액세서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휴대폰 액세서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폰 액세서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폰 액세서리는 핸드폰(1)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10)과, 사이드프레임(10)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핸드폰(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0)와, 슬라이더(20)가 사이드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20)를 핸드폰(1)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위치전환수단을 구비한다.
사이드프레임(10)은 핸드폰(1)의 측면에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핸드폰(1)이 사각형의 형태라는 점을 감안시 사이드프레임(10)은 사각 액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프레임(10)은 핸드폰(1)의 네 측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사각 형태 외에도 핸드폰(1)의 모양에 따라 사이드프레임(1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이드프레임(10)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을 강제로 늘린 상태로 핸드폰(1)의 바깥에 씌우면 수축되면서 핸드폰(1)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0)은 핸드폰(1)의 측면 위치에 따라 4개의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드폰(1)의 좌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바(11)와, 핸드폰(1)의 우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 2사이드바(14)와, 핸드폰(1)의 상부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 3사이드바(17)와, 핸드폰(1)의 하부측 측면에 결합되는 제 4사이드바(19)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더(20)는 사이드프레임(10)에 결합된다. 슬라이더(20)는 사이드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다. 슬라이더는 핸드폰(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더(20)는 전후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바(21)와, 이동바(21)의 일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벤딩부(23)와, 이동바(21)의 타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벤딩부(25)를 구비한다.
이동바(21)는 제 1사이드바(11)에서 제 2사이드바(14)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 1벤딩부(23)는 이동바(21)의 일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제 1벤딩부(23)는 위치전환수단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의 제 1사이드바(11)에 결합된다.
제 2벤딩부(25)는 이동바(21)의 타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된다. 제 2벤딩부(25)는 사이드프레임(10)의 제 2사이드바(14)에 결합된다.
상술한 슬라이더(20)에는 다양한 액세서리용 도구가 결합될 수 있다. 가령, 핸드폰이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이동바(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핸드폰(1)을 책상 위에 비스듬하게 세운 상태에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재(100)가 이동바(21)에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재는 손가락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지지부재 및 파지부재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공지의 액세서리용 도구가 이동바(21)에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슬라이더(20)는 위치전환수단에 의해 사이드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핸드폰(1)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위치가 전환된다.
위치전환수단은 제 1사이드바(11)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홈(41)과, 제 2사이드바(14)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홈(45)과, 제 1벤딩부(23)에 형성되어 제 1가이드홈(40)에 결합되며 슬라이더(20)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1피벗부(51)와, 제 2벤딩부(25)에 형성되어 제 2가이드홈(45)에 결합되며 슬라이더(20)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2피벗부(55)를 구비한다.
제 1가이드홈(41)은 제 1사이드바(11)에 형성된다. 제 1가이드홈(41)은 제 1사이드바(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제 1가이드홈(41)은 제 1사이드바(11)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모두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가이드홈(41)은 제 1사이드바(11)의 상단부에서부터 제 1사이드바(11)의 중앙 부위까지만 형성된다.
제 1가이드홈(41)은 입구를 이루는 제 1목부(42)와, 제 1목부(42)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제 1확장부(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가이드홈(45)은 제 2사이드바(14)에 형성된다. 제 2가이드홈(45)은 제 2사이드바(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제 2가이드홈(45)은 제 2사이드바(14)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모두 형성되거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가이드홈(45)은 제 2사이드바(14)의 상단부에서부터 제 2사이드바(14)의 중앙 부위까지만 형성된다. 제 2가이드홈(45)은 입구를 이루는 제 2목부(46)와, 제 2목부(46)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된 제 2확장부(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피벗부(51)는 제 1벤딩부(23)에 형성되어 제 1가이드홈(41)에 결합된다. 제 1피벗부(51)는 제 1벤딩부(23)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1목부(42)에 삽입되는 제 1돌기(53)와, 제 1돌기(53)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 1돌기(5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 1확장부(43)에 삽입되는 제 1헤드부(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헤드부(54)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1헤드부(54)는 도시된 원판형상과 달리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1돌기(53)는 제 1가이드홈의 제 1목부(42)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 1돌기(53)의 직경은 제 1목부(42)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1헤드부(54)는 제 1확장부(43)에 삽입된다. 제 1헤드부(54)는 제 1확장부(43)의 폭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제 1목부(42)의 폭보다는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제 2피벗부(55)는 제 2벤딩부(25)에 형성되어 제 2가이드홈(45)에 결합된다. 제 2피벗부(55)는 제 2벤딩부(25)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2목부(46)에 삽입되는 제 2돌기(56)와, 제 2돌기(56)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 2돌기(5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제 2확장부(47)에 삽입되는 제 2헤드부(5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헤드부(57)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2헤드부(57)는 도시된 원판형상과 달리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돌기(56)는 제 2가이드홈(45)의 제 2목부(46)를 통과한다. 따라서 제 2돌기(56)의 직경은 제 2목부(46)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제 2헤드부(57)는 제 2확장부(47)에 삽입된다. 제 2헤드부(57)는 제 2확장부(47)의 폭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고, 제 2목부(46)의 폭보다는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제 1피벗부(51)는 제 1가이드홈(41)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제 1가이드홈(41)에 결합되고, 제 2피벗부(55)는 제 2가이드홈(45)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제 2가이드홈(45)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가이드홈(41)(45)에 제 1 및 제 2피벗부(51)(55)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슬라이더(20)를 상부 또는 하부로 밀면 슬라이더(20)는 사이드프레임(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슬라이더(20)를 상부방향으로 끝까지 밀 경우 슬라이더(20)가 사이드프레임(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제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60)는 사이드프레임(10)에 결합되어 제 1 및 제 2가이드홈(41)(45)의 일부를 막아 슬라이더(20)의 직선이동을 제한시킨다.
도시된 이동제한부(60)는 제 3사이드바(17)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 1 및 제 2가이드홈(41)(45)의 상단부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동제한부(6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플레이트(61)와, 바디플레이트(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 3사이드바(17)에 형성된 삽입홈(18)에 결합되는 결합레일(63)로 이루어진다.
제 3사이드바(17)에는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삽입홈(18)이 형성된다. 삽입홈(18)은 결합레일(6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레일(63)은 삽입홈(18)의 일측을 통해 삽입홈(18)으로 삽입되어 이동제한부(60)가 제 3사이드바(17)에 결합된다. 이동제한부(60)가 제 3사이드바(17)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 1피벗부(51)와 제 2피벗부(55)는 제 1 및 제 2가이드홈(41)(45)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제한부(60)가 제 3사이드바(17)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가이드홈(41)(45)의 상부가 막히므로 슬라이더(20)의 상부 이동시 제 1피벗부(51)와 제 2피벗부(55)는 이동제한부(60)에 걸리므로 슬라이더(20)는 직선이동이 제한된다.
제 1피벗부(51)와 제 2피벗부(55)는 이동제한부(60)에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휴대폰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피벗부(51)와 제 2피벗부(55)가 슬라이더(20)의 회전중심이 된다. 제 1피벗부(51)와 제 2피벗부(55)를 회전중심을 하여 슬라이더(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위치가 전환된다. 평상시에는 휴대폰(1)의 후면에 슬라이더(20)를 위치시킨 상태로 휴대폰을 사용하다가 충전시에는 슬라이더(20)를 휴대폰(1)의 전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터리가 위치한 휴대폰(1)의 후면을 무선충전기에 반듯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휴대폰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70)은 휴대폰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프레임(70)의 후면(75)은 막혀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이드프레임(70)의 좌우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위치전환수단에 의해 가이드홈에 슬라이더(20)가 결합된다. 도 7의 도시된 예에서 사각프레임은 형상만 다를뿐 나머지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이드프레임 11: 제 1사이드바
14: 제 2사이드바 17: 제 3사이드바
19: 제 4사이드바 20: 슬라이더
41: 제 1가이드홈 45: 제 2가이드홈
51: 제 1피벗부 55: 제 2피벗부
60: 이동제한부

Claims (5)

  1. 핸드폰의 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며 상기 핸드폰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핸드폰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전환시키기 위한 위치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전후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이동바와, 상기 이동바의 일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 1벤딩부와, 상기 이동바의 타측에서 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벤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핸드폰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 1사이드바와, 상기 핸드폰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사이드바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제 2사이드바와, 상기 핸드폰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서 타측까지 길게 삽입홈이 형성된 제 3사이드바와, 상기 핸드폰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4사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전환수단은 상기 제 1사이드바의 상단에서 중앙부위까지 형성된 제 1가이드홈과, 상기 제 2사이드바의 상단에서 중앙부위까지 형성된 제 2가이드홈과, 상기 제 1벤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가이드홈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1피벗부와, 상기 제 2벤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가이드홈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 전환시 회전중심을 이루는 제 2피벗부와, 상기 제 3사이드바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가이드홈의 상단부를 막아 상기 슬라이더의 직선이동을 제한시키는 이동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제한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플레이트와,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결합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핸드폰이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액세서리.

KR1020190095800A 2019-08-06 2019-08-06 휴대폰 액세서리 KR10220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00A KR102200573B1 (ko) 2019-08-06 2019-08-06 휴대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00A KR102200573B1 (ko) 2019-08-06 2019-08-06 휴대폰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573B1 true KR102200573B1 (ko) 2021-01-07

Family

ID=7412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00A KR102200573B1 (ko) 2019-08-06 2019-08-06 휴대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804A (ko) * 2011-08-12 2013-02-20 이정몽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
KR20160119891A (ko) *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삼일렉트로닉스 가변 슬라이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KR101835677B1 (ko) * 2017-07-19 2018-03-07 김지웅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804A (ko) * 2011-08-12 2013-02-20 이정몽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
KR20160119891A (ko) * 2015-04-06 2016-10-17 주식회사 삼일렉트로닉스 가변 슬라이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738073B1 (ko) 2016-08-30 2017-05-22 김재범 무선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폰 거치대
KR101835677B1 (ko) * 2017-07-19 2018-03-07 김지웅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906B2 (en)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US861488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 mechanism thereof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KR101159815B1 (ko) 휴대폰 케이스
US5187743A (en) Telephone base with a display unit
TWM565934U (zh) 保護套
US10721341B2 (en)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0761527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2200573B1 (ko) 휴대폰 액세서리
US5748727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switchable between desktop and wall mount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9351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장치
KR10139813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KR102025187B1 (ko) 다용도 카드지갑 홀더
KR20080007859A (ko)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101032450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
CN113923560B (zh) 耳机充电盒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CN105607701A (zh) 用于便携式终端的键盘及其多档定位结构
KR100678768B1 (ko) 슬라이딩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
JP3112772U (ja) 携帯電話機用スタンド
KR100630869B1 (ko) 휴대 전화 단말기
KR102306904B1 (ko) 휴대 단말기용 다용도 거치대
KR101155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N218734393U (zh) 一种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