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528B1 -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528B1
KR101600528B1 KR1020150014016A KR20150014016A KR101600528B1 KR 101600528 B1 KR101600528 B1 KR 101600528B1 KR 1020150014016 A KR1020150014016 A KR 1020150014016A KR 20150014016 A KR20150014016 A KR 20150014016A KR 101600528 B1 KR101600528 B1 KR 101600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ide block
portable device
coupl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훈
Original Assignee
최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훈 filed Critical 최세훈
Priority to KR1020150014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장착벨트; 상기 장착벨트 중 사용자의 흉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된 베이스블록;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는 좌우회전블록; 좌우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우회전블록에 결합되는 상하회전블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상하회전블록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에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는 회동블록;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동블록에 결합되는 롤링블록; 상기 회동블록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블록에 삽입되는 제3 슬라이드블록;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어 휴대용 기기를 움켜쥐는 휴대용 기기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Multi-purpose hanger device detachable on body}
본 발명은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시킬 수 있어 보행 중에도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기기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보행 중이나 이동수단 탑승 중에도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거치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기기에 알람, 스케줄러, 동영상 재생, DMB 등 각종 부가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생필품의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고, 이와 같이 각종 부가기능들이 탑재된 휴대용 기기는 점점 고급화되어 가고 있어, 거치장치의 사용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점차 증대되고 있고,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동 중에 인터넷 통신, 팩스 전송 등이 가능한 특징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과 같이 휴대용 기기는 점차 기능이 다양화되어 이동 중 활용성이 점차 더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거치장치는 차량이나 자전거, 책상 등에 장착되는 용도로 제작될 뿐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치장치는 상용화되어 있지 아니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중이거나 지하철 및 버스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에는 휴대용 기기를 항상 손으로 쥐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20-0462244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어 이동 중에도 휴대용 기기 거치가 가능하고, 휴대용 기기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장착벨트; 상기 장착벨트 중 사용자의 흉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된 베이스블록;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는 좌우회전블록; 좌우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우회전블록에 결합되는 상하회전블록;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상하회전블록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는 회동블록;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동블록에 결합되는 롤링블록; 상기 회동블록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블록에 삽입되는 제3 슬라이드블록;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에 결합되어 휴대용 기기를 움켜쥐는 휴대용 기기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은 폭방향 일측이 개방된 절개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링블록은 상기 회동블록이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 중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겹쳐지고,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는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롤링블록과 제3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는,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과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 내부로 완전히 인입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은 내부에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과 롤링블록과 제3 슬라이드블록과 휴대용 기기홀더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벨트는, 사용자의 흉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흉부벨트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져 양단이 상기 흉부벨트에 결합되는 어깨벨트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흉부벨트와 어깨벨트가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인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1 체결홈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내측면에는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인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2 체결홈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된다.
상기 제1 체결돌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제1 체결돌기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체결돌기는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홈은 상기 제2 체결돌기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된다.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는,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에 고정결합되는 하측클램퍼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하측클램퍼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클램퍼와, 상기 하측클램퍼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측클램퍼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클램퍼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슬롯을 사이에 두고 제1 안착홈과 제2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클램퍼에 결합되는 제1 태엽스프링과, 상기 제1 태엽스프링과 감김 방향이 반대를 이루도록 제작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클램퍼에 결합되는 제2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기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를 덮도록 상기 상측클램퍼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어 이동 중에도 휴대용 기기 거치가 가능하고, 휴대용 기기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상관없이 상용화가 가능하며, 미사용 시 부피가 작아지도록 포개어질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과 제1 슬라이드블록과 제2 슬라이드블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휴대용 기기홀더가 외측을 향하도록 회동블록이 회동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4는 휴대용 기기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과 제1 슬라이드블록과 제2 슬라이드블록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 중이거나 보행 중에 휴대용 기기를 손으로 직접 들고 있지 아니하더라도 휴대용 기기를 지속적으로 볼 수 있도록, 휴대용 기기를 특정 위치 및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대쉬보드나 책상, 침대 등과 같은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어 사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위치 및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장착벨트(100)와, 상기 장착벨트(100) 중 사용자의 흉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된 베이스블록(210)과,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210)에 결합되는 좌우회전블록(220)과, 좌우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우회전블록(220)에 결합되는 상하회전블록(230)과,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상하회전블록(230)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240)과,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40)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260)과,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에 결합되는 회동블록(270)과,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동블록(270)에 결합되는 롤링블록(280)과, 상기 회동블록(270)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블록(280)에 삽입되는 제3 슬라이드블록(290)과,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290)에 결합되어 휴대용 기기를 움켜쥐는 휴대용 기기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좌우회전블록(220)과 상하회전블록(230)과 회동블록(270)은, 별도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블록이 힌지결합되되 상기 두 블록의 결합부위가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접촉면 간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블록이 서로 맞닿는 양면에 톱니 형상의 요철돌기가 다수 개 연이어 형성되어 회전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되는 회전체 구조는 종래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에도 다양한 구조로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좌우회전블록(220)을 좌우로 회전시킴에 따라 휴대용 기기홀더(300) 위치가 좌우로 조절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하회전블록(230)을 상하로 회전시킴에 따라 휴대용 기기홀더(300) 위치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에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사용자가 하우징(240)으로부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을 얼마나 인출하는지, 또는 제1 슬라이드블록(250)으로부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을 얼마나 인출하는지에 따라 사용자와 휴대용 기기홀더(300) 간의 거리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 및 취향에 따라 휴대용 기기 이격거리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은 사용자가 일정거리 인출시킨 이후 임의로 더 인출되거나 인입되지 못하도록 즉, 사용자에 의해 인출된 거리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하우징(240)의 내측면(더 명확하게는 제1 슬라이드블록(250) 외측면과 접동되는 면)에는 반구 형상의 제1 체결돌기(2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외측면 중 제1 체결돌기(242)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제1 체결돌기(242)가 인입될 수 있는 반구 형상의 제1 체결홈(254)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내측면(더 명확하게는 제2 슬라이드블록(260) 외측면과 접동되는 면)에는 반구 형상의 제2 체결돌기(2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외측면 중 제2 체결돌기(252)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제2 체결돌기(252)가 인입될 수 있는 제2 체결홈(26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은 각각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이동방향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이어 다수 개 배열되는바, 사용자가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을 얼마만큼 인출시키더라도 상기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는 다수 개의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가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에 삽입되면, 별도의 외력에 의해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가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아니하는 한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은 인출 거리가 그대로 유지되므로, 사용자와 휴대용 기기 간의 거리 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가 각각 하나씩만 구비되면,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끼이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가 각각 2개 이상 구비되고,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 역시 각각 2열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체결돌기(242)는 상기 하우징(240)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홈(254)은 상기 제1 체결돌기(242)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체결돌기(252)는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총 2개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홈(264)은 상기 제2 체결돌기(252)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제1 체결돌기(242)가 다른 높이에 각각 형성되고 2개의 제2 체결돌기(252)가 다른 높이에 각각 형성되면,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이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상하로 회전되지 아니하고 이에 따라 끼임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는바, 제1 슬라이드블록(250)과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가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이 각각 2열씩 마련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는 각각 3개 이상 형성되고 제1 체결홈(254)과 제2 체결홈(264)은 제1 체결돌기(242)와 제2 체결돌기(252)의 개수에 맞추어 각각 3열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착벨트(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나 좌우로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사용자의 흉부 즉, 가슴 부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흉부벨트(110)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져 양단이 상기 흉부벨트(110)에 결합되는 어깨벨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흉부벨트(110)와 어깨벨트(120)는 모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클립에 의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때에는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의 앞쪽에 위치시키므로, 상기 베이스블록(210)은 사용자의 흉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록(210)이 흉부벨트(110)의 가운데 부위에 장착되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어깨벨트(120)의 중단에 장착되면 좌우로 쉽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블록(21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벨트(110)와 어깨벨트(120)가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외측을 향하도록 회동블록(270)이 회동된 형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미 사용시 전체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드블록(250)은 하우징(24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고, 제2 슬라이드블록(260) 역시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휴대용 기기를 움켜쥐는 휴대용 기기홀더(300)만이 외부로 돌출되면,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휴대용 기기홀더(300)도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은 폭방향 일측이 개방된 절개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링블록(280)은 회동블록(270)이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 제2 슬라이드블록(260) 중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겹쳐지고, 휴대용 기기홀더(300)는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내부로 일부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링블록(280)과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일측에 포개어진 상태(도 2 참조)에서는 제2 슬라이드블록(260)이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2 슬라이드블록(260)과 함께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소형화 및 휴대용 기기홀더(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제1 슬라이드블록(250) 역시 하우징(24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부에 제2 슬라이드블록(260)과 롤링블록(280)과 제3 슬라이드블록(290)과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블록(250) 전체가 하우징(24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면(도 7 참조), 장치의 전체 크기가 매우 작아지므로, 미 사용시의 휴대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휴대용 기기홀더(300)의 분해사시도이다.
휴대용 기기홀더(300)는 휴대용 기기의 상단과 하단을 움켜쥐어(도 5 참조) 휴대용 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3 슬라이드블록(290)에 고정결합되어 휴대용 기기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움켜쥐는 하측클램퍼(310)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하측클램퍼(310)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클램퍼(320)와, 상기 하측클램퍼(310)와 가까워지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하향)으로 상기 상측클램퍼(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기기의 하단과 상단을 움켜쥐는 한 쌍의 클램퍼 구조는 종래의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하측클램퍼(310)와 상측클램퍼(320)의 형상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측클램퍼(3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340)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탄성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태엽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하나의 태엽스프링이 상측클램퍼(320)를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측클램퍼(320)에는 직선방향 탄성력만이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태엽스프링이 감기는 방향으로의 회전력도 인가되므로, 상기 상측클램퍼(320)가 직선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왕복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에는 감김 방향이 반대를 이루는 제1 태엽스프링(341)과 제2 태엽스프링(34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측클램퍼(32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슬롯(323)을 사이에 두고 제1 안착홈(321)과 제2 안착홈(322)이 형성되고, 제1 태엽스프링(341)은 제1 안착홈(321)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323)을 관통하여 하측클램퍼(310)에 결합되며, 제2 태엽스프링(342)은 제2 안착홈(322)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323)을 관통하여 하측클램퍼(3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3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휴대용 기기 홀더는 탄성체(340)를 덮는 구조로 상측클램퍼(320)에 결합되는 커버(330)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태엽스프링(341)과 제2 태엽스프링(342)의 감김 방향이 상호 반대를 이루도록 배열되면, 제1 태엽스프링(341)의 회전력과 제2 태엽스프링(342)의 회전력이 상쇄되는바, 상측클램퍼(320)는 직선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왕복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의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화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블록(250)을 하우징(240)으로부터 인출시키고 제2 슬라이드블록(260)을 제1 슬라이드블록(250)으로부터 인출시킨 후, 제3 슬라이드블록(290)을 롤링블록(280)으로부터 인출시킨다. 이와 같이 제3 슬라이드블록(290)이 롤링블록(280)으로부터 인출되면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롤링블록(280)으로부터 멀어지므로 휴대용 기기(P)를 휴대용 기기홀더(3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링블록(28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휴대용 기기(P)의 출력방향이 사용자의 눈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좌우회전블록(220)을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상하회전블록(230)을 상하로 회전시킴으로써 휴대용 기기(P)의 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를 사용하면 상기 휴대용 기기(P)를 특정 지점에 특정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P)를 직접 손으로 들지 아니하더라도 휴대용 기기(P)의 출력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휴대용 기기(P)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기타 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되므로, 대중교통을 타고 있는 중이나 보행 중에도 휴대용 기기(P)를 편하게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휴대용 기기(P)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롤링블록(280)과 휴대용 기기홀더(300)를 제2 슬라이드블록(260) 일측에 포갠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블록(250)을 하우징(240) 내측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장치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좌우회전블록(220)을 회전시켜 하우징(240) 및 회동블록(270)을 사용자 흉부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240) 및 회동블록(270)을 사용자 흉부에 밀착되면,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가 다른 물체에 부딪혀 파손될 우려 없이 자유롭게 행동하고 움직일 수 있으므로, 휴대가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휴대폰을 거치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는 휴대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기기를 거치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장착벨트 110 : 흉부벨트
120 : 어깨벨트 210 : 베이스블록
220 : 좌우회전블록 230 : 상하회전블록
240 : 하우징 242 : 제1 체결돌기
250 : 제1 슬라이드블록 252 : 제2 체결돌기
254 : 제1 체결홈 260 : 제2 슬라이드블록
264 : 제2 체결홈 270 : 회동블록
280 : 롤링블록 290 : 제3 슬라이드블록
300 : 휴대용 기기홀더 310 : 하측클램퍼
320 : 상측클램퍼 321 : 제1 안착홈
322 : 제2 안착홈 323 : 삽입슬롯
330 : 커버 340 : 탄성체
341 : 제1 태엽스프링 342 : 제2 태엽스프링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장착벨트(100);
    상기 장착벨트(100) 중 사용자의 흉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된 베이스블록(210);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베이스블록(210)에 결합되는 좌우회전블록(220);
    좌우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우회전블록(220)에 결합되는 상하회전블록(230);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상하회전블록(230)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240);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40)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250);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260);
    상하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에 결합되는 회동블록(270);
    전후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동블록(270)에 결합되는 롤링블록(280);
    상기 회동블록(270)과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블록(280)에 삽입되는 제3 슬라이드블록(290);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290)에 결합되어 휴대용 기기를 움켜쥐는 휴대용 기기홀더(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은 폭방향 일측이 개방된 절개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롤링블록(280)은 상기 회동블록(270)이 일측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 중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겹쳐지고,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는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롤링블록(280)과 제3 슬라이드블록(290)과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는,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과 함께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은 내부에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과 롤링블록(280)과 제3 슬라이드블록(290)과 휴대용 기기홀더(3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40)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벨트(100)는, 사용자의 흉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흉부벨트(110)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져 양단이 상기 흉부벨트(110)에 결합되는 어깨벨트(120)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210)은 상기 흉부벨트(110)와 어깨벨트(120)가 연결되는 지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40)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돌기(2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체결돌기(242)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242)가 인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1 체결홈(254)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며,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내측면에는 제2 체결돌기(2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외측면 중 상기 제2 체결돌기(252)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제2 체결돌기(252)가 인입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2 체결홈(264)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260)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돌기(242)는 상기 하우징(240)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홈(254)은 상기 제1 체결돌기(242)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체결돌기(252)는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250)의 내측면 중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홈(264)은 상기 제2 체결돌기(252)의 위치에 맞추어 2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홀더(300)는, 상기 제3 슬라이드블록(290)에 고정결합되는 하측클램퍼(310)와,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하측클램퍼(310) 상측에 장착되는 상측클램퍼(320)와, 상기 하측클램퍼(3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측클램퍼(3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측클램퍼(32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슬롯(323)을 사이에 두고 제1 안착홈(321)과 제2 안착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340)는, 상기 제1 안착홈(321)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323)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클램퍼(310)에 결합되는 제1 태엽스프링(341)과, 상기 제1 태엽스프링(341)과 감김 방향이 반대를 이루도록 제작되어 상기 제2 안착홈(322)에 안착되되 일단이 상기 삽입슬롯(323)을 관통하여 상기 하측클램퍼(310)에 결합되는 제2 태엽스프링(342)으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기기 홀더는 상기 탄성체(340)를 덮도록 상기 상측클램퍼(320)에 결합되는 커버(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KR1020150014016A 2015-01-29 2015-01-29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KR101600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16A KR101600528B1 (ko) 2015-01-29 2015-01-29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016A KR101600528B1 (ko) 2015-01-29 2015-01-29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528B1 true KR101600528B1 (ko) 2016-03-07

Family

ID=5554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016A KR101600528B1 (ko) 2015-01-29 2015-01-29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5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163B1 (ko)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0462244Y1 (ko) 2012-04-13 2012-08-31 경건수 휴대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0462244Y1 (ko) 2012-04-13 2012-08-31 경건수 휴대폰 거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163B1 (ko) * 2021-02-18 2021-10-05 정인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8648B2 (en)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KR101050264B1 (ko) 휴대폰 거치대
US9296340B2 (en)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US10728372B2 (en) Holder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50053325A (ko) 스마트폰 거치대
TWM455309U (zh) 電話機
KR101146719B1 (ko) 거치대
US20130119220A1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CN211010463U (zh) 一种夹持装置及自拍杆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CN113226117A (zh) 多功能托架
KR101754892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40011842A (ko) 가변형 거치대
KR200411628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구조
KR20190026196A (ko)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1618002B1 (ko) 핸드폰 거치용 지갑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CN214045969U (zh) 一种蓝牙耳机充电盒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86975Y1 (ko) 스마트폰 케이스용 스탠드 클립
CN212992380U (zh) 一种带有夹子的隐形支架手机壳
KR20120003972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200480175Y1 (ko)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