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325A -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325A
KR20150053325A KR1020130135100A KR20130135100A KR20150053325A KR 20150053325 A KR20150053325 A KR 20150053325A KR 1020130135100 A KR1020130135100 A KR 1020130135100A KR 20130135100 A KR20130135100 A KR 20130135100A KR 20150053325 A KR20150053325 A KR 2015005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lastic member
frame
support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058B1 (ko
Inventor
김상율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브릿지
Priority to KR102013013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0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 거치대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SMARTPHONE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높이 조절과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고, 한 손으로도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의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많은 사람들이 최근 생활 전반에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은 스마트폰을 차량에 설치하여 네비게이션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책상 등에 설치하여 TV 또는 영화 등을 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차량이나 책상 등에 설치하여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수적이다.
다만,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대부분이 집게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거치할 때 한 손으로 집게를 열고 다른 한 손으로는 스마트폰을 잡아야 했기 때문에 운전 중에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조절, 높이 조절에 있어서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스마트폰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한 손만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조절을 손쉽게 할 수 있고, 특히 스마트폰의 상하 높이를 단계적으로 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 측에는 탄성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는 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거치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즉 스마트폰을 파지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의 전후 틸팅 각도, 좌우 각도, 상하 높이를 한꺼번에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상하 폭에 따라 파지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다양한 스마트폰 제품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부분이 프레임에 삽입되어 스프링, 걸림부 등의 부품이 보이지 않아서 미관상 깔끔해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프레임의 내측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의 내부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프레임의 내측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파지부(10)와, 지지부(20)와, 프레임(30)과, 부착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10)는 스마트폰의 상단 및 하단을 눌러서 스마트폰을 잡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부(10)는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11)와, 상기 제1 바디(11)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는 상기 파지부(10)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바디(12)는 상기 파지부(1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는 'L'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111)와, 상기 받침부(111)에서 대략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고, 스마트폰이 거치되었을 때 스마트폰의 배면과 마주할 수 있는 배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는 'Γ'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스마트폰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121)와, 상기 누름부(121)에서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바디(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바디(11)의 배면부(112)에는 상기 제2 바디(12)의 삽입부(1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13)은 상기 제1 바디부(1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22)는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122)의 움직임은 상기 삽입홈(113)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제1 바디(1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받침부(111)와 상기 누름부(121)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상하 폭에 따라 파지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크기가 다른 다양한 스마트폰 제품을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바디(11)와 상기 제2 바디(12)는 탄성부재(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는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제1 바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 다음에, 상기 제2 바디(12)가 상기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파지부(1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누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부재(15)는 상기 파지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의 일 단은 상기 제1 바디(11) 내측에 돌출된 제1 걸림부(152)에 걸릴 수 있고, 타 단은 상기 제2 바디(12) 내측에 돌출된 제2 걸림부(151)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12)는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너비만큼 상기 제1 바디(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었다가, 상기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의 상부를 눌러서 스마트폰을 고정시킬 수 있다.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가 차량의 데시보드 등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를 스마트폰의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상기 제1 바디(11)의 받침부(111)에 안착시키면 상기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을 눌러서 스마프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한 손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111) 및 상기 누름부(121)에는 스마트폰이 미끄러져 분리되거나 떨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 부재(13, 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 부재(13, 14)는 상기 받침부(111) 및 상기 누름부(121)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3, 14)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3, 14)의 점성 및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된 스마트폰이 미끄러지거나,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3, 14)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된 스마트폰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지부(11) 안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부재(13, 14)는 상기 파지부(11) 안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 패킹부재(13, 14)의 경사각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구비되는 버튼이 거치되어 있는 동안에 눌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킹 부재의 각도는 대략 18 ~ 20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2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의 전면에는 볼 조인트(21)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는 상기 지지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볼 삽입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볼 삽입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부(10)의 배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 삽입홈(115)의 직경이 상기 볼 조인트(21)의 직경보다 작아서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파지부(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21)는 상기 파지부(10)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부(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각도만큼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거나, 원하는 각도만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21)와 상기 볼 삽입홈(115)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존재하여 상기 파지부(10)를 움직인 다음에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위치에 놓으면, 상기 파지부(10)는 그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20)의 양 측면에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4)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4)의 단부에는 걸림부(25)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걸림부(25)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는 후술할 높이 조절부(31)에 형성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는 단단한 재질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지지부(20)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30)의 전면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이 잘 보일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지지부(2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가이드 홈(32)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25)와 간섭되어, 상기 지지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3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31) 에는 상기 걸림부(25)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33)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33)은 상기 걸림부(25)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홈(33)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지지부(20)를 상하 이동시키면 쉽게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부(25)는 상기 탄성 부재(24)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 상태로 상기 높이 조절부(31)에 접촉되며 상하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5)가 상기 높이 조절홈(3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20)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를 상하 이동시키다가 상기 걸림부(25)를 적절한 높이 조절홈(33)에 삽입시켜서, 상기 지지부(20)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 조절홈(33)이 다수개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홈(32)에 상기 지지부(20)가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볼 조인트(21)를 제외한 상기 지지부(20)의 몸체와 상기 지지부(20)에 형성된 돌출부(23)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볼 등의 부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서 미관상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는 나사 체결부(34)와 프레임 결합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체결부(34)는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30)을 나사 체결함으로써 더욱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 부재(31)와 상기 지지부(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고, 상기 파지부(10)가 상, 하로 수직 이동 될 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결합부재(35)는 상기 프레임(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상기 프레임 결합부재(35)는 나사 체결부(34)가 결합될 때 동시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이 나사체결 되어 스마트폰을 상기 파지부(10)에 거치하여도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40)는 상기 프레임(3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40)는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는 밀착부(41)와 상기 프레임(30)의 일 면에 상기 밀착부(41)를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40)에는 상기 손잡이(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40)는 상기 손잡이(42)와 상기 밀착부(41)가 하나로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손잡이(42)를 상기 삽입홈(43)에 삽입시키면 상기 밀착부(41)를 끌어당겨 상기 프레임(30)을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 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부(41)의 바닥면은 내 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면에도 편리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41)는 흡착이 잘 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착부(41)는 설치 면과의 흡착력을 높이고 영구 사용이 가능하며, 먼지나 이물질 등이 묻었을 때 닦아서 재사용이 가능한 겔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파지부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파지부(10)의 제2 바디(12)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밀어 올리면 상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상기 제1 바디(11) 및 상기 제2 바디(12)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고(상기 제2 바디(12)가 최대로 늘어나면 슬라이드 되기 전 상기 파지부(10)의 길이의 대략 2배까지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 거치된 다음에는 상기 파지부(10) 내부의 탄성부재(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마트폰이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가 차량의 데시보드 등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상기 제2 바디(12)의 누름부(121)를 스마트폰의 상부로 밀어올리면서 스마트폰의 하부를 상기 제1 바디(11)의 받침부(111)에 안착시키면 상기 누름부(121)가 스마트폰을 눌러서 스마프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스마트폰 거치대에 한 손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지부(20)가 상기 볼 조인트(21)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0)의 자유로운 회전으로 인해 원하는 각도로 스마트폰을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부(10)에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10)를 원하는 각도만큼 전후 방향으로 틸팅하거나, 원하는 각도만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파지부(70)의 상기 제2 바디(12)를 스마트폰으로 밀어 스마트폰(70)의 일 면이 상기 받침부(13)에 지지되고, 상기 스마트폰(70)의 타 면은 상기 누름부(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70)은 상기 받침부(13)와 상기 누름부(14) 사이에서 상기 탄성부재(15)의 탄성력 및 상기 패킹부재(13, 14)의 마찰력에 의해 고정되어 흔들리는 차 안에서도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70)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파지부(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상기 지지부(20)의 상기 볼 조인트(21)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내 측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홈(32)을 따라 상기 지지부(20)의 수직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상기 스마트폰(70)의 화면을 볼 수 있어 자세에 따른 자유도가 높아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1: 스마트폰 거치대 10: 파지부
11: 제1 바디 12: 제2 바디
13: 받침부 14: 누름부
15,24: 탄성 부재 16: 결합 홈
20: 지지부 21: 볼 조인트
22: 삽입 홀 23: 돌출부
30: 프레임 31: 높이조절 부재
32: 가이드 홈 33: 높이조절 홈
34: 나사체결부 35: 프레임 결합부재
40: 부착부재 41: 밀착부
42: 손잡이 43: 삽입 홈

Claims (20)

  1.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누르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L'자 형으로 형성되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는 '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받침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누름부에는 스마트폰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18 내지 20 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적어도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구형의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는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밀착부과, 상기 프레임의 일 면에 밀착부를 끌어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2. 스마트폰의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바디를 구비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파지부가 전후 및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저 면에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을 설치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 측에는 탄성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는 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며, 상기 높이 조절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높이 조절홈이 기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금속구이고, 상기 높이 조절홈은 상기 걸림부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와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는 기설정된 간격 떨어진 상태로 서로 마주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에 형성된 탄성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하 이동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탄성부재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 수용홈의 내주면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 및 하부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일부는 상기 제1 바디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연결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L'자 형으로 형성되고,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는 '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상단을 누르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받침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누름부에는 스마트폰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 부재가 구비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18 내지 20 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구형의 볼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는 상기 볼 조인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30135100A 2013-11-08 2013-11-08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6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25A true KR20150053325A (ko) 2015-05-18
KR101563058B1 KR101563058B1 (ko) 2015-10-23

Family

ID=5338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100A KR101563058B1 (ko) 2013-11-08 2013-11-08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0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87A (ko) * 2015-08-31 2017-03-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구비하여 회전이 가능한 미니 프로젝터의 냉각 거치대
KR20170123011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앤뉴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WO2018026107A1 (ko) * 2016-08-05 2018-02-08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KR101956083B1 (ko) *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200012528A (ko) * 2018-07-27 2020-02-05 박연수 휴대폰 거치대
KR20200067656A (ko) 2018-12-04 2020-06-12 이지영 천장에 부착하여 누워서도 편하게 볼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CN113795316A (zh) * 2019-05-08 2021-12-14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平衡式游戏控制器夹具
KR102663616B1 (ko) * 2023-12-26 2024-05-03 조문경 마이크 장착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18B1 (ko) 2019-01-14 2020-03-25 신철 소리 증폭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601B1 (ko) * 2011-08-30 2012-02-16 주식회사 태성화이어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987A (ko) * 2015-08-31 2017-03-08 캐논코리아비즈니스솔루션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구비하여 회전이 가능한 미니 프로젝터의 냉각 거치대
KR20170123011A (ko) * 2016-04-28 2017-11-07 주식회사 디앤뉴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WO2018026107A1 (ko) * 2016-08-05 2018-02-08 (주)로보와이즈 블록 조립 방식의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기기 홀더
KR101956083B1 (ko) * 2018-01-26 2019-03-08 임재현 휴대폰 거치대
KR20200012528A (ko) * 2018-07-27 2020-02-05 박연수 휴대폰 거치대
KR20200067656A (ko) 2018-12-04 2020-06-12 이지영 천장에 부착하여 누워서도 편하게 볼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
CN113795316A (zh) * 2019-05-08 2021-12-14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平衡式游戏控制器夹具
KR102663616B1 (ko) * 2023-12-26 2024-05-03 조문경 마이크 장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058B1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8240628B2 (en) Holding apparatus
US20170170858A1 (en) Vent blade device mounting assembly
KR101112601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050264B1 (ko) 휴대폰 거치대
US9942369B2 (en)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TW201522834A (zh) 固持裝置
JP3216611U (ja) クランプ装置
US20210140579A1 (en)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459488B1 (en) Docking station
KR20130105799A (ko)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
KR101591831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24837B1 (ko) 거치대 및 거치각도 조절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190063667A1 (en) Mobile Device Stand with Adaptive Mounting Arrangement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KR102012622B1 (ko) 오토바이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925080B1 (ko)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1954704B1 (ko) 차량용 거치대
US9887723B2 (en) Communications device mounting assembly
KR101575799B1 (ko) 차량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