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601A -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601A
KR20180011601A KR1020160094185A KR20160094185A KR20180011601A KR 20180011601 A KR20180011601 A KR 20180011601A KR 1020160094185 A KR1020160094185 A KR 1020160094185A KR 20160094185 A KR20160094185 A KR 20160094185A KR 20180011601 A KR20180011601 A KR 2018001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holder
connecting member
presen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복
Original Assignee
강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복 filed Critical 강영복
Priority to KR1020160094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1601A/ko
Publication of KR2018001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탈착 조작으로 테이블이나 차량 대시보드 위에 스마트폰을 세울 수도 있으면서,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안한다. 나아가,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탈착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HOLDER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테이블이나 차량 대시보드 위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면서 탈착이 매우 간편하며, 나아가 스마트폰 사용시에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질의 홀더부재에 스마트폰을 끼워서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 홀더부재를 테이블 위에 세워놓을 수도 있게 하고, 나아가 이 홀더부재를 스탠드부재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IT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각종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는 단순한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 기능 외에도 음악청취 또는 동영상 감상, 인터넷 검색이나 게임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마트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서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요구되는데, 통상적인 휴대폰 거치대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형태가 고정된 거치대가 대부분이며, 거치대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에 힘이 들거나 고정하기 위한 조작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마트폰이 끼워지는 죠(jaw)의 스프링 힘이 너무 센 경우에는 끼워넣기가 힘들고, 너무 약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쉽게 빠지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또한,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끼워 고정하는 조작과정 또는 빼내는 조작과정에서 스마트폰에 긁힘이 발생되는 문제가 지적되기도 한다.
종이(sheet)를 접어서 스마트폰을 세워둘 수 있는 거치대도 종래기술로 개시되어 있으나, 그 활용성이 낮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보행중에 또는 야외에서 스마트폰을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동 중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실수를 하기 쉬워서, 스마트폰을 평평한 곳에 세울 수 있으면서도 이동 중에도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스마트폰 거치대가 요구되고 있다.
KR 10-2015-0066494 A KR 10-1616697 B KR 10-1621187 B KR 10-2016-0071981 A KR 10-2014-0146466 A KR 20-2013-0003590 U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우 간단한 탈착 조작으로 테이블이나 차량 대시보드 위에 스마트폰을 세울 수도 있으면서,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탈착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에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용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가장자리 테두리에 밀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홀더부재(100)와,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100)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100)는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스마트폰의 양쪽 가장자리 테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1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스마트폰이 위치되는 공간부(150)와, 상기 연결부재(200)의 볼이 수용되는 홈(130)이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수단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내용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테이블이나 차량 대시보드 위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면서 탈착이 매우 간편하고, 스마트폰 손잡이로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탄성을 가진 실리콘재질로써 스마트폰 홀더부재를 제작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끼우거나 빼내는 과정에서 긁힘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200)와 스탠드부재(300)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100)의 평면도 및 수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0)의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스탠드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 위에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사용 예시)를 설명하는 시제품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스탠드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 손잡이로 사용하는 예시)를 설명하는 시제품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00)의 수직단면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재(300)의 외형도 및 연결부재(300)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스탠드부재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사용 예시)를 설명하는 시제품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이란 용어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하여, 스마트폰의 액정화면이 향하는 방향(도 1에서 우측방향)을 전방, 그 반대(도 1에서 좌측방향)를 후방으로 한다. 이는 도 1과 같이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르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탄성을 가지며, 복원력에 의해 스마트폰 가장자리 테두리에 밀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홀더부재(100)와,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도 2 및 도 6,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부재(100)와 연결부재(200)만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상 또는 차량 대시보드 위에 고정되는 스탠드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스탠드부재(300)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 10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는 스탠드부재(300)를 사용하지 않고, 홀더부재(100)와 연결부재(200)만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잘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홀더부재(100)는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원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양쪽 가장자리 테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1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스마트폰이 위치되는 공간부(150)와,
후술하는 연결부재(200)의 볼이 수용되는 홈(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100)의 평면도 및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의 [A]는 홀더부재(100)의 평면도를, 도 4의 [B]는 수평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1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의 끝부분에,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스마트폰 테두리가 밀착되는 고정홈(113)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이 상기 고정홈(113)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끝단부에 이탈방지용 돌출턱(1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의 크기(가로 X 세로)보다 더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재(100)를 크게 제작하거나,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 결합되는 선단부(230)와, 상기 선단부(230)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21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200)의 선단부(230)는 볼(231)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는 상기 연결부재(200) 선단부를 형성하는 볼(231)이 수용되는 홈(1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는 볼 조인트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의 결합 각도를 외력으로 조절한 후에는, 그 결합각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평한 테이블 위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게 될 때, 상기 후단부(210)의 끝단은 받침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 사이의 결합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평평한 바닥에 놓으면, 스마트폰의 아래 가장자리가 바닥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 끝단이 바닥에 닿게 되므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 사이의 결합 각도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의 화면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화면을 가로방향으로 놓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가 볼 조인트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홀더부재(100)를 연결부재(200)에 대해 90도 각도로 선회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스마트폰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스마트폰 손잡이로서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한 손으로 스마트폰을 손쉽게 움켜쥘 수 있다.
최근,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이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게임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서 이동(보행)을 해야 하므로, 스마트폰을 편하게 움켜쥘 수 있는 손잡이가 필요하다.
도 7의 [A]는 손아귀에 홀더부재(100)를 잡고, 손가락 사이에 연결부재(200)의 후단부가 끼워진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의 [B]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폰 손잡이는 손아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 및 그립감이 우수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홀더부재(100)는, 탄성과 함께 연성(軟性)까지 갖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실리콘 재질로써 구형(球形, globular shape)으로 본 발명의 홀더부재(100)를 성형 제작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한 쌍의 고정부(110)를 쉽게 벌릴 수 있어서 스마트폰 고정이 쉽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밀착성이 좋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부(110) 사이에 끼워진 스마트폰이 잘 빠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리콘 재질은 사용자의 손아귀로 움켜잡았을 때의 촉감도 좋을 뿐만 아니라, 미끌거림이 적어서 손에서 이탈될 우려가 적다.
그리고, 구형(球形)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홀더부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에 구(球)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손아귀에 잡게 되므로, 가벼운 힘으로 스마트폰을 쥘 수 있어서 편안하게 증강현실게임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스탠드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200)와 스탠드부재(300)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스탠드부재(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거치홈(310)을 구비하고, 고정 대상물 표면에 고정되는 부착면(330)을 구비한다. 상기 부착면(330)은 스탠드부재(300)의 밑면이 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고정 대상물의 경사진 표면에 양면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은,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홈(310)은,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부재(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상부 일측면에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의 거치홈(3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홈(310)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홈(310)의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를 밀어내려, 상기 거치홈(310)에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를 간편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거치홈(310)의 상부방향이 개방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거치홈(310)의 어느 한 측면이 개방되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를 측방향에서 밀어 넣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는,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의 거치홈(310)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된 a - a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은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 또한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는, 그 끝면과 경사면 사이의 각도가 예각(α)을 이루기 때문에,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의 거치홈(310)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를 원뿔 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200)가 선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200)가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선회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를 다각뿔(211)로 구성하고, 상기 다각뿔(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그 후단부(210)에 자석(25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석(2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으나, 상기 후단부(210)의 끝면에 부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석(250)을 구비한 연결부재(200)는, 스탠드부재(300)가 필요 없이, 금속판에 간편하게 부착하고 손쉽게 떼어낼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와 달리 반복적인 탈부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를 평평한 곳에 세우는 스탠드로 활용되거나, 휴대하면서 사용할 때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어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과 활용성이 매우 큰 발명이다.
100: 홀더부재
110: 고정부 113: 고정홈
115: 돌출턱
130: 홈 150: 공간부
200: 연결부재
210: 후단부 211: 다각뿔
230: 선단부 231: 볼
250: 자석
300: 스탠드부재
310: 거치홈 330: 부착면

Claims (4)

  1.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홀더부재(100)와,
    상기 홀더부재(10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0)로 구성되는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홀더부재(100)는,
    탄성을 가지며, 복원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양쪽 가장자리 테두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1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10) 사이에, 스마트폰이 위치되는 공간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재(200)는,
    볼(231)이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231)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단부(2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200)의 볼(231)이 수용되는 홈(130)이 상기 홀더부재(100)의 후방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00)와 홀더부재(100)는 볼 조인트로 결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는,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 중의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210)에는 자석(2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거치홈(310)을 구비하고, 고정 대상물 표면에 고정되는 부착면을 구비한 스탠드부재(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탠드부재(300)의 거치홈(310)은 외협내광(外狹內廣) 구조를 가지며, 상기 거치홈(310)의 상부쪽 또는 어느 한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60094185A 2016-07-25 2016-07-25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80011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85A KR20180011601A (ko) 2016-07-25 2016-07-25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85A KR20180011601A (ko) 2016-07-25 2016-07-25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01A true KR20180011601A (ko) 2018-02-02

Family

ID=612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85A KR20180011601A (ko) 2016-07-25 2016-07-25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16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2284491B1 (ko) * 2021-04-01 2021-08-03 (주)더피네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332514B1 (ko) * 2021-02-10 2021-12-01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용 홀더
KR102418950B1 (ko) * 2022-04-18 2022-07-07 김병재 단말기 보호 케이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12Y1 (ko) 2019-03-21 2020-08-28 장재승 무선 충전 및 자동 탈착 가능한 스탠드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2332514B1 (ko) * 2021-02-10 2021-12-01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용 홀더
KR102284491B1 (ko) * 2021-04-01 2021-08-03 (주)더피네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418950B1 (ko) * 2022-04-18 2022-07-07 김병재 단말기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5147B2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ing tool
JP5665035B1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200493314Y1 (ko)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US20120043452A1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20140024418A1 (en) Protective clamp frame having power and unclamp duplex butt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10342323B2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US6816740B2 (en) Recharge apparatus for holding the rechargeable device
JP2007053603A (ja) 携帯電話用指固定具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US20230191584A1 (en)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KR20150053325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20170001075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N205304915U (zh) 滑动式指环手机支架
JP3186332U (ja) 携帯機器用把持具
US20160139399A1 (en) Visual and Tactile Assessment Tool
KR101396554B1 (ko)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US20150327391A1 (en) Support rack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20210000784U (ko)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KR200470947Y1 (ko) 손가락 거치용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