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799B1 -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799B1
KR101575799B1 KR1020140070308A KR20140070308A KR101575799B1 KR 101575799 B1 KR101575799 B1 KR 101575799B1 KR 1020140070308 A KR1020140070308 A KR 1020140070308A KR 20140070308 A KR20140070308 A KR 20140070308A KR 101575799 B1 KR101575799 B1 KR 10157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ixed
grip
suction
gr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아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4007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흡착 바디와, 흡착 바디의 외측에 연결된 그립 헤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흡착 바디는 흡착판과, 바디 하우징과, 가동 축과, 캠 부재와, 지지 부재, 및 푸시 버튼을 포함한다. 바디 하우징은 상부에 수용 홈이 형성되며, 하부 개구된 가장자리가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가동 축은 흡착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승강 동작하며, 바디 하우징의 수용 홈을 관통해서 삽입된다. 캠 부재는 수용 홈 내에서 가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각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동 돌기들을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수용 홈 내에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 중공을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가동 돌기들을 지지하는 해제 유지턱들이 배열된다. 푸시 버튼은 지지 부재의 원형 중공 내에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동작하고, 외주면을 따라 해제 유지턱들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어 지지 부재에 의해 승강 안내되는 흡착 유지턱들을 구비하며, 승강 동작할 때마다 가동 돌기들을 흡착 유지턱들과 해제 유지턱들로 교번해서 이동시키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된 푸시 돌기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Suppor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창 유리 등에 흡착식으로 고정되어 각종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성통화 외에 인터넷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능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이 대중화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경로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기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 내비게이션 기기 등의 전자기기를 차량 내에서 사용할 경우, 전자기기를 차량 내에 거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전자기기를 차량 내에 거치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차량용 거치대가 사용된다. 그 일 예로, 종래에 따른 흡착식 차량용 거치대는 다음과 같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흡착식 차량용 거치대를 차창 유리에 고정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흡착판을 차창 유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흡착판을 차창 유리로부터 당기도록 피벗식 레버를 피벗 동작시키거나 회전식 레버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흡착판과 차창 유리 사이에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어 흡착판이 차창 유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흡착식 차량용 거치대를 차창 유리로부터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는 흡착판을 차창 유리로부터 당겨진 상태로부터 풀도록 피벗식 레버를 피벗 동작시키거나 회전식 레버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흡착판과 차창 유리 사이에 진공흡착력이 해제되어 흡착판이 차창 유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흡착식 차량용 거치대에 따르면, 사용자는 흡착판을 차창 유리에 대해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해 피벗식 레버를 피벗 동작시키거나 회전식 레버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고 사용에도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터치 방식으로 차창 유리나 대시보드 등에 대해 고정 또는 분리시켜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는 흡착 바디와, 흡착 바디의 외측에 연결된 그립 헤드를 포함한다. 흡착 바디는 흡착판과, 바디 하우징과, 가동 축과, 캠 부재와, 지지 부재, 및 푸시 버튼을 포함한다. 바디 하우징은 흡착판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수용 홈이 형성되며, 하부 개구된 가장자리가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가동 축은 흡착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승강 동작하며, 바디 하우징의 수용 홈을 관통해서 삽입된다. 캠 부재는 수용 홈 내에서 가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각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동 돌기들을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수용 홈 내에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 중공을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가동 돌기들을 지지하는 해제 유지턱들이 배열된다. 푸시 버튼은 지지 부재의 원형 중공 내에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동작하고, 외주면을 따라 해제 유지턱들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어 지지 부재에 의해 승강 안내되는 흡착 유지턱들을 구비하며, 승강 동작할 때마다 가동 돌기들을 흡착 유지턱들과 해제 유지턱들로 교번해서 이동시키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된 푸시 돌기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원터치 방식으로 푸시 버튼을 눌러서 흡착 바디를 차창 유리나 대시보드 등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착 바디를 차창 유리나 대시보드 등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때,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고 비교적 작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그립 헤드에 전자기기를 손쉽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흡착 바디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푸시 버튼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흡착 바디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그립 헤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그립 헤드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거치대를 다른 위치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 볼 조인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흡착 바디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푸시 버튼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거치대(1000)는 차창 유리에 진공 흡착력에 의해 흡착되거나 해제되는 흡착 바디(100)와, 흡착 바디(100)의 외측에 연결되어 각종 전자기기를 파지하거나 해지하는 그립 헤드(200)를 포함한다. 흡착 바디(100)는 차량의 대시보드 등에도 흡착되거나 해제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흡착 바디(100)가 차창 유리에 흡착되거나 해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흡착 바디(100)는 흡착판(110)과, 바디 하우징(120)과, 가동 축(130)과, 캠 부재(140)와, 지지 부재(150) 및, 푸시 버튼(160)을 포함한다.
흡착판(110)은 차창 유리에 대해 흡착된다. 흡착판(110)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판(110)은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착판(110)은 가장자리에 분리손잡이(111)가 연결될 수 있다. 흡착판(110)이 차창 유리로부터 흡착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분리손잡이(111)를 잡아서 흡착판(110)을 차창 유리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바디 하우징(120)은 흡착판(110)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수용 홈(121)이 형성된다. 수용 홈(121)은 바디 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원형 홈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하우징(120)은 내부 공간을 갖는다. 바디 하우징(120)은 하부 개구된 가장자리가 흡착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흡착판(110)의 중앙 부위가 당겨질 때 흡착판(110)의 가장자리가 바디 하우징(120)의 하부 가장자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바디 하우징(120)은 상부가 절단된 원추 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하우징(120)은 상부가 경사진 형태로 절단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바디 하우징(120)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동 축(130)은 흡착판(110)의 중앙에 고정되어 승강 동작한다. 이에 따라 가동 축(130)이 승강 동작함에 따라 흡착판(110)이 승강할 수 있다. 가동 축(130)은 바디 하우징(120)의 수용 홈(121)을 관통해서 삽입된다. 가동 축(130)의 외주면에는 회전방지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121)의 저부에는 회전방지 돌기들이 각각 끼워지는 회전방지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축(130)은 회전 없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규제될 수 있다.
캠 부재(140)는 수용 홈(121) 내에서 가동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컨대, 이탈방지 핀(131)이 캠 부재(140)의 상부로부터 캠 부재(140)를 관통해서 가동 축(130)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캠 부재(140)는 가동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140)는 가동 축(130)과 함께 승강 동작한다. 캠 부재(140)는 제1 탄성부재(146)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제1 탄성부재(146)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은 중앙 부위에 가동 축(130)이 끼워지고 압축된 상태로 하단이 수용 홈(121)의 저면에 지지되고 상단이 캠 부재(140)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캠 부재(140)는 가동 돌기(141)들을 구비한다. 가동 돌기(141)들은 캠 부재(14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각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가동 돌기(141)의 경사면은 캠 부재(140)의 외주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동 돌기(141)들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수용 홈(121) 내에 고정된다. 예컨대, 지지 부재(150)는 외주면에 고정 홈(15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홈(121)은 내벽에 고정 홈(151)들에 각각 끼워져 지지 부재(150)를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탄성 고정편(12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고정편(122)은 좌우측 및 하측이 수용 홈(121)의 내벽으로부터 절개되고, 자유단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고정 홈(151)에 끼워져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상하로 관통된 원형 중공을 갖는다. 지지 부재(150)는 내주면을 따라 가동 돌기(141)들을 지지하는 해제 유지턱(152)들이 배열된다. 해제 유지턱(152)들은 가동 돌기(141)들과 동일한 피치로 이루어진다. 가동 돌기(141)들이 이동해서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 유지턱(152)들과 맞닿게 되면, 흡착판(110)은 해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해제 유지턱(152)들의 각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해제 유지턱(152)의 하단 경사면은 가동 돌기(141)의 상단 경사면과 각각 동일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돌기(141)들이 이동해서 해제 유지턱(152)들로 진입한 후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 가동 돌기(141)들은 각 경사면이 해제 유지턱(152)들의 각 경사면을 따라 이동해서 해제 유지턱(152)들에 안착될 수 있다. 해제 유지턱(152)들 사이에는 경사턱(15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경사턱(153)들은 가동 돌기(141)들이 해제 유지턱(152)들로부터 벗어나서 흡착 유지턱(161)들로 진입할 때 가동 돌기(141)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푸시 버튼(160)은 지지 부재(150)의 원형 중공 내에 제2 탄성부재(166)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동작한다. 사용자가 푸시 버튼(160)에 힘을 가해 푸시 버튼(160)을 하강시키면 제2 탄성부재(166)가 변형된다. 이후, 사용자가 푸시 버튼(16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푸시 버튼(160)은 제2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해서 복원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66)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코일스프링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 또는 복원되도록 배치되며, 상단이 푸시 버튼(160)의 하면에 지지되고 하단이 캠 부재(1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푸시 버튼(160)은 외주면을 따라 해제 유지턱(152)들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는 흡착 유지턱(161)들을 구비한다. 흡착 유지턱(161)들은 푸시 버튼(160)이 최대로 상승해 있을 때, 해제 유지턱(152)들보다 각각 높게 위치된다. 가동 돌기(141)들이 이동해서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흡착 유지턱(161)들과 맞닿게 되면, 흡착판(110)은 흡착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흡착 유지턱(161)들의 각 하단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흡착 유지턱(161)의 하단 경사면은 가동 돌기(141)의 상단 경사면과 각각 동일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돌기(141)들이 이동해서 경사턱(153)들의 안내를 받아 흡착 유지턱(161)들로 진입한 후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면, 가동 돌기(141)들은 각 경사면이 흡착 유지턱(161)들의 각 경사면을 따라 이동해서 흡착 유지턱(161)들에 안착될 수 있다.
흡착 유지턱(161)들은 지지 부재(150)에 의해 승강 안내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부재(150)는 하단에 흡착 유지턱(161)들을 끼워 승강 안내하는 안내 홈(154)들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 버튼(160)은 지지 부재(150)에 의해 승강 동작이 안내될 수 있다. 안내 홈(154)들의 각 상단 높이는 푸시 버튼(160)이 지지 부재(15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푸시 버튼(160)은 승강 동작할 때마다 가동 돌기(141)들을 흡착 유지턱(161)들과 해제 유지턱(152)들로 교번해서 이동시키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푸시 돌기(162)들이 배열된다. 푸시 돌기(162)들은 흡착 유지턱(161)들과 해제 유지턱(152)들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푸시 돌기(162)들은 푸시 버튼(160)의 하단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각각 역삼각형으로 돌출되되, 푸시 버튼(16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돌기(162)는 2개의 경사면들이 하측에서 모아져 뾰족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푸시 돌기(162)의 뾰족한 부위는 가동 돌기(141)의 중앙에 대응될 수 있다. 푸시 돌기(162)는 한쪽 경사면이 가동 돌기(141)의 상단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전술한 흡착 바디(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캠 부재(140)와, 지지 부재(150), 및 푸시 버튼(160)을 평면 상에 펼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흡착판(110)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캠 부재(140)의 가동 돌기(141)들은 지지 부재(150)의 해제 유지턱(152)들에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착판(110)을 차창 유리에 접촉시킨 후, 푸시 버튼(160)을 누른다. 그러면, 푸시 돌기(162)들은 하강하면서 가동 돌기(141)들의 각 경사면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가동 돌기(141)들은 하강함과 동시에 지지 부재(15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제 유지턱(152)들로부터 벗어난다. 이후, 사용자가 푸시 버튼(160)을 누른 상태에서 떼게 되면, 푸시 버튼(160)은 제2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 돌기(141)들은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해서 경사턱(153)들의 안내를 받아 푸시 버튼(160)의 흡착 유지턱(161)들로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가동 돌기(141)들은 각 경사면이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흡착 유지턱(161)들의 각 경사면을 따라 이동해서 흡착 유지턱(161)들에 안착된다. 그 결과, 캠 부재(140)가 상승해서 위치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 축(130)이 캠 부재(140)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흡착판(110)은 차창 유리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동 축(130)에 의해 중앙 부위가 당겨져 흡착 위치로 놓이게 된다. 따라서, 흡착판(110)과 차창 유리 사이에 진공흡착력이 발생되어 흡착판(110)이 차창 유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흡착판(110)이 흡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 버튼(160)을 누르면, 푸시 돌기(162)들과 흡착 유지턱(161)들이 하강하면서 가동 돌기(141)들의 각 경사면을 누르게 된다. 그러면, 가동 돌기(141)들은 하강함과 동시에 지지 부재(15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흡착 유지턱(161)들로부터 벗어난 후,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해서 해제 유지턱(152)들로 진입하게 된다.
이어서, 가동 돌기(141)들은 각 경사면이 제1 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해제 유지턱(152)들의 각 경사면을 따라 이동해서 해제 유지턱(152)들에 안착된다. 그 결과, 캠 부재(140)가 하강해서 위치된다. 이 과정에서, 가동 축(130)이 캠 부재(140)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흡착판(110)은 당겨진 상태로부터 가동 축(130)에 의해 해제되어 차창 유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푸시 버튼(160)을 한번씩 누를 때마다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캠 부재(140)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터치 방식으로 흡착 바디(100)를 차창 유리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착 바디(100)를 차창 유리에 고정 또는 분리시킬 때, 사용 편의성이 높아지고 비교적 작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한편, 그립 헤드(200)는 이동 그립(210)과, 고정 그립(220), 및 그립용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함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 그립(210)은 이동 그립 몸체부(211)와, 이동 그립 몸체부(211)의 한쪽 단부로부터 굽어져 연장된 이동 절곡부(212)를 구비한다. 고정 그립(220)은 바디 하우징(120)의 외측에 연결된다. 고정 그립(220)은 이동 그립 몸체부(211)를 한쪽 단부를 통해 내부로 인입한 상태에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그립 몸체부(221)와,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이동 절곡부(212)와 마주하도록 굽어져 연장된 고정 절곡부(222)를 구비한다.
이동 절곡부(212)는 자유단에 고정 절곡부(222)를 향해 돌출된 걸림 턱(212a)이 형성되며, 고정 절곡부(222)는 자유단에 이동 절곡부(212)를 향해 돌출된 걸림 턱(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그립(210)과 고정 그립(220)이 전자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걸림 턱들(212a)(222a)은 전자기기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절곡부(212)와 고정 절곡부(222)는 서로 마주하는 면에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립용 탄성부재(230)는 이동 그립 몸체부(211)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그립 몸체부(211)에 탄성력을 가한다. 그립용 탄성부재(23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먼저, 그립 헤드(200)에 전자기기를 파지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그립(210)을 잡아서 이동 그립 몸체부(211)를 고정 그립 몸체부(221)로부터 인출시켜 고정 절곡부(222)와 이동 절곡부(212)의 간격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 절곡부(222)와 이동 절곡부(212) 사이로 전자기기를 삽입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이동 그립(210)을 잡은 상태에서 떼게 되면, 이동 그립 몸체부(211)는 그립용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그립 몸체부(221)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고정 절곡부(222)가 전자기기의 한쪽 부위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 절곡부(212)는 그립용 탄성부재(230)에 의해 전자기기의 반대쪽 부위로 이동해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기기는 고정 그립(220)과 이동 그립(210) 사이에 파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립 헤드(200)로부터 전자기기를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그립(210)을 잡아서 이동 그립 몸체부(211)를 고정 그립 몸체부(221)로부터 인출시켜 고정 절곡부(222)와 이동 절곡부(212)의 간격을 넓힌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고정 절곡부(222)와 이동 절곡부(212) 사이로부터 전자기기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그립 헤드(200)에 전자기기를 손쉽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그립용 탄성부재(230)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선형 스프링은 내측 단부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 단부가 이동 그립 몸체부(211)에 고정된다. 나선형 스프링은 이동 그립 몸체부(211)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풀리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동 그립 몸체부(211)는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나선형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나선형 스프링은 내측 단부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스프링 지지축(223)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축(223)은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폭 방향에 나란히 배치되어 고정 그립 몸체부(2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그립 몸체부(211)는 랙 기어(213)를 구비하고, 고정 그립 몸체부(221)는 피니언 기어(224)를 구비할 수 있다. 랙 기어(213)는 이동 그립 몸체부(211)의 인출입 방향을 따라 기어 치들이 배열된 상태로 이동 그립 몸체부(211)에 고정된다. 피니언 기어(224)는 랙 기어(213)와 치합된 상태로 고정 그립 몸체부(2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 그립 몸체부(211)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에 대해 인출입될 때, 랙 기어(213)는 피니언 기어(224)의 안내를 받아 이동 그립 몸체부(21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그립 몸체부(211)는 고정 그립 몸체부(221)에 대해 안정되게 인출입 안내될 수 있다. 고정 그립 몸체부(221) 내에는 스토퍼들이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들은 이동 그립 몸체부(211)가 고정 그립 몸체부(221)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헤드(200)는 흡착 바디(100)에 대해 자유로운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볼 조인트(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볼 조인트(300)는 로드(310)와, 볼 부재(320)와, 소켓(330), 및 고정해제 노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310)는 바디 하우징(120)의 외측에 고정된다. 로드(310)는 바디 하우징(12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볼 부재(320)는 로드(310)의 자유단에 고정된다. 소켓(330)은 고정 그립 몸체부(221)의 외측에 고정된다. 소켓(330)은 자유단으로부터 각각 절개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절개 홈들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져 볼 부재(320)를 수납할 수 있다. 소켓(330)은 절개 홈들 사이에 절개 편들을 갖는다. 고정해제 노브(340)는 소켓(330)을 감싼 상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해제 노브(340)는 내주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절개 편들을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볼 부재(320)는 소켓(330)에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볼 조인트(300)는 그립 헤드(200)를 흡착 바디(100)에 대해 구면 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립 헤드(200)에 전자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조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흡착 바디 110..흡착판
120..바디 하우징 130..가동 축
140..캠 부재 141..가동 돌기
150..지지 부재 152..해제 유지턱
160..푸시 버튼 161..흡착 유지턱
162..푸시 돌기 200..그립 헤드
210..이동 그립 220..고정 그립
230..그립용 탄성부재 300..볼 조인트

Claims (5)

  1. 흡착 바디와, 상기 흡착 바디의 외측에 연결된 그립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 바디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이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수용 홈이 형성되며, 하부 개구된 가장자리가 상기 흡착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바디 하우징;
    상기 흡착판의 중앙에 고정되어 승강 동작하며, 상기 바디 하우징의 수용 홈을 관통해서 삽입되는 가동 축;
    상기 수용 홈 내에서 상기 가동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되고 각 상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가동 돌기들을 구비하는 캠 부재;
    상기 수용 홈 내에 고정되고, 상하로 관통된 원형 중공을 가지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동 돌기들을 지지하는 해제 유지턱들이 배열된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원형 중공 내에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승강 동작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해제 유지턱들 사이에 하나씩 배치되어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승강 안내되는 흡착 유지턱들을 구비하며, 승강 동작할 때마다 상기 가동 돌기들을 상기 흡착 유지턱들과 해제 유지턱들로 교번해서 이동시키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피치로 배열된 푸시 돌기들을 구비하는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하단에 상기 흡착 유지턱들을 끼워 상기 푸시 버튼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안내 홈들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고정 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홈은 내벽에 상기 고정 홈들에 각각 끼워져 상기 지지 부재를 탄성력으로 고정하는 탄성 고정편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헤드는,
    이동 그립 몸체부와,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의 한쪽 단부로부터 굽어져 연장된 이동 절곡부를 구비하는 이동 그립;
    상기 바디 하우징의 외측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를 한쪽 단부를 통해 내부로 인입한 상태에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그립 몸체부와, 상기 고정 그립 몸체부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절곡부와 마주하도록 굽어져 연장된 고정 절곡부를 구비하는 고정 그립; 및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가 상기 고정 그립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그립용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의 인출입 방향을 따라 기어 치들이 배열된 상태로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에 고정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 그립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용 탄성부재는,
    내측 단부가 상기 고정 그립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측 단부가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그립 몸체부가 상기 고정 그립 몸체부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풀리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1020140070308A 2014-06-10 2014-06-10 차량용 거치대 KR10157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8A KR101575799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8A KR101575799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99B1 true KR101575799B1 (ko) 2015-12-08

Family

ID=5487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08A KR101575799B1 (ko) 2014-06-10 2014-06-10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7-04 정선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20210102702A (ko) 2020-02-12 2021-08-20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41Y1 (ko) 2006-06-20 2006-08-28 정순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101025432B1 (ko) 2010-12-20 2011-03-28 이동엽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041Y1 (ko) 2006-06-20 2006-08-28 정순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101025432B1 (ko) 2010-12-20 2011-03-28 이동엽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7-04 정선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20210102702A (ko) 2020-02-12 2021-08-20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차량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2400B2 (en) Vent blade device mounting assembly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8899649B2 (en) Clamping device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US8567739B2 (en)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
US8740161B2 (en) Holder
KR101542196B1 (ko)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KR101025432B1 (ko)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US10139865B2 (en) Apparatus holding structure
KR101575799B1 (ko) 차량용 거치대
JP2015229439A (ja) 電子機器の保持装置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TW201228861A (en) A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216280262U (zh) 电子设备支架
CN212900483U (zh) 一种夹持装置
KR1013085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CN212745924U (zh) 手持云台相机的收纳组件和设备组件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CN210183389U (zh) 夹持支架
CN208314336U (zh) 一种夹持装置及vr设备
KR101468643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