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196B1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196B1 KR101542196B1 KR1020140014272A KR20140014272A KR101542196B1 KR 101542196 B1 KR101542196 B1 KR 101542196B1 KR 1020140014272 A KR1020140014272 A KR 1020140014272A KR 20140014272 A KR20140014272 A KR 20140014272A KR 101542196 B1 KR101542196 B1 KR 1015421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ry gear
- portable device
- main body
- gear
- join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37 restrainer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liding ja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의 홀더는,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와, 본체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용 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회전유닛은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기어와, 회전 기어를 가압하여 회전 기어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되, 회전 기어는 측면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고, 구속부는 상기 회전 기어의 측면과 접촉되는 푸시볼과, 푸시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푸시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는 차량용 네비게이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장치가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기능이 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의 다양한 액세서리 산업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크래들은 차량 운전 또는 학업이나 업무 중 휴대용 기기를 보관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용 기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크래들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용 기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휴대용 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어는 측면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 기어의 측면과 접촉되는 푸시볼과, 상기 푸시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푸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기술에 의하면, 회전 기어와, 회전 기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회전유닛을 통해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의 회전을 원활하게 구속 및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홀딩유닛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래들의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홀딩유닛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요소들의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은 받침대(10)와, 받침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홀더(20)를 포함한다.
받침대(10)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하부에 고정된 흡착판(130)과, 흡착판(130)을 가압하여 받침대(10)를 자동차의 대시 보드 또는 유리창과, 사무실의 책상 등에 고정하기 위한 레버(12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상부에는 홀더(20)의 조인트부(215)에 연결되는 볼(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받침대(10)와 홀더(20)는 볼 조인트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20)는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210)와, 본체(210)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용 기기를 홀딩시키는 홀딩유닛(220)과, 홀딩유닛(220)에 홀딩되어 있는 휴대용 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230)을 포함한다.
본체(210)는 제1커버(211) 및 제2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제1커버(211) 및 제2커버(213)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커버(211) 및 제2커버(213)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홀딩유닛(220) 및 회전유닛(2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 후술한다.
홀딩유닛(220)은 제1홀딩암(221)과, 제2홀딩암(223)과, 푸시 버튼(225) 및 탄성부재(227)를 포함한다.
제1홀딩암(221)은 제1커버(211)의 외면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딩암(211)은 제1커버(2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휴대용 기기와 접하는 내면에는 완충부재(221a)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홀딩암(223)은 제1커버(211)의 외면 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홀딩암(223)은 제1홀딩암(221)과 대응되는 그립부(2231)와, 이 그립부(223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본체(2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부(2233)를 포함한다.
그립부(2231)는 제1홀딩암과 마찬가지로 제1커버(211)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그립부(2231)에는 제1홀딩암(221)과 마찬가지로 완충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2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립부(2231)로부터 연장되되 제1커버(2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버(211)의 외면 타측에는 슬라이딩부(2233)가 제1커버(2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의 슬라이딩부(2233)는 한 쌍의 핑거부재(2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핑거부재(2234)는 제1커버(211)의 내측에서 탄성부재(227)에 의해 각각 탄성 지지된다. 이를 위해 각 핑거부재(2234)의 자유단부에는 탄성부재(227)와 접하는 가압부재(223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핑거부재(2234)는 이 각 핑거부재(2234)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푸시 버튼(227)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의 거리는 후술할 푸시 버튼(225)의 플레이트부재(2251)와 대응되는 제1간격(G1,도 3a 참조)과, 후술할 푸시 버튼(225)의 돌출부재(2253)와 대응되는 제2간격(G2,도 3a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또, 각 핑거부재(2234)는 후술할 회전 기어(231)의 상면에 형성되는 스토퍼(2311)에 의해 본체(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푸시 버튼(2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부재(2234)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푸시 버튼(225)은 플레이트부재(2251)와, 이 플레이트부재(225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재(225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재(2251)는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의 제1간격(G1,도 3a 참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부재(2251)의 하측에는 푸시 버튼(225)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255)가 설치된다.
돌출부재(2253)는 플레이트부재(2251) 보다 적은 폭은 갖는다. 즉, 돌출부재(2253)는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의 제2간격(G2,도 3a 참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재(2253)는 제1커버(211)에 형성되는 관통홀(212)을 통해 제1커버(2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홀딩유닛(22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제2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홀딩유닛(220)의 초기 상태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부재(2234)가 본체(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에 푸시 버튼(225)의 돌출부재(2253)만이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홀딩암(223)을 외측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핑거부재(2234)의 가압부재(2234a)가 각 탄성부재(227)를 가압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과정을 지속하면 한 쌍의 핑거부재(2234)의 사이에서 푸시 버튼(225)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부연하면,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에 푸시 버튼(225)의 돌출부재(2253)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의 과정을 지속하면 푸시 버튼(225)의 플레이트부재(2251)가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의 제1간격(G1)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부재(2251)가 한 쌍의 핑거부재(2234) 사이의 제1간격(G1)에 위치되면, 탄성부재(2255)에 의해 푸시 버튼(225)이 상승되어 제1커버(211)의 관통홀(212)에 돌출부재(2253)가 관통된다. 동시에 회전 기어(231) 상면의 스토퍼(2311)에 의해 제2홀딩암(223)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다음으로, 휴대용 기기를 제1커버(211)의 전면에 안착시키면, 휴대용 기기로 인해 돌출부재(2253)가 가압되어 푸시 버튼(225)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푸시 버튼(225)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탄성부재(227)의 탄성력에 의해 제2홀딩암(223)이 휴대용 기기를 홀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유닛(230)은 회전 기어(231)와, 회전 기어(23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35)와, 회전 기어(231)의 측면을 가압하여 회전 기어(231)의 자유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233)를 포함한다.
회전 기어(231)는 측면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며, 제1커버(211)에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2커버(213)에 형성된 수용부(214)에 수용된다.
여기서, 회전 기어(231)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2커버(213)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커버(213)는 회전 기어(231)가 수용되는 수용부(214)가 형성된다. 수용부(214)는 제2커버(213)의 바닥면으로부터 환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213)의 일측에는 받침대(10)의 볼(미도시)이 연결되는 제1조인트부(2151)와 제2조인트부(2153)를 포함하는 조인트부(215)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조인트부(2151)와 제2조인트부(2153) 각각에는 반구 형상의 볼수용부가 형성되며, 제1,2조인트부(2151,2153)의 결합을 통해 원활하게 볼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탈방지부(235)는 수용부(214)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 기어(23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35)는 제2커버(213)의 수용부(214)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이탈방지부재(2351)와, 제2조인트부(2153)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이탈방지부재(2353)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2155는 제2조인트부(2153)에 장착되는 완충부재이다.
제1이탈방지부재(2351)는 수용부(214)에 회전 기어(231)가 수용될 때 회전 기어(231)의 상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탈방지부재(2351)는 하나의 개수로 마련되었는데,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2이탈방지부재(2353)는 제2조인트부(2153)가 제1조인트부(2151)에 결합될 때 수용부(214)에 수용된 회전 기어(231)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이탈방지부재(2351)와 제2이탈방지부재(2353)는 수용부(214)에 수용된 회전 기어(231)를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속부(233)는 수용부(214)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 기어(231)의 자유회전을 구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본체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속부(233)는 푸시볼(2331)과, 탄성부재(2333)와, 푸시핀(2335)을 포함한다. 푸시볼(2331)과 탄성부재(2333)는 제1조인트부(2151)에 형성되는 관통홀(2152)에 배치된다. 관통홀(2152)은 제1조인트부(2151)에서 수용부(214)에 수용된 회전 기어(231)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되, 회전 기어(231)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푸시핀(2335)은 제2조인트부(2153)에 형성되되, 제1조인트부(2151)의 관통홀(2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의 회전유닛(230)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유닛(230)의 초기 상태는 회전 기어(231)가 제2커버(213)의 수용부(214)에 수용된 상태에서 푸시볼(2331)에 의해 측면 가압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회전 기어(231)는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커버(211)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커버(211)에 결합된 상태의 회전 기어(231)는 수용부(214)에 수용된다. 동시에 회전 기어(231)는 이탈방지부(235)에 의해 수용부(214)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푸시볼(2331)은 푸시핀(2335)이 탄성부재(2333)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시 회전 기어(231)의 측면을 가압한다. 부연하면, 탄성부재(2333)에 의해 가압된 푸시볼(2331)은 회전기어(231)의 이홈(Tooth space)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기어(231)가 결합되어 있는 제1커버(211)를 회전시키면, 회전 기어(231)가 연동된다. 동시에 탄성부재(2333)에 의해 가압된 푸시볼(2331)은 회전 기어(231)의 이(Gear tooth) 및 이홈과 반복적으로 접촉된다.
상기의 푸시볼(2331)은 회전 기어(231)의 회전 시 회전 기어(231)의 이와 접촉될 경우 푸시볼(2331)이 회전 기어(23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회전 기어(231)의 이홈과 접촉될 경우 다시 탄성부재(2333)에 의해 회전 기어(231)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 각도로 제1커버(211)의 회전이 완료되면, 탄성부재(2333)에 의해 가압된 푸시볼(2331)이 회전 기어(231)의 이홈에 위치되어 회전 기어(231)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용부(214)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 기어(231)의 측면을 푸시볼(2331)이 상시 가압함에 따라, 푸시볼(2331)이 회전 기어(231)의 이홈에 위치되어 회전 기어(231)의 자유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제1커버(211)를 회전시킬 경우 푸시볼(2331)이 회전 기어(231)의 측면(이와 이홈)을 반복적으로 접촉되되 탄성부재(2333)에 의해 탄성 지지됨에 따라 회전 기어(231)가 원활하게 자유 회전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전유닛(230)을 통해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10)의 회전을 원활하게 구속 및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크래들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휴대용 기기를 홀딩시키는 홀딩유닛과, 상기 홀딩유닛에 의해 홀딩된 상기 휴대용 기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어는 측면 둘레를 따라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 기어의 구속 시 상기 회전 기어의 이홈에 접촉하고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 시 상기 회전 기어의 이와 이홈을 반복적으로 접촉하는 푸시볼과, 상기 푸시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푸시핀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회전 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홀딩유닛이 설치된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에 결합된 상기 회전 기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갖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푸시볼이 배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 기어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일측은 상기 회전 기어의 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핀은 상기 관통홀의 타측을 통해 상기 관통홀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홀더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대에 마련되는 볼이 연결되는 조인트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와 결합되는 제2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조인트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핀은 상기 제2조인트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회전 기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2조인트부의 상단에서 상기 회전 기어 측으로 연장되는 제2이탈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4272A KR101542196B1 (ko) | 2014-02-07 | 2014-02-07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US14/277,431 US9416814B2 (en) | 2014-02-07 | 2014-05-14 |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4272A KR101542196B1 (ko) | 2014-02-07 | 2014-02-07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42196B1 true KR101542196B1 (ko) | 2015-08-05 |
Family
ID=5377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4272A KR101542196B1 (ko) | 2014-02-07 | 2014-02-07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416814B2 (ko) |
KR (1) | KR10154219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65646S1 (en) * | 2015-02-04 | 2016-09-06 | E. Mishan & Sons, Inc. | Smart phone holder for air vent |
USD822667S1 (en) * | 2016-11-21 | 2018-07-10 | Roe Visual Co., Ltd. | Connector |
USD822668S1 (en) * | 2016-11-21 | 2018-07-10 | Roe Visual Co., Ltd. | Connector |
USD822666S1 (en) * | 2016-11-21 | 2018-07-10 | Roe Visual Co., Ltd. | Connector |
US10422466B2 (en) | 2016-11-30 | 2019-09-24 | Suc-It, Ll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and related method |
CN107420702A (zh) * | 2017-09-06 | 2017-12-01 |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 一种夹持机构及手持稳定器 |
US10653018B2 (en) | 2017-10-16 | 2020-05-12 | 360 Electrical, L.L.C. | Independently powered interactive device holder |
USD872026S1 (en) * | 2018-10-15 | 2020-01-07 | 360 Electrical, L.L.C. | Interactive device holder |
USD908112S1 (en) | 2018-10-15 | 2021-01-19 | 360 Electrical, L.L.C. | Interactive device holder |
USD908113S1 (en) | 2018-10-15 | 2021-01-19 | 360 Electrical, L.L.C. | Interactive device holder |
CN209299346U (zh) * | 2019-03-22 | 2019-08-23 | 程干华 | 一种手机及平板电脑保护外壳 |
CN212305409U (zh) * | 2020-06-20 | 2021-01-05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手机支架锁紧机构及手机支架 |
US11837819B2 (en) | 2020-10-01 | 2023-12-05 | 360 Electrical, L.L.C. | Receptacle head for power extension cord |
USD983145S1 (en) | 2020-10-01 | 2023-04-11 | 360 Electrical, L.L.C. | Receptacle head for power extension cor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701Y1 (ko) | 2001-03-20 | 2001-10-08 | 황해주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53839A (en) * | 1989-09-28 | 1990-09-04 | Chern Sen Kuen | Vise |
US6944294B2 (en) * | 2002-11-13 | 2005-09-13 | Wen-Feng Tsay | Mobile phone hand-free holder |
KR20040074817A (ko) | 2003-02-19 | 2004-08-26 |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
US7158092B2 (en) * | 2005-01-31 | 2007-01-02 | Vincent Shen | Cellular phone holder |
KR100870641B1 (ko) | 2006-11-01 | 2008-11-26 | 승리통신(주) | 핸즈프리 거치대 |
KR100796468B1 (ko) | 2006-11-13 | 2008-01-21 | (주)대우루컴즈 | 네비게이션용 거치대 |
CN101746324A (zh) * | 2008-12-22 | 2010-06-23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仪器底座 |
TWM395337U (en) * | 2010-08-02 | 2010-12-21 | Ming-Hsien Huang | Clamping device |
KR101252095B1 (ko) | 2011-03-18 | 2013-04-12 | 여영규 |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
CN103857862B (zh) * | 2011-08-09 | 2017-08-22 | 康普凯奇国际股份有限公司 | 电子设备固定装置 |
WO2013056115A1 (en) * | 2011-10-14 | 2013-04-18 | Ergotron, Inc. |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
US8469325B2 (en) * | 2011-10-26 | 2013-06-25 | Tsung-Yao Yu |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n angle adjustment function |
CN103133830A (zh) * | 2011-11-25 | 2013-06-05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夹持组件及应用该夹持组件的支撑装置 |
US8727192B2 (en) * | 2011-12-07 | 2014-05-20 | Chin-I Lai | Handset holder |
TWI441997B (zh) * | 2012-02-15 | 2014-06-21 | Primax Electronics Ltd | 夾持裝置 |
TWM471529U (zh) * | 2013-09-02 | 2014-02-01 | Ming-Hsien Huang | 夾持模組 |
-
2014
- 2014-02-07 KR KR1020140014272A patent/KR1015421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5-14 US US14/277,431 patent/US941681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701Y1 (ko) | 2001-03-20 | 2001-10-08 | 황해주 |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416814B2 (en) | 2016-08-16 |
US20150230351A1 (en) | 2015-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196B1 (ko) |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 |
CN109196265B (zh) | 用于可调节电子装置保持器的系统和方法 | |
US9651069B2 (en) |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 |
US10554799B2 (en) |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 |
KR200483203Y1 (ko) |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 |
US9439542B2 (en) | Vertical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chanism for toilet seat | |
US9267518B2 (en) | Holder mechanism | |
US9223356B2 (en) | Electronic device | |
TWI398583B (zh) | 樞轉裝置 | |
US7992254B2 (en) | Caster device | |
US20170327054A1 (en) | Multifunctional stand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8121756A (ja) | 吸盤装置 | |
KR20140005297U (ko) | 휴대폰 홀더 | |
KR20150003844U (ko) | 용기 | |
KR101650766B1 (ko) | 마운팅 부재 | |
KR101726179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링 | |
US9133977B2 (en) | Support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rotary electronic system | |
JP6173401B2 (ja) | 電子機器 | |
JP3140982U (ja) | ソケット | |
KR200447210Y1 (ko) | 휴대용 기기 거치대 | |
KR200484442Y1 (ko) |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 |
JP6605560B2 (ja) | 複合操作スイッチ並びにこの複合操作スイッチを用いた操作盤 | |
KR101575799B1 (ko) | 차량용 거치대 | |
KR101662686B1 (ko) | 원터치 노크식 흡착판 | |
KR101756172B1 (ko) | 마운팅 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