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172B1 - 마운팅 부재 - Google Patents

마운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172B1
KR101756172B1 KR1020160101056A KR20160101056A KR101756172B1 KR 101756172 B1 KR101756172 B1 KR 101756172B1 KR 1020160101056 A KR1020160101056 A KR 1020160101056A KR 20160101056 A KR20160101056 A KR 20160101056A KR 101756172 B1 KR101756172 B1 KR 101756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mounting member
loop
portable device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877A (ko
Inventor
장진태
Original Assignee
장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태 filed Critical 장진태
Priority to KR102016010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1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및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운팅 부재{MOUNTING MEMBER}
본 발명은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체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대체로 손으로 파지하여 이용하지만 장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경우에 따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차량, 자전거, 셀카봉 등)에 고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집게 방식 또는 스프링 탄성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집게 방식의 단점은 휴대용 기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집게 구조가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는 경황에 따라 상기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 또한 그 크기가 비례하여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는 운전중 시야 확보에도 매우 방해가 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차량의 대시 보드를 넓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들의 대부분은 스프링으로 휴대용 기기를 파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자동차 또는 자전거 운행 중 요철이나 사진 촬영 중 충격 등에 스프링 구조의 탄성력 때문에 휴대용 기기를 잡고 있는 집게로부터 이탈하여 고가의 스마트기기의 낙하로 파손의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견고하게 대상체 상에 장착할 수 있는 마운팅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및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 및 상기 가압부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측벽에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를 눌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프레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스크류 구조 또는 레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측벽에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고정하여 상기 고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가압부를 관통하며 상기 고리의 내측과 컨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리의 내측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슬롯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 단부에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버튼이 형성된 푸시부, 상기 푸시부의 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상기 고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후크 및 상기 후크에 인접하며 상기 푸시부와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후크를 상기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면을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부징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하판 및 상기 베이스 하판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되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슬롯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측벽에 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리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며 나아가 상기 가압부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스부는 상기 가압부를 프레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압부가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상기 수용홈 내에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부재는 이탈 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고정하여 상기 고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을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b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를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및 가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부재(100)는 휴대용 기기(10)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25)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예로는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태블릿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예로는 거치대, 플레이트, 차량용 대시 보드, 셀카봉,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핸들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의 일 예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2013.04.12.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0554호의 명세서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는 고리(25)를 갖고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하면은 상기 대상체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고리(25)가 마운팅 부재(100)에 체결될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측벽, 상부 또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모따기가 형성된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수직 방향으로 수용홈(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25)에는 상기 고리(2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수평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5)은 상기 고리(25)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홈(125)에 상기 고리(25)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내부, 예를 들면 측벽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에 위치한 고리(25)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에 위치한 고리(25)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양 측벽들 각각에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고리(25)에 직접적으로 컨택할 경우, 상기 고리(25)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며 나아가 상기 가압부(130)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폴리아세탈, MC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아이소프렌, 폴리뷰타다이엔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고무, 폴리에테르고무 등과 같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슬롯부(120)에 형성된 수용홈(125)의 측벽에 가압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리(25)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며 나아가 상기 가압부(130)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프레스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스부(150)는 상기 몸체(1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프레스부(150)는 상기 가압부(130)를 프레싱함으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고리(25)를 상기 수용홈(125) 내에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0)는 예를 들면 스크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스부(150)는 그 단부에 손잡이부(151)를 가진다. 상기 손잡이부(151)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상기 프레스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부(130)를 프레싱하거나 이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프레스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스부(156)는 예를 들면 레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스부(156)는 레버의 회전 방식으로 이용자가 상기 프레스부(15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부(130)를 프레싱하거나 이완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이탈 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160)는 상기 몸체(110)의 측벽에서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160)는 상기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고정하여 상기 고리(25)가 상기 수용홈(1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160)는 상기 가압부(130)를 관통하며 돌출부(161)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61)는 상기 고리(25)의 내측과 접촉 또는 상기 내측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탈 방지부(160)를 누를 경우, 상기 이탈 방지부(160)에 포함된 돌출부(161)는 상기 수용홈(125)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리(25)의 내측과 컨택한다. 이로써 상기 이탈 방지부(160)는 상기 고리(25)가 상기 수용홈(1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이탈 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160)는 푸시부(165), 후크(166) 및 탄성 부재(168)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부(165)는 상기 슬롯부(120)를 둘러싸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로서 상기 푸시부(165)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시부(165)는 일 단부에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버튼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을 이용자가 누를 경우, 상기 푸시부(165)가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166)는 상기 푸시부(165)의 타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후크(166)는 상기 고리(25)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125)의 내부에 상기 고리(25)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후크(166)는 상기 푸시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168)는 상기 후크(166)에 인접하며 상기 푸시부(165)와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 부재(168)는 상기 후크(166)를 상기 수용홈(125)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리(25)가 외부로부터 상기 수용홈(125)으로 인입될 경우, 상기 푸시부(165)가 최초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168)는 압축된다. 또한 상기 고리(25)는 상기 후크(166)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고리(25)가 상기 수용홈(125)에 장착된다.
이어서, 상기 고리(25)가 상기 경사면을 지날 경우, 상기 탄성 부재(168)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푸시부(165)는 상기 최초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고리(25)는 후크(166)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리(25)가 상기 수용홈(125)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165)를 외부 힘으로 가압할 경우, 상기 푸시부(165)는 전체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크(166)가 상기 고리(25)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1을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몸체, 슬롯부 및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30)의 예로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셀카봉을 들 수 있다. 이때 셀카봉의 체결부에는 나사 산(31)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홈에 상기 나사 산(31)이 스크류 체결됨으로써 상기 마우팅 부재는 상기 대상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베이스 하우징(141) 및 접착 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은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접착 부재(143)는 상기 베이스 하부징(141)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 부재(143)의 예로는 접착 테이프 또는 자성을 이용하는 자성체를 들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베이스 하이징(141), 베이스 하판(142) 및 흡착판(14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은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 하판(142)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하판(142)은 상기 흡착판(144)이 체결될 수 있도록 돔(do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착판(144)은 상기 베이스 하판(142)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141)에 체결된다. 상기 흡착판(144)은 상기 대상체에 흡착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144)은 진공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에 흡착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체결된다. 상기 부착부(140)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145)이 형성된 클램프(146)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46)에는 상기 관통홈(145)을 따라 상기 대상체(30)가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고리를 갖는 액세서리를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용 기기 20 : 액세서리
100 : 마운팅 부재 110 : 몸체
120 : 슬롯부 125 : 수용홈
130 : 가압부 140 : 부착부
150 : 프레스부 160 : 이탈 방지부

Claims (11)

  1.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 전체를 수용하기 위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및
    상기 수용홈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리의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슬롯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를 프레싱하는 프레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스크류 구조 또는 레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출부가 상기 고리의 내측과 컨택하거나 또는 상기 고리의 내측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상기 수용홈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을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나사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하판; 및
    상기 베이스 하판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되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11.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 전체를 수용하기 위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및
    상기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출부가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이동하여 상기 고리의 내측과 접촉하거나 또는 상기 고리의 내측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고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KR1020160101056A 2016-08-09 2016-08-09 마운팅 부재 KR10175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56A KR101756172B1 (ko) 2016-08-09 2016-08-09 마운팅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56A KR101756172B1 (ko) 2016-08-09 2016-08-09 마운팅 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82A Division KR101650766B1 (ko) 2015-01-06 2015-01-06 마운팅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77A KR20160100877A (ko) 2016-08-24
KR101756172B1 true KR101756172B1 (ko) 2017-07-26

Family

ID=5688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56A KR101756172B1 (ko) 2016-08-09 2016-08-09 마운팅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229Y1 (ko) * 2017-01-05 2018-08-2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마운팅 부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39Y1 (ko) * 2005-11-29 2006-03-14 이경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39Y1 (ko) * 2005-11-29 2006-03-14 이경호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WO2014168374A1 (ko) * 2013-04-12 2014-10-16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모바일 기기의 액세서리 및 이를 갖는 모바일 기기의 차량 장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77A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1069B2 (en)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CN109196265B (zh) 用于可调节电子装置保持器的系统和方法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US20130314854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7661648B2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US82002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ejecting mechanism
US20140002971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20106237A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TWI599500B (zh) 用來固定可攜式電子裝置之固定機構及其電子設備
KR101875432B1 (ko)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US2009026248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overing lid for covering insert hole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200483925Y1 (ko) 마운팅 부재
KR200439553Y1 (ko) 휴대용 단말기 차량 거치대
KR200487229Y1 (ko) 마운팅 부재
US810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US741458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US20090304219A1 (en) Microphone assembly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microphone assembly
WO2009117865A1 (en) Sucker device for a fixing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