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17Y1 -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17Y1
KR0117617Y1 KR2019950016852U KR19950016852U KR0117617Y1 KR 0117617 Y1 KR0117617 Y1 KR 0117617Y1 KR 2019950016852 U KR2019950016852 U KR 2019950016852U KR 19950016852 U KR19950016852 U KR 19950016852U KR 0117617 Y1 KR0117617 Y1 KR 0117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radle
spring
push butto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239U (ko
Inventor
백용승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6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17Y1/ko
Publication of KR9700052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거치대에 장착할 시 걸림쇠를 구비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하고, 이탈시킬 시 이젝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푸쉬버튼을 누름으로서, 쉽게 분리되게 함으로서, 자동차가 급정거하거나 약한 충격 또는 진동에서도 영향을 받지않고 휴대장치를 고정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시에 고정하거나 휴대시에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독립적인 분리수단을 거치대내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에 걸림쇠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쇠와 일체형으로 푸쉬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는 장착부 내측양면에 노출됨과 함께 상기 푸쉬버튼은 본체 케이스 양측면 하측에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푸쉬버튼은 케이스 본체의 힌지에 의해 조립되어 케이스본체의 바깥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지지판의 걸림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단부가 반원형 판형상이고, 하단부가 원통형이며, 중간부위가 걸림돌기 및 대경부가 형성된 이젝터가 걸림돌기와 지지판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이젝터의 상단부가 안착부에 노출되어 휴대폰장착시에 지지하고, 분리시에 이탈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 차량용 거치대.

Description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할 시 걸림쇠를 구비하여 견고히 고정되게 하고, 이탈시킬 시 이젝터를 구비함과 동시에 푸쉬버튼을 누름으로서, 쉽게 분리되게 함으로서, 자동차가 급정거하거나 약한 충격 또는 진동에서도 영향을 받지않고 휴대장치를 고정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시에 고정하거나 휴대시에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독립적인 분리수단을 거치대 내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에 거림쇠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쇠와 일체형으로 푸쉬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는 장착부 내측양면에 노출됨과 함께 상기 푸쉬버튼은 본체 케이스 양측면 하측에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푸쉬버튼은 케이스 본체의 힌지에 의해 조립되어 케이스본체의 바깥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지지판의 걸림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단부가 반원형 판형상이고, 하단부가 원통형이며, 중간부위가 걸림돌기 및 대경부가 형성된 이젝터가 걸림돌기와 지지판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이젝터의 상단부가 안착부에 노출되어 휴대폰장착시에 지지하고, 분리시에 이탈시키는 힘을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를 전화기몸체에 장착상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기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일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를 전화기 몸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전화기 몸체의 단면도
제3b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를 전화기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화기몸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외곽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4의 라인 A-A의 단면도
제7a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거치대의 단면도.
제7b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거치대의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젝터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도 4의 라인 B-B의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거치대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 : 고정수단 80 : 분리수단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거치대 60은 휴대폰이 안착되는 장소로서, 케이스본체 21 내부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케이스본체21에서 휴대폰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장착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고정수단의 걸림쇠31이 장착부22 양측내면에 노출되었고, 외측 양면에 푸쉬 버튼32가 노출되었으며, 분리수단은 이젝터의 상단부 51a가 장착부 22양출 내면에 노출되게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거치대 60의 케이스내부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도 6내지 도 71a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6도는 제5도의 라인 A-A의 단면도이고,
제7a도, 제7b도는 휴대폰의 장착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고정수단 70은 걸림쇠31과, 상기 걸림쇠31과 일체형의 푸수 버튼32와, 상기 걸림쇠31과 푸쉬 버튼32를 탄지하는 토션스프링34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60의 케이스 본체21의 장착부22 양측에는 상부쪽에 걸림쇠31이 노출되게 형성되고, 그의 하단에는 'ㄷ'형의 푸쉬버튼32를 케이스 본체 21 외측양측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 21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푸쉬버튼32는 케이스본체21의 힌지33에 의해 지지된 토션스프링34에 의해 탄지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버튼 32는 항시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힘을 받는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34의 일단 34b는 지지판35의 걸림돌기 36에 의해 지지되고, 토션스프링의 타단34a는 지지판35에 형성된 고정홈36a에 고정지지된다. 이러한 걸림쇠31과 푸쉬 버튼32는 일체형으로 사출된 성형물로서, 토션스프링34에 의해 탄지되어기 때문에 푸쉬 버튼32를 화살표방향(A)로 힘을 가하면, 상기 걸림쇠31은 화살표방향(B)으로 후퇴하고, 가한 힘을 제거하면,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거치대의 고정수단의 작동을 제7a도, 제7b도를 참조하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폰40을 거치대 60에 안착시기기 위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휴대폰40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쇠가 삽입된다. 즉, 휴대폰40을 누르면, 상기 걸림쇠31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고, 계속해서 누르면, 걸림쇠31이 걸림홈에 고정된다. 이는 걸림쇠31이 텐션을 갖춘 플라스틱재질이기 때문에 가능하고, 토션스프링43에 의해 그의 탄성력을 제공받기 때문이다. 별도의 힘을 강제적으로 가하지 않는 한, 상기 휴대폰40은 거치대6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걸림쇠31은 휴대폰의 측면을 견고히 지지하고, 역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8도, 제9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거치대의 휴대폰 분리수단 80을 설명하기로 한다. 분리수단80은 이젝터50와 압축코일 스프링52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50의 상단부 51a는 반원형의 편형이고, 하단부 51b는 원통형이며, 또한 중간부위에 걸림 돌기 53 및 대경부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경부 56과 지지판 35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52가 설치되어 이젝터50가 탄지됨으로서, 휴대폰 착탈시 강기 걸림돌기53에 의해 제한적으로 상하이동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젝터의 상단부51a는 휴대폰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장착부22의 양측면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휴대폰이 안착된 경우에는 장착부22표면에서 잠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압축코일 스프링52에 의해 이젝터50이 탄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휴대폰장착여부에 따라서 이젝터의 상단부51a는 장착부표면에서 노출 또는 잠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이젝터 상단부 51a를 반원형의 판형상으로 함으로서, 휴대폰 안착시, 휴대폰이 베터리 팩의 저면과 부드러운 슬라이딩 면접촉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젝터의 상단부51a는 휴대폰40 안착시에 저면과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휴대폰40을 상방으로 밀려는 힘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제공된 힘은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등을 흡수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분리수단80은 고정수단에 의해 휴대폰이 거치대에 고정되었을 경우, 휴대폰저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지지점이 추가됨에 따라서 휴대폰은 더욱 강하게 거치대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스본체에서 휴대폰을 분리해야 하는 경우, 제6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A)으로 푸쉬 버튼을 누르면, 상기 걸림쇠 31이 걸림홈에서 후방(화살표)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상기 휴대폰의 저면을 지지하고 있는 이젝터의 상단부 51a가 상기 휴대폰40을 상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휴대폰은 거치대60에서 이탈된다. 다시 휴대폰40을 거치대60에 고정하는 경우는 상기한 동작의 역으로 작동시킨다. 제10도, 제11도에 휴대폰을 거치대에 안착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케이스본체에 고정수단과 분리수단을 설치함으로서, 휴대폰의 장착시 양측면 및 저면의 지지로 차량의 급정거시나 충격 또는 진동시에 휴대폰을 견고히 지지하고 이탈시에 푸쉬번튼을 가볍게 누름으로서 휴대폰을 분리시키는 매우 편리한 장치이다.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crad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림쇠와 이젝터를 장착하여 휴대폰의 상하 및 측면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설비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부품이 점차 고감도 소형화에 따라 중량 및 부피가 감소하고, 다기능화를 실현한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휴대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더욱이, 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에서 주행시 휴대폰의 거치대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의 경우, 차량에서 핸드 프리에서 사용할 때 상기 휴대폰을 고정하는 차량용 거치대가 도 1내지 도 3b에 도시되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장치1의 양측면 일정지점에 형성된 걸림홈2에 끼워지는 걸림쇠6을 전화기몸체10에 형성된 장착부3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걸림쇠 6은 양쪽에서 대향하도록 한쌍의 탄성의 탄성부9와 지지부8을 갖는 토션스프링7에 설치되며, 상기 한쌍의 탄성부9 상부로는 외향적으로 직교되고, 직교된 단부가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걸림되6이 결합되어지는 결합부4가 형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7은 케이스몸체에 형성된 힌지5에 결합되어 탄성부9에 탄지되고, 지지부8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3a, 도 3b에도시된 바와같이, 휴대장치1을 전화기몸체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부3을 향하여 밀어 넣으면, 일단은 토션스프링7에 의해 반원형의 매끈한 표면처리가 된 걸림쇠6이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어서 상기 걸림쇠 6은 일단이 지지부8에 의해 지지된 토션스프링7의 탄지력에 의해 휴대장치의 걸림홈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쇠6이 단지 토션스프링에 의해서만 탄지되어 있고, 또한 휴대장치1의 측면만을 지지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걸림쇠와 이와 결합되는 걸림홈2의 모서리부근에는 라운딩처리가 되어 이의 표면이 매우 매끄럽기 때문에 자동차가 급정거하거나 약한 충격 진동에 의하여 휴대장치가 고정위치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Claims (2)

  1.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시에 고정하거나 휴대시에 거치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독립적인 분리수단을 거치대내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에 거림쇠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걸림쇠와 일체형으로 푸쉬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쇠는 장착부 내측양면에 노출됨과 함께 상기 푸쉬버튼은 본체 케이스 양측면 하측에 노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푸쉬버튼은 케이스 본체의 힌지에 의해 조립되어 케이스본체의 바깥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지지판의 걸림돌기와 고정홈에 의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리수단은 상단부 반원형 판형상이고, 하단부가 원통형이며, 중간부위가 걸림돌기 및 대경부가 형성된 이젝터가 걸림돌기와 지지판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탄지되게 함으로서 상기 이젝터의 상단부가 안착부에 노출되어 휴대폰장착시에 지지하고, 분리시에 이탈시키는 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차량용 거치대.
  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이고, 상기 분리수단의 스프링은 압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9950016852U 1995-07-08 1995-07-08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KR0117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852U KR0117617Y1 (ko) 1995-07-08 1995-07-08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852U KR0117617Y1 (ko) 1995-07-08 1995-07-08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39U KR970005239U (ko) 1997-02-19
KR0117617Y1 true KR0117617Y1 (ko) 1998-04-27

Family

ID=19417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852U KR0117617Y1 (ko) 1995-07-08 1995-07-08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19B1 (ko) * 2002-05-1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용 휴대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717U (ko) * 2019-10-22 2020-04-07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216675434U (zh) 2019-10-22 2022-06-07 株式会社惠人 榨汁机
WO2021080055A1 (ko)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519B1 (ko) * 2002-05-10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즈프리용 휴대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239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7495899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309253B2 (en) Battery cover fixing mechanism and battery cover and housing assembly
US7542789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829495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US20100035136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6243463B1 (en) Portable phone cradle having a locking module for a vehicle
KR0117617Y1 (ko)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0138484Y1 (ko)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JPH11250880A (ja) バッテリ収納構造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KR0112520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0162182Y1 (ko) 고정형 무선전화기의 수납케이스 홀더
KR10102211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분리장치
KR200229295Y1 (ko) 핸즈프리 거치대
KR200349778Y1 (ko) 물품 홀더
KR0146475B1 (ko) 셀룰라폰의 안테나 자동 작동장치
JPH10157524A (ja) 携帯電話機の車両用保持装置
KR200179950Y1 (ko) 휴대폰용 홀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