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84Y1 -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84Y1
KR0138484Y1 KR2019960028296U KR19960028296U KR0138484Y1 KR 0138484 Y1 KR0138484 Y1 KR 0138484Y1 KR 2019960028296 U KR2019960028296 U KR 2019960028296U KR 19960028296 U KR19960028296 U KR 19960028296U KR 0138484 Y1 KR0138484 Y1 KR 0138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ejector
cradle
spring
top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090U (ko
Inventor
변은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8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84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거치대(cradle)의 휴대폰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의 상단면에 조립되어 상단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하며,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후크를 구비한 이젝터 스프링; 양단을 가지며, 상기 양단중, 일단은 케이스본체의 측면에 각각 노출되게 놓여 휴대폰의 장착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를 함으로서 로킹 또는 로킹을 해제시키며, 타단은 상기 이젝터 스프링과 연동하여 회전힘을 받는 로커; 상기 이젝터 스프링과 로커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터 스프링에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 상기 로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돌기; 및 상기 힌지 돌기에 조립되어 자유단이 상기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cradl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해 휴대폰을 거치대에서 착탈시키는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통신설비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항시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부품이 점차 고감도 소형화에 따라 중량 및 부피가 감소하고, 다기능화를 실현한 휴대폰가 등장하였다.
최근의 휴대폰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추구함과 아울러 차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상응하게 차내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더욱이, 이동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각종 차량에서 주행시에 무선전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의 경우 차량내에서 핸즈 프리(HANDS FREE) 상태에서 휴대폰을 고정하는 거치대(CRADLE)가 구현되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휴대폰의 장착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100)의 구성요소를 보면, 케이스 본체(3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장착공간(31)에 휴대폰(2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스본체(30)의 내부에 휴대폰의 고정수단(4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일측단으로 경사져 돌출된 걸림쇠(4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41)의 타측단에는 'ㄷ'형의 절곡진 푸쉬버튼부(4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푸쉬버튼부(42)의 일단은 케이스본체(30)의 힌지(32)에 의해 지지된 토션스프링(50)에 의해 탄지된다.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일단은 지지판(60)의 걸림돌기(6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판(60)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된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은 상기 푸쉬버튼부에 복원력(바깥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힘)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케이스본체(30)의 장착공간(31)에 휴대폰(200)을 고정하기 위하여 누인채 강압적으로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걸림쇠(41)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휴대용 전화기(200)의 걸림홈에 걸림쇠(41)가 결합되어짐으로서 무선전화기는 로킹된다.
이때, 상기 걸림쇠(41)는 하측에 일체형으로 푸쉬버튼부(42)가 연장되어져 토션스프링(50에 의해 탄지되어 졌기 때문에 그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쇠(41)는 휴대폰(200)의 측면을 견고히 지지하고, 역방향(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는 반대로, 고정된 휴대폰(200)을 분리하려면, A방향으로 푸쉬버튼부(42)을 눌르고, 토션스프링(50)에 의해 탄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걸림쇠(41)는 역방향(B방향)으로 이동하여 무선전화기는 분리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단지 사용하는 사람의 손가락의 힘만으로 수평방향으로 강한 힘을 가해야만 거치대에서 휴대폰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푸쉬버튼의 작동이 수평방향으로 이루어 짐으로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강한 손가락의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적은 힘으로 휴대폰을 착탈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한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휴대폰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의 상단면에 조립되어 상단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하며,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후크를 구비한 이젝터 스프링; 양단을 가지며, 상기 양단중, 일단을 케이스본체의 측면에 각각 노출되게 놓여 휴대폰의 장착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를 함으로서 로킹 또는 로킹을 해제시키며, 타단은 상기 이젝터 스프링과 연통하여 회전힘을 받는 로커; 상기 이젝터 스프링과 로커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터 스프링에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 상기 로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돌기; 및 상기 힌지 돌기에 조립되어 자유단이 상기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장착되지 않은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장착중인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장착된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장착되지 않은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이 장착된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케이스 1c : 상단면
1d : 이동구멍 2 : 프레임
2a,2b : 지지부 3,4 : 로커
3c,4c : 스프링 고정돌기 5,6 : 이젝터 스프링
5a,6a : 후크 5b,6b : 스프링 고정돌기
7,8 : 압축코일 스프링 9,10 : 토션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에 의해서 구현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로킹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대는 두 개의 상하 케이스(1:도면에서는 상부 케이스만 도시됨)로 구성되며, 상부 케이스(1)에 무선전화기가 놓이는 안착공간(12)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안착공간(12)을 중심으로 양측은 상부로 향함으로서, 상기 상부 케이스(1)는 돌출된 상단부(1c)를 가지는 형상이다. 상기 상단부(1c)에는 이젝터 스프링(5,6)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공간(12) 양측면에 이동구멍(1d)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구멍(1d)은 휴대폰을 로킹시키는 걸림쇠(3a,4a)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구멍이다.
본 고안의 거치대는 휴대폰을 로킹시킬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로킹장치는 상부 케이스의 상단면(1c)에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이젝터 스프링(5,6)가 상기 이젝터 스프링(5,6)과 연동하여 휴대폰을 로킹 또는 로킹을 해제시키는 로커(3,4)와, 상기 로커(3,4)와 이젝터 스프링(5,6)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7,8)과, 상기 로커(3,4)에 조립되어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9,10)으로 구성된다.
휴대폰을 로킹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본 고안의 로커(3,4)는 양단을 가지며, 상기 양단중, 일단을 휴대폰을 로킹시키도록 걸림쇠(3a,4a)를 구비하고, 타단은 상기 상단부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로커의 타단을 스프링 고정돌기(3b,4b)가 연장되어 압축코일 스프링(7,8)의 일단이 조립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로커의 양단사이에는 힌지돌기(1a,1b)가 돌출되어 로커를 지지하며, 스프링 걸림돌기(3c,4c)가 돌출되어 토션 스프링의 자유단(9a,10a)이 걸린다.
상기 상부 케이스(1)의 내부에 바닥부근에 체결되는 프레임(2)에는 로커(3,4)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2a,2b)가 각각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상단부(1c)에는 이젝터 스프링(5,6)이 설치되는 바,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은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한다.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은 하측으로 스프링 고정돌기(5b,6b)가 연장되고 상부 케이스(1)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5a,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커(3,4)의 상방이동을 지지하도록 토션스프링(9,10:torsion spring)이 로커(3,4)의 힌지(1a,1b)에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프레임(2)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토션스프링(9,10)의 고정단(9b,10b)은 프레임(2)에 지지되고, 자유단(9a,10a)은 상기 탄지된 로커(3,4)의 상방회전이동을 지지하도록 걸림턱(3c,4c)에 걸려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폰을 거치대에 고정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안착공간(12)에 누인 채, 강압적으로 무선전화기를 누르면, 상기 로커(3,4)의 걸림턱(3a,4a)는 무선전화기의 저면과 슬라이딩운동을 하면서 눌리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전화기의 걸림홈(미도시됨)에 걸린다. 상기 로커(3,4)가 텐션력을 구비한 플라스틱재질과 토션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된 휴대폰을 거치대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에 일정한 힘을가해 A방향으로 누른다. 이때, 상기 이젝터 스프링(5,6)과 로커(3,4)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7,8)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가한 힘이 로커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3,4)는 B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어서, 상기 로커의 걸림턱(3a,4a)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동시적으로 C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걸림쇠(3a,4a)는 후방으로 후퇴한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폰을 거치대에서 빼내면 된다.
상기 이젝터 스프링(5,6)과 로커(3,4)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7,8)이 설치되어 있어, 이젝터 스프링(5,6)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다시 상방으로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은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은 계속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다가 후크(5a,6a)에 의해서 상방이동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거치대에 이젝터가 케이스의 상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거나 제거함으로서 거치대에 휴대폰을 착탈시키는 편리한 구성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여 휴대폰을 착탈시킴으로서, 적은 힘으로 또한 편리한 자세로 착탈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1)

  1.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거치대의 상단면(1c)에 조립되어 상단면(1c)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운동을 하며, 상기 상단면(1c)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연장된 후크(5a,5b)를 구비한 이젝터 스프링(5,6); 양단을 가지며, 상기 양단중, 일단(3a,4a)은 케이스본체의 측면에 각각 노출되게 놓여 휴대폰의 장착여부에 따라 전진 또는 후퇴를 함으로서 로킹 또는 로킹을 해제시키며, 타단(3b,4b)은 상기 이젝터 스프링(5,6)과 연동하여 회전힘을 받는 로커(3,4); 상기 이젝터 스프링(5,6)과 로커(3,4)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에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7,8); 상기 로커(3,4)를 회전하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돌기(1a,1b); 및 상기 힌지 돌기(1a,1b)에 조립되어 자유단(9a,10a)이 상기 로커(3,4)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9,10)으로 구성되어 짐으로서 상기 이젝터 스프링(5,6)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휴대폰가 착탈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KR2019960028296U 1996-09-05 1996-09-05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KR0138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6U KR0138484Y1 (ko) 1996-09-05 1996-09-05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96U KR0138484Y1 (ko) 1996-09-05 1996-09-05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90U KR19980015090U (ko) 1998-06-25
KR0138484Y1 true KR0138484Y1 (ko) 1999-05-01

Family

ID=1946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96U KR0138484Y1 (ko) 1996-09-05 1996-09-05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99B1 (ko) * 2001-10-09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기기를 위한 차량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90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100A (en) Cellular phone holder
JP3049274B2 (ja) 自動車用携帯電話ホルダー
KR200189787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홀더
US5832082A (en) Portable telephone set holder
US20050225933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GB2335107A (en) Phone cradle with means to retain phone
US4117276A (en) Handset locking and release mechanism
US6002765A (en) Hands-free telephone cradle
KR0138484Y1 (ko)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KR0117617Y1 (ko)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KR100239828B1 (ko) 핸드폰용 그립퍼
KR200229295Y1 (ko) 핸즈프리 거치대
KR100556860B1 (ko) 휴대폰의 배터리커버 로킹장치
JP2001094650A (ja) 携帯電子機器用ストラップの取付構造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2974287B2 (ja) 電池パック固定構造
KR20020010027A (ko)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0710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2509371A (ja) アンテナを伸縮させる携帯用通信機器
KR0112520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차량용 거치대
KR1006526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970000349Y1 (ko) 핸드폰 거치대
KR20039587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KR100631631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