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25Y1 - 마운팅 부재 - Google Patents

마운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25Y1
KR200483925Y1 KR2020150008298U KR20150008298U KR200483925Y1 KR 200483925 Y1 KR200483925 Y1 KR 200483925Y1 KR 2020150008298 U KR2020150008298 U KR 2020150008298U KR 20150008298 U KR20150008298 U KR 20150008298U KR 200483925 Y1 KR200483925 Y1 KR 200483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ortion
receiving groove
mounting member
portable devi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266U (ko
Inventor
장진태
Original Assignee
장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태 filed Critical 장진태
Priority to KR2020150008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25Y1/ko
Priority to JP2017535827A priority patent/JP6564863B2/ja
Priority to PCT/KR2016/000044 priority patent/WO2016111517A1/ko
Priority to US15/541,777 priority patent/US10428997B2/en
Priority to EP16735138.6A priority patent/EP3244594A4/en
Publication of KR201700022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25Y1/ko
Priority to HK18103595.3A priority patent/HK1244134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G03B17/56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및 상기 수용홈의 측벽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운팅 부재{MOUNTING MEMBER}
본 고안은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체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측에 스트랩(strap)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는 대체로 손으로 파지하여 이용하지만 장시간 동영상을 보거나 경우에 따라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차량, 자전거, 셀카봉 등)에 고정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집게 방식 또는 스프링 탄성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용 기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집게 방식의 단점은 휴대용 기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집게 구조가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의 크기가 점점 대형화되는 경황에 따라 상기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 또한 그 크기가 비례하여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는 운전중 시야 확보에도 매우 방해가 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차량의 대시 보드를 넓게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집게 방식의 고정 부재들의 대부분은 스프링으로 휴대용 기기를 파지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자동차 또는 자전거 운행 중 요철이나 사진 촬영 중 충격 등에 스프링 구조의 탄성력 때문에 휴대용 기기를 잡고 있는 집게로부터 이탈하여 고가의 스마트기기의 낙하로 파손의 우려가 높다.
본 고안은 휴대용 기기를 견고하게 대상체 상에 장착할 수 있는 마운팅 부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재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와, 상기 수용홈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를 눌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고정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같이 상기 가압부는 누르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축 및 상기 축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상기 몸체의 하면을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하판 및 상기 베이스 하판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되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슬롯부에 형성된 수용홈의 측벽에 가압부를 구비하고, 프레스부로 상기 가압부를 프레싱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가 수용홈에 수용된 고리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상기 수용홈 내에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프레스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부재(100)는 휴대용 기기(10)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25)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예로는 휴대폰, PMP, MP3 플레이어, 전자사전, 태블릿 P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예로는 거치대, 플레이트, 차량용 대시 보드, 셀카봉, 자전거와 오토바이의 핸들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의 일 예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2013.04.12.일자로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0554호의 명세서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상기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20)는 고리(25)를 갖고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에 고정되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하면은 상기 대상체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 모서리에는 모따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리(25)가 마운팅 부재(100)에 체결될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기기(10)의 일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몸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측벽, 상부 또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롯부(120)는 상기 모따기가 형성된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수직 방향으로 수용홈(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25)에는 상기 고리(25)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슬롯부(120)는 수평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5)은 상기 고리(25)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홈(125)에 상기 고리(25)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측벽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측벽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에 위치한 고리(25)를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에 위치한 고리(25)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수용홈(125)의 일 측벽에 구비되거나, 양 측벽들 각각에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고리(25)에 직접적으로 컨택할 경우, 상기 고리(25)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며 나아가 상기 가압부(130)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폴리아세탈, MC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아이소프렌, 폴리뷰타다이엔고무, 폴리아크릴레이트고무, 폴리에테르고무 등과 같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슬롯부(120)에 형성된 수용홈(125)의 측벽에 가압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30)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리(25)의 미끄러짐이 억제되며 나아가 상기 가압부(130)의 마모가 억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2)는 상기 몸체(110) 및 상기 가압부(130)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스부(152)는 상기 몸체(1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0) 및 상기 가압부(13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2)는 상기 수용홈(125)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프레싱함으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고리(25)를 상기 수용홈(125) 내에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2)는 볼트(153) 및 너트(154)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153)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0) 및 상기 수용홈(125)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볼트(153)는 일단부에 손잡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볼트(153)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154)는 상기 볼트(153)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153)와 같이 상기 가압부(130)를 프레싱한다.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상기 볼트(15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트(153)와 상기 너트(154)가 조여지거나 풀리게 된다.
상기 볼트(153)와 상기 너트(154)가 조여지는 경우, 상기 볼트(153)와 상기 너트(154)가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동시에 프레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30)가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볼트(153)와 상기 너트(154)가 풀리는 경우, 상기 가압부(130)를 이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 및 액세서리가 장착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프레스부(157)를 포함한다.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프레스부(157)는 상기 몸체(110) 및 상기 가압부(130)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레스부(157)는 상기 몸체(11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0) 및 상기 가압부(13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7)는 상기 수용홈(125)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프레싱함으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압부(130)가 상기 고리(25)를 상기 수용홈(125) 내에서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157)는 축(158) 및 레버(159)를 포함한다.
상기 축(158)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10) 및 상기 수용홈(125)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관통한다. 이때, 상기 축(158)은 일단부에 걸림턱을 갖는다.
상기 레버(159)는 상기 축(158)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레버(159)는 상기 축(158)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158)의 걸림턱과 상기 레버(159)가 상기 가압부(130)를 누르거나 상기 누름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축(158)의 걸림턱과 상기 레버(159)가 상기 가압부(130)를 누르는 경우, 상기 축(158)과 상기 레버(159)가 상기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130)를 동시에 프레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30)가 수용홈(125)에 수용된 고리(25)를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및 프레스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30)의 예로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셀카봉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체(30)의 체결부에는 나사 산(31)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 홈에 상기 나사 산(31)이 스크류 체결됨으로써 상기 마운팅 부재(100)는 상기 대상체(3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프레스부(152)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베이스 하우징(141) 및 접착 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은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하우징(141)은 몸체(110)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접착 부재(143)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 부재(143)의 예로는 접착 테이프 또는 자성을 이용하는 자성체를 들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프레스부(152)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베이스 하이징(141), 베이스 하판(142) 및 흡착판(144)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은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체결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하우징(141)은 몸체(110)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 하판(142)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1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하판(142)은 상기 흡착판(144)이 체결될 수 있도록 돔(do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착판(144)은 상기 베이스 하판(142)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141)에 체결된다. 상기 흡착판(144)은 상기 대상체에 흡착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144)은 진공력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에 흡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를 대상체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부재(100)는 몸체(110), 슬롯부(120), 가압부(130), 프레스부(152) 및 부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140)는 상기 몸체(110)의 하면에 체결된다. 상기 부착부(140)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145)이 형성된 클램프(146)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46)에는 상기 관통홈(145)을 따라 상기 대상체(3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서 마운팅 부재(10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레스부(15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프레스부(157)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부재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고리를 갖는 액세서리를 대상체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휴대용 기기 20 : 액세서리
100 : 마운팅 부재 110 : 몸체
120 : 슬롯부 125 : 수용홈
130 : 가압부 140 : 부착부
152, 157 : 프레스부

Claims (8)

  1. 휴대용 기기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리를 구비한 휴대용 기기 액세서리를 대상체 상에 장착하는 마운팅 부재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슬롯부;
    상기 수용홈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에 위치한 고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리의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상기 고리를 홀딩하는 탄성 재질의 가압부; 및
    상기 몸체의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의 일 측벽 또는 양 측벽들에 배치된 가압부를 눌러 상기 가압부가 상기 고리를 고정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같이 상기 가압부는 누르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 및 가압부를 관통하며 일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축; 및
    상기 축의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축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가압부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대상체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면을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마운팅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대상체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된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하판; 및
    상기 베이스 하판을 통하여 베이스 하우징에 체결되며, 상기 대상체에 흡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체결되며, 수평 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홈을 따라 상기 대상체가 고정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 부재.
KR2020150008298U 2015-01-06 2015-12-16 마운팅 부재 KR200483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98U KR200483925Y1 (ko) 2015-12-16 2015-12-16 마운팅 부재
JP2017535827A JP6564863B2 (ja) 2015-01-06 2016-01-05 マウント部材
PCT/KR2016/000044 WO2016111517A1 (ko) 2015-01-06 2016-01-05 마운팅 부재
US15/541,777 US10428997B2 (en) 2015-01-06 2016-01-05 Mounting member
EP16735138.6A EP3244594A4 (en) 2015-01-06 2016-01-05 Mounting member
HK18103595.3A HK1244134A1 (zh) 2015-01-06 2018-03-15 安裝構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98U KR200483925Y1 (ko) 2015-12-16 2015-12-16 마운팅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66U KR20170002266U (ko) 2017-06-26
KR200483925Y1 true KR200483925Y1 (ko) 2017-07-11

Family

ID=5924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298U KR200483925Y1 (ko) 2015-01-06 2015-12-16 마운팅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25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455Y1 (ko) * 2001-12-28 2002-04-04 주식회사 창의시스템 시가플러그가 장착된 핸즈프리 거치대용 지지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943U (ko) * 2011-02-15 2012-08-23 한진복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455Y1 (ko) * 2001-12-28 2002-04-04 주식회사 창의시스템 시가플러그가 장착된 핸즈프리 거치대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66U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36656B (zh) 用于可安装多位置设备保持件的系统和方法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CN109196265B (zh) 用于可调节电子装置保持器的系统和方法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TWI599500B (zh) 用來固定可攜式電子裝置之固定機構及其電子設備
US7837166B2 (en) Monitor clamping device
US20130314854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KR200476134Y1 (ko) 차량용 모바일 기기의 장착 장치
US20150351531A1 (en) Smartphone or tablet mounting device and method
US20130277521A1 (en) Connection device
US20150309395A1 (en) Photographic device mounts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US20140144606A1 (en) Bracket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US7583499B2 (en)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US20180086281A1 (en) Portable 3c apparatus holder for an automobile
KR2009007537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0455407Y1 (ko) 이륜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0483925Y1 (ko) 마운팅 부재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200487229Y1 (ko) 마운팅 부재
KR101925080B1 (ko)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CN217928180U (zh) 多功能磁吸式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