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943U - 휴대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43U
KR20120005943U KR2020110001267U KR20110001267U KR20120005943U KR 20120005943 U KR20120005943 U KR 20120005943U KR 2020110001267 U KR2020110001267 U KR 2020110001267U KR 20110001267 U KR20110001267 U KR 20110001267U KR 20120005943 U KR20120005943 U KR 20120005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obile phone
cover body
phone holder
bol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복
Original Assignee
한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진복 filed Critical 한진복
Priority to KR2020110001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943U/ko
Publication of KR20120005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착면에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휴대폰 거치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별도의 조작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결합체의 회전 동작에 따라 흡착판의 상면을 커버체가 가압하게 되므로 피착면에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휴대폰이 홀딩되는 거치판이 볼을 매개로 결합체의 볼결합공간부에 결합되므로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결합공간부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각도 조절되는 볼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별도의 조작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대{Mobile Phone Holder}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착면에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휴대폰 거치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별도의 조작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일정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기구로서, 설치되는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휴대폰이 홀딩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주로 자동차의 대시보드(dash board), 책상 주변과 같이 운전자 혹은 사용자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휴대폰을 홀딩함으로써 운전자의 휴대폰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근래에는 터치식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홀딩기구가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본체 부분에 흡착구가 구비되어 있어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므로써 일정 위치에서 휴대폰을 홀딩하게 된다. 그러나, 피착면에 부착된 흡착구는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흡착력이 저하되어 피착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볼 타입으로 결합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상기 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같이 구비된다. 즉, 거치부는 본체와 볼 타입으로 결합되면 구 형상인 볼을 매개로 360도 회전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각도 조절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되므로 별도의 볼트를 쪼여서 무단으로 각도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거치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볼트를 돌려서 고정해야 되는 등 각도 조절에 있어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착면에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휴대폰 거치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별도의 조작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에는 볼트봉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봉 외주연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어 하면이 피착면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볼트봉과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는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기 위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상측에서 하단부가 상기 볼트봉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볼트봉을 따라 하강되면서 하측에 구비된 상기 커버체를 흡착판 쪽으로 밀착하고, 상면에는 내부 하측에 패킹이 구비된 볼결합공간부가 형성된 결합체; 및 상기 결합체의 볼결합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에 하면 일부가 밀착되는 볼이 이면에 형성되고, 표면에는 휴대폰을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볼을 매개로 각도 조절이 용이하되 볼과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는 거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체의 상측 외주연에는 파지력이 좋아 회전을 쉽게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은 안정감 있게 커버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결합체의 회전 동작에 따라 흡착판의 상면을 커버체가 가압하게 되므로 피착면에 견고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휴대폰이 홀딩되는 거치판이 볼을 매개로 결합체의 볼결합공간부에 결합되므로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볼결합공간부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각도 조절되는 볼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태를 별도의 조작 없이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종단면도.
도 4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체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분리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판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체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체를 보인 종단면도 및 분리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판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휴대폰 거치대(100)는 크게 흡착판(110), 커버체(120), 결합체(130) 및 거치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110)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상면 중앙부에는 볼트봉(112)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볼트봉(112)의 외주연으로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114)이 구비되며, 하면이 피착면에 부착된다. 이 흡착판(110)은 상기 볼트봉(112)의 하단부가 매입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무 등으로 인서트 사출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14)은 안정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측면상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체(120)는 원반의 접시 형상을 가지되, 그 중앙부가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내부는 오목한 중공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22)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122)의 내벽에는 지지판(1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판(124)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관통공(122)은 상하로 관통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24)의 하면에는 하향 돌설된 돌기(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이 돌기(126)는 상기 스프링(114) 내부로 삽입되어 스프링(114)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체(130)는 상면에 볼결합공간부(132)가 형성되고, 도 4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볼결합공간부(132)의 내부 하측에는 링 형상을 가지는 패킹(1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볼트봉(112)이 삽입되도록 상기 볼결합공간부(132)와 연통되어 상하로 개방된 결합공(136)이 형성되며, 그 결합공(136) 하측 부분에는 너트(N)가 매설되어 있다. 물론, 상기 결합공(136)에 너트(N)를 매설하지 않고 결합공(136) 내벽 자체에 탭을 형성하여 너트(N)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으나 상기 결합체(1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그 재질 특성상 마모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금속재질의 너트(N)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공(136)이 비록 상기 볼결합공간부(132)와 연통은 되어 있으나 결합공(136)의 직경이 볼결합공간부(13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볼결합공간부(132)의 하측에 구비되는 패킹(134)은 결합공(136)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고, 그 직경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단턱 부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외면 가운데 부분에는 환턱(137)이 형성되고, 이 환턱(137) 부분을 경계로 상측에 비해 하측이 협소해지는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후술하겠지만 결합체(130)의 하측은 상기 커버체(120) 내부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체(130)의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39)이 결합되어 진다. 즉,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볼결합공간부(132) 내부로 결합되는 볼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캡(139)의 내부는 상하로 관통된 통공(139a)이 형성되되 상기 통공(139a)은 구 형상의 볼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캡(139)을 결합체(130)의 상면에 결합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결합체(130)의 상면에는 상단에 걸림턱(138a)이 형성된 걸쇠(138)가 다수 형성되고, 캡(139)의 하면 내벽에는 상기 걸쇠(138)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139b)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139b)의 상측에는 상기 걸쇠(138)의 걸림턱(138a)이 안치될 수 있는 안치턱(139c)이 형성되어, 캡(139)의 결합홈(139b)과 걸쇠(138)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캡(139)을 하향 결합하면 상기 걸쇠(138)의 걸림턱(138a)이 결합홈(139b)의 안치턱(139c)에 안치되면서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139)의 외면에는 파지력이 우수하도록 요철부(139d)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치판(140)은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홀딩할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면에는 볼(142)이 구비되고, 표면에는 휴대폰을 점착력에 의해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딩부(146)가 구비되며, 하면에는 홀딩되는 휴대폰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레바(148)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볼(1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형성된 볼축(142a)을 매개로 거치판(140)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부(144)와 나사(s) 결합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부(146)는 점착력에 의해 휴대폰을 홀딩할 수 있는 점착패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10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흡착판(110)의 상면에는 커버체(120)가 위치하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22)으로 흡착판(110)의 상면에 구비된 볼트봉(112)과 스프링(114)이 삽입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봉(112)은 관통공(122) 상측으로 삽입되어 있으나 스프링(114)은 관통공(122) 내벽에 형성된 지지판(124)의 하면을 탄성지지하게 되는데, 지지판(124)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126)가 스프링(114) 내부로 삽입되므로 스프링(114)은 무단으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커버체(12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체(120)의 상측에는 결합체(130)가 위치되어 있되 그 하단부는 커버체(120)의 관통공(122) 내부로 삽입되고,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환턱(137)이 커버체(120)의 상면에 안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체(130)의 하단부는 커버체(12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볼트봉(112)과 너트(N)를 매개로 결합공(136) 내에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체(1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 방향에 의해 볼트봉(112)을 따라 승하강 되면서 커버체(120)를 동시에 승하강 시키게 된다. 즉, 상기 결합체(130)가 하강 작동될 때에는 환턱(137)이 커버체(120)의 상면에 안치되어 있으므로 같이 하강하면서 스프링(114)을 수축시키게 되고, 결합체(130)가 상승 작동될 때에는 스프링(114)의 복원에 의해서 커버체(120)가 같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130)의 상면에 형성된 볼결합공간부(132)에는 거치판(140)의 볼(142)이 결합되어져 있는데, 상기 볼(142)의 하면은 볼결합공간부(132) 하측에 구비된 패킹(134)에 밀착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볼(142)을 볼결합공간부(132) 내부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선행되어야 된다. 즉, 결합체(130)의 캡(139)을 결합체(130) 상단에 결합하기 전 거치판(140)의 결합부(144)로부터 볼(142)을 분리하고, 캡(139)을 그 하단부가 하향되도록 볼(142)의 외주연으로 끼움 결합한 다음 캡(139)을 하향시켜 결합체(130)의 상단부와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면, 볼(142)은 볼결합공간부(132) 내에 위치하게 되고 무단으로 볼결합공간부(132)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 후 볼(142)은 볼축(142a)을 매개로 거치판(140)의 결합부(144)에 다시 나사(s)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캡(139)과 결합체(130)의 결합은 결합체(130)의 상면에 형성된 걸쇠(138)가 캡(139)의 하단부 내벽에 형성된 결합홈(139b)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볼(142)이 볼결합공간부(132) 내에서 하측에 구비된 패킹(134)에 그 하면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100)에 대한 사용 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대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휴대폰 거치대(10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휴대폰(200)을 일정 위치에서 홀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차량의 대시보드는 물론이고 책상 주변 혹은 집안의 필요한 장소 등 필요한 곳에 설치 될 수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휴대폰 거치대(100)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흡착판(110)의 하면을 피착면(210)에 밀착한 다음 결합체(130)를 회전시켜 하향시키게 된다. 그러면, 커버체(120)가 같이 하향 되면서 흡착판(110)을 피착면(210) 쪽으로 점차 가압하게 되고, 곧 흡착판(110)의 하면과 피착면(210)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피착면(210)으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거치판(140)을 파지하여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거나 각도 조절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결합체(130)를 회전시킬 때 캡(139)의 외주연에 형성된 요철부(139d)를 파지하게 되면 더욱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휴대폰(200)을 거치판(140) 표면에 구비된 홀딩부(146)에 홀딩시킴과 동시에 하측에 구비된 지지레바(148)에 안치시켜 안전하게 홀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판(140)을 회전시키거나 각도 조절함에 있어 거치판(140)은 볼(142)을 매개로 결합체(130)의 볼결합공간부(132)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360도 회전은 물론이고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한데, 특히 볼(142)이 볼결합공간부(132) 하측에 구비된 패킹(134)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조절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사용상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부착된 흡착판(110)을 피착면(2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결합체(130)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스프링(114)의 복원에 의해 흡착판(110)을 가압하는 커버체(120)가 같이 상승하게 되어 더 이상 흡착판(110)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흡착판(110)의 일측을 파지하여 피착면(21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114)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수축과 복원의 반복된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것은 당연하고, 특히 커버체(120)의 내부에서 스프링(114)에 탄성 지지되는 지지판(124)에서 돌출된 돌기(126)가 스프링(114)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하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휴대폰 거치대 110 : 흡착판
112 : 볼트봉 114 : 스프링
120 : 커버체 122 : 관통공
124 : 지지판 126 : 돌기
130 : 결합체 132 : 볼결합공간부
134 : 패킹 136 : 결합공
N : 너트 137 : 환턱
138 : 걸쇠 138a : 걸림턱
139 : 캡 139a : 통공
139b : 결합홈 139c : 안치턱
139d : 요철부 140 : 거치판
142 : 볼 142a : 볼축
144 : 결합부 s : 나사
146 : 홀딩부 148 : 지지레바
200 : 휴대폰 210 : 피착면

Claims (3)

  1. 상면에는 볼트봉이 구비되고, 상기 볼트봉 외주연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어 하면이 피착면에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볼트봉과 스프링이 삽입되도록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벽에는 상기 스프링에 탄성 지지되기 위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커버체;
    상기 커버체의 상측에서 하단부가 상기 볼트봉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 작동에 의해 상기 볼트봉을 따라 하강되면서 하측에 구비된 상기 커버체를 흡착판 쪽으로 밀착하고, 상면에는 내부 하측에 패킹이 구비된 볼결합공간부가 형성된 결합체; 및
    상기 결합체의 볼결합공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패킹에 하면 일부가 밀착되는 볼이 이면에 형성되고, 표면에는 휴대폰을 홀딩할 수 있도록 하는 홀딩부가 구비되어 상기 볼을 매개로 각도 조절이 용이하되 볼과 패킹의 마찰력에 의해서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는 거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의 상측 외주연에는 파지력이 좋아 회전을 쉽게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안정감 있게 커버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대.
KR2020110001267U 2011-02-15 2011-02-15 휴대폰 거치대 KR201200059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67U KR20120005943U (ko) 2011-02-15 2011-02-15 휴대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67U KR20120005943U (ko) 2011-02-15 2011-02-15 휴대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43U true KR20120005943U (ko) 2012-08-23

Family

ID=5368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67U KR20120005943U (ko) 2011-02-15 2011-02-15 휴대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943U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364B1 (ko) * 2013-09-10 2014-09-05 황해수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KR101462194B1 (ko) * 2012-10-12 2014-11-14 (주)제우스 외관형상이 유지되면서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된 자동차완구
KR20150051095A (ko) * 2013-11-01 2015-05-11 강원 유아용 놀이블럭
WO2016035913A1 (ko) * 2014-09-05 2016-03-10 이규진 스마트 기기 부착장치
KR20160084700A (ko) * 2015-01-06 2016-07-14 장진태 마운팅 부재
WO2016111517A1 (ko) * 2015-01-06 2016-07-14 장진태 마운팅 부재
CN106453741A (zh) * 2016-11-28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可单手调节的手机支架
CN106453740A (zh) * 2016-11-28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可灵活调节和折叠的手机支架
KR20170002266U (ko) * 2015-12-16 2017-06-26 장진태 마운팅 부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94B1 (ko) * 2012-10-12 2014-11-14 (주)제우스 외관형상이 유지되면서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손잡이가 형성된 자동차완구
KR101438364B1 (ko) * 2013-09-10 2014-09-05 황해수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KR20150051095A (ko) * 2013-11-01 2015-05-11 강원 유아용 놀이블럭
WO2016035913A1 (ko) * 2014-09-05 2016-03-10 이규진 스마트 기기 부착장치
KR20160084700A (ko) * 2015-01-06 2016-07-14 장진태 마운팅 부재
WO2016111517A1 (ko) * 2015-01-06 2016-07-14 장진태 마운팅 부재
US10428997B2 (en) 2015-01-06 2019-10-01 Jin Tae Jang Mounting member
KR20170002266U (ko) * 2015-12-16 2017-06-26 장진태 마운팅 부재
CN106453741A (zh) * 2016-11-28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可单手调节的手机支架
CN106453740A (zh) * 2016-11-28 2017-02-22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可灵活调节和折叠的手机支架
CN106453741B (zh) * 2016-11-28 2019-10-22 吴小江 一种可单手调节的手机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5943U (ko) 휴대폰 거치대
US7458541B1 (en) Tissue roll holder
US7793899B2 (en) Structure for a suction device
US7950637B2 (e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US9194165B2 (en) Ball hinge structure
KR101025432B1 (ko) 휴대 통신기기용 거치대
US7731139B2 (en) Suction device and support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02082246B (zh) 电子装置
KR20120102965A (ko) 핸드폰 거치대
JP5736480B2 (ja) 家具脚用キャップ
TWM494224U (zh) 真空吸盤
CN101849760A (zh) 一种简易吸附装置
CN205408313U (zh) 可穿戴设备及其固定结构以及可穿戴设备安装总成
CN205315973U (zh) 一种支架
CN106184021A (zh) 一种空间可调的储物盒及车辆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266862B1 (ko) 진공 흡착기
CN203979095U (zh) 吸附装置
KR20043882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휴대기기 거치대
CN209262587U (zh) 吸附式支撑装置
CN208572165U (zh) 吸盘式手机支架
CN208161027U (zh) 陀螺组件
JP3156996U (ja) コップ体の取付け構造
KR101543240B1 (ko) 레일형 진공흡착구
CN205260583U (zh) 一种强力磁性固定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