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64B1 -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64B1
KR101438364B1 KR1020130108380A KR20130108380A KR101438364B1 KR 101438364 B1 KR101438364 B1 KR 101438364B1 KR 1020130108380 A KR1020130108380 A KR 1020130108380A KR 20130108380 A KR20130108380 A KR 20130108380A KR 101438364 B1 KR101438364 B1 KR 10143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ular member
monitor
pl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해수
Original Assignee
황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수 filed Critical 황해수
Priority to KR102013010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6General purpose computing application
    • G06F2212/161Portable computer, e.g. note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트북 거치장치(100)는 바닥면에 안치되고 상면 중앙에 구형의 각도조절축(112)이 구비된 바닥받침대(110)와; 상기 각도조절축(112)을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분할 조립되어 각도조절축에 대한 전후좌우 각도 조정되는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32)가 마련되고, 상부에 더브테일(131)이 복수개 형성된 좌 받침판(130)과; 상기 좌 받침판(130)의 더브테일(131)을 수용하는 데브테일홈(141)이 저면에 마련되고,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42)가 마련된 우 받침판(140)과;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 각각 출몰가능하게 안내되고, 제1관부재(150)와; 상기 제1관부재(150)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는 제2관부재(160)와; 상기 제2관부재(160)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어 모니터(2)의 양측을 받치는 모니터 받침부재(170)와;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는 제1관부재(150)를, 상기 제1관부재(150)에는 제2관부재(160)의 인출을, 상기 제2관부재(160)에는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1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좌, 우 받침판의 폭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노트북의 본체를 거치시키고, 좌 받침판 및 우 받침판의 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는 제1관부재, 제2관부재 및 모니터 받침부재를 적정높이가 되도록 수직과 수평으로 세팅하여 모니터 받침부재의 받침판상에 모니터를 안착시키고, 바닥받침대의 각도조절축을 기점으로 좌, 우 받침판의 각도를 조정하여 누운 자세에서 모니터를 오랜 시간 동안 편안하게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간단한 터치로서 태블릿 PC와 같이 인터넷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일반인은 물론, 거동이 불편하여 누워 있는 환자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Discrete type notebook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본체와 모니터부분이 분리되어 분리형 노트북에 있어, 본체와 모니터를 구분하여 각각 받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오랜 시간 모니터를 통한 독서, 동영상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은 물론, 몸이 불편하여 누워있는 환자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노트북은 자유롭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나 사용을 위한 적당한 장소나 장치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들이 사용에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된다. 일반 가정을 예로 들면, 노트북 컴퓨터는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책상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릎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바닥에 놓고 몸을 구부려 사용할 수밖에 없다.
무릎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노트북의 무게와 발열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며,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편한 자세로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되어 장시간 노트북의 사용이 어려웠다.
최근 노트북은 키보드가 마련된 본체와 모니터가 상호 착탈 가능한 제품이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태블릿 PC와 같이 모니터만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간단하게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명 '하이브리드 노트북'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이는 노트북과 태블릿의 장점을 모두 이용하고 싶은 소비자의 욕구와 노트북과 태블릿 PC의 서로의 단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운영체제 윈도우 8이라는 막강한 OS(orthopedic surgery)의 출시의 바탕으로 기본적으로 윈도우 8을 탑재하고 있고, 문서작업을 위해 오피스를 사용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S 스토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할 수 있으며, 일반 태블릿 PC와 같이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등으로 최근에는 분리형 노트북 사용이 대세이다.
노트북의 사용은 휴대용으로 전용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꺼내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지만 오랜 시간 노트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책상 위나 별도의 거치대 혹은 거치장치에 고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거치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108862호(명칭: 노트북 컴퓨터 거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노트북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판에 길이 조절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다리를 구비하고, 또한 거치판에 노트북 컴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장소의 구애를 받지않고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치장치는 노트북 본체를 안착시켜 높이조절이 이루어지고, 모니터부분은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 혹은 누워서 생활하는 환자의 경우, 누운 자세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체와 모니터부분이 분리되어 분리형 노트북에 있어, 본체와 모니터를 구분하여 각각 받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가 오랜 시간 모니터를 통한 독서, 동영상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은 물론, 몸이 불편하여 누워있는 환자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모니터가 분리형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거치장치는, 바닥면에 안치되고 상면 중앙에 구형의 각도조절축이 구비된 바닥받침대와; 상기 각도조절축을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분할 조립되어 각도조절축에 대한 전후좌우 각도 조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가 마련되고, 상부에 더브테일이 복수개 형성된 좌 받침판과; 상기 좌 받침판의 더브테일을 수용하는 데브테일홈이 저면에 마련되고,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가 마련된 우 받침판과; 상좌 받침판 및 우 받침판의 관부에 각각 출몰가능하게 안내되고, 제1관부재와; 상기 제1관부재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는 제2관부재와; 기 제2관부재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어 모니터의 양측을 받치는 모니터 받침부재와; 상기 좌 받침판 및 우 받침판의 관부에는 제1관부재를, 상기 제1관부재에는 제2관부재의 인출을, 상기 제2관부재에는 모니터 받침부재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부재는 각도조절축을 수용하여 밀착하는 구형의 지지홈이 저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좌 받침판의 저면에 고정나사로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 받침판 및 우 받침판의 관부 저면에는 관부로부터 인출되어 수직되는 제1관부재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는 걸이부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대와, 관부 저면에 형성되어 걸이대를 관통 수용하는 지지대와, 상기 걸이대의 후방에 결합되어 지지대로부터 걸이대의 후방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관부재는, 제1수평부 및 제1수평부와 힌지결합되어 절곡 가능한 중공의 제1수직부로 이루어지되, 제1수평부의 일측면에는 관부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관부재는, 중공의 제2수평부 및 제2수평부와 힌지결합되어 절곡가능한 제2수직부로 이루어지되, 제2수직부의 일측면에는 제1관부재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수평부에는 제2수직부에 대해 제2수평부를 수평으로 받치기 위한 받침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제2수평부의 외측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수직부에는 제2수평부로부터 회동되어 인출된 받침구의 단부를 안내 지지하는 받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는, 제2관부재로부터 출몰가능하며, 길이방향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된 길이조절대와, 상기 길이조절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임나사의 체결로서 각도조정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상면에 부착되는 논슬립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관부, 제1관부재, 제2관부재상에 각각 형성되는 설치홀 및 설치홀 내에 안내되어 일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관부로부터 제1관부재, 제1관부재로부터 제2관부재에 각각 걸림 역할을 하는 로크볼이 안내되고, 상기 설치홀 내에 안내된 로크볼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며, 설치홀에 체결되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는, 좌, 우 받침판의 폭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노트북의 본체를 거치시키고, 좌 받침판 및 우 받침판의 관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되는 제1관부재, 제2관부재 및 모니터 받침부재를 적정높이가 되도록 수직과 수평으로 세팅하여 모니터 받침부재의 받침판상에 모니터를 안착시키고, 바닥받침대의 각도조절축을 기점으로 좌, 우 받침판의 각도를 조정하여 누운 자세에서 모니터를 오랜 시간 동안 편안하게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간단한 터치로서 태블릿 PC와 같이 인터넷 등을 사용할 수 있어 일반인은 물론, 거동이 불편하여 누워 있는 환자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에 노트북 본체가 안치되고 모니터가 안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의 걸이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의 횡방향 길이조절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를 사용자가 누운 상태의 머리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거치장치의 기울기를 조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를 사용자가 누운 측면에 위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에서 거치장치의 기울기를 조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모니터(2)가 분리형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거치장치(100)는,
평평한 바닥면에 안치되고 상면 중앙에 구형의 각도조절축(112)이 형성된 바닥받침대(110)가 마련된다.
상기 바닥받침대(110)의 상부에는 분리형 노트북을 구성하는 본체(1)를 받치기 위해 연결부재(120)을 포함한 좌 받침판과(130)과 우 받침판(140)이 조립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바닥받침대(110)의 각도조절축(112)을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분할 조립되어 각도조절축에 대한 전후좌우 각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각도조절축(112)을 수용하여 밀착하는 구형의 지지홈(121)이 저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좌 받침판(130)의 저면에 고정나사(122)로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축(112) 또는 구형의 지지홈(121)중 어느 하나는 그 표면상에는 마찰력이 높은 수지 코팅을 실시하여 각도 조정후 자연스럽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 받침판(130)은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32)가 마련되고, 상부에 더브테일(131)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우 받침판(140)은 좌 받침판(130)의 더브테일(131)을 수용하는 데브테일홈(141)이 저면에 마련되고,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42)가 마련된다.
상기 관부(132,142)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제1관부재(1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며,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는 상호 동일한 높이에서 평행하게 위치되며, 평행하는 관부(132)(142)사이의 우 받침판 상부에는 노트북의 본체(1)가 안착된다.
상기 제1관부재(150)는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 각각 출몰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으로, 제1수평부(151) 및 제1수평부(151)와 힌지결합되어 절곡 가능한 중공의 제1수직부(152)로 이루어지되, 제1수평부(151)의 일측면에는 관부(132)(142)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15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부재(160)는 제1관부재(150)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으로서, 중공의 제2수평부(161) 및 제2수평부(161)와 힌지결합되어 절곡가능한 제2수직부(162)로 이루어지되, 제2수직부(162)의 일측면에는 제1관부재(150)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16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수평부(161)에는 제2수직부(162)에 대해 제2수평부를 수평으로 받치기 위한 받침구(161a)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제2수평부(161)의 외측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수직부(162)에는 제2수평부(161)로부터 회동되어 인출된 받침구(161a)의 단부를 안내 지지하는 받침홈(162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관부재(160)에는 모니터(2)의 양측을 받치는 모니터 받침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2관부재(160)로부터 출몰가능하며, 길이방향에 위치고정홈(171a)이 형성된 길이조절대(171)와, 상기 길이조절대(17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임나사(172)의 체결로서 각도조정되는 받침판(173)과, 상기 받침판(173) 상면에 부착되는 논슬립패드(174)로 이루어진다. 상기 논슬립패드(174)는 밀착성이 좋은 연질의 수지계열 필름 혹은 시트의 일종으로서, 매끈하게 가공된 표면에 대해서 밀착성이 뛰어나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는 제1관부재(150)를, 상기 제1관부재(150)에는 제2관부재(160)의 인출을, 상기 제2관부재(160)에는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80)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부(132)(142), 제1관부재(150), 제2관부재(160)상에 각각 형성되는 설치홀(181) 및 설치홀 내에 안내되어 일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관부(132)(142)로부터 제1관부재(150), 제1관부재로(150)부터 제2관부재(160)에 각각 걸림 역할을 하는 로크볼(182)이 안내되고, 상기 설치홀(181) 내에 안내된 로크볼(182)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183)이 개재되며, 설치홀(18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184)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 저면에는 관부로부터 인출되어 수직되는 제1관부재(150)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는 걸이부재(19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재(190)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대(191)와, 관부 저면에 형성되어 걸이대(191)를 관통 수용하는 지지대(192)와, 상기 걸이대(191)의 후방에 결합되어 지지대(192)로부터 걸이대(191)의 후방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19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의 설치에 따른 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거치장치(100)의 사용은, 누워서 모니터를 보거나 모니터를 터치하여 태블릿 PC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일반인은 물론, 거동이 불편하여 누운 자세로 생활하는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상기 거치장치(100)를 구성하는 바닥받침대(110)에 대해 좌 받침판과 우받침판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의 횡방향 길이만큼 좌우간격을 조정하여 우 받침판(140) 상에 노트북의 본체(1)를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올려놓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좌우 폭의 조절은 좌 받침판(130)상의 더브테일(131)에 대한 우 받침판(140)상의 더브테일홈(141)을 슬라이딩시켜 조정한다. 좌우 대응되는 관부(132, 142) 사이에 상기 본체를 올려놓는다. 여기서 본체(1)의 방향은 사용자가 거치장치를 놓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본체의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안착시켜 놓는다.
가령, 가로방향으로 본체(1)를 올려놓는 경우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머리 위쪽에 거치장치(100)를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시키고, 누운 자세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본체를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올려놓을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3에서 노트북의 본체(1)는 상기와 같이 누운 사용자의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시키는 상태이다.
이는 사용자가 모니터(2)를 보편적으로 가로방향으로 놓고 누워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본체(1)와 분리형인 모니터(2)는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로부터 제1관부재(150), 제2관부재(160) 및 모니터 받침부재(170)의 조절에 의해 일정높이로 모니터(2)를 받쳐놓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부(132)(142)에 수용되어 있는 제1관부재(150)의 인출과, 제1관부재(150)에 수용된 제2관부재(160), 제2관부재(160)에 일측이 수용되는 있는 모니터 받침부재(170)의 인출과 함께 이들의 각도 조정으로서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일정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관부(132)(142)에 수용된 제1관부재는 전방으로 인출하되, 직각으로 힌지결합된 제1수평부는 상기 관부(132)(142)에 고정하고, 제1수평부로부터 제1수직부를 직각으로 위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제1수직부(152)가 직각으로 위치된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 저면에 구비된 걸이부재(190)에 의해 상기 제1수직부(152)의 하부를 받쳐 제1수직부(152)가 제1수평부(151)에 대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 저면에 마련된 지지대(192)로부터 걸이대(191)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준다.
슬라이딩되는 길이는 걸이대(191)의 후방측 스톱퍼(193)가 상기 지지대(192)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않는 정도로 인출되게 하고, 여기서 선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대(191)를 손으로 잡고 180도 회전시켜 주면,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수직부(152)의 하부측 힌지 연결된 부위를 받쳐주어 지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제1관부재(150)를 이루는 제1수직부(152)로부터 제2관부재(160)를 구성하는 제2수직부(162)를 상향 인출하여 고정하고, 그 길이방향측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제2수평부(161)를 전방으로 절곡되게 한 다음, 그 길이방향에 마련된 받침구(161a)를 상기 제2수직부(162)상의 받침홈(162b)에 걸쳐 제2수직부(162)에 대한 제2수평부(161)를 직각으로 유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제2관부재(160)를 이루는 제2수평부(161)측으로부터는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인출하여 고정한다.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대(171)는 중공의 제2수평부(161)로부터 인출하여 고정하고, 길이조절대(17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받침판(173)은 조임나사(172)로서 힌지결합된 부분을 고정하여 수평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각각 세팅된 제1관부재(150), 제2관부재(160), 모니터 받침부재(170)의 고정은 관부(132)(142), 제1관부재(150)의 제1수직부(152), 제2관부재(160)의 제2수평부(161)에 마련된 고정부(180)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첨부된 도 4의 (a)는 관부(132)(142) 및 제2관부재(160)의 제2수평부(161)에 마련된 고정부(180)를 통해 고정되고, 도 4의 (b)는 제1관부재(150)의 제1수직부(162)상에 마련된 고정부(180)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80)는 설치홀(181)에 안내된 로크볼(182)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치홀(181)의 내측에 안내된 압축스프링(183)은 로크볼(182)에 탄력을 부여하여, 체결나사(184)로서 압축스프링(183) 및 로크볼(18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상기 로크볼(182)에 대해 길이조절되는 제1관부재(150)의 제1수평부(151), 제2관부재(160)의 제2수직부(162), 모니터 받침부재(170)의 길이조절대(171)측에 각각 형성된 위치고정(162a)(171a)이 선택적으로 고정됨으로써, 길이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팅된 거치장치의 실사용은 첨부 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구성하는 받침판상에 모니터의 가장자리부분을 올려놓으면, 모니터(2)는 상기 받침판(173)의 상면에 마련된 논슬립패드(174)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다시 모니터(2)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간단하게 상기 받침판(173)상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모니터(2)를 잡고 상기 논슬립패드(174) 상면에 올려놓는 간단한 동작으로서 손쉽게 모니터를 거치시켜 본체(1)와 연동되는 모니터(2)를 통해 동영상 및 화면을 터치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바라보는 모니터(2)의 시선각도 조정은, 바닥받침대(110)의 각조조절축(112)을 기점으로 좌 받침판(130)의 저면과 연결된 연결부재(120)를 수평, 또는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모니터(2)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모니터(2)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을 편안한 시야각도로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9 및 도 10은 사용자가 침상이나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좌측 혹은 우측에 거치장치(100)를 두고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모니터(2)를 수평으로 세팅할 수도 있지만,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받침대(110)의 각조조절축(112)을 기점으로 좌 받침판(130)을 포함한 연결부재(120)를 각도 조정함으로써, 모니터(2)를 바라보는 사용자 시선을 알맞게 세팅하여 사용할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모니터(2)를 먼저 간단히 제거해 준 상태에서 관부(132)(142)에 제1관부재(150)를 수용하고, 제2관부재(160),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역순으로 최소 길이로 위치시킬 수 있는 정도로 즉, 도 1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거치장치 110: 바닥받침대
112: 각도조절축 120: 연결부재
121: 지지홈 122: 고정나사
123: 고정공 130: 좌 받침판
131: 더브테일 132,142: 관부
140: 우 받침판 141: 더브테일홈
150: 제1관부재 151: 제1수평부
152: 제1수직부 160: 제2관부
161: 제2수평부 161a: 받침구
162: 제2수직부 162a: 받침홈
170: 모니터 받침부재 171: 길이조절대
172: 조임나사 173: 받침판
180: 고정부 181: 설치홀
182: 로크볼 183: 압축스프링
184: 체결나사 190: 걸이부재
191: 걸이대 192: 지지대
193: 스톱퍼

Claims (8)

  1. 본체(1)와 모니터(2)가 분리형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거치장치(100)는,
    바닥면에 안치되고 상면 중앙에 구형의 각도조절축(112)이 구비된 바닥받침대(110)와;
    상기 각도조절축(112)을 양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분할 조립되어 각도조절축에 대한 전후좌우 각도 조정되는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32)가 마련되고, 상부에 더브테일(131)이 복수개 형성된 좌 받침판(130)과;
    상기 좌 받침판(130)의 더브테일(131)을 수용하는 데브테일홈(141)이 저면에 마련되고, 일측 길이방향에 중공의 관부(142)가 마련된 우 받침판(140)과;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 각각 출몰가능하게 안내되고, 제1관부재(150)와;
    상기 제1관부재(150)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는 제2관부재(160)와;
    상기 제2관부재(160)에 출몰가능하게 안내되어 모니터(2)의 양측을 받치는 모니터 받침부재(170)와;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에는 제1관부재(150)를, 상기 제1관부재(150)에는 제2관부재(160)의 인출을, 상기 제2관부재(160)에는 모니터 받침부재(170)를 각각 고정하는 고정부(1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는 각도조절축(112)을 수용하여 밀착하는 구형의 지지홈(121)이 저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좌 받침판(130)의 저면에 고정나사(122)로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공(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 받침판(130) 및 우 받침판(140)의 관부(132)(142) 저면에는 관부로부터 인출되어 수직되는 제1관부재(150)의 하부를 걸어 지지하는 걸이부재(19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재(190)는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걸이대(191)와, 관부 저면에 형성되어 걸이대(191)를 관통 수용하는 지지대(192)와, 상기 걸이대(191)의 후방에 결합되어 지지대(192)로부터 걸이대(191)의 후방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1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재(150)는,
    제1수평부(151) 및 제1수평부(151)와 힌지결합되어 절곡 가능한 중공의 제1수직부(152)로 이루어지되, 제1수평부(151)의 일측면에는 관부(132)(142)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15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부재(160)는,
    중공의 제2수평부(161) 및 제2수평부(161)와 힌지결합되어 절곡가능한 제2수직부(162)로 이루어지되, 제2수직부(162)의 일측면에는 제1관부재(150)로부터 인출되어 고정되는 위치고정홈(16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부(161)에는 제2수직부(162)에 대해 제2수평부를 수평으로 받치기 위한 받침구(161a)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제2수평부(161)의 외측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수직부(162)에는 제2수평부(161)로부터 회동되어 인출된 받침구(161a)의 단부를 안내 지지하는 받침홈(16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받침부재(170)는,
    제2관부재(160)로부터 출몰가능하며, 길이방향에 위치고정홈(171a)이 형성된 길이조절대(171)와, 상기 길이조절대(171)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조임나사(172)의 체결로서 각도조정되는 받침판(173)과, 상기 받침판(173) 상면에 부착되는 논슬립패드(17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80)는,
    관부(132)(142), 제1관부재(150), 제2관부재(160)상에 각각 형성되는 설치홀(181) 및 설치홀 내에 안내되어 일측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관부(132)(142)로부터 제1관부재(150), 제1관부재로(150)부터 제2관부재(160)에 각각 걸림 역할을 하는 로크볼(182)이 안내되고, 상기 설치홀(181) 내에 안내된 로크볼(182)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183)이 개재되며, 설치홀(181)에 체결되는 체결나사(18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KR1020130108380A 2013-09-10 2013-09-10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KR101438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80A KR101438364B1 (ko) 2013-09-10 2013-09-10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380A KR101438364B1 (ko) 2013-09-10 2013-09-10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64B1 true KR101438364B1 (ko) 2014-09-05

Family

ID=5175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380A KR101438364B1 (ko) 2013-09-10 2013-09-10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48A (ko) * 2006-05-30 2007-12-05 이가형 노트북 상퇴 받침대
KR20110108862A (ko) * 2010-03-30 2011-10-06 여상훈 노트북 컴퓨터 거치장치
KR20110011143U (ko) * 2010-05-26 2011-12-02 도강희 아이패드 거치장치
KR20120005943U (ko) * 2011-02-15 2012-08-23 한진복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4948A (ko) * 2006-05-30 2007-12-05 이가형 노트북 상퇴 받침대
KR20110108862A (ko) * 2010-03-30 2011-10-06 여상훈 노트북 컴퓨터 거치장치
KR20110011143U (ko) * 2010-05-26 2011-12-02 도강희 아이패드 거치장치
KR20120005943U (ko) * 2011-02-15 2012-08-23 한진복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3451B2 (en) Mobile device stand
US8322290B1 (en) Multi-use table
US8056871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and for laptop computers or other devices
US20060022096A1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20170086314A1 (en) Elevating Support For Viewing Electronic Displays
US11421814B2 (en) Portable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50207100A1 (en) Flat screen display stand
CN203731036U (zh) 可旋转折叠的平板电脑支架
TWI326400B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KR101636753B1 (ko)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US20220322823A1 (en) Laptop stand
KR101689774B1 (ko) 독서판의 크기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독서대
US9115844B2 (en) Stand for supporting portable electronic display device
US20170254471A1 (en) Portable foldable supporting assembly
WO2015139226A1 (zh) 具有可延展显示屏的笔记本电脑
KR101438364B1 (ko) 분리형 노트북 거치장치
GB2526344A (en) A media support stand
KR101676960B1 (ko) 노트북 거치대 겸용 마우스 보드
WO2015139227A1 (zh) 用于平板电脑的便携式可延展托架
US8850992B1 (en) Portable articulated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objects on a user's lap
CN209782112U (zh) 折叠便携式电脑支架
KR102042730B1 (ko) 노트북용 독서대
KR101203668B1 (ko) 스마트폰 받침대
CN103027487A (zh) 一种便携式电脑桌
KR20160020071A (ko) 휴대용 문서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