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289B1 -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289B1
KR101874289B1 KR1020180050313A KR20180050313A KR101874289B1 KR 101874289 B1 KR101874289 B1 KR 101874289B1 KR 1020180050313 A KR1020180050313 A KR 1020180050313A KR 20180050313 A KR20180050313 A KR 20180050313A KR 101874289 B1 KR101874289 B1 KR 10187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protrusion
wheelchair
movable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호 filed Critical 정선호
Priority to KR102018005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를 수용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상하로 관통하는 슬라이딩홀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턴테이블;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 내에 삽입되도록 복귀하는 가동돌기;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 각각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돌기부가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가이드면에 의해 상기 하향가이드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먼저 돌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역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내로 복귀되도록 하는 돌기가동판; 및 상기 케이지 내에 설치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돌기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Elevator with safety turntable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이 회전하거나,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는 가동돌기에 의해 턴테이블 상의 휠체어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층과 층 사이로 사람들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장애우에 대한 인권 존중이 부각되면서, 엘리베이터에도 장애우를 위한 편의시설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엘리베이터 내로 휠체어가 진입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의 내부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휠체어의 방향 전환이 어렵기 때문에 휠체어 사용자는 휠체어를 후진하여 엘리베이터로부터 내려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5518호의 "장애우를 위한 턴테이블 내장형 엘리베이터"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바닥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유압 공급부를 갖는 유압식 동력 장치; 상기 유압식 동력장치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 수단; 및 상기 유압식 동력 장치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턴테이블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턴테이블 하부에 구비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린 랙을 포함한다. 또한 턴테이블의 상면에는 돌기가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턴테이블의 상면에 돌기가 마련됨으로써, 휠체어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돌기의 돌출로 인해, 휠체어가 턴테이블로 진입시 저항으로 작용하여, 턴테이블로의 진입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턴테이블로부터 내릴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큰 힘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움직임에 의해 주변 탑승객과의 충돌 등을 야기하는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턴테이블이 회전하거나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는 가동돌기에 의해 턴테이블 상의 휠체어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휠체어의 흔들림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의 불안이나 불편을 해소하며, 나아가서 휠체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턴테이블의 회전이나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정지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가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가 턴테이블로부터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도 엘리베이터 탑승객에게 불편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용자를 수용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상하로 관통하는 슬라이딩홀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턴테이블;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 내에 삽입되도록 복귀하는 가동돌기;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 각각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돌기부가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가이드면에 의해 상기 하향가이드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먼저 돌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역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내로 복귀되도록 하는 돌기가동판; 및 상기 케이지 내에 설치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돌기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슬라이딩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에 삽입되어, 다수개가 상기 턴테이블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 상에 안착된 휠체어의 모든 바퀴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동돌기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상부가 차단되는 장착홈이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상기 제 1 스프링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가장자리에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의 끝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돌기 각각의 끝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와 함께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차단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홀의 상단에 상기 턴테이블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의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동돌기의 하강에 의해 제 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을 차단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돌기는, 상면에 상기 힌지축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가동돌기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경사지지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의 차단시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돌기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돌출감지부;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돌기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삽입감지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억제 및 허용하는 브레이크; 및 상기 돌출감지부 및 상기 삽입감지부 각각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 및 상기 케이지의 승강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의하면, 턴테이블이 회전하거나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는 가동돌기에 의해 턴테이블 상의 휠체어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체어의 흔들림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의 불안이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휠체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턴테이블의 회전이나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정지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가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가 턴테이블로부터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도 엘리베이터 탑승객에게 불편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턴테이블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엘리베이터나 턴테이블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턴테이블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턴테이블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엘리베이터나 턴테이블이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턴테이블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엘리베이터나 턴테이블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에서 턴테이블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케이지(110), 턴테이블(120), 가동돌기(130), 돌기가동판(140) 및 회전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110)는 이용자를 수용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데, 예컨대 직육면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용자의 수용을 위하여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1)을 가지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조작부(220)의 조작으로 선택한 층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지(110)는 이용자를 출입 및 보호를 위하여, 수용공간(111)의 전방에 마련된 출입구에 조작부(220)의 조작이나 설정된 조건에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미도시)가 설치된다.
케이지(110)는 바닥면 하측에 턴테이블(120) 및 돌기가동판(140) 그리고 회전구동부(150)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장착공간(112)이 마련될 수 있는데, 장착공간(112) 상부의 원형 개구 내주면에는 설치된 턴테이블(120)의 가장자리에 대향하도록 고체윤활제(116)가 설치됨으로써, 턴테이블(120)과의 간격을 줄여서 물체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턴테이블(120)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체윤활제(116)는 예컨대 PTFE계 고체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케이지(110)에서 장착공간(112)에는 턴테이블(120)의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1 베어링(113)이 설치될 수 있고, 돌기가동판(140)의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 베어링(1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120)의 회전축(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3 베어링(11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지(110)의 내측면에는 휠체어의 사용자가 휠체어의 위치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위치에 미러(117)가 설치될 수 있으며, 휠체어의 사용자가 층의 선택 및 도어의 개폐, 그리고 턴테이블(120)의 회전 등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비교적 낮은 위치에 조작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턴테이블(120)은 케이지(110)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상하로 관통하는 슬라이딩홀(122)이 다수로 형성되고, 슬라이딩홀(122) 각각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홈(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원주방향이라 함은 턴테이블(1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그 둘레의 원에 해당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하의 같은 표현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의미할 수 있다. 턴테이블(120)은 후술하게 될 브레이크(190)의 설치를 위하여 하부 중심에 수직되게 회전축(121)이 마련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와 달리, 브레이크(190)를 반드시 회전축(121)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 1 베어링(1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회전축(121)을 반드시 요구하지 않는다.
턴테이블(12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슬라이딩홀(1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개수는 턴테이블(120)의 직경과, 휠체어의 바퀴 위치 등에 따라 휠체어의 이동을 제한하기에 적합한 개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120)은 걸림홈(123)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다수의 걸림홈(123)이 슬라이딩홀(122)과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되, 걸림홈(123)의 원주방향 폭이 슬라이딩홀(122)의 원주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동돌기(130)는 슬라이딩홀(122)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가이드면(131)이 형성되며, 제 1 스프링(134)에 의해 슬라이딩홀(122) 내에 삽입되도록 복귀한다. 가동돌기(130)는 슬라이딩홀(122) 각각에 삽입되어, 다수개가 턴테이블(120)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120) 상에 안착된 휠체어의 모든 바퀴, 예컨대 전방의 보조바퀴(F)와 후방의 메인바퀴(R) 모두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가동돌기(130)는 턴테이블(120)에 의해 상부가 차단되는 장착홈(135)이 측부에 형성되고, 장착홈(135)에 제 1 스프링(134)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복귀에 필요한 탄성력을 하방으로 제공받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스프링(134)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턴테이블(120)에 의해 상부가 차단된 장착홈(135) 내에 장착됨으로써 장착홈(135)의 바닥인 지지턱(13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한다.
한편, 턴테이블(120)은 가장자리에 슬라이딩홀(122) 각각의 끝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홈(124)에는 차단링(160)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링(160)은 가동돌기(130) 각각의 끝단에 고정됨으로써 가동돌기(130)와 함께 돌출되거나 삽입되는데, 가동돌기(130)가 휠체어의 움직임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이라면, 차단링(160)은 턴테이블(120)의 가장자리에서 휠체어의 움직임을 2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가동판(140)은 턴테이블(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홈(123) 각각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돌기부(141)가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가이드면(142)에 의해 가동돌기(130)의 하향가이드면(131)을 지지함으로써, 회전시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 내에서 이동하여 가동돌기(130)가 턴테이블(120)로부터 먼저 돌출되도록 한 다음,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에 걸림으로써 턴테이블(120)을 회전시키고(도 5 내지 도 7 참조), 역회전시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돌기(130)가 제 1 스프링(134)에 의해 턴테이블(120) 내로 복귀되도록 한다(도 2 및 도 4 참조).
돌기가동판(14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돌기부(141)가 슬라이딩홀(122)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가 상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50)는 케이지(110) 내에 설치되는 조작부(220)의 조작신호에 따라 돌기가동판(14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회전구동부(150)는 모터의 회전력을 벨트 및 풀리 또는 다수의 기어 등에 의해 돌기가동판(140)에 전달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돌기가동판(14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됨으로써, 돌기가동판(1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치에 결합되는 체인(151)과, 체인(151)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체인(151)이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하는 스프로킷(152)과, 스프로킷(152)에 회전축이 고정되는 모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3)는 직접 스프로킷(152)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다수의 기어나 감속기 등을 사용하여 스프로킷(152)에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모터(153)는 후술하게 될 제어부(210)에 의한 회전량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서보모터나 스테핑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홀(122)의 상단에는 커버(17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70)는 슬라이딩홀(122)의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171)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가동돌기(130)의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홀(122)을 개방시키고, 가동돌기(130)의 하강에 의해 제 2 스프링(173)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홀(122)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170)는 슬라이딩홀(1220 내측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가동돌기(130)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스프링(173)은 중심부의 코일구조가 힌지축(171)에 끼워져서 일단이 커버(170)에 고정되고, 타단이 턴테이블(1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돌기(130)는 상면에 힌지축(17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1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시 상방에 휠체어의 바퀴가 위치하도록 이러한 바퀴가 쉽게 경사면이나 수직면을 타고서 미끄러져 비켜나도록 할 수 있다. 커버(170)는 슬라이딩홀(122)의 내측으로 삽입된 가동돌기(130)의 경사면(133)에 지지되는 경사지지턱(172)에 의해 슬라이딩홀(122)의 차단시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데, 가동돌기(130)가 경사면(133)을 가짐으로써 슬라이딩홀(122) 상단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차단하여 이물질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100)는 돌출감지부(181), 삽입감지부(182), 브레이크(190) 및 제어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감지부(181)는 가동돌기(130)가 턴테이블(1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지지돌기부(141)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삽입감지부(182)는 가동돌기(130)가 턴테이블(120)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지지돌기부(141)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돌출감지부(181)와 삽입감지부(182)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걸림홈(123)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설치될 수 있는데, 지지돌기부(141)의 접촉에 의해 감지하도록 접촉스위치나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레이크(190)는 턴테이블(120)의 회전을 억제 및 허용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턴테이블(120)의 회전축(121)에 밀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부재(191)와, 마찰부재(191)를 이동시켜서 회전축(121)을 그립핑하거나, 마찰부재(191)를 복귀시켜서 회전축(12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실린더나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 등의 브레이크구동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돌출감지부(181) 및 삽입감지부(182) 각각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조작부(220)의 조작신호 및 케이지(110)의 승강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회전구동부(150)의 모터(153) 및 브레이크(190)의 브레이크구동부(19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조작부(220)의 하우징을 비롯하여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회전구동부(150)의 동작에 의해 돌기가동판(140)이 "a"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향가이드면(131)과 상향가이드면(142)의 맞닿아서 제 1 스프링(134)에 의해 가동돌기(130)가 슬라이딩홀(12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커버(170)가 제 2 스프링(173)에 의해 슬라이딩홀(122)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회전구동부(150)의 동작에 의해, 돌기가동판(140)이 "b"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향가이드면(131)과 상향가이드면(142)이 서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커버(170)가 슬라이딩홀(122)의 상부를 개방시키면서 가동돌기(130)가 슬라이딩홀(122)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구동부(150)의 동작에 의해, 돌기가동판(140)이 계속헤서 "b"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에 걸리도록 하여, 턴테이블(120)이 회전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턴테이블(120)은 1회 회전시마다 180도 정도 회전하도록 회전구동부(150)의 동작을 설정 내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가동돌기(130)의 돌출 동작은 턴테이블(120)이 회전시에만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휠체어 사용자가 조작부(220)의 조작에 의해 턴테이블(120)의 회전 조작 신호를 입력하면, 회전 조작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회전구동부(150)가 동작하거나, 회전 조작 신호를 직접 수신받는 회전구동부(150)가 동작함으로써, 돌기가동판(140)을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가동돌기(130)가 커버(170)를 개방시키면서 턴테이블(120)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다음, 돌기가동판(140)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에 걸려서 턴테이블(120)이 180도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120)의 180도 회전을 마치면, 정해진 바에 따라 회전구동부(150)의 동작에 의해 돌기가동판(140)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지지돌기부(141)가 걸림홈(123)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돌기(130)가 삽입되면서 커버(170)가 제 2 스프링(173)에 의해 닫히도록 한다. 이러한 가동돌기(130)의 돌출 및 삽입에 대해서는 이를 각각 감지하는 돌출감지부(181) 및 삽입감지부(182)의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돌기가동판(140)만 돌출 및 삽입되는 단계에서 브레이크(190)의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120)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턴테이블(120)의 회전 단계에서 브레이크(190)의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12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브레이크(190)의 동작에 의해 가동돌기(130)의 안정적인 돌출 및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돌기(130)의 돌출 동작은 턴테이블(120)이 비록 회전하지 않더라도, 케이지(110)의 승강동작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210)가 케이지(110)의 승강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엘리베이터의 메인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아 케이지(110)의 상승이나 하강을 수행한다고 판단되면, 돌출감지부(181) 및 삽입감지부(182)의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210)의 회전구동부(150)에 대한 제어 동작에 의해, 가동돌기(130)의 돌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지(110)의 승강 동작이 멈추면 가동돌기(130)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0)는 턴테이블(120)의 회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190)의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120)이 불필요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가동돌기(130)의 안정적인 돌출 및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턴테이블이 회전하거나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돌출되는 가동돌기에 의해 턴테이블 상의 휠체어가 원하지 않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체어의 흔들림으로 인한 휠체어 사용자의 불안이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휠체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턴테이블의 회전이나 엘리베이터의 동작이 정지하는 경우, 턴테이블로부터 가동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가 턴테이블로부터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휠체어 사용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면서도 엘리베이터 탑승객에게 불편을 야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케이지 111 : 수용공간
112 : 장착공간 113 : 제 1 베어링
114 : 제 2 베어링 115 : 제 3 베어링
116 : 고체윤활제 117 : 미러
120 : 턴테이블 121 : 회전축
122 : 슬라이딩홀 123 : 걸림홈
124 : 수용홈 130 : 가동돌기
131 : 하향가이드면 132 : 지지턱
133 : 경사면 134 : 제 1 스프링
135 : 장착홈 140 : 돌기가동판
141 : 지지돌기부 142 : 상향가이드면
150 : 회전구동부 151 : 체인
152 : 스프로킷 153 : 모터
160 : 차단링 170 : 커버
171 : 힌지축 172 : 경사지지턱
173 : 제 2 스프링 181 : 돌출감지부
182 : 삽입감지부 190 : 브레이크
191 : 마찰부재 192 : 브레이크구동부
210 : 제어부 220 : 조작부

Claims (7)

  1. 이용자를 수용하여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휠체어가 안착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상하로 관통하는 슬라이딩홀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는 턴테이블;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는 하향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 내에 삽입되도록 복귀하는 가동돌기;
    상기 턴테이블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홈 각각의 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돌기부가 상단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향가이드면에 의해 상기 하향가이드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먼저 돌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고, 역회전시 상기 지지돌기부가 상기 걸림홈 내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제 1 스프링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내로 복귀되도록 하는 돌기가동판; 및
    상기 케이지 내에 설치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돌기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슬라이딩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돌기는,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에 삽입되어, 다수개가 상기 턴테이블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 상에 안착된 휠체어의 모든 바퀴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돌기는,
    상기 턴테이블에 의해 상부가 차단되는 장착홈이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 상기 제 1 스프링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은,
    가장자리에 상기 슬라이딩홀 각각의 끝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돌기 각각의 끝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와 함께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차단링을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의 상단에 상기 턴테이블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에 의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동돌기의 상승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동돌기의 하강에 의해 제 2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을 차단시키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동돌기는,
    상면에 상기 힌지축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슬라이딩홀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가동돌기의 경사면에 지지되는 경사지지턱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의 차단시 수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돌기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돌출감지부;
    상기 가동돌기가 상기 턴테이블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상기 지지돌기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삽입감지부;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을 억제 및 허용하는 브레이크; 및
    상기 돌출감지부 및 상기 삽입감지부 각각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 및 상기 케이지의 승강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회전구동부 및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20180050313A 2018-05-01 2018-05-01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1874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313A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5-01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313A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5-01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89B1 true KR101874289B1 (ko) 2018-07-04

Family

ID=6291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313A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5-01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128B1 (ko) 1995-06-14 2003-03-04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KR101575799B1 (ko) 2014-06-10 2015-12-08 (주)아이엔아이 차량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128B1 (ko) 1995-06-14 2003-03-04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KR101575799B1 (ko) 2014-06-10 2015-12-08 (주)아이엔아이 차량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61240B (en) Mechanical parking station
JP4905360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A2626052C (en) Safety arrangement for a lift car in a lift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640588B2 (ja) 車両用昇降装置
US20140123379A1 (en) Lif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74289B1 (ko)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JP2002370879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H09290996A (ja) 車椅子等用リフト装置
KR20190000313A (ko) 엘리베이터 린텔 도어 락 안전 디바이스들
US5353907A (en) Dual-purpose escalator for wheelchair
JP5198755B2 (ja) 機械式駐車場装置
JP2721310B2 (ja) 螺旋階段用の昇降機
JP20102650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596946B2 (ja) 立体駐車設備用安全柵
JP3901386B2 (ja) 駐車設備の昇降装置
KR100810698B1 (ko) 차량용 엘리베이터
JP2000191256A (ja) 乗用エレベ―タ―内の車椅子方向転換装置
JP4158574B2 (ja) 跳ね上げ式門扉
KR100508209B1 (ko) 플랫폼의 승강보조장치
JP2017160019A (ja) 移動手摺付エレベータ
KR20060101357A (ko) 변좌승강장치
EP0749932A2 (en) Dual-purpose escalator for wheelchair
JP4371550B2 (ja) 乗降補助装置
KR970004191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 추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