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128B1 -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 Google Patents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128B1
KR100362128B1 KR1019960021209A KR19960021209A KR100362128B1 KR 100362128 B1 KR100362128 B1 KR 100362128B1 KR 1019960021209 A KR1019960021209 A KR 1019960021209A KR 19960021209 A KR19960021209 A KR 19960021209A KR 100362128 B1 KR100362128 B1 KR 100362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hinged
flaps
hinged flap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206A (ko
Inventor
뽀미에르 끌로드
리코드 빠뜨릭
Original Assignee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지이씨 알스톰 트랜스포트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97000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6Supports for stretchers, e.g. to be placed in or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or stretchers
    • A61G3/0808Accommodating or securing wheel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휘일체어의 휘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방을 초킹하기 위한 초킹 수단이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으로 구성되며, 이들 중 하나는 상기 휘일체어의 상기 휘일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휘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환자 또는 이동하기 불편한 사람을 수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955,847호에는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첫 번째로 휘일체어의 두 휘일중 어느 하나를 각각 수납하기에 적합한 두 개의 홈형 레일과, 두 번째로 각각의 홈형 레일 내에 두 휘일을 유지하는 크로스바아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937,376호에도 또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장치는 휘일체어의 두 휘일의 각각의 전후방을 초킹(chocking)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양 특허에 기재된 장치들은 휘일체어의 두 휘일의 각각의 전후방을 직접 초킹하는 역할을 하는 보조 수단에 기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기존의 표준 휘일체어에 적용할 수 있는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 및 실시예는 공지된 본 기술 분야의 구조 및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이 장치는 상기 휘일체어의 휘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방을 초킹하는 초킹 수단이 두 개의 힌지식 플랩으로 구성되며, 이 플랩들 중 하나는 상기 휘일체어의 휘일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휘일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이하의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상기 장치가 차량의 바닥에 설치될 때 두 개의 힌지식 플랩은 상기 바닥 두께 범위 내에 합체된다.
두 플랩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식 플랩이다.
상기 힌지식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휘일체어의 탑승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로킹 수단은 상기 힌지식 플랩들이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과 협동해서 상기 힌지식 플랩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한다.
안내 수단이 상기 로킹 수단과 협동하며, 상기 로킹 수단은 상기 안내 수단 내에서 활주하여 상기 유지 수단 내에 유지될 때까지 상기 안내 수단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힌지식 플랩들이 상승 및 하강되고 있을 때 상기 힌지식 플랩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한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이점은 승객이 승객용 차 내에서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의 장치는 그 장치가 비어 있을 때에는 승객의 통로를 방해하지 않는 것이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그 장치가 매우 극심한 조건, 즉 비상 제동, 및 종횡 가속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본 장치가 하나의 독립된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어서 그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이점은 그 장치가 주변 설비(surroundings) 내로 용이하게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읽고 나면 본 발명의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바닥, 예컨대 철도 또는 도로 차량의 승객용 차의 바닥, 또는 항공기 또는 보트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어, 일반 가정, 또는 공공 또는 사설 건물 내의 이동 계단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바닥 두께 범위 내에 합체된 기계적 수단과,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며, 그 제어 수단도 역시 합체되어 휘일체어의 탑승자가 접근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합체된 기계된 수단은 박스(1) 내에 배치된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으로 구성되며, 그 결과로 생긴 조립체는 차량의 바닥(3)의 두께 범위 내에 합체된다.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의 각각은 본원의 힌지식 플랩의 기부를 중심으로 해서 피봇 회전하도록 장착된 이동벽(2A)을 포함한다.
힌지식 플랩의 이동벽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바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은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의 이동벽(2A)을 휘일체어의 메인 휘일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시킨 다음 이동벽들을 V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휘일체어의 메인 휘일(R)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휘일체어는 그것이 두 개의 힌지식 플랩들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힌지식 플랩이 가동된 후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비어 있는 위치(제1도 참조)에서 두 개의 힌지식 플랩은 바닥과 수평을 이루는 반면에, 점유된 위치(제2도 참조)에서 두 개의 힌지식 플랩은 최대 가속 중에, 특히 비상 제동 중에 휘일체어가 이동되지 않도록 바닥 상부에 장애물을 형성한다.
제1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합체된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휘일체어의 탑승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양호하게는 덮개(10)의 상부 상에 배치된 두 개의 푸시 버튼(8, 9)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합체된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및 유압식일 수 있다.
합체된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로킹하기 위한 로킹 수단(11)은 휘일체어가 두 개의 힌지식 플랩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을 때 제어 수단이 합체된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제어 수단은 차장(guard)의 예비 키이에 의해 언로킹될 수 있다.
제3도는 힌지식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부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힌지식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부분 단면도인 제4도 및 제5도에 의해 보완된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또한 박스(1)와 힌지식 플랩(2)을 도시하고 있다.
힌지식 플랩은 가동 수단에 의해 생성된 힘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 수단을 거쳐 가동 수단에 의해 가동된다.
예를 들어, 가동 수단은 가동기(4)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수단은 커넥팅 로드(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기(4)는 공압식 가동기일 수 있다.
가동기(4)는 차량의 바닥(3)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힌지식 플랩(2)은 가동기(4)의 양측에 배치되며 커넥팅 로드(5)에 의해 가동기의 한 단부와 일체화된다.
힌지식 플랩은 로킹 수단(6)에 의해 점유된 위치에서 로킹된다. 로킹 수단(6)은 주로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 또는 이동 계단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 힌지식 플랩들이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 힌지식 플랩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로킹 수단(6)은 로킹 수단(6)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6A)과 협동한다.
유지 수단(6A)은 양호하게는 원통형이며, 이들은 가동기(4) 및 로킹 수단(6)과 정렬되어 배치되며 박스(1)의 저부에 고정된다.
로킹 장치가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수단(6)은 저위치에 있으며 유지 수단(6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다.
채널형 단면 안내 수단(7)이 가동기(4)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안내 수단(7)은 로킹 수단(6)이 안내 수단(7) 내에서 활주함으로써 유지 수단(6A) 내에 유지될 때까지 안내되도록 로킹 수단(6)과 협동한다.
안내 수단(7)은 힌지식 플랩들이 상승 또는 하강되고 있는 동안 힌지식 플랩(2)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고정식 플랩과 하나의 힌지식 플랩을 포함한다.
고정식 플랩은 휘일체어가 고정식 플랩을 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만큼 충분하게 바닥 위에 장애물을 형성한다.
그 다음, 휘일체어는 고정식 플랩에 대해 접촉될 수 있으며 힌지식 플랩은 바닥 두께 범위 내에 합체된다.
그 다음, 힌지식 플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된다.
휘일체어의 메인 휘일은 고정식 플랩의 고정 벽에 의해 고정되며 힌지식 플랩의 이동벽은 휘일체어의 메인 휘일의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쪽에 각각 위치되며, 그 때 벽은 V자형을 형성한다.
명백하게, 힌지식 플랩과 고정식 플랩의 벽들은 양호하게는 플랩들이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 V자형을 형성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렇게 될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플랩의 벽은 평면형, 볼록형, 오목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들은 미끄럼이 없도록 엠보싱 가공된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도는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가 비어 있는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가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힌지식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부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힌지식 플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박스 2: 플랩
3: 바닥 2A: 이동벽
4: 가동기 5: 커넥팅 로드
6: 로킹 수단 6A: 유지 수단
7: 안내 수단 8, 9: 푸시 버튼
10: 덮개 R: 메인 휘일

Claims (6)

  1. 휘일체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휘일체어의 휘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방을 초킹하기 위한 상기 초킹 수단은 두 개의 힌지식 플랩(2)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랩들 중의 하나는 상기 휘일체어의 상기 휘일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휘일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차량의 바닥에 설치될 때 두 개의 힌지식 플랩은 상기 바닥 두께 범위 내에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플랩들 중 하나는 고정식 플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식 플랩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은 휘일체어의 탑승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킹 수단(6)은 상기 힌지식 플랩들이 점유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식 플랩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하도록 상기 로킹 수단(6)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6A)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안내 수단(7)이 상기 로킹 수단(6)과 협동하며, 상기 로킹 수단(6)은 상기 안내 수단(7) 내에서 활주되며 상기 유지 수단(6A) 내에 유지될 때까지 상기 안내 수단(7)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안내 수단(7)은 상기 힌지식 플랩들이 상승 또는 하강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힌지식 플랩(2)들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힘을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60021209A 1995-06-14 1996-06-13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KR100362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07071 1995-06-14
FR95-7071 1995-06-14
FR9507071A FR2735359B1 (fr) 1995-06-14 1995-06-14 Dispositif d'immobilisation d'un fauteuil rou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06A KR970000206A (ko) 1997-01-21
KR100362128B1 true KR100362128B1 (ko) 2003-03-04

Family

ID=9479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209A KR100362128B1 (ko) 1995-06-14 1996-06-13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13704A (ko)
EP (1) EP0748618B1 (ko)
KR (1) KR100362128B1 (ko)
CA (1) CA2178891C (ko)
DE (1) DE69614044T2 (ko)
FR (1) FR2735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7-04 정선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101963704B1 (ko) *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20190130401A (ko) * 2018-05-14 2019-11-22 박민석 안정감 저해 요인 경감 기술이 적용된 버스용 휠체어 승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1283B1 (en) 1997-09-15 2001-05-15 Thomas R. Stowers Vehicle restraint apparatus
US6161996A (en) * 1998-10-23 2000-12-19 Bartlett; Jerrold Securing apparatus for transporting wheeled vehicles
US6352396B1 (en) 1999-04-16 2002-03-05 The Braun Corporation Automatic wheelchair restraining device
US6364594B1 (en) 2000-07-07 2002-04-02 Universal City Studios, Inc. Wheelchair transfer device for use in amusement rides
US6837666B1 (en) * 2002-04-19 2005-01-04 Cook Technologies, Inc. Device for securing a personal-transport vehicle to a lift and carrier assembly
EP1638821B1 (en) * 2003-05-27 2012-02-08 Freedom Sciences, LLC Device for securing a personal-transport vehicle to a mounting surface
US7455490B1 (en) 2004-07-21 2008-11-25 Gregory F Goosen Wheelchair holding device
WO2009009726A1 (en) * 2007-07-11 2009-01-15 Cook Technologies, Inc. D/B/A Freedom Lift Corporation Devices for securing personal-transport vehicles to mounting surfaces
GB2512610B (en) * 2013-04-03 2020-03-18 Brotherwood Automobility Ltd Caster steering device
CN105780686B (zh) * 2015-12-28 2018-06-29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定位装置
CN111762215B (zh) * 2020-06-11 2021-05-04 青岛生久铁路轨道设备有限公司 一种轮椅固定装置
US11311434B2 (en) 2020-09-28 2022-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nel designed to engage wheels of wheelchair
CN114028126B (zh) * 2021-11-21 2023-09-08 深圳市瑞塘科技有限公司 一种乳腺外科科室用可升降护理推车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2035A (en) * 1948-07-14 1951-07-24 United States Steel Corp Devices for positioning and handling cylindrical articles
US2585126A (en) * 1949-03-29 1952-02-12 William M Holland Railroad car for transporting road vehicles
US3425517A (en) * 1967-11-22 1969-02-04 Charles D Speir Automatic wheel chock
US3628466A (en) * 1969-07-15 1971-12-21 Pullman Inc Railroad boxcar and movable platform stops therefor
US4027747A (en) * 1976-02-10 1977-06-07 Blue Bird Body Company (Entire) Wheelchair holding device for vehicles
CH679028A5 (ko) * 1989-04-28 1991-12-13 Frech Hoch Ag E
IT1243914B (it) * 1990-11-20 1994-06-28 Campisa Srl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carichi su ruote, in particolare per piattaforme elevatrici
US5388937A (en) * 1993-12-23 1995-02-14 Farsai; Ali J. Wheelchair securement device for transit vehicl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704B1 (ko) * 2017-10-31 2019-07-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1874289B1 (ko) 2018-05-01 2018-07-04 정선호 휠체어용 안전 턴테이블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KR20190130401A (ko) * 2018-05-14 2019-11-22 박민석 안정감 저해 요인 경감 기술이 적용된 버스용 휠체어 승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KR102078355B1 (ko) * 2018-05-14 2020-02-17 박민석 안정감 저해 요인 경감 기술이 적용된 버스용 휠체어 승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용 버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06A (ko) 1997-01-21
EP0748618A1 (fr) 1996-12-18
US5713704A (en) 1998-02-03
FR2735359B1 (fr) 1997-11-14
CA2178891A1 (fr) 1996-12-15
FR2735359A1 (fr) 1996-12-20
DE69614044D1 (de) 2001-08-30
EP0748618B1 (fr) 2001-07-25
CA2178891C (fr) 2007-05-08
DE69614044T2 (de) 200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128B1 (ko) 휘일체어를고정하기위한장치
CA1082654A (en) Automatic lift assembly
US6167816B1 (en) Single screw bridgeplate
WO1992014431A3 (en) Wheelchair lift for transit vehicles having elevated passenger compartment floor
AU716015B2 (en) A compact moveable ramp assembly
US5769480A (en) Power seat apparatus
US4420286A (en) Invalid lift apparatus
US20010005478A1 (en) Low floor vehicle ramp assembly
CA2100180A1 (fr) Dispositif facilitant l'acces a un vehicule ferroviaire
CA2084813A1 (en) A movable vehicule seat
CA2209087A1 (en) An improved movable ramp assembly
CA2081027A1 (en) Wheelchair lift for transit vehicles having elevated passenger compartment floor
US20030071434A1 (en) Dual function passenger access system for a vehicle
US5165839A (en) Wheelchair lift for railway cars
EP0901783A2 (en) Access facilities for vehicles
CA2278437A1 (en) Emergency brake lock assembly
GB2279556A (en) Storable seat
GB2277495A (en) Restraining wheelchairs in vehicles
JP2582601Y2 (ja) 超低床バスの車椅子乗降装置
US11311432B2 (en) Wheelchair lift for mounting to a vehicle
JPH10139331A (ja) エレベータの敷居装置
JP3201123B2 (ja) 自動車の車椅子乗降装置
JP3791261B2 (ja) バス等のスロープ乗降装置
KR100250608B1 (ko) 철도차량의 장애인용 승강장치
JPH10250500A (ja) 低床バスのハーネス類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