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704B1 -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704B1
KR101954704B1 KR1020170073862A KR20170073862A KR101954704B1 KR 101954704 B1 KR101954704 B1 KR 101954704B1 KR 1020170073862 A KR1020170073862 A KR 1020170073862A KR 20170073862 A KR20170073862 A KR 20170073862A KR 101954704 B1 KR101954704 B1 KR 10195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fixing
attachment
smartpho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5618A (ko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17007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704B1/ko
Priority to PCT/KR2018/000791 priority patent/WO2018230801A1/ko
Publication of KR2018013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시키는 홀더부(110)를 구비하는 크래들(100)과 일측에 상기 크래들(100)과 자석타입으로 부착되는 부착부(210)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220)를 구비하는 거치대 본체(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고정의 자유도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용이하게 한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스마트폰을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스마트링을 부착하고 스마트링을 차량의 송풍구에 끼워 거치하는 미니멀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링은 차량에 부착이 간편하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링이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쉬워 스마트폰을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링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된 작은 링 형상이므로 차량에서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48호(2005.12.14 등록)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3820(2017.05.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용이하도록 자석타입 크래들을 적용하고 크래들을 거치대 본체와 결합시 돌기와 홈 구조를 적용하여 결합 후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크래들과 일측에 상기 크래들과 자석타입으로 부착되는 부착부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크래들은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와 상기 부착홈에는 상호 부착 후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돌기와 고정홈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일자형의 고정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방사형 홈으로 된다.
상기 크래들과 상기 부착부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된다.
상기 홀더부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면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제1 파지부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면의 타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파지부 측에 구비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제1 파지부와 거리가 멀어지고 상기 버튼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제2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는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다.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로 연결한다.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부착부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다이얼과 상기 조작다이얼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크래들을 거치대 본체와 결합시 자력에 의해 부착하고 돌기와 홈 구조를 채용하여 부착 후 유동이 방지되게 하므로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시 스마트폰 고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의 고정성과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볼조인트 구조를 포함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거치대 본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후면 측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의 후면 측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 본체의 부착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착부와 크래들의 결합 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10)는 크래들(100)과 거치대 본체(200)를 포함한다. 크래들(100)은 스마트폰의 상하 양단(또는 좌우 양단)을 잡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00)은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부(110)를 구비한다.
홀더부(110)는 안착면(111), 제1 파지부(113), 제2 파지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착면(111)에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며, 제1 파지부(113)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다. 제2 파지부(115)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타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 파지부(115)는 제1 파지부(113)와 협력하여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협력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방법은 후술할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안착면(111), 제1 파지부(113) 및 제2 파지부(115)에서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면은 차량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로 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에는 스마트폰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은 스마트폰과 홀더부(110)의 밀착력을 높여 스마트폰이 크래들(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크래들(100)은 거치대 본체(200)에 자석타입으로 부착된다.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자석타입으로 부착하면 운전 중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200)는 일측에 크래들(100)과 자석타입으로 부착되는 부착부(210)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하여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볼조인트 구조는 두 개의 볼을 내부가 빈 구 형상 몸체 내에 삽입하여 연결한 것으로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부(210)와 고정부(220)는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하기 위한 제1 볼(230)과 제2 볼(240)을 더 포함한다.
제1 볼(230)은 후술할 원통 형상의 부착부(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암(Arm)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제2 볼(240)은 고정부(220)에서 후술할 결합핀(221)이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암(Arm)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부착부(210)의 제1 볼(230)과 고정부(220)의 제2 볼(240)은 내부가 빈 구 형상 몸체(250) 내에 삽입되어 구 형상의 몸체(250)에 대해 제1 볼(230)이 회전 가능하고, 구 형상 몸체(250)에 대해 제2 볼(24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부(210)가 고정부(22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다.
내부가 빈 구 형상 몸체(250)는 두 몸체로 구성하여 내부에 두 개의 볼(230,240)을 삽입한 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며, 두 볼(230,240)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볼고정수단(260)이 더 포함한다.
볼고정수단(260)은 두 개의 볼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이동부재로써 양측 경사면이 두 볼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두 볼이 회전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차량의 송풍구(P)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핀(22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핀(221)은 탄성 변형되면서 차량의 송풍구에 압입식으로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220)의 형상은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결합핀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송풍구(P)에 탄성 변형에 의해 끼워지고 압입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후면 측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크래들(100)은 후면에 부착부(210)가 부착되는 부착홈(120)을 구비하며, 크래들(100)의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고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크래들(100)과 부착부(210)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될 수 있다.
크래들(100)의 부착홈(120) 측에 자석이 매립되고 부착부(210)에 자석이 매립되어 크래들(100)과 부착부(210)가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100)의 부착홈(120) 측과 부착부(210)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이 매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금속으로 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래들의 후면 측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 본체의 부착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부착홈(120)은 크래들(100)의 후면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 원 형상이고, 부착부(210)는 요입된 원 형상의 부착홈(120)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된다.
부착부(210)와 부착홈(120)에는 상호 부착 후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돌기(121)와 고정홈(211)을 구비한다. 고정돌기(121)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홈(211)은 일자형의 고정돌기(12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방사형 홈으로 된다.
일자형의 고정돌기(121)는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가진 형상일 수 있다.
부착부(210)가 부착홈(120)에 삽입되면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방사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부착홈(120)에 대한 부착부(21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부착부(210)가 부착홈(120)에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와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방사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구조는 상호 작용하여 크래들(100)이 거치대 본체(2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착부와 크래들의 결합 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크래들(100)은 전면에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홀더부(110)를 구비하고 후면에 부착홈(120)을 구비한다. 크래들(100)의 후면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면서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도 5에서 홀더부의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와 상호 작용하여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파지부(113)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2 파지부(115)는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안착면(111)의 타측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 파지부(115)는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마트폰을 안착면(111)에 안착시키면, 제1 파지부(11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착면(111)에 안착된 스파트폰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제1 파지부(113) 측에는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130)이 구비된다.
버튼(130)은 크래들(1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 파지부(115)와 연결되어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버튼(130)은 탄성부재(140)에 의해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탄성력이 작용한다.
그에 따라, 제1 파지부(113) 측에 구비한 버튼(130)을 누름에 의해 버튼(130)이 제2 파지부(115)를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이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 사이의 간격 및 버튼(130)을 누름에 따라 제2 파지부(115)가 제1 파지부(1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 등은 스마트폰의 규격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일 실시예와 비교시 거치대 본체(200')가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성, 차량에 흡착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거치대 본체(200')의 구성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거치대 본체(200')는 부착부(210)와 고정부(220')의 사이를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270)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부착부(210)와 연장부(270), 연장부(270)와 고정부(220)는 각각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하여 부착부(210)가 연장부(27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연장부(270)가 고정부(2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270)는 고정부(220')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1 몸체(271)와, 제1 몸체(271)에서 인출 가능하며 부착부(210)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2 몸체(273)와, 제2 몸체(273)를 제1 몸체(271)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275)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270)는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스마트폰을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여 스마트폰 고정의 자유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부(220')는 차량에 흡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흡착판(223)을 포함한다. 흡착판(223)은 진공 흡착을 통해 차량의 유리, 대시보드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길이조절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길이조절수단(275)은 제2 몸체(273)에 연결된 랙기어(276)와 랙기어(276)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랙기어(276)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277)와 피니언기어(277)를 회전시키는 조작다이얼(278)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다이얼(278)은 제1 몸체(271)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조작다이얼(278)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79)는 조작다이얼(278)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조작다이얼(278)의 임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연장부(270)가 길이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크래들(100)에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 고정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크래들(10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제1 파지부(113)의 버튼을 눌러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안착면(111)에 스마트폰의 후면을 접촉시키고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버튼(130)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스마트폰은 후면이 안착면(1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하 단부가 제1 파지부(113)와 제2 파지부(11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차량용 거치대(10)는 고정부(220)의 결합핀(221)을 차량의 송풍구(P)에 끼움 결합함에 의해 송풍구(P)와 완전히 밀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 상태에서 차량용 거치대(10)는 부착부(210)와 고정부(220)가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춰 스마트폰의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 거치할 때에는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의 거치가 완료될 수 있다.
그 과정은 스마트폰이 고정된 크래들(100)의 후면 부착홈(120)에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가 삽입되게 크래들(100)을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면 자력에 의해 크래들(100)이 부착부(210)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면서 부착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부착부(210)의 고정홈(211)에서 방사형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크래들(100)이 거치대 본체(200)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크래들(100)에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의 부착부(21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200')에 고정하는 것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의 차량용 거치대(10')는 고정부(220')의 흡착판(223)을 차량의 대시보드, 유리 등에 진공 흡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차량용 거치대(10')는 부착부(210)와 연장부(270), 연장부(270)와 고정부(220)가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시야에 맞춰 스마트폰의 다양한 각도 조절과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연장부(270)가 길이조절 가능하므로 스마트폰을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거리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운전 중 스마트폰을 차량용 거치대(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을 손으로 파지하고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200')에 거치할 때에는 크래들(100)을 거치대 본체(200')에 접촉시키는 것에서 간단하게 스마트폰의 거치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크래들과 거치대 본체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대 본체에 고정하고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므로 스마트폰 고정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홈과 돌기 구조를 채용하여 고정시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 본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볼조인트 구조를 포함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거치대 본체에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을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고정시키기도 용이하다.
상기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혼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거치대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핸드폰을 포함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제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 이외에, 탁상용 등 다양한 용도 및 위치에서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량용 거치대 100: 크래들
110: 홀더부 111: 안착면
113: 제1 파지부 115: 제2 파지부
120: 부착홈 121: 고정돌기
130: 버튼 140: 탄성부재
200, 200': 거치대 본체 210: 부착부
211: 고정홈 220,220': 고정부
221: 결합핀 223: 흡착판
230: 제1 볼 240: 제2 볼
250: 구 형상 몸체 260: 볼고정수단
270: 연장부 271: 제1 몸체
273: 제2 몸체 275: 길이조절수단
276: 랙기어 277: 피니언기어
278: 조작다이얼 279: 스토퍼

Claims (10)

  1. 스마트폰을 끼워 고정시키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크래들; 및
    일측에 상기 크래들과 자석타입으로 부착되는 원통 형상의 부착부를 구비하고 반대되는 타측에 차량에 끼움 결합 또는 흡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거치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원통 형상의 부착부와 대응되는 원 형상으로 요입된 부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크래들의 부착홈에는 부착 후 유동 방지를 위한 고정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 본체의 부착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부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사형의 고정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부착홈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과 상기 부착부는 자석과 자석 또는 자석과 금속 구조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면의 일단에서 돌출되는 제1 파지부; 및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스마트폰의 반대편 타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안착면의 타단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파지부 측에 구비한 버튼을 누름에 의해 제1 파지부와 거리가 멀어지고 상기 버튼을 누른 힘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제2 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는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부착부의 회전 상태는 볼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를 길이조절 가능한 연장부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와 상기 연장부, 상기 연장부와 상기 고정부는 각각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서 인출 가능하며 상기 부착부에 볼조인트 구조로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를 제1 몸체에 대해 인출시키고 인출된 상태가 고정되게 하는 길이조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제2 몸체에 연결된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다이얼; 및
    상기 조작다이얼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1020170073862A 2017-06-13 2017-06-13 차량용 거치대 KR10195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62A KR101954704B1 (ko) 2017-06-13 2017-06-13 차량용 거치대
PCT/KR2018/000791 WO2018230801A1 (ko) 2017-06-13 2018-01-17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62A KR101954704B1 (ko) 2017-06-13 2017-06-13 차량용 거치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76A Division KR20190026703A (ko) 2019-02-27 2019-02-27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618A KR20180135618A (ko) 2018-12-21
KR101954704B1 true KR101954704B1 (ko) 2019-03-07

Family

ID=6495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62A KR101954704B1 (ko) 2017-06-13 2017-06-13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1800A (zh) * 2018-12-29 2019-02-19 贵州大学 一种稳固型车载手机支架
KR102379624B1 (ko) * 2020-07-09 2022-03-25 이정호 휴대폰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65Y1 (ko)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39994Y1 (ko) 2007-08-21 2008-05-16 한진복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136290A1 (en)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065Y1 (ko) * 2005-09-23 2005-12-07 설정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39994Y1 (ko) 2007-08-21 2008-05-16 한진복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136290A1 (en)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618A (ko)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120895B2 (en) Mounting assembly having a base with an inner ball positioned within a hollow outer ball
KR101954704B1 (ko) 차량용 거치대
US20220203905A1 (en) Smart Phone Mount for Vehicles
KR101563058B1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1617588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TWM509306U (zh) 攜行自拍及車用固定之多用途電子裝置固定器
KR20120138564A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90026703A (ko) 차량용 거치대
KR20160000276U (ko)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차량용 거치대
KR20120124742A (ko) 흡착구
KR2015003383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CN108533895B (zh) 支架
US9887723B2 (en) Communications device mounting assembly
KR200454155Y1 (ko) 휴대폰 장착기구
US20100219199A1 (en) Vent mountable tissue dispenser
CN213152122U (zh) 一种重力机械联动车载手机支架
CN212628005U (zh) 车载手机支架
KR102064280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N210912146U (zh) 一种杯体固定装置及车载杯托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CN210670197U (zh) 一种新型手机支架
KR20130080201A (ko)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