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994Y1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9994Y1 KR200439994Y1 KR2020070013880U KR20070013880U KR200439994Y1 KR 200439994 Y1 KR200439994 Y1 KR 200439994Y1 KR 2020070013880 U KR2020070013880 U KR 2020070013880U KR 20070013880 U KR20070013880 U KR 20070013880U KR 200439994 Y1 KR200439994 Y1 KR 2004399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se contact
- hole
- pair
- rotary
- moni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구와 모니터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 고정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각도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몸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2회전구 홈에는 양측 방향으로 절개된 장홀이 형성되므로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해 흡착구를 부착하는 제1회전구 및 모니터를 부착하는 제2회전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밀착수단의 작동으로 제1,2회전구를 동시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1,2회전구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흡착구, 거치대, 모니터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구와 모니터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 고정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각도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통상 라디오나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오디오 장치가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이런 오디오 장치뿐만 아니라 TV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비디오 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특히, 이러한 비디오 장치에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모니터는 휴대가 간편하고 설치 등이 용이하도록 통상 가볍고 슬림한 형태의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져 별도의 거치대에 의해 차량 내에 고정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TV는 물론이고 지도까지 검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비게이션 또한 가볍고 슬림한 형태의 액정 모니터로 이루어져 별도의 거치에 의해 차량 내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모니터를 고정 설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거치대는 종래에도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59730호가 그 일예이다.
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크게 상면 중앙에 돌출 원형판이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 판과, 상기 돌출 원형판 둘레를 감싸며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호 조립되고, 조립 시 상부 일측에 개방 장홀을 가지는 회전구 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회전구 홈에 삽입 장착되는 모니터 고정부로 구성되는데, 이 구성에 의하면,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모니터만을 각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각도 구현이 불가능하며, 모니터의 각도 고정시 강약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흡착구와 모니터의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 고정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각도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조립되는 한 쌍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조립시 내부에는 장착실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장홀을 가지는 제1,2회전구 홈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실과 연통되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회전구 홈에 삽입 장착되며, 일측면에는 흡착구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구 홈을 통해 돌출되는 제1지지대가 구비된 제1회전구; 상기 제2회전구 홈에 삽입 장착되며, 일측면에는 모니터를 안치하도록 상기 제2회전구 홈을 통해 돌출되는 제2지지대가 구비된 제2회전구; 상기 장착실에서 장착공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채 대칭되게 위치되되 상면은 구 형상의 제1,2회전구를 안치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2회전구를 안치하고, 하면은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부 및 상기 한 쌍의 밀착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과 몸체의 장착공에 설치되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밀착부를 동시에 밀착시키거나 해제하는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제1,2회전구 홈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부 내측과 상기 제1,2회전구 홈에 장착되는 제1,2회전구 사이에는 밀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다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도록 패킹부재가 추가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장착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밀착부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일부는 왼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일부는 오른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져 왼나사부가 형성된 일측 끝단부는 장착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 상기 장착공으로 돌출되는 지지봉에 부착되는 손잡이부; 상기 지지봉의 왼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하면 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 하면 경사면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이동판 및 상기 지지봉의 오른나사부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 하면 경사면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이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몸체의 장착실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밀착부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은 장착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볼트봉; 상기 장착공으로 돌출되는 볼트봉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부; 상기 볼트봉에 끼움되는 이동관 및 상기 볼트봉에 나사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관의 선단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 하면 경사면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의하면, 몸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2회전구 홈에는 양측 방향으로 절개된 장홀이 형성되므로 거치대를 고정하기 위해 흡착구를 부착하는 제1회전구 및 모니터를 부착하는 제2회전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밀착수단의 작동으로 제1,2회전구를 동시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1,2회전구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1)는 크게 몸체(100), 제1회전구(200), 제2회전구(300), 한 쌍의 밀착부(400) 및 밀착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하기에서 이 구성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조립되는 한 쌍의 케이스(110a)(110b)로 이루어지며, 조립시 내부에는 장착실(112)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제1,2회전구 홈(114a)(114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실(112)과 연통되는 장착공(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장홀(116a)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겠지만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각각 삽착되는 제1,2회전구(200)(300)에 부착된 제1,2지지대(210)(310)가 제1,2회전구 홈(114a)(114b)의 끝단부에 간섭받지 않고 좌우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홀(116a)을 한군데에만 형성하여 일측 방향으로만 각도 조절되도 록 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양측으로 장홀(116a)(116b)을 각각 형성하여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의 끝단에는 홈으로 삽착된 제1,2회전구(200)(300)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17)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a)(110b)의 결합부분에는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이고 결합력이 우수하도록 돌기(120)와 요홈(122)을 형성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회전구(200)는 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회전구 홈(114a)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제1지지대(210)가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회전구 홈(114a)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 제1지지대(210)에는 차량의 유리면이나 벽면에 부착할 수 있는 흡착구(700)가 체결되는데, 이미 공지되어 있는 흡착구(700)의 다양한 형상과 구성에 따라 제1지지대(210)의 형상 또한 달리할 수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회전구(300)는 상기 제1회전구(2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2회전구 홈(114b)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상기 제2회전구 홈(114b) 외부로 돌출되는 제2지지대(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지지대(310)는 제1지지대(210)와 달리 모니터(800)를 안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인데 통상 모니터(800)를 직접 체결하기 보다는 별도의 모니터 체결구(810)를 통해서 안치하 게 된다. 이러한 제2지지대(310) 또한 제작자의 임의대로 그 형상 및 구조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는 상기 장착실(112)에서 장착공(118)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채 대칭되게 위치되되 상면은 구 형상의 제1,2회전구(200)(30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2회전구(200)(300)를 안치하고, 하면은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도록 경사면(410a)(41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40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장공(42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몸체(100)를 조립하는 볼트(B)가 관통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물론, 몸체(100)의 장착실(112) 내에 장착되는 밀착부(400)는 작동시 흔들리거나 이탈하는 일이 없겠지만 보다 안정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볼트(B)에 지지되게 한 것이다. 이런, 밀착부(400)는 관통된 볼트(B)에 지지는 되나 상하 슬라이딩은 가능하여야 되기 때문에 장공(420)이 길이 방향(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인지하여야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밀착수단(500)은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어져 그 일단이 몸체(100)의 장착공(118)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를 동시에 상하측으로 밀착시키거나 밀착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부(117) 내측과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장착되는 제1,2회전구(200)(300) 사이에는 회전구의 방향전환 및 각도 조절이 보다 용이함과 동시에 제1,2회전구(200)(300)의 고정시 더욱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6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600)는 몸체(100) 내측의 각 모서리 부분에만 위치되도록 네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면, 밀착수단(500)은 크게 지지봉(510), 손잡이부(520), 제1이동판(530) 및 제2이동판(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봉(510)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100)의 장착실(112)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절반으로 나눠 일측은 왼나사부(512)가 형성되고, 타측은 오른나사부(514)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지지봉(510)은 왼나사부(512)가 형성된 일측 끝단부는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몸체(10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520)는 상기 장착공(118)으로 돌출되는 지지봉(510)의 끝단에 고정 부착되는 것으로 지지봉(510)을 쉽게 회동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만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동판(53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봉(510)의 왼나사부(512)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내측에 왼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531)이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532a)(532b)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이동판(540)은 상기 지지봉(510)의 오른나사부(514)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내측에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541)이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 경사면(532a)(532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542a)(542b)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밀착수단(500)의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1회전구 홈(114a)에는 제1회전구(200)가 삽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서 연장된 제1지지대(210)는 제1회전구 홈(114a)의 외부로 돌출되어져 있다. 그리고, 하면에 형성된 제2회전구 홈(114b)에는 제2회전구(300)가 삽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서 연장된 제2지지대(310)는 제1지지대(210)와 마찬가지로 제2회전구 홈(114b)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는 장홀(116a)(116b)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1,2회전구(200)(300)의 제1,2지지대(210)(310)는 제1,2회전구 홈(114a)(114b) 상면에 간섭받지 않고 좌우로 용이하게 각도 조절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의 상면은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17)가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내측에 삽착된 각각의 제1,2회전구(200)(300)는 홈에서 이탈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 내측과 제1,2회전구(200)(300) 사이에는 패킹부재(600)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몸체(100)의 장착실(112)에는 오목한 상면이 상기 제1,2회전구(200)(300)에 밀접되는 한 쌍의 밀착부(400)가 소정의 거리 이격된 채 장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밀착수단(50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사이에는 밀착수단(500)의 지지봉(510)이 위치되어져 그 일측은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져 손잡이부(520)가 부착되어 있고, 타측은 몸체(100)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10)의 왼나사 부(512)에는 제1이동판(530)이 나사 결합되어져 있되 상하면에 형성된 경사면(532a)(532b)을 매개로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되어 있고, 상기 지지봉(510)의 오른나사부(514)에는 제2이동판(540)이 나사 결합되어져 있되 이 역시 상하면에 형성된 경사면(542a)(542b)을 매개로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2이동판(530)(540)은 밀착부(400)의 돌출된 중앙 부분에서 먼 쪽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런 경우 제1,2이동판(530)(540)은 한 쌍의 밀착부(400)에 대한 밀착력이 약하므로 사용자 임의대로 제1,2회전구(200)(300)를 회동시키거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에 형성된 장공(420)에는 몸체(10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B)가 삽입되어 있는데, 비록 상기 밀착부(400)에는 볼트(B)가 삽입되어 있지만 상하 방향 즉, 길이 방향대로 형성된 장공(420)으로 인해 상하 슬라이딩에는 간섭을 받지 않을 것은 너무나 당연하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된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1)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우선 밀착수단(500)의 지지봉(510)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1,2이동판(530)(540)은 밀착부(400)의 중심에서 먼 쪽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밀착부(400)에 대한 밀착력이 약하고, 이에 따라 밀착부(400) 또한 상면에 안치되어 있는 제1,2회전구(200)(300)에 대한 밀착력이 약할 것이므로 상기 제1,2회전구(200)(300)는 사용자 임의대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형성된 장홀(116a)(116b)을 통해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1,2회전구(200)(300)의 각 지지대(210)(3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뒤 몸체(10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밀착수단(500)의 손잡이부(520)를 오른쪽으로 회동시켜 부착되어 있는 지지봉(510)을 회동시키게 된다.
즉, "나"를 참조로 하면, 그러면, 왼나사부(512)와 오른나사부(514)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있는 제1,2이동판(530)(540)은 한 쌍의 밀착부(400)에 밀접되어 있으므로 지지봉(510)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회전되지 못하고 각각 체결되어 있는 나사부가 가지는 방향대로 슬라이딩을 시작한다. 슬라이딩을 시작하는 제1,2이동판(530)(540)은 한 쌍의 밀착부(400)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된 채 돌출된 가운데 쪽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제1,2이동판(530)(540)은 한 쌍의 밀착부(400)의 경사면(410a)(410b)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게 되고, 압박을 받는 한 쌍의 밀착부(400)는 제1,2회전구(200)(300)를 강하게 밀착하여 제1,2회전구(200)(300)를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의 제1,2회전구 홈(114a)(114b) 내측과 제1,2회전구(200)(300) 사이에는 패킹부재(6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밀착력이 더욱 우수할 것이고, 작동시 소음이 줄어든다. 그리고, 고정된 제1,2회전구(200)(300)를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고자 하면 손잡이부(560)를 반대로 회동시켜 밀착부(400)의 중앙으로 모였던 제1,2이동판(530)(54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밀착부(400)를 더 이상 밀착하지 못하도록 한 후 방향 전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이동판(530)(540)의 위치에 따라 밀착부(400) 및 제1,2회전구(200)(300)를 밀착하는 강도를 달리할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함을 알 수 있다. 즉, 제 1,2회전구(200)(300)를 장시간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지지봉(510)을 많이 회동시킴으로 제1,2이동판(530)(540)을 밀착부(400) 가운데 쪽으로 최대한 이동시켜 밀착토록 하고, 단시간 내에 다른 방향으로 전환을 시키고자 할 때에는 굳이 최대한 밀착시킬 필요 없이 체결된 모니터(800)가 무단으로 방향 전환되지 않을 만큼만 밀착시킨 후 사용자는 보통의 경우(제1,2이동판이 밀착부를 밀착하지 않을 때)보다 강한 힘으로 별도의 조작(손잡이부의 회동) 없이도 수시로 제1,2회전구(200)(300)를 방향 전환시킬 수도 있다.
도 8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분리사시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수단(500)은 크게 볼트봉(550), 손잡이부(560), 이동관(570) 및 한 쌍의 이동판(5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볼트봉(550)은 상기 지지봉(510)과 대응되는 것으로 통상의 볼트이다. 이러한 상기 볼트봉(550)의 일측은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100)의 내측면에 고정 부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560)는 상기 장착공(118)으로 돌출되는 볼트봉(550)에 회동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관(580)은 상기 볼트봉(550)에 끼움되며, 상기 손잡이부(560)와 같이 볼트봉(55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이동판(580)은 상기 볼트봉(550)에 결합되되 상기 이동관(580)의 선단부에서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582a)(582b)이 형성된다.
이제, 도 9를 참조로 하여, 상기 밀착수단(500)의 결합관계 및 작동을 설명토록 하겠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몸체(100) 내 장착실(112)에는 도 6과 같이 제 1,2회전구(200)(300) 및 한 쌍의 밀착부(400)가 장착되어져 있고,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는 상기 밀착수단(500)이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볼트봉(550)의 일단부는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100) 내벽에 고정 부착된다. 이렇게 설치된 볼트봉(550)에는 한 쌍의 이동판(580)과 이동관(570) 및 손잡이부(56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한 쌍의 이동판(580)은 대칭되게 결합되어지되 상하면에 형성된 경사면(582a)(582b)을 매개로 상기 밀착부(400)의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560)는 고정 부착이 아니라 나사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작동에 의해 볼트봉(550)을 따라 슬라이딩됨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560)를 회동시키면 손잡이부(560)는 볼트봉(550)을 따라 몸체(100) 측으로 이동될 것이며, 이에 의해 선단부에 끼움된 이동관(570)이 이동되면서 이동판(580)을 밀착부(400) 중심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 이동판(580)은 밀착부(400) 중심으로 이동되면서 한 쌍의 밀착부(400)를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한 쌍의 밀착부(400)는 제1,2회전구(200)(300)를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 관계는 이미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1)에 의하면, 몸체(100)의 상하면에 형성된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는 양측 방향으로 절개된 장홀(116a)(116b)이 형성되므로 흡착구(700)를 부착하는 제1회전구(200) 및 모니터(800)를 부착하는 제2회전구(300)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밀착수단(500)의 작동으로 제1,2회전구(200)(300)를 동시에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1,2회전구(200)(300) 고정시 고정 강도를 사용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을 지닌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7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8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분리사시도이고, "나"는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수단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100 : 몸체
110a,110b : 케이스 112 : 장착실
114a : 제1회전구 홈 114b : 제2회전구 홈
116a,116b : 장홀 118 : 장착공
B : 볼트 N : 너트
200 : 제1회전구 210 : 제1지지대
300 : 제2회전구 310 : 제2지지대
400 : 밀착부 410a,410b : 경사면
420 : 장공 500 : 밀착수단
510 : 지지봉 512 : 왼나사부
514 : 오른나사부 520 : 손잡이부
530 : 제1이동판 531 : 결합공
532a,532b : 경사면 540 : 제2이동판
542a,542b : 경사면 550 : 볼트봉
560 : 손잡이부 570 : 이동관
580 : 이동판 582a,582b : 경사면
Claims (4)
- 통상의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에 있어서,볼트(B)와 너트(N)를 통해 조립되는 한 쌍의 케이스(110a,110b)로 이루어지며, 조립시 내부에는 장착실(112)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장홀(116a,116b)을 가지는 제1,2회전구 홈(114a,114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실(112)과 연통되는 장착공(118)이 형성되는 몸체(100);상기 제1회전구 홈(114a)에 삽입 장착되며, 일측면에는 흡착구(7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구 홈(114a)을 통해 돌출되는 제1지지대(210)가 구비된 제1회전구(200);상기 제2회전구 홈(114b)에 삽입 장착되며, 일측면에는 모니터(800)를 안치하도록 상기 제2회전구 홈(114b)을 통해 돌출되는 제2지지대(310)가 구비된 제2회전구(300);상기 장착실(112)에서 장착공(118)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채 대칭되게 위치되되 상면은 구 형상의 제1,2회전구(200,300)를 안치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1,2회전구(200,300)를 안치하고, 하면은 가운데 부분이 돌출되는 경사면(410a,410b)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부(400); 및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과 몸체(100)의 장착공(118)에 설치되어져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를 동시에 밀착시키거나 해제하는 밀착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100)의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형성된 각각의 플랜지부(117) 내측과 상기 제1,2회전구 홈(114a,114b)에 장착되는 제1,2회전구(200,300) 사이에는 밀착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다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도록 패킹부재(60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밀착수단(500)은상기 몸체(100)의 장착실(112)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일부는 왼나사부(512)가 형성되고, 타측은 일부는 오른나사부(514)가 각각 형성되어져 왼나사부(512)가 형성된 일측 끝단부는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100)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봉(510);상기 장착공(118)으로 돌출되는 지지봉(510)에 부착되는 손잡이부(520);상기 지지봉(510)의 왼나사부(512)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결합공(531)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의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532a,532b)이 형성되는 제1이동판(530); 및상기 지지봉(510)의 오른나사부(514)에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중앙에는 결합공(541)이 형성되고,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의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542a,542b)이 형성되는 제2이동판(5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밀착수단(500)은상기 몸체(100)의 장착실(112)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밀착부(400)가 가지는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은 장착공(118)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타측은 연장되어 몸체(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볼트봉(550);상기 장착공(118)으로 돌출되는 볼트봉(550)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부(560);상기 볼트봉(550)에 끼움되는 이동관(570); 및상기 볼트봉(550)에 나사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관(570)의 선단부에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면에는 상기 한 쌍의 밀착부(400) 하면의 경사면(410a,410b)에 밀접될 수 있도록 동일한 경사면(582a,582b)이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판(5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880U KR200439994Y1 (ko) | 2007-08-21 | 2007-08-21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3880U KR200439994Y1 (ko) | 2007-08-21 | 2007-08-21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9994Y1 true KR200439994Y1 (ko) | 2008-05-16 |
Family
ID=4163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3880U KR200439994Y1 (ko) | 2007-08-21 | 2007-08-21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9994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802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20180135624A (ko) * | 2017-06-13 | 2018-12-21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101954704B1 (ko) | 2017-06-13 | 2019-03-07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102059547B1 (ko) * | 2019-05-10 | 2019-12-27 | 노아(주) | 차량용 거치대 |
KR102064280B1 (ko) * | 2017-11-15 | 2020-01-09 | (주)훠링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
2007
- 2007-08-21 KR KR2020070013880U patent/KR2004399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0802A1 (ko) * | 2017-06-13 | 2018-12-2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20180135624A (ko) * | 2017-06-13 | 2018-12-21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101954704B1 (ko) | 2017-06-13 | 2019-03-07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101976645B1 (ko) * | 2017-06-13 | 2019-05-10 | (주)훠링 | 차량용 거치대 |
KR102064280B1 (ko) * | 2017-11-15 | 2020-01-09 | (주)훠링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KR102059547B1 (ko) * | 2019-05-10 | 2019-12-27 | 노아(주) | 차량용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39994Y1 (ko) |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 |
US8091843B2 (en) | Vacuum mount type support device | |
JP4902306B2 (ja) | 機器支持スタンド | |
US20170067595A1 (en) | Device for supporting portable terminal | |
US9254029B2 (en) | Swivel base for a training aid | |
JP2004522920A (ja) | 平面型液晶表示画面用の支持装置 | |
KR200404248Y1 (ko) | 차량용 거치대 | |
JP2010078739A (ja) | 薄型表示装置システムとその支持装置 | |
CN101657669A (zh) | 支架装置 | |
TWM627265U (zh) | 多功能之平板式電子裝置之立架 | |
US20030034262A1 (en) | Golf bag base | |
JP3182513U (ja) | 角度と位置が調整可能な音響密閉箱フレーム | |
JP2008513846A (ja) | ディスプレー機器の角度調節装置 | |
KR200417754Y1 (ko) | 차량용 거치대 | |
CN205716309U (zh) | 可调式磁吸手机支架 | |
JP4586686B2 (ja) | テレビジョン装置 | |
CN220629506U (zh) | 音响总成 | |
CN111591226B (zh) | 一种车载导航仪多角度调节辅助装置 | |
KR200235239Y1 (ko) |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 |
JPH0310405Y2 (ko) | ||
CN221042961U (zh) | 一种旋转磁吸手机支架 | |
KR100628118B1 (ko) | 평판형 모니터 | |
WO2016197462A1 (zh) | 一种多用途可拆卸天线 | |
JP3096758U (ja) | 液晶ディスプレイの支持台 | |
CN211145986U (zh) | 一种多功能视频播放器安装支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