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280B1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280B1
KR102064280B1 KR1020170152060A KR20170152060A KR102064280B1 KR 102064280 B1 KR102064280 B1 KR 102064280B1 KR 1020170152060 A KR1020170152060 A KR 1020170152060A KR 20170152060 A KR20170152060 A KR 20170152060A KR 102064280 B1 KR102064280 B1 KR 10206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fixing
fixing part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388A (ko
Inventor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훠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훠링 filed Critical (주)훠링
Priority to KR1020170152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80B1/ko
Priority to PCT/KR2018/000792 priority patent/WO2018230802A1/ko
Publication of KR20190055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100)와 상기 단말기 고정부(100)를 차량에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200)와 상기 단말기 고정부(100)와 상기 차량 고정부(200)를 연결하며 상기 단말기 고정부(100)가 상기 차량 고정부(20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수단(400)을 포함한 연결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조절부에 의해 단말기 고정부의 상하 전후 좌우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용이하게 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운전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용 네비게이션,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휴대단말기에 통합되어 있어 차량용 거치대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일단부 측에 휴대단말기를 끼움 결합한 후 반대되는 타단부 측을 차량의 유리, 대시 보드 등에 흡착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차량용 거치대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중량으로 인해 차량용 거치대가 부착면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 중 휴대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휴대단말기를 차량용 거치대에서 측면으로 밀어 끼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스마트링을 부착하고 스마트링을 차량의 송풍구에 끼워 거치하는 미니멀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링은 차량에 부착이 간편하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진동에 의해 스마트링이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쉬워 휴대단말기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링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된 작은 링 형상이므로 차량에서 휴대단말기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4248호(2005.12.14 등록)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3820(2017.05.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 고정성과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볼 조인트 수단을 적용하여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와 상기 단말기 고정부를 차량에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와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상기 차량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단말기 고정부가 상기 차량 고정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수단을 포함한 연결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볼 조인트 수단은 두 개의 볼과 상기 두 개의 볼이 삽입되는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두 개의 볼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과 반대편 타측에 원 형상의 개구부가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공간부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조작공이 구비되는 볼하우징과 상기 공간부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되며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두 개의 볼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한 쌍의 지지홀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부에 대한 폭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밀착되는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이동캠과 상기 이동캠을 이동시켜 상기 이동캠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한 쌍의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작공을 통해 상기 볼하우징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캠이 외주면에 결합된 회전볼트와 상기 볼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볼트의 일단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볼트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캠을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홀더와 상기 볼 사이에 러버가 배치된다.
상기 러버는 일면에 상기 볼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홈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지지홀더와 밀착되는 평면을 갖는다.
상기 지지홀더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캠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캠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상기 이동캠이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캠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밀착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볼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두 개의 볼에 각각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각 볼의 회전축이 되는 연장암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조절부는 상기 연장암 중 하나와 연결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자석 타입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조절부에 의해 단말기 고정부의 상하 전후 좌우 방향 각도 조절이 용이하므로 운전자의 시야에 맞는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 조인트 수단은 볼하우징에 수용된 양측 볼이 지지홀더와 러버에 지지되어, 볼 고정시에는 러버가 볼과 개구부의 밀착력을 높여 볼이 회전된 상태의 고정력을 높이고, 볼 고정 해제시에는 러버가 볼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구부와 유격 없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차량에 거치하는 휴대단말기의 각도 조절이 용이할 뿐 아니라 각도 조절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를 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100)와, 단말기 고정부(100)를 차량에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200)와, 단말기 고정부(100)와 차량 고정부(200)를 연결하는 연결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단말기 고정부(100)는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이 해당할 수 있다.
단말기 고정부(100)는 휴대단말기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고정부(10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양 측면 또는 후면과 상하면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되어 휴대단말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단말기 고정부(100)는 연결조절부(3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단말기 고정부(100)는 연결조절부(3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 운전중 휴대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하고 운전자 측으로 당기는 간단한 작업으로 휴대단말기를 단말기 고정부(100)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고정부(100)는 연결조절부(300)의 제1 볼(410)의 연장암(411)에 고정된 부착부(500)와 자석 타입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 고정부(100)와 부착부(500)는 부착면에 돌기와 홈 구조를 채용하여 자력에 의한 부착 후 유동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고정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 고정부(200)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흡착하는 방식, 차량의 송풍구에 장착하는 방식 등 다양한 예를 채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송풍구에 장착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차량의 송풍구(1)에 장착하는 방식은 운전중 전방 시야를 가리지 않고 운전석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안전운전에 도움이 된다.
차량의 송풍구(1)에 장착하는 방식의 차량 고정부(200)는 본체(210)와 밴트클립(220)을 포함한다.
차량 고정부(200)는 일측이 연결조절부(300)와 연장암(421)로 연결되는 본체(210)를 형성하며 반대되는 타측이 차량의 송풍구(1)에 상하로 위치되는 송풍구 날개(3,5) 2개를 잡도록 끼워지고 고정되는 밴트클립(220)을 형성한다.
송풍구 날개(3,5) 2개에 고정되는 차량 고정부(200) 구조는 견고한 고정을 위한 것으로, 하나의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구조보다 더 견고하다.
송풍구 날개(3,5)가 얇아 하나의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밴트클립 구조는 고정성이 낮다. 또한, 2개의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구조이면서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채용하여 송풍구 날개에 고정성을 더 높인다.
나사 조임 구조는 단순히 송풍구 날개에 끼우는 구조에 비해 구조는 다소 복잡하더라도 견고할 수 있다. 차량 고정부(200)를 송풍구에 단순히 끼워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끼운 상태가 돌아가거나 빠지면 운전중 끼우기 번거롭고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구조적 안정성을 더 중요시하여 2개의 송풍구 날개에 고정되는 구조이면서 나사 조임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채용한다.
밴트클립(220)은 고정클립(221), 지지클립(223), 고정레버(225)를 포함한다.
밴트클립(220)은 고정클립(221)이 송풍구(1)에서 상부측 송풍구 날개(3)에 끼워지고 지지클립(223)이 하부측 송풍구 날개(3)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레버(225)를 조이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조여져 밴트클립(220)이 송풍구 날개(3)에 고정되는 방식이다.
지지클립(223)은 고정클립(22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다. 지지클립(223)이 고정클립(221)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송풍구 날개(3,5)의 간격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지지클립(223)이 고정클립(22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여 송풍구 날개(3,5) 간격이 상이한 모든 차종에 적용할 수 있다.
고정클립(221)과 지지클립(223)은 각각 두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두 돌출부 사이에 송풍구 날개(3,5)가 끼워진다. 고정레버(225)는 고정클립(221)에 구비되어 고정클립(221)을 이루는 두 돌출부 사이의 간격을 나사 방식으로 조여 조절한다. 지지클립(223)은 본체(210)에 레일방식으로 연결되어 고정클립(22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다.
차량 고정부(200)는 대쉬보드 지지부(230)를 더 포함한다.
대쉬보드 지지부(230)는 본체(210)에 각도 및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차량의 대쉬보드에 밀착되어 차량 고정부(200)가 송풍구에 고정된 상태를 보조 지지한다. 대쉬보드 지지부(230)는 송풍구 날개가 없는 일반면에 밀착식으로 지지된다.
대쉬보드 지지부(230)는 각도조절봉(231), 구몸체(233), 길이조절봉(235), 밀착부(237)를 포함한다.
각도조절봉(231)은 본체(210)에 일단부가 삽입되며 본체(210)에 나사 결합된 각도조절레버(232)의 회전에 의해 본체(210)에 삽입된 상태가 눌러져 고정될 수 있다.
구몸체(233)는 각도조절봉(231)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길이조절봉(235)은 각도조절봉(231)과 연결된 구몸체(233)에 관통 결합되고 구몸체(233)에 나사 결합된 길이조절레버(236)에 의해 구몸체(233)를 관통한 상태가 눌러져 고정될 수 있다.
밀착부(237)는 길이조절봉(235)의 일단측의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고 차량의 대쉬보드에 밀착된다. 밀착부(237)는 대쉬보드의 손상이 방지되고 주행 중 차량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된다.
대쉬보드 지지부(230)는 각도 및 길이 조절하여 밀착부(237)가 대쉬보드 또는 일반면에 지지되고, 차량 고정부(200)가 송풍구 날개(3,5)에 장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연결조절부(300)는 단말기 고정부(100)와 차량 고정부(200)를 연결한다.
연결조절부(300)는 단말기 고정부(100)를 차량 고정부(200)의 일측 옆으로 위치시켜 송풍구(1)와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위치에 단말기 고정부(100)를 위치시킨다. 이는 송풍구(1)의 바람이 휴대단말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송풍구 바람이 휴대단말기에 직접 닿으면 차갑거나 뜨거운 바람에 의해 휴대단말기에 습기가 찰 수 있는데, 휴대단말기가 송풍구에서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면 휴대단말기에 습기가 차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연결조절부(300)는 단말기 고정부(100)가 차량 고정부(20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수단(400)을 포함한다.
볼 조인트 수단(400)은 운전자의 시인성이 좋도록 휴대단말기의 각도 및 위치 조절을 위한 부분이다. 볼 조인트 수단(400)은 두 개의 볼(410,420)을 볼하우징(430) 내에 삽입하여 연결한 것으로 360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여 휴대단말기의 상하 전후 좌우 각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다.
연결조절부(300)는 부착부(500)를 포함한다. 부착부(500)는 볼 조인트 수단(400)의 일측 연장암(411)과 연결되며, 단말기 고정부(100)와 자석 타입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부착부(500)와 단말기 고정부(100)에 각각 자석이 내장된다.
볼 조인트 수단(400)의 일측 연장암(411)과 부착부(50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볼 조인트 수단(400)의 일측 연장암(411)은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고 부착부(500)는 일측 연장암(411)의 나사공에 대응되는 나사부(511)가 구비된다.
볼 조인트 수단(400)은 일측 연장암(411)이 부착부(500)와 나사 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연장암(421)이 차량 고정부(200)와 나사 결합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를 위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를 측면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 조인트 수단(400)은 두 개의 볼(410,420), 볼하우징(430), 지지홀더(440,450), 이동캠(460), 조작부재(470)를 포함한다.
두 개의 볼(410,420)은 각각 구형으로 된다. 각 볼에는 연장암(411,421)이 형성된다. 연장암(411,421)은 각 볼(410,420)의 회전축이 되며 후술할 볼하우징(430)의 개구부(434,43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볼하우징(430)은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볼하우징(430)은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두 개의 몸체가 결합된 형상으로 되며, 두 개의 볼(410,420)이 삽입되는 공간부(431)가 구비된다.
볼하우징(430)은 두 개의 볼(410,420)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측과 반대편 타측에 원 형상의 개구부(434,435)가 구비된다. 또한 볼하우징(430)은 중앙에 공간부(431)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조작공(437,439)이 구비된다.
공간부(431)는 볼(410,4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경이 볼(410,420)의 직경에 대응되고 개구부(434,435)는 볼(410,420)이 이탈되지 않도록 볼(410,420)의 직경 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조작공(437,439)은 후술할 회전볼트(471)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지지홀더(440,450)는 공간부(431)에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된다. 지지홀더(440,450)는 공간부(431)에 삽입된 두 개의 볼(410,42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지지홀더(440,450)와 볼(410,420) 사이에 각각 고무재질인 러버(480,490)가 배치된다. 러버(480,490)는 볼(410,4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볼(410,420)이 개구부(434,435)에 유격 없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러버(480,490)는 볼(410,420)에 대한 지지홀더(440,450)의 지지력을 증대하고 밀착력을 높여 볼(410,420)이 회전된 상태의 고정력을 높인다.
지지홀더(440,450)와 볼(410,420) 사이에 러버(480,490) 대신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볼이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밀착력이 좋은 고무재질의 러버가 더 적합하다.
이동캠(460)은 지지홀더(440,450)와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각 지지홀더(440,450)에 수용된 두 개의 볼(410,420)을 동시에 고정하거나 회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캠(460)은 한 쌍의 지지홀더(440,45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이동캠(460)의 양측으로 지지홀더(440,450)가 배치된다. 이동캠(460)은 공간부(431)에 대한 폭 방향 이동에 의해 한 쌍의 지지홀더(440,450)와 양측 경사면(461)이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지지홀더(440,450)와 밀착되면 두 개의 볼(410,420)이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고,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이 지지홀더(440,450)와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면 두 개의 볼(410,42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조작부재(470)는 이동캠(460)을 이동시켜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한 쌍의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게 한다.
조작부재(470)는 회전볼트(471), 조작레버(473)를 포함한다. 회전볼트(471)는 조작공(437,439)을 통해 볼하우징(430)에 결합된다. 회전볼트(471)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동캠(460)이 외주면에 결합된다.
조작레버(473)는 볼하우징(43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볼트(471)의 일단에 구비되며 회전에 의해 회전볼트(471)를 조작공(437,439)에 대해 회전시켜 이동캠(460)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조작레버(47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볼트(471)가 조작레버(473)와 근접한 조작공(437)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지지홀더(440)의 경사면(442)과 밀착되는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작레버(47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볼트(471)가 반대편 조작공(439)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지지홀더(440)의 경사면(442)과 이격되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볼(410,420)은 일측의 제1 볼(410)과 상기 일측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타측의 제2 볼(420)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볼(410)과 제2 볼(420)은 각각 러버(480,490)를 매개로 각 지지홀더(440,4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 볼(410,420)과 제2 볼(410,420)에 각각 연장암(411,421)이 구비되며, 제1 볼(410,420)의 연장암(411)에 부착부(500)가 연결되고, 제2 볼(410,420)의 연장암(421)에 차량 고정부(200)가 연결된다.
러버(480,490)는 일면에 볼(410,420)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홈(491)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면은 지지홀더(440,450)와 밀착되는 평면을 갖는다. 볼 홈(491)은 반구 형상으로 되어 볼(410,420)과 구면 접촉한다. 볼(410,420)과 볼 홈(491)의 구면 접촉은 볼(410,420)의 회전이 유격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지지홀더(440,45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홀더(440,450)에서 러버(480,490)와 밀착되는 면은 러버(480,490)가 삽입되고 밀착되도록 요입된 평면으로 되며, 이동캠(460)과 마주하는 면은 평면(441) 및 상기 평면(441)에서 상향 경사진 경사면(442)을 포함한다.
이동캠(460)은 공간부(431)에 대한 폭 방향 이동에 의해 한 쌍의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과 밀착되는 양측 경사면(461)을 가진다.
이동캠(460)이 지지홀더(440,450)의 상향 경사진 경사면(442)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과 밀착되고, 이동캠(460)이 지지홀더(440,450)의 평면(441)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61)이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과 밀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동캠(460)은 회전볼트(47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어, 회전볼트(471)가 조작공(437,439)에 체결되고 회전에 의해 일측 조작공(437) 또는 타측 조작공(439) 방향으로 조여지는 과정에서 이동캠(460)이 지지홀더(440,450)의 상향 경사진 경사면 방향 또는 반대편 평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볼트(471)의 일단부에는 조작레버(473)가 구비되어 회전볼트(471)의 회전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볼 조인트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하우징(430)의 공간부(431)에 두 개의 볼(410,420)이 배치된다. 두 개의 볼(410,420)은 각각 지지홀더(440,450)에 회전 가능하고, 볼하우징(430)의 일측 및 타측 개구부(434,435)를 통해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홀더(440,450)와 볼(410,420) 사이에 각각 러버(480,490)가 배치되고, 지지홀더(440)와 지지홀더(450) 사이에는 이동캠(460)이 배치되며, 이동캠(460)은 회전볼트(47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볼트(471)의 회전시,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6의 상태는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42)이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에 밀착된 상태이다.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442)이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에 밀착된 상태에서 각 지지홀더(440,450)는 각 볼(410,420)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고 각 볼(410,420)은 러버(480,490)와 개구부(434,435) 사이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러버(480,490)는 지지홀더(440,450)가 볼(410,420)을 개구부(434,435) 방향으로 미는 밀착력을 높여 볼이 회전된 상태의 고정력을 높인다.
도 6의 확대도에 표시된 상태는 조작레버(473)를 회전시켜 회전볼트(471)가 조작공(439)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이다. 회전볼트(471)가 조작공(439)에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캠(460)이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캠(460)의 양측 경사면이 지지홀더(440,450)의 경사면(442)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된다. 그에 따라 지지홀더(440,450)가 볼(410,420)을 개구부(434,435) 방향으로 미는 힘이 해제되고 양측 두 볼(410,42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양측 두 볼(410,420)은 구 형상으로 러버(480,490)의 볼 홈(491)과 구면 접촉된 상태이고 러버(480,490)가 볼(410,420)에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개구부(434,435)와 유격 없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상술한 볼 조인트 수단(400)은 일측 연장암(411)에 부착부(500)를 연결하고, 타측 연장암(421)에 차량 고정부(2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의 송풍구(1)에 장착할 수 있다(도 1 참조).
차량의 송풍구(1)에 장착하는 방법은, 차량 고정부(200)의 지지클립(223)이 하부측 송풍구 날개(5)에 끼워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클립(221)을 상부측 송풍구 날개(3)에 끼우고, 고정레버(225)를 조이면 된다. 고정레버(225)를 조이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조여짐에 따라 지지클립(223)이 고정클립(2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클립(223)과 고정클립(221)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송풍구 날개(3,5) 간격에 맞춰지면서 송풍구 날개(3,5)에 균형있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측 송풍구 날개(3)와 맞닿는 고정클립(221)에는 실리콘 소재가 부착되어 송풍구 날개(3)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대쉬보드 지지부(230)의 밀착부(237)를 송풍구(1) 일측 아래 대쉬보드 또는 일반면에 밀착시켜 지지클립(223)과 고정클립(221)이 송풍구 날개(3,5)에 고정된 상태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볼 조인트 수단(400)과 연결된 차량 고정부(200)가 차량의 송풍구(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 볼 조인트 수단(400)에 고정된 부착부(500)에 단말기 고정부(100)를 자력에 의해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 고정부(100)를 잡고 볼하우징(430)에 대해 제1 볼(41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단말기 고정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볼하우징(430)을 잡고 차량 고정부(200)에 대해 제2 볼(42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볼하우징(4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볼(410)과 제2 볼(420)을 볼하우징(430)에 대해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단말기 고정부(100)가 차량 고정부(200)에 대해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 조인트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조절부에 의해 단말기 고정부가 차량 고정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고, 단말기 고정부의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볼 조인트 수단은 볼하우징에 수용된 양측 볼이 지지홀더와 러버에 지지되어 지지홀더가 양측 볼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할 때 러버가 볼과 개구부의 밀착력을 높여 볼이 회전된 상태의 고정력을 높이고, 지지홀더가 양측 볼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해제되면 러버가 볼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구부와 유격 없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고정부 200: 차량 고정부
210: 본체 220: 밴트클립
221: 고정클립 223: 지지클립
225: 고정레버 230: 대쉬보드 지지부
231: 각도조절봉 233: 구몸체
235: 길이조절봉 237: 밀착부
300: 연결조절부 400: 볼 조인트 수단
410,420: 제1 및 제2 볼(두 개의 볼) 411,421: 연장암
413,423: 나사공 430: 볼하우징
431: 공간부 434,435: 개구부
437,439: 조작공 440,450: 지지홀더
441,451: 평면 442: 경사면
460: 이동캠 461: 양측 경사면
470: 조작부재 471: 회전볼트
473: 조작레버 480,490: 러버
491: 볼 홈 500: 부착부
511: 나사부

Claims (8)

  1. 휴대단말기를 고정하는 단말기 고정부;
    상기 단말기 고정부를 차량에 고정하는 차량 고정부; 및
    상기 단말기 고정부와 상기 차량 고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단말기 고정부가 상기 차량 고정부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볼 조인트 수단을 포함한 연결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조인트 수단은
    두 개의 볼; 상기 두 개의 볼이 각각 수용되는 두 개의 지지홀더; 상기 두 개의 지지홀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지지홀더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과 밀착되는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이동캠; 일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에 상기 이동캠이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캠을 이동시키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조작부재; 및 두 개의 몸체가 결합된 구 형상을 가져 상기 두 개의 볼, 상기 두 개의 지지홀더 및 상기 조작부재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볼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두 개의 지지홀더에는 각각 상기 이동캠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볼하우징에는 상기 지지홀더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캠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홀더가 이동되도록 하는 제1 홈;과 상기 회전볼트의 회전에 따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된 판상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캠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와 상기 볼 사이에 러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러버는 일면에 상기 볼을 수용하기 위한 볼 홈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면은 상기 지지홀더와 밀착되는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캠이 상향 경사진 경사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캠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밀착되고, 상기 이동캠이 평면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캠의 양측 경사면이 상기 지지홀더의 경사면과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부는
    상기 차량의 송풍구에 상하로 위치되는 송풍구 날개 2개를 잡도록 끼워지고 고정되는 밴트클립;을 구비하며,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 돌출부 사이에 상기 송풍구 날개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고정클립;
    제3 돌출부와 제4 돌출부로 이루어져 상기 제3, 4 돌출부 사이에 상기 송풍구 날개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클립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지지클립; 및
    상기 고정클립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 돌출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고정부의 본체에 각도 및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이 차량의 대쉬보드에 밀착되어 상기 차량 고정부가 상기 차량의 송풍구에 고정된 상태를 보조 지지하는 대쉬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대쉬보드 지지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한 결합공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본체에 상기 결합공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각도조절공에 나사 결합된 각도조절레버에 의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태가 눌러져 고정되는 각도조절봉;
    상기 각도조절봉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각도조절봉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관통공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길이조절공에 나사 결합된 길이조절레버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가 눌러져 고정되는 길이조절봉; 및
    상기 길이조절봉의 일단측의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대쉬보드에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0170152060A 2017-06-13 2017-11-15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KR10206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060A KR102064280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PCT/KR2018/000792 WO2018230802A1 (ko) 2017-06-13 2018-01-17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060A KR102064280B1 (ko) 2017-11-15 2017-11-15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88A KR20190055388A (ko) 2019-05-23
KR102064280B1 true KR102064280B1 (ko) 2020-01-09

Family

ID=6668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060A KR102064280B1 (ko) 2017-06-13 2017-11-15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474B1 (ko) * 2021-06-28 2023-08-14 박종훈 차량용 커튼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994Y1 (ko) * 2007-08-21 2008-05-16 한진복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136290A1 (en)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248B1 (ko) 2001-02-01 2003-11-03 주식회사 에이스조립시스템 반도체칩용 언더필 장치
KR20170053820A (ko) 2015-11-07 2017-05-17 강준혁 탈착형 스마트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994Y1 (ko) * 2007-08-21 2008-05-16 한진복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US20090136290A1 (en) 2007-11-23 2009-05-28 Zirkona Sweden Ab Ball joi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88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4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oun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9573532B2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20150115112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US7726618B2 (en) Universal ball and socket mount
US8109479B1 (en) Multi-vacuum mount type support device
WO2017186152A1 (zh) 夹持装置以及夹持机构
KR102064280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EP2311688B1 (en) A rotatable holder for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device with a screen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954704B1 (ko) 차량용 거치대
CN112758169A (zh) 一种集成显示功能的方向盘
JP3127446U (ja) 固定装置
KR200454155Y1 (ko) 휴대폰 장착기구
US20090072110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onic device
KR100922169B1 (ko) 자동차 내부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20190114663A (ko) 에어벤트 부착형 거치대
KR200477255Y1 (ko) 사용자 지향적 휴대단말 거치대
KR10195600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N216131722U (zh) 一种支撑装置及支架
KR20160015478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CN212073899U (zh) 支架固定装置
KR20080035713A (ko) 차량용 거치대
CN216158775U (zh) 一种支撑装置及支架
KR20120044404A (ko) 자동차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