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761B1 -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761B1
KR100628761B1 KR1020040071680A KR20040071680A KR100628761B1 KR 100628761 B1 KR100628761 B1 KR 100628761B1 KR 1020040071680 A KR1020040071680 A KR 1020040071680A KR 20040071680 A KR20040071680 A KR 20040071680A KR 100628761 B1 KR100628761 B1 KR 100628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ixing member
mobile phone
terminal bod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890A (ko
Inventor
이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761B1/ko
Priority to CNA2005100018788A priority patent/CN1747490A/zh
Publication of KR2006002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형상의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본체의 상단면에 요입형성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단말기본체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작동공을 갖는 작동홈과; 상기 수납홈에 승하강되게 끼워지고 카메라모듈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홈 바닥면에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고 단말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상단 배면에는 스프링이 배설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 하단과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고정쇄와; 스프링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작동공에 끼워지고 그 일단은 상기 단말기본체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쇄의 상단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바형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납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휴대시에도 휴대가 간편하고 불필요한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바형 휴대폰, 카메라, 수납홈, 고정부재, 작동로드, 고정쇄

Description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DEVICE FOR FASTENING CAMERA OF BAR TYP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고정장치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단말기본체 12....액정표시화면
14....안테나 20....수납홈
22....가이드홈 30....작동홈
32....작동공 50....카메라모듈
60....고정부재 62....축공
64....걸림홈 66....가이드돌기
70....스프링 80....고정쇄
82....걸림돌기 84....축
90....작동로드 92....플랜지
본 발명은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휴대폰이라 함은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대방과 음성통화를 하거나 혹은 음성 및 화상통화를 동시에 수행하거나 아니면 문자메시지 등의 정보를 주고 받거나 또는 인터넷을 접속하거나 이메일을 주고 받는 등 일상생활에서 늘 가까이 하게 되는 편리한 통신도구로서, 이를테면 셀룰러폰, PCS폰, 이동전화기, 무선통신단말기, WAP폰, PDA폰 등을 말한다.
이러한 휴대폰은 그 형상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ING TYPE)으로 대분된다.
이들중 특히, 바형 휴대폰은 디자인이 간단하고 세련되며 액정표시화면과 각종 키들이 단말기본체에 한꺼번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성향을 가진 유럽인들이 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형 휴대폰은 디자인 측면에서 유럽인들에게 선호되는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길이가 길어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이와 같은 바형 휴대폰에 디지털 가메라가 부착될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데 이를테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바형 휴대폰을 휴대할 때에 주로 바지의 뒷주머니에 수납휴대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휴대할 경우 돌출설치된 카메라가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을 입게될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점을 감안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바형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내장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인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휴대시 유발되는 카메라의 파손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보관시 유입되어 고착되는 이물질의 침투도 방지하여 고품위의 촬영화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바형상의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본체의 상단면에 요입형성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단말기본체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작동공을 갖는 작동홈과; 상기 수납홈에 승하강되게 끼워지고 카메라모듈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홈 바닥면에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고 단말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상단 배면에는 스프링이 배설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 하단과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고정쇄와; 스프링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작동공에 끼워지고 그 일단은 상기 단말기본체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쇄의 상단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고정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카메라 고정장치는 단말기본체(10)의 액정표시화면(12) 상부 및 안테나(14) 인접측인 단말기본체(10) 상단면 일부로부터 그 내측을 향해 일정크기의 수납홈(20)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20)에 인출입가능하게 수납되는 고정부재(60)가 구비되며, 이 고정부재(60)에는 카메라를 내장한 카메라모듈(50)이 장착되어서 이루어진다.
수납홈(20)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단말기본체(1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일정깊이 요입형성되며, 그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안테나(14)가 설치된 대향측으로 소정폭의 공간을 갖는 작동홈(30)이 부설되고, 상기 작동홈(30)의 일부에는 단말기본체(10)의 일측과 연통되는 작동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20)의 배면, 즉 액정표시화면(12)이 설치되는 대향면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폭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고정부재(60)는 상기 수납홈(20)에 인출입가능한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60)의 양측면에는 동일크기의 축공(62)이 천공형성되며, 이 축공(62)에는 카메라모듈(50)의 축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재(60)의 일측, 바람직하기로는 작동홈(30)과 인접한 측면 하단 외측면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걸림홈(64)이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60)에 축설된 카메라모듈(50)은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며, 특히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60)의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아무런 간섭없이 자유로운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60)와 수납홈(20) 사이에는 스프링(70)이 개재되는 바, 상기 스프링(70)의 일단은 고정부재(60)의 하단면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은 수납홈(20)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60)가 탄성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한편, 상기 작동홈(30)에는 고정쇄(80)가 삽설되는데, 상기 고정쇄(80)는 대략 사각바형태의 부재로서 그 하단이 수직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위의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절삭되어 걸림돌기(82)을 형성하며, 그 길이 일부 바람직하기로는 길이 중간 상부측에 축(84)이 돌설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축(84)은 단말기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고정쇄(80)를 유동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쇄(80)의 일측면에는 스프링(86)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쇄(80)를 상시 단말기본체(10)의 일측면 쪽, 이를테면 후술할 작동로드(90) 측으로 항상 당기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작동공(30)에는 작동로드(90)가 끼워지는데 상기 작동로드(90)의 길이 일부 외주면에는 그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9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92)는 단말기본체(10)의 내부에 걸림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작동로드(90)가 단말기본체(1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준다.
나아가, 상기 작동로드(90)에는 스프링(94)이 끼워지는데 그 일단은 플랜지(92)에 걸림되고 타단은 작동공(30)의 일부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작동로드(90)에 탄성복귀력을 부여해 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의 경우에는 카메라모듈(50)이 장착된 고정부재(60)가 휴대폰 단말기본체(10)의 수납홈(20) 내부로 인입된 상태, 즉 상기 수납홈(20) 속에 장입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에는 고정쇄(80)의 걸림돌기(82)가 고정부재(6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홈(64)에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부재(60)는 스프링(70)의 탄성반발력에도 불구하고 수납홈(20) 내부에 장입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의 휴대폰을 바지 뒷주머니에 휴대하더라도 카메라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단말기본체(1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작동로드(90)를 누르게 된다.
가압력을 받은 작동로드(90)는 이를 밀고 있는 스프링(94)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단말기본체(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그 단부와 접촉가능하게 배치된 고정쇄(8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쇄(80)는 그 축(84)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그 하단에 형성된 걸림돌기(82)가 고정부재(60)에 마련된 걸림홈(64)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걸림돌기(82)가 이탈되게 되면 고정부재(60)를 쇄정하고 있던 힘이 제거되면서 해정되게 되므로 고정부재(60)의 하단면에 개재된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60)는 그 수납홈(20) 내에서 상향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60)는 그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66)가 수납홈(20)에 형성된 가이드홈(22)을 타고 원활하게 상향이동되게 된다.
고정부재(60)의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카메라모듈(50)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촬영이 완료된 후 카메라의 수납이 요구될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재(60)을 상단을 일정압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고정부재(60)는 상술한 바와 반대작용으로 하강하게 되며, 일정깊이로 하강되게 되면 고정쇄(80)의 걸림돌기(82)가 고정부재(60)의 걸림홈(64)에 걸림고정, 즉 쇄정됨으로써 수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바형 휴대폰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출몰시켜 원활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형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납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휴대시에도 휴대가 간편하고 불필요한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를 극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바형상의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본체의 상단면에 요입형성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단말기본체를 측방향으로 관통한 작동공을 갖는 작동홈과;
    상기 수납홈에 승하강되게 끼워지고 카메라모듈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고정부재와;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홈 바닥면에 고정된 스프링과;
    상기 작동홈에 삽입되고 단말기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며 그 상단 배면에는 스프링이 배설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면 하단과 걸림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고정쇄와;
    스프링이 개재된 상태로 상기 작동공에 끼워지고 그 일단은 상기 단말기본체 일측면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은 상기 고정쇄의 상단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의 배면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활주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020040071680A 2004-09-08 2004-09-08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00628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80A KR100628761B1 (ko) 2004-09-08 2004-09-08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CNA2005100018788A CN1747490A (zh) 2004-09-08 2005-01-24 直板式手机的摄像头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680A KR100628761B1 (ko) 2004-09-08 2004-09-08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890A KR20060022890A (ko) 2006-03-13
KR100628761B1 true KR100628761B1 (ko) 2006-09-29

Family

ID=3616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680A KR100628761B1 (ko) 2004-09-08 2004-09-08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8761B1 (ko)
CN (1) CN17474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6167B (en) 2006-05-01 2009-10-21 Quanta Comp Inc Built-in webcam device
CN101087371B (zh) * 2006-06-08 2010-08-04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内建式网络摄影装置
CN109862148B (zh) * 2017-11-30 2021-0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9951588B (zh) * 2017-12-20 2021-03-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109981827B (zh) * 2017-12-28 2021-02-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摄像头组件
CN109167856A (zh) * 2018-09-18 2019-01-08 武汉移动互联工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具有自动伸缩功能的手机前置摄像头模组
CN109799670B (zh) * 2019-03-18 2021-03-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7490A (zh) 2006-03-15
KR20060022890A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1181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96323B1 (ko)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단말기
US7261973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flip cover battery compart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US7303414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JP2003125052A (ja) スライド機構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US20060172786A1 (en) Compact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members slidable and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US7699659B2 (en) Surface contact card latching assembly
JP2005159633A (ja) 携帯電子機器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KR200483415Y1 (ko) 꾸미기가 용이한 핸드폰 케이스
KR100617656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JP4457053B2 (ja) Simカード装着可能な携帯通信機器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3480B1 (ko) 회전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
KR10061714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1816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KR20120056580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60110960A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