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580A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580A
KR20120056580A KR1020100118192A KR20100118192A KR20120056580A KR 20120056580 A KR20120056580 A KR 20120056580A KR 1020100118192 A KR1020100118192 A KR 1020100118192A KR 20100118192 A KR20100118192 A KR 20100118192A KR 20120056580 A KR20120056580 A KR 20120056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ase
main body
co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김시완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580A/ko
Publication of KR2012005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로써, 휴대단말기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부에 키보드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덮고 상기 키보드와 마주보는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한 상태의 상기 커버를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오픈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보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HOLDER FOR PORTABLE DEVICE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로써, 휴대단말기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모바일폰, MP3, 휴대용 동영상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생활기기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중 휴대폰이나 모바일폰과 같은 경우에는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주로 상대방과의 통화를 목적으로 휴대하고 있지만, 통화 이외에 문자를 주고받거나 또는 휴대폰에 구성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셀카 등을 찍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폰에 MP3기능과 동영상플레이어, DMB기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순한 통화나 문자전송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에 DMB기능이나 동영상플레이어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감상할 때 넓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휴대폰에 와이드 기능을 부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터치폰이나 아이폰 등과 같은 경우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때 휴대폰을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면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자동적으로 와이드형으로 바뀌어 넓은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휴대단말기에서 더욱 발전하여 더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휴대가 편리한 타블릿PC가 출시되고 있다.
타블릿PC는 휴대폰과 같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이 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변경하여 DMB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에 사용자가 직접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단말기 자체에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DMB 시청 또는 동영상을 감상하고자 할 경우에, 휴대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휴대단말기의 가장자리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화면을 터치하거나 작은 키패드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다수의 문자를 입력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보드가 구비된 거치대에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거치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상부에 키보드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덮고 상기 키보드와 마주보는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한 상태의 상기 커버를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오픈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보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다.
상기 커버는, 일면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와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는 스윙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은,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방향에 배치된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기 케이스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에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안착홈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전한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경사지게 유지시키는 틸트힌지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틸트힌지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헤드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헤드와 고정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헤드와 고정플레이트 사이 또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핀 사이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프리스탑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가 배치된 반대면에 상기 케이스가 배치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수직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공을 따라 이동하는 스윙리벳과, 상기 스윙리벳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구간과; 상기 슬라이딩구간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방향에 형성된 작동구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 사이의 상호 거리는 상기 슬라이더의 폭과 같으며,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턱과; 상기 제1지지턱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제2지지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제1지지턱의 대각선 방향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스윙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턱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턱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턱은 상기 제2지지턱보다 상기 작동구간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이동하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작동구간의 일단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의 측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에 접하고 타단의 측부가 상기 제1지지턱에 접하여 타방향 회전이 지지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케이스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타단이 상기 회전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스윙리벳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동홈의 타단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의 일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에 후크결합되고, 상기 오픈힌지모듈은, 상기 커버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고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헤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메인헤드와 토션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헤드에 고정 장착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지되, 상호 후크결합된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오픈힌지모듈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키보드가 구비된 거치대에 휴대단말기를 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편하게 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문자의 입력이 편리하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케이스는 스윙힌지모듈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케이스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부가 제1가이드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제2가이드부가 제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케이스에 장착되는 회전부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회전시켜 휴대단말기가 장착된 케이스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윙힌지모듈에는 제1가이드부가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이드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장착된 케이스를 반자동 방식으로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는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어 휴대단말기가 장착된 케이스의 일면이 개방되게 회전하여 오픈힌지모듈에 의해 경사지게 유지되고, 제2지지부재는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전하여 틸트힌지모듈에 의해 경사지게 유지됨으로써, 케이스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의 배치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턱 사이의 상호 거리는 슬라이더의 폭과 같고, 지지턱의 일단과 이동홈의 일단 사이의 거리는 슬라이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가 불필요한 작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커버를 이동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이동홈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더에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스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바디에 후크결합된 커버의 결합을 해제하면 오픈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의 일면이 자동으로 개방되어 작동이 편리하다.
또한, 케이스에는 휴대단말기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가 형성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쉽게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오픈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스윙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틸트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케이스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스윙힌지모듈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케이스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오픈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슬라이더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9에서 케이스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20에서 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오픈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오픈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틸트힌지모듈을 포함한 스윙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틸트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0), 커버(200) 및 오픈힌지모듈(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키보드(101)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를 덮고 상기 키보드(101)와 마주보는 일면에 휴대단말기(20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는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단에 후크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후크결합방식은 종래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일반적인 후크결합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1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단에 후크결합부재(11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후크결합부재(110)에는 상부에 후크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단 방향으로 결합해제버튼(112)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0)에는 상기 메인바디(100)와 후크결합부재(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결합부재(110)를 측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후크스프링(120)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일단에는 상기 메인바디(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크홈(111)에 결합되는 후크돌기가(212)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0)는 상기 메인바디(10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돌기(212)가 상기 후크홈(111)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101)는 상기 휴대단말기(20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휴대단말기(201)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101)와 휴대단말기(201)를 무선으로 연결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바디(100)에 별도의 전원부를 장착할 수도 있다.
종래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단말기는 많은 내용을 입력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으며, 별도의 문자입력패드를 구비한다 하더라도 그 크기가 작아서 사용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201)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키보드(101)를 별도로 구비하여 문자의 입력이 쉽고 상기 휴대단말기(201)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은 상기 메인바디(100)와 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해 회전한 상태의 상기 커버(200)를 일정 각도로 유지한다.
이러한 오픈힌지모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 메인헤드(320), 토션스프링(330) 및 샤프트(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0)은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20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10)은 후술할 제1지지부재(221)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221)와 함께 회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의 외주면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200) 즉,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2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메인헤드(3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메인바디(10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30)은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헤드(320)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310)에 고정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10)의 타단 내부 및 상기 메인헤드(320)에는 각각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H)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10)과 메인헤드(320)가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상기 토션스프링(330)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 또는 상기 메인헤드(3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샤프트(34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헤드(320)와 토션스프링(33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40)는 상기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끝단이 상기 하우징(3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을 결합시킨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의 내주면 및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배치되는 상기 메인헤드(320)의 외주면에 상기 하우징(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홈 및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이 결합되는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타단에서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이 배치된 반대편에 댐핑힌지모듈(301)이 배치된다.
상기 댐핑힌지모듈(301)은 상기 휴대단말기(201)가 장착되는 상기 커버(200)의 일면이 개방되도록 하는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력을 일부 흡수하여 상기 커버(200)가 회전하여 열리는 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댐핑힌지모듈(301)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커버(200)를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해 경사지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커버(20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지지부재(221,223,500) 및 스윙힌지모듈(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2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보드(101)가 장착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를 덮고, 일단에 상기 후크돌기(2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후크돌기가 형성된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해 회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0)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에는 상기 휴대단말기(201)가 장착되는 결합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1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201)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11) 방향으로 충전단자(2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충전단자(213)는 상기 결합홈(211)에 장착되는 상기 휴대단말기(201)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휴대단말기(201)를 충전시킨다.
상기 충전단자(213)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2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상기 메인바디(100)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바디(100) 및 커버(200)의 내부를 통해 전선 등으로 외부 전원과 상기 충전단자(213)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에서 상기 결합홈(211)이 형성된 반대면에는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이 장착되는 장착부(2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14)는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이 장착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시 상기 스윙힌지모듈(400)과 접하여 회전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210)와 스윙힌지모듈(400)을 이격시킨다.
상기 지지부재(221,223,500)는 제1지지부재(221), 제2지지부재(223) 및 틸트힌지모듈(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재(221)는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일단에 상기 제2지지부재(223)가 배치되는 안착홈(222)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1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안착홈(222)은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23)가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일단과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타단과 상기 메인바디(100)의 타단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타단에 상기 하우징(310)이 고정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31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과 함께 상기 제1지지부재(22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2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221)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223)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부재(223)는 상기 안착홈(222)과 그 형상이 같다.
상기 틸트힌지모듈(500)은 상기 제1지지부재(221)와 제2지지부재(22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제2지지부재(223)를 경사지게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기 틸트힌지모듈(500)은 고정헤드(510), 고정플레이트(520), 고정핀(530) 및 프리스탑스프링(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헤드(51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일단 좌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고정헤드(510)는 측부가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고정 장착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는 상기 고정핀(530)에 의해 상기 고정헤드(51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521)이 형성되어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고정핀(53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헤드(510)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를(520) 상기 고정헤드(510)에 힌지결합시킨다.
상기 프리스탑스프링(540)은 디스크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헤드(510)와 고정플레이트(520)의 사이,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와 고정핀(5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프리스탑스프링(540)은 양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520)가 상기 고정핀(530)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프리스탑스프링(540)은 상기 고정헤드(510)와 고정플레이트(520)의 사이,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와 고정핀(530)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를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헤드(510)와 고정플레이트(520)의 사이 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와 고정핀(530)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배치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를 탄성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은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210)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410), 회전부(420), 가이드돌기(430) 및 가이드스프링(4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는 상기 제2지지부재(223)와 형상이 같고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의 상단 우측에는 상기 결합판(521)이 고정 장착되어 상기 틸트힌지모듈(500)에 의해 일단 즉, 상기 틸트힌지모듈(500)이 장착되는 상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의 내부에는 장공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제1가이드홈(411)과 제2가이드홈(4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홈(4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홈(411)은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홈(411)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홈(411)은 우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가이드홈(412)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부(413)와 절곡부(414)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4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413)의 양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경사부(413)의 일단 즉, 양단 중 상부에 배치된 일단은 상기 제1가이드홈(411)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절곡부(414)는 상기 경사부(413)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413)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420)는 상기 케이스(210)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부(420)는 상기 케이스(210)와 가이드플레이트(4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214)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20)는 상기 장착부(21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430)는 일단이 상기 회전부(42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돌기(430)는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431)와 상기 제2가이드홈(412)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4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와 제2가이드돌기(432)는 상기 제1가이드홈(411) 및 제2가이드홈(412)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며 상기 회전부(420)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킨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420)를 상승시키면서 회전시킨다.
상기 가이드스프링(4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스프링(440)은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가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따라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지지부재(221,223,500)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기 케이스(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킨다.
이하, 실시예1의 구성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상기 제2지지부재(223)를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제1지지부재(221)와 제2지지부재(223) 사이에 상기 틸트힌지모듈(5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재(223)에 상기 스윙힌지모듈(400)을 장착하고 상기 스윙힌지모듈(400)과 상기 케이스(210)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커버(200)는 상기 제1지지부재(221)를 상기 메인바디(100)에 힌지결합시킨다.
상기 메인바디(100)와 제1지지부재(221) 사이에는 각각 상기 오픈힌지모듈(300) 및 댐핑힌지모듈(301)을 장착한다.
이후, 상기 결합홈(211)에 상기 휴대단말기(201)를 장착하고, 상기 충전단자(213)를 밀어 상기 휴대단말기(201)에 삽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201)가 장착된 상기 커버(200)를 회전시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를 덮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일단과 상기 커버(200)의 일단을 후크결합시킨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커버가 메인바디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서 커버가 회전하여 휴대단말기의 일면과 키보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c)는 도 8(b)에서 케이스가 제1지지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d)는 도 8(c)에서 케이스가 회전하여 휴대단말기가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는 도 8(b)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케이스가 회전하여 제1지지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제2지지부재를 제거하여 스윙힌지모듈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케이스를 더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해제버튼(112)을 우측으로 밀면 상기 후크돌기(212)가 상기 후크홈(111)을 이탈하며 상기 메인바디(100)와 커버(200)의 후크결합이 해제된다.
동시에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에 의해 상기 커버(200)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30)은 상기 커버(2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를 덮어 상호 후크결합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상기 하우징(310)에 상기 커버(200)의 일면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와 커버(200)의 결합이 해제되면 도 8(b) 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힌지모듈(300)에 의해 상기 커버(200)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일면이 개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과 함께 상기 커버(200) 즉, 상기 제1지지부재(221)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댐핑힌지모듈(301)은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력을 일부 흡수하여 상기 커버(200)가 회전하여 개방되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커버(200)의 회전이 멈출 때 상기 커버(200)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상기 커버(200)가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제1지지부재(221)가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해 회전하는 각도는 상기 오픈힌지모듈(300) 및 댐핑힌지모듈(301)에 의해 180°이내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221)는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해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221)가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부재(223)를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대해 회전시킨다.
즉, 도 8(c)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타단을 일단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2지지부재(223)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10)를 직접 회전시켜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223)와 함께 상기 고정플레이트(520)가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상태의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는 상기 프리스탑스프링(54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상기 프리스탑스프링(540)이 상기 고정플레이트(520)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와 고정헤드(510)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520)와 상기 고정헤드(510)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핀(530)의 일단을 밀착시켜 상기 고정플레이트(5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도 8(c) 및 도 9(b)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와 제2지지부재(223)는 상기 제1지지부재(22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221) 및 제2지지부재(223)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케이스(210) 및 휴대단말기(201)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이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경사지게 배치된 각도를 90°와 180°사이에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201)를 편하게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221)와 제2지지부재(223)로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에 대한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경사 각도를 0°와 90°사이에서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케이스(2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21,223,500)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 8(d)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를 회전시켜 상기 휴대단말기(201)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 맞춰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가로와 세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를 회전시키기 전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가 상기 제1가이드홈(411)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432)는 상기 경사부(413)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10)를 상승시키면서 회전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는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432)는 상기 경사부(413)를 따라 우측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가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스프링(431)이 압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420) 즉, 상기 케이스(210)를 상승시키면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210)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210)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가 상기 메인바디(100)에 접하게 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와 케이스(210)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210)를 상승시키면서 회전시킨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는 상기 제1가이드홈(411)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432)는 상기 경사부(413)와 절곡부(414)가 만나는 지점 즉, 상기 제2가이드홈(412)의 변곡점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210)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는 압축된 상기 가이드스프링(440)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홈(411)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432)는 변곡점을 지나 상기 절곡부(414)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420)와 함께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제2지지부재(223)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돌기(431)는 상기 제1가이드홈(411)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432)는 상기 절곡부(414)의 하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는 회전하기 전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와 함께 상기 휴대단말기(20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하로 긴 내용이 상기 휴대단말기(201)에 디스플레이될 때,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모두 표시하여 한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201)의 사용이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210)를 다시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켜 가로 방향으로 긴 와이드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00)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상부를 덮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닫는 방법은 전술한 과정의 역순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오픈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지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600), 커버(700) 및 오픈힌지모듈(80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2에 따른 상기 메인바디(600)와 커버(700)는 실시예1과 같이 타단이 서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커버(700)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과 달리 상기 메인바디(600) 및 커버(700)에 후크결합부재 및 후크돌기가 형성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600)의 일단과 상기 커버(700)의 일단에 후크결합부재 및 후크돌기를 형성하여 실시예1과 같이 상호 후크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오픈힌지모듈(800)은 상기 메인바디(600)와 커버(7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600)에 대해 회전한 상태의 상기 커버(700)를 일정 각도로 유지한다.
이러한 상기 오픈힌지모듈(80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헤드(810), 고정플레이트(820), 너트(800) 및 프리스탑스프링(840)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2의 상기 오픈힌지모듈(800) 실시예1의 틸트힌지모듈(500)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며 그 역할 또한 유사하다.
이에 따라 실시예1의 틸트힌지모듈(500)과 실시예2의 오픈힌지모듈(800)은 각각의 실시예에 쉽게 교차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810)는 실시예1의 고정헤드(510)와 고정핀(530)이 결합된 형상과 유사하며, 일단이 상기 커버(700) 즉, 후술할 지지부재(72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820)는 실시예1의 고정플레이트(520)와 유사하며 상기 고정헤드(8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820)에는 결합판(821)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600)의 타단 내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너트(830)는 상기 고정플레이트(820)가 삽입된 상기 고정헤드(81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820)가 상기 고정헤드(81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프리스탑스프링(840)은 실시예1의 프리스탑스프링(540)과 같고, 상기 고정플레이트(820)와 너트(8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820)를 탄성지지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프리스탑스프링(840)은 상기 고정헤드(810)와 고정플레이트(820)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오픈힌지모듈(800)은 실시예1의 틸트힌지모듈(500)과 같이 작동하여 상기 커버(700)를 상기 메인바디(600)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유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커버(700)는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10), 지지부재(720) 및 스윙힌지모듈(910,9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7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바디(600)의 상부를 덮고,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바디(600)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메인바디(600)와 마주보는 일면에 휴대단말기(701)가 장착되는 결합홈(7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711)의 외측에 상기 메인바디(6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돌기(712)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홈(711)에 상기 휴대단말기(701)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712)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701)가 상기 결합홈(711)에 고정 장착된다.
실시예2에 따른 상기 케이스(710)에는 실시예1의 충전단자(213)가 형성되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 실시예1과 같이 충전단자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720)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방향에 이동홈(721,724)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6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이동홈(721,724)은 상기 케이스(710)가 배치된 반대면에 상기 케이스(7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홈(721,724)은 슬라이딩구간(721)과 작동구간(7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은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턱(726,727)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726,727) 사이의 상호 거리는 후술할 슬라이더의 폭(W1)과 같다.
이러한 상기 지지턱(726,727)은 제1지지턱(726)과 제2지지턱(727)으로 이루어진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턱(726)은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의 일측 즉, 좌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턱(727)보다 상기 작동구간(724) 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턱(726)은 상기 제2지지턱(727)이 상기 작동구간(724) 방향으로 돌출된 지점을 표시한 점선 보다 더 상기 작동구간(724)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지지턱(727)은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에서 상기 제1지지턱(726)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에서 상기 작동구간(724)이 형성된 반대 방향 즉,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의 하부에는 장착홈(72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724)에는 탄성스토퍼(730)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스토퍼(730)는 금속 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920)가 배치된 방향으로 개방되게 절곡 형성되며, 양단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되게 절곡 형성된 걸림돌기(731)가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스토퍼(73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의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731)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의 타단 양측에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상기 장착홈(722)과 연통되는 탄성홈(723)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723)에는 상기 탄성스토퍼(730)가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731)가 삽입 배치된다.
상기 작동구간(724)은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과 타단 방향의 길이(L2) 및 폭(W2)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제1지지턱(726)의 대각선 방향에는 상기 슬라이더(920)의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728)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홈(721,724)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720)를 관통하는 수직공(725)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공(725)은 상기 이동홈(721,724)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공(72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720)의 타단 즉, 하단과 상기 메인바디(600)의 타단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픈힌지모듈(8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720)에서 상기 이동홈(721,724)이 형성된 면에 홈덮개(740)를 장착한다.
상기 홈덮개(740)는 상기 이동홈(721,724)을 덮도록 상기 지지부재(720)에 장착된다.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스윙리벳(910)과 슬라이더(9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윙리벳(91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윙리벳(910)은 상기 케이스(7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케이스(71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공(725)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공(725)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스윙리벳(910)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홈(721,724)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홈(721,724)을 따라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920)의 길이(L1)는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과 타단 방향의 길이(L2) 및 폭(W2)보다 짧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920)의 폭(W1)은 상기 제1지지턱(726)과 제2지지턱(727) 사이의 거리와 같으며, 상기 제2지지턱(727)과 회전스토퍼(728)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작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제1지지턱(726)과 제2지지턱(727)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스윙리벳(9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92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731)가 삽입되는 걸림홈(9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921)에 상기 걸림돌기(731)가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에서 상기 슬라이더(92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2의 구성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스윙리벳(910)으로 상기 케이스(710) 및 지지부재(720)를 관통시켜 상기 스윙리벳(910)의 타단에 상기 슬라이더(9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스윙리벳(910)의 타단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이동홈(721,724)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스윙리벳(910)과 슬라이더(920)를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710)와 지지부재(72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이동홈(721,724)을 덮도록 상기 홈덮개(740)를 상기 지지부재(720)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기 커버(200)를 상기 메인바디(600)에 힌지결합시킨다.
상기 메인바디(600)와 지지부재(720) 사이에는 상기 오픈힌지모듈(8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711)에 상기 휴대단말기(701)를 삽입 배치하여 상기 휴대단말기(701)를 상기 케이스(71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712)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701)가 상기 케이스(710)에 고정 장착된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커버가 메인바디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b)는 도 18(a)에서 커버가 회전하여 휴대단말기의 일면과 키보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c)는 도 18(b)에서 케이스가 회전하여 휴대단말기가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슬라이더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에서 케이스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에서 케이스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는 상기 케이스(710)가 상기 메인바디(600)를 덮어 휴대단말기용 거치대가 닫힌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700)를 상기 메인바디(600)에 대해 회전시켜 키보드(601) 및 상기 케이스(710)의 일면에 장착된 상기 휴대단말기(701)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720)와 함께 상기 고정헤드(810)가 회전한다.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상기 고정헤드(810)는 회전된 후에 상기 프리스탑스프링(840)에 의해 상기 고정플레이트(820)와 접하도록 탄성지지되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헤드(810)가 고정 장착된 상기 지지부재(720)는 상기 메인바디(60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8(b)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720)가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921)에 상기 걸림돌기(731)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920)가 임의로 이동하지 못한다.
상기 걸림홈(921)에 상기 걸림돌기(731)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18과 같이 상기 커버(700)가 상기 메인바디(60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더(92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케이스(710)가 임의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71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슬라이더(9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걸림돌기(731)가 상기 걸림홈(921)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토퍼(730)가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돌기(73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탄성홈(723)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슬라이더(920)가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을 완전히 빠져나가면 상기 탄성스토퍼(7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731)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920)는 양측이 상기 제1지지턱(726) 및 제2지지턱(727)에 접하여 이동한다.
상기 제1지지턱(726)과 제2지지턱(727) 사이의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920)의 폭(W1)과 같아서 상기 슬라이더(920)가 상기 슬라이딩구간(726)에서 회전하지 않고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구간(721)을 벗어난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작동구간(724)에 배치되고, 일단 즉, 상단이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 방향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윙힌지(910)는 상기 수직공(725)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920)와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920)는 측부 즉, 우측 상단이 상기 회전스토퍼(728)에 접하고, 좌측 하단이 상기 제1지지턱(726)에 접하여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기 제1지지턱(72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턱(727)보다 상기 작동구간(724)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더(920)의 하단 측부와 접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7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7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920)가 상기 스윙리벳(9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턱(726,727)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지지턱(726) 및 제2지지턱(727)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상기 지지부재(720)의 일단과 타단 방향의 길이(L2) 및 폭(W2)은 상기 슬라이더(920)의 길이(L1)보다 길거나 같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920)가 상기 작동구간(724)에서 쉽게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71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701)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배치를 변경하여 상기 휴대단말기(70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과 같이 상기 케이스(7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71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더(920)의 타단 즉, 상기 제2지지턱(727)의 상부에 배치된 타단이 상기 회전스토퍼(728)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슬라이더(920)는 상기 스윙리벳(91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710)를 더 회전시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시킨 후 상기 슬라이딩구간(721) 및 수직공(725)를 따라 하강시켜 가로 방향으로 긴 와이드 화면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사항 이외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메인바디, 101 : 키보드, 110 : 후크결합부재, 111 : 후크홈, 112 : 결합해제버튼, 120 : 후크스프링, 200 : 커버, 201 : 휴대단말기, 210 : 케이스, 211 : 결합홈, 212 : 후크돌기, 213 : 충전단자, 214 : 장착부, 221 : 제1지지부재, 222 : 안착홈, 223 : 제2지지부재, 300 : 오픈힌지모듈, 301 : 댐핑힌지모듈, 310 : 하우징, 320 : 메인헤드, 330 : 토션스프링, 340 : 샤프트, 400 : 스윙힌지모듈, 410 : 가이드플레이트, 411 : 제1이동홈, 412 : 제2이동홈, 413 : 경사부, 414 : 절곡부, 420 : 회전부, 430 : 가이드돌기, 431 : 제1가이드돌기, 432 : 제2가이드돌기, 440 : 가이드스프링, 500 : 틸트힌지모듈, 510 : 고정헤드, 520 : 고정플레이트, 521 : 결합판, 530 : 고정핀, 540 : 프리스탑스프링,
600 : 메인바디, 601 : 키보드, 700 : 커버, 701 : 휴대단말기, 710 : 케이스, 711 : 결합홈, 712 : 고정돌기, 720 : 지지부재, 721 : 슬라이딩구간, 722 : 장착홈, 723 : 탄성홈, 724 : 작동구간, 725 : 수직공, 726 : 제1지지턱, 727 : 제2지지턱, 728 : 회전스토퍼, 730 : 탄성스토퍼, 740 : 홈덮개, 800 : 오픈힌지모듈, 810 : 고정헤드, 820 : 고정플레이트, 821 : 결합판, 830 : 너트, 840 : 프리스탑스프링, 910 : 스윙리벳, 920 : 슬라이더, 921 : 걸림홈,

Claims (14)

  1. 상부에 키보드가 장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덮고 상기 키보드와 마주보는 일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한 상태의 상기 커버를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오픈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키보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휴대단말기와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면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와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시키는 스윙힌지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회전시 상기 케이스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지지부재에 장착되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 장착되는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1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2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홈은,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방향에 배치된 상기 경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가이드돌기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기 케이스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가이드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에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안착홈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힌지결합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고, 일면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 힌지결합되어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재에 대해 회전한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경사지게 유지시키는 틸트힌지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힌지모듈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헤드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헤드와 고정플레이트를 힌지결합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헤드와 고정플레이트 사이 또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핀 사이에 삽입되어 양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프리스탑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가 배치된 반대면에 상기 케이스가 배치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수직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윙힌지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수직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공을 따라 이동하는 스윙리벳과,
    상기 스윙리벳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구간과;
    상기 슬라이딩구간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 방향에 형성된 작동구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 사이의 상호 거리는 상기 슬라이더의 폭과 같으며,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과 타단 방향의 길이 및 폭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턱과;
    상기 제1지지턱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제2지지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제1지지턱의 대각선 방향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작동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작동구간에서 상기 스윙리벳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턱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턱은 상기 제2지지턱보다 상기 작동구간 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케이스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슬라이딩구간을 따라 이동하여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구간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작동구간의 일단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단의 측부가 상기 회전스토퍼에 접하고 타단의 측부가 상기 제1지지턱에 접하여 타방향 회전이 지지되며,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케이스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타단이 상기 회전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스윙리벳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홈의 타단 양측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단에 후크결합되고,
    상기 오픈힌지모듈은,
    상기 커버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고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헤드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헤드에 고정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장착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메인헤드와 토션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헤드에 고정 장착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지되,
    상호 후크결합된 상기 메인바디와 커버의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오픈힌지모듈에 의해 상기 커버의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을 이루는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00118192A 2010-11-25 2010-11-25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20056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92A KR20120056580A (ko) 2010-11-25 2010-11-25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92A KR20120056580A (ko) 2010-11-25 2010-11-25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580A true KR20120056580A (ko) 2012-06-04

Family

ID=4660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92A KR20120056580A (ko) 2010-11-25 2010-11-25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5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11B1 (ko) * 2015-01-09 2016-01-25 (주)하나플래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
KR20210003645A (ko) * 2019-07-02 2021-01-12 홍순천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11B1 (ko) * 2015-01-09 2016-01-25 (주)하나플래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
KR20210003645A (ko) * 2019-07-02 2021-01-12 홍순천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487B2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US8665589B2 (en) Peripheral input device
KR100575947B1 (ko) 휴대 장치용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9033750A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ローテーション複合メカニズムとこれを採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US20060225249A1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971761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BRPI0317877B1 (pt) Mecanismo de abertura com auto-operação para utilização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80014541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JP2011147099A (ja) 携帯式電子装置
KR20120056580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80018022A (ko) 휴대용단말기의 거치대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79018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
KR101051773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KR101059833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모듈
KR101075647B1 (ko) 휴대폰 단말기의 표시패널 슬라이드 회전장치
KR101049958B1 (ko) 틸트힌지모듈 및 이것이 장착된 휴대단말기
KR100968804B1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101339798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129266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