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04B1 -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04B1
KR100968804B1 KR1020100019848A KR20100019848A KR100968804B1 KR 100968804 B1 KR100968804 B1 KR 100968804B1 KR 1020100019848 A KR1020100019848 A KR 1020100019848A KR 20100019848 A KR20100019848 A KR 20100019848A KR 100968804 B1 KR100968804 B1 KR 10096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mobile terminal
hinge portion
flip member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갑
Original Assignee
이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갑 filed Critical 이재갑
Priority to KR102010001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04B1/ko
Priority to US13/392,093 priority patent/US8457702B2/en
Priority to CN2010800257487A priority patent/CN102474285A/zh
Priority to PCT/KR2010/005693 priority patent/WO201103732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도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은,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힌지부가 형성된 바디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바디부재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플립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플립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립부재가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과 상기 바디부재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은 상기 바디부재에 접하여 상기 플립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 CRADLES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거치대 역할도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무선통신은 유선통신을 대체할 만큼 기술적 진보와 시장수요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무선통신의 수단이 되는 단말기 역시 통신기술의 진보와 함께 다양한 디자인과 기능이 부가된 최첨단 전자제품으로 발전하였다.
상기 단말기 중 소위 휴대폰, 핸드폰, 셀룰러폰 및 모바일폰으로 불리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대부분의 시간을 휴대하는 장치로써, 소형화되고 정밀화되어 이와 같은 단말기에는 내구성, 내충격성 및 방수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비닐, 인조가죽 및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널리 쓰이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커지고, 자판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바(bar)타입의 풀터치식 휴대단말기(일명 터치폰)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터치식의 디스플레이부가 고가인 만큼 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스크래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터치폰을 보호케이스 없이 주머니 등에 넣고 다닐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오작동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통화시 사람의 입 밑으로 새로는 소리를 막을 수 없어서 통화음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동영상의 시청 또는 음악의 청취시 주변 지형지물을 이용해야 휴대단말기을 세울 수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바타입의 휴대단말기(일명 터치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부터 눌려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화시 통화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동영상 등의 시청시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은,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바디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바디부재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플립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플립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립부재가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과 상기 바디부재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은 상기 바디부재에 접하여 상기 플립부재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힌지부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플립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1힌지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플립부재의 너비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힌지부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립부재의 회전시 상기 플립부재의 양측은 상기 바디부재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재를 지지한다.
또는, 상기 제2힌지부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플립부재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2힌지부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플립부재의 너비는 상기 바디부재의 너비보다 작다.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의 타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제2걸림턱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서리부분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면서 덮는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고, 상기 플립부재가 외력에 의해 9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반자동으로 180도까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며, 상기 플립부재가 외력에 의해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따르면, 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바타입의 휴대단말기(일명 터치폰)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부터 눌려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화시 통화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동영상 등의 시청시 휴대단말기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플립부재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플립부재를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플립부재를 더 회전시킨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
도 7은 플립부재를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플립부재를 더 회전시킨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크래들을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40)용 크래들은,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와, 회전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재(10)는 합성수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수용홈(11)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에 휴대단말기(40)가 안착된다.
상기 바디부재(10)의 일측에는 제1힌지부(1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부(12)는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디부재(10)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상기 제1힌지부(12)는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호 이격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재(10)의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40)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10)의 타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40)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턱(13) 또는 제2걸림턱(14)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40)의 모서리부분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면서 덮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걸림턱(13)이 1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걸림턱(14)이 상기 제1힌지부(12)에 형성되어 2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걸림턱(13)은 곡선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걸림턱(14)은 상기 제1힌지부(12)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림턱(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측면을 덮고 있고, 상기 제2걸림턱(14)에는 상기 휴대단말기(40)의 모서리가 안착되어 상기 제2걸림턱(14)이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면서 덮고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1)에 상기 휴대단말기(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40)는 측면 및/또는 상면이 상기 제1걸림턱(13)과 제2걸림턱(14)에 걸려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 배치된다.
상기 플립부재(20)는 합성수지,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상기 제1힌지부(12)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플립부재(20)는 상기 바디부재(10)에 대한 회전에 의해, 일면이 상기 바디부재(10)에 안착된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2힌지부(22)는 상기 플립부재(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1힌지부(12)들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는, 상기 플립부재(20)가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플립부재(20)의 타면과 상기 바디부재(10)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플립부재(20)의 타면이 상기 바디부재(10)에 접하여 상기 플립부재(20)의 회전을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부(22)의 너비는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힌지부(12)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부재(20)의 회전시 상기 플립부재(20)의 양측은 상기 바디부재(1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는 상기 바디부재(1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40)용 크래들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웠을 때, 상기 플립부재(20)가 상기 바디부재(10)에 안착된 휴대단말기(40)를 안정적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바디부재(10)에 형성된 제1힌지부(12)를 1개 형성하고, 상기 플립부재(20)에 형성된 제2힌지부(22)를 2개 형성하여, 상기 제1힌지부(12)가 상호 이격된 상기 제2힌지부(22)들 사이에 삽입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12)의 내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플립부재(20)를 상기 바디부재(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30)는, 단순히 상기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만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수동에 의해 플립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플립부재(20)를 상기 바디부재(10)에 대해 반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부재(30)가 상기 플립부재(20)를 상기 바디부재(10)에 대해 반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플립부재(20)가 반자동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플립부재(20)가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립부재(20)가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고, 상기 플립부재(20)가 외력에 의해 9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반자동으로 180도까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며, 상기 플립부재(20)가 외력에 의해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상기 플립부재(20)가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30)가 반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작용은 종래의 공지된 일반적인 캠결합구조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30)는, 일면에 180도의 간격으로 2개의 제1만곡부가 형성된 제1캠부와, 상기 제1캠부의 일면에 접하는 일면에 2개의 제2만곡부가 형성된 제2캠부와, 상기 제1캠부를 제2캠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는 서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캠부가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90도 정도 회전하여 상기 제2만곡부가 상기 제1만곡부에 도달하면, 그때부터는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만곡부는 180도까지 반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마찬가지의 작동에 의해, 180도에서 270도까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270도를 초과한 상태부터 360도까지는 반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회전부재(30)가 상기 플립부재(20)에 반자동의 회전력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재(10)의 바깥쪽과 상기 플립부재(20)의 바깥쪽에는 일체로 연결된 연질(비닐, 가죽 등) 재질의 커버(미도시)를 부착하여,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의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관을 좋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의 표면에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도 4에서 플립부재(20)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40)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플립부재(20)를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플립부재(20)를 더 회전시킨 상태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7은 플립부재(20)를 거치대로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플립부재(20)를 더 회전시킨 상태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크래들을 거치대로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40)를 상기 바디부재(10)의 수용홈(11)에 안착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걸림턱(13)과 제2걸림턱(14)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40)는 상기 바디부재(10)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플립부재(20)는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부가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플립부재(20)는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덮고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부재(30)가 반자동이 아닌 수동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플립부재(20)가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덮도록 하는 별도의 다른 록킹장치(미도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40)를 주머니 등에 넣고 다녀도, 디스플레이부가 눌려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플립부재(20)를 회전시켜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부재(20)를 상기 바디부재(10)에 대해 회전시킨다.
상기 플립부재(20)가 외력에 의해 9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그때부터는 상술한 상기 회전부재(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플립부재(20)는 180도까지 반자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40)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40)를 통해 통화 등을 할 수 있으며, 통화시 상기 플립부재(20)에 의해 통화음이 새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40)를 통해 동영상 등의 시청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휴대단말기(40)를 경사지게 세운 상태에서 시청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플립부재(20)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70도를 초과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플립부재(20)가 180도부터 270도까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재(30)가 회전될 경우, 상기 플립부재(20)가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플립부재(20)에는 상기 바디부재(10)의 하면 즉 상기 휴대단말기(40)의 상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이 부가된다.
따라서, 상기 플립부재(20)는 반자동으로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다가, 상기 플립부재(20)의 타면이 상기 바디부재(10)에 접하여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가 상기 제1힌지부(12)의 이격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플립부재(20)의 양측은 상기 바디부재(1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재(1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상기 바디부재(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플립부재(20)에는 상기 회전부재(30)에 의해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부가되기 때문에, 상기 플립부재(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부재(20)가 270를 초과하여 회전한 상태가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40)를 경사지게 세워 시청할 수 있다.
도 8(a)는 상기 플립부재(20)를 바닥면에 대향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부재(10) 및 휴대단말기(40)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플립부재(20)가 거치대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립부재(20)의 양측이 상기 바디부재(10)의 하면과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재(10)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b)는 상기 플립부재(20)의 측면 및 바디부재(10)의 측면이 바닥면에 닿도록 하여, 상기 바디부재(10) 및 휴대단말기(40)를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플립부재(20)가 거치대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가 상기 바디부재(10)의 너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재(10) 및 휴대단말기(40)는 상기 플립부재(20) 방향으로 눕혀져 상기 플립부재(20)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된다.
만일 상기 바디부재(10)와 플립부재(20)의 너비가 동일할 경우에는 상기 바디부재(10)가 상기 플립부재(20)의 반대방향인 전방향으로 넘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립부재(20)의 너비가 상기 바디부재(10)의 너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바디부재(10)는 상기 플립부재(20) 방향으로 눕혀지게 되는바, 상기 휴대단말기(40)가 장착된 상기 바디부재(10)는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고 경사지게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바디부재, 11 : 수용홈, 12 : 제1힌지부, 13 : 제1걸림턱, 14 : 제2걸림턱, 20 : 플립부재, 22 : 제2힌지부, 30 : 회전부재, 40 : 휴대단말기,

Claims (6)

  1.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1힌지부가 돌출 형성된 바디부재와;
    일측에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바디부재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플립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1힌지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힌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플립부재를 상기 바디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립부재가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었을 때,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과 상기 바디부재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플립부재의 타면은 상기 바디부재에 접하여 상기 플립부재의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재의 타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시키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 또는 제2걸림턱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서리부분 측면 및 상면을 감싸면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플립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1힌지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플립부재의 너비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힌지부의 이격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플립부재의 회전시 상기 플립부재의 양측은 상기 바디부재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바디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부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플립부재의 일측에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바디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 상기 제2힌지부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재의 너비는 상기 바디부재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고,
    상기 플립부재가 외력에 의해 9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반자동으로 180도까지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며,
    상기 플립부재가 외력에 의해 270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면 상기 플립부재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상면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1020100019848A 2009-09-28 2010-03-05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10096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8A KR100968804B1 (ko) 2010-03-05 2010-03-05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US13/392,093 US8457702B2 (en) 2009-09-28 2010-08-25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N2010800257487A CN102474285A (zh) 2009-09-28 2010-08-25 便携式终端设备支架
PCT/KR2010/005693 WO2011037324A2 (ko) 2009-09-28 2010-08-25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48A KR100968804B1 (ko) 2010-03-05 2010-03-05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804B1 true KR100968804B1 (ko) 2010-07-08

Family

ID=4264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48A KR100968804B1 (ko) 2009-09-28 2010-03-05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87B1 (ko) * 2012-09-10 2014-06-03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88A (ko) * 2005-09-20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KR20070050632A (ko)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통신 단말기용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88A (ko) * 2005-09-20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거치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KR20070050632A (ko) * 2005-11-11 2007-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동통신 단말기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087B1 (ko) * 2012-09-10 2014-06-03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7702B2 (en)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754586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1017297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 커버
US7369882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KR100770858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203708299U (zh) 一种便携式手机壳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KR20080014541A (ko)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통신 단말기
US20050260887A1 (en)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968804B1 (ko)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20110014304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262656B1 (ko) 백 플립 휴대단말기
KR20130006934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100750200B1 (ko)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의 무접점 충전기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1009095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장치
US8073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02166U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478854Y1 (ko) 단말기용 투명 케이스
CN111031161B (zh) 一种手持式移动通信终端
CN220022862U (zh) 一种新型手机壳
KR20110003344U (ko) 휴대폰용 반자동 크래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