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798B1 -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798B1
KR101339798B1 KR1020110123772A KR20110123772A KR101339798B1 KR 101339798 B1 KR101339798 B1 KR 101339798B1 KR 1020110123772 A KR1020110123772 A KR 1020110123772A KR 20110123772 A KR20110123772 A KR 20110123772A KR 101339798 B1 KR101339798 B1 KR 10133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tilting
spring
opening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824A (ko
Inventor
안석준
조혁찬
임경호
Original Assignee
이필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필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7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틸팅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에는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며,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를 틸팅시키는 틸팅부재; 제1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traversely) 힘을 가하여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부; 및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여 제2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제2본체의 전면은 선택적으로 제1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틸팅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플립형(sliding-type)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한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즉, 최근에는 단말기를 책상이나 선반 등에 거치시킨 상태로, 제1본체에 대해 틸팅된 제2본체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영상파일 및 정보를 편안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비교적 장시간 각종 정보를 확인할 시에도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알려진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는 제2본체가 제1본체 상에서 슬라이딩 개방된 후, 제2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이 완료되는 지점(제1본체의 대략 상단부)을 중심으로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회전하며 틸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는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틸팅 개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틸팅 방향 및 틸팅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급변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틸팅 방향 및 틸팅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에는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며,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를 틸팅시키는 틸팅부재; 제1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traversely) 힘을 가하여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부; 및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여 제2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제2본체의 전면은 선택적으로 제1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 가능하다.
틸팅부재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틸팅부재는 제1평면부, 제1평면부의 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스토퍼부는 제1평면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스토퍼부는 제2평면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토퍼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1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스토퍼부는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스토퍼부재, 제1스토퍼부재가 제1힌지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스토퍼스프링은 제1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본체에는 제1가이드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재의 제1힌지부는 제1가이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스토퍼부재는 제1가이드브라켓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1가이드브라켓을 배제하거나 여타 다른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제1스토퍼부가 제1본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부는 선택적으로 제1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절부재는 선택적으로 제1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조절부재는 제1스토퍼스프링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브라켓 상에 스트류 체결될 수 있으며, 제1조절부재의 스크류 조절에 의해 제1스토퍼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토퍼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가변된다 함은, 제1조절부재의 스크류 조작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와 제1조절부재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며, 제1스토퍼부재 및 제1조절부재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스프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는 제1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스토퍼부재는 제1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는 단 하나의 제1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닫힘 상태에서 제1스토퍼부재는 제1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브라켓의 단부에는 제한턱이 형성될 수 있고, 틸팅부재의 일단부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일정 이상시에는 회전제한돌기가 제한턱에 구속됨으로써,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과도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스토퍼부는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스토퍼부재, 제2스토퍼부재가 제2힌지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토퍼스프링은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에는 제2가이드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틸팅부재의 제2힌지부는 제2가이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부재는 제2가이드브라켓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부는 선택적으로 제2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절부재는 선택적으로 제2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조절부재는 제2스토퍼스프링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가이드브라켓 상에 스트류 체결될 수 있으며, 제2조절부재의 스크류 조절에 의해 제2스토퍼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는 제2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스토퍼부재는 제2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는 단 하나의 제2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닫힘 상태에서 제2스토퍼부재는 제2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제2본체의 저면에는 전술한 제2가이드브라켓을 덮도록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본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브라켓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커버부재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한편, 제2본체의 저면 단부에는 가이드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방시에는 가이드휠이 제1본체의 전면을 따라 구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본체에는 제1자석부가 제공될 수 있고, 제2본체에는 제2자석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닫힘 상태에서는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 간에 상호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은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본체에 상기 틸팅부재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틸팅스프링이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틸팅 방향 및 틸팅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틸팅 개방될 수 있게 하되, 선택적으로 제2본체의 전면이 제1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틸팅 개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제2본체의 틸팅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스토퍼부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프리스탑 방식으로 틸팅부재에 대한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회전이 전구간에 걸쳐 구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본체의 틸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 및 용도에 따라서 제2본체의 틸팅 상태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토퍼부가 틸팅부재의 회전축에 대해 비동축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스토퍼부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보다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별도의 캠부재를 이용한 스토퍼수단의 경우, 구조적인 특성상 스토퍼수단은 틸팅부재의 회전축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 주변에 스토퍼수단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슬림화가 곤란하고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토퍼부의 스토퍼부재가 틸팅부재의 회전축에 비동축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부재가 배치됨에 따른 틸팅부재의 회전축 부위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스토퍼부재를 보다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스토퍼부가 대응되는 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토퍼스프링은 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재는 복수개의 스토퍼스프링에 의해 동시에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부가 특정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공간활용에 유리한 이점이 있으며, 조립 공정 역시 매우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력을 조절하기 위해 스토퍼스프링을 교체할 필요없이 간단히 조절부재를 조절함으로써 스토퍼부에 의한 구속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틸팅 개방시 제1본체의 전면이 거의 전면적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부가 기능에 관련된 다양한 인터페이스부를 설치하기 위한 제1본체의 노출되는 전면 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으며, 단말기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에 다기능화 및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로서, 가이드휠 및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로서, 가이드휠 및 자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10), 제2본체(20) 및 틸팅 어셈블리(1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본체(20)는 틸팅 어셈블리(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틸팅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로서 여타 다른 통상의 부가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서 제1본체(10)의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본체(2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본체(2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틸팅 어셈블리(100)는 틸팅부재(200), 제1스토퍼부(300) 및 제2스토퍼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10)에 대해 제2본체(20)가 틸팅 개방될 수 있게 하되, 선택적으로 제2본체(20)의 전면(상면)이 제1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 측을 바라보도록 전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틸팅부재(2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틸팅부재(200)가 제1평면부(210), 상기 제1평면부(210)의 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220), 및 상기 경사부(2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평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평면부(210)와 제2평면부(230)는 경사부(220)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스토퍼부(300)는 제1평면부(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할 제2스토퍼부(400)는 제2평면부(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210)와 제2평면부(230)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제공되고, 제1 및 제2스토퍼부(300,400)는 제1 및 제2평면부(210,230)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측면 투영시 제1 및 제2스토퍼부(300,400)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 높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틸팅부재(200)와 제1 및 제2스토퍼의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며, 단말기의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틸팅부재가 전체적으로 평평한 평면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틸팅부재(200)의 일단(제1평면부의 단부)에는 제1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202)가 형성되고, 틸팅부재(200)의 타단(제2평면부(230)의 단부)에는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부(204)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제1힌지부(202) 및 제2힌지부(204)는 통상의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전 연결부위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부(300)는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스토퍼부(3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스토퍼부(300)는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스토퍼부재(310),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가 제1힌지부(202)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개의 제1스토퍼부(30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되, 각각의 제1스토퍼부(300)는 제1스토퍼부재(31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3개의 제1스토퍼스프링(3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스토퍼부(300)가 제1힌지부(20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1스토퍼스프링(320)은 제1힌지부(202)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스토퍼부재(310)는 복수개의 제1스토퍼스프링(3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제1스토퍼스프링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제1스토퍼부재를 제공하고, 각각의 제1스토퍼부재가 독립적으로 제1스토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에는 제1가이드브라켓(3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부재(200)의 제1힌지부(202)는 제1가이드브라켓(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는 제1가이드브라켓(340)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1가이드브라켓을 배제하거나 여타 다른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제1스토퍼부가 제1본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40)의 일면에는 개구부(343)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는 개구부(343)를 통해 진입되어 제1가이드브라켓(34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브라켓(340)의 개구부(343)는 제1마감부재(350)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40)에는 제1스프링삽입홀(344) 및 개구부(34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마감부재(350)에는 제1스프링관통홀(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가 개구부(343)를 통해 제1가이드브라켓(34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343)를 마감하도록 제1마감부재(350)가 결합될 수 있고, 그 후, 제1스토퍼스프링(320)이 제1스프링삽입홀(344) 및 제1스프링관통홀(3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조절부재(330)가 스프링삽입홀(34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스프링(320)은 제1스토퍼부재(310)의 후방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310)의 선단은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부(300)는 선택적으로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1조절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부재(330)는 선택적으로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탄성력을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조절부재(330)는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브라켓(340) 상에 스트류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조절부재(330)의 스크류 조절에 의해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압축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스프링(320)의 압축 길이가 가변된다 함은, 제1조절부재(330)의 스크류 조작에 의해 제1스토퍼부재(310)와 제1조절부재(33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며, 제1스토퍼부재(310) 및 제1조절부재(330)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스프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는 제1구속홈(20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는 제1구속홈(202a)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힌지부(202)의 외주면에는 단 하나의 제1구속홈(20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 제1스토퍼부재(310)는 제1구속홈(202a)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1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구속홈의 개수 및 배치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제1구속홈(202a)은 제1스토퍼부재(310)를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스토퍼부재(310)가 제1구속홈(202a)으로부터 빠져 나올시에는 클릭감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340)의 단부에는 제한턱(34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틸팅부재(200)의 일단부에는 회전제한돌기(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일정 이상시에는 회전제한돌기(202b)가 제한턱(342)에 구속됨으로써,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과도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한턱 및 회전제한돌기가 배제될 수 있으며, 틸팅부재는 제1본체에 대해 대략 180까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부(400)는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제2본체(2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부(4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스토퍼부(400)는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스토퍼부재(410), 상기 제2스토퍼부재(410)가 제2힌지부(204)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스프링(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두개의 제2스토퍼부(40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제공되되, 각각의 제2스토퍼부(400)는 하나의 제2스토퍼부재(410)가 3개의 제2스토퍼스프링(4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스토퍼부(400)가 제2힌지부(204)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며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2스토퍼스프링(420)은 제2힌지부(204)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스토퍼부재(410)는 복수개의 제2스토퍼스프링(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2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충분한 마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제2스토퍼스프링에 대응되게 복수개의 제2스토퍼부재를 제공하고, 각각의 제2스토퍼부재가 독립적으로 제2스토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본체(20)에는 제2가이드브라켓(4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부재(200)의 제2힌지부(204)는 제2가이드브라켓(4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토퍼부재(410)는 제2가이드브라켓(440)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제2가이드브라켓을 배제하거나 여타 다른 가이드부재를 매개로 제2스토퍼부가 제2본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440)의 일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2스토퍼부재(410)는 개구부를 통해 진입되어 제2가이드브라켓(44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브라켓(440)의 개구부는 마감부재(450)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440)에는 제2스프링삽입홀(444) 및 개구부(443)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마감부재(450)에는 제2스프링관통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부재(410)가 개구부(443)를 통해 제2가이드브라켓(44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443)를 마감하도록 제2마감부재(450)가 결합될 수 있고, 그 후, 제2스토퍼스프링(420)이 제2스프링삽입홀(444) 및 제2스프링관통홀(4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2조절부재(430)가 스프링삽입홀(444)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스프링(420)은 제2스토퍼부재(410)의 후방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스토퍼부재(410)의 선단은 제2힌지부(20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토퍼부(400)는 선택적으로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2조절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재(430)는 선택적으로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탄성력을 조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조절부재(430)는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가이드브라켓(440) 상에 스트류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조절부재(430)의 스크류 조절에 의해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압축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스토퍼스프링(420)의 압축 길이가 가변된다 함은, 제2조절부재(430)의 스크류 조작에 의해 제2스토퍼부재(410)와 제2조절부재(43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며, 제2스토퍼부재(410) 및 제2조절부재(430)의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스프링부재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는 제2구속홈(20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스토퍼부재(410)는 제2구속홈(204a)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는 단 하나의 제2구속홈(20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 제2스토퍼부재(410)는 제2구속홈(204a)에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제2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구속홈의 개수 및 배치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구속홈(204a) 역시 제2스토퍼부재(410)가 제2구속홈(204a)으로부터 빠져 나올시에는 클릭감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본체(20)의 저면에는 전술한 제2가이드브라켓(440)을 덮도록 커버부재(4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브라켓(440)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커버부재(460)에 의해 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가 틸팅부재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스토퍼부가 제1본체 및 제2본체 상에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스토퍼부를 틸팅부재 상에 장착하고,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를 대응되는 제1본체 및 제2본체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스토퍼부 및 제2스토퍼부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스토퍼부 및 제2스토퍼부가 서로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본체(20)의 저면 단부에는 가이드휠(2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시에는 가이드휠(22)이 제1본체(10)의 전면을 따라 구름 이동함으로써, 제2본체(20)의 저면 단부가 제1본체(10)의 전면에 직접 접촉됨에 따른 스크래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훨은 스크래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에는 제1자석부(14)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본체(20)에는 제2자석부(2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는 제1자석부(14) 및 제2자석부(24) 간에 상호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작은 충격 등에 의해 제2본체(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자석부(14) 및 제2자석부(24)로서는 통상의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자석부(14) 및 제2자석부(24)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가 전자석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자석부의 특성 및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은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틸팅부재(200)의 제1힌지부(202)에는 틸팅스프링(5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이 일정 이상 진행되면, 틸팅스프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남은 회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틸팅스프링을 배제하고 제1본체에 대한 틸팅부재의 회전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는 틸팅부재(20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제2본체(20)는 틸팅부재(200)를 매개로 제1본체(10)에 대해 틸팅 개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틸팅 개방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에 회전은 제1스토퍼부(300)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전 구간(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에 회전 구간)에 걸쳐 프리스탑(free stop)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본체(2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은 제2스토퍼부(400)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전 구간(제2본체(2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회전 구간)에 걸쳐 프리스탑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로서, 전방 틸팅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로서, 후방 틸팅 개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초기 상태)에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부재(310)는 제1구속홈(202a)에 구속될 수 있고, 제2스토퍼부재(410)는 제2구속홈(204a)에 구속될 수 있으며, 제1자석부(14) 및 제2자석부(24) 간에는 서로 인력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도 3 참조)
그 후, 도 6 및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제2본체(20)의 하단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제2본체(20)의 전면이 제1본체(10)의 전방을 향하도록 제1틸팅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제2본체(20)를 밀어올리면, 제1본체(10)에 대해 틸팅부재(200)가 회전함과 동시에 틸팅부재(200)에 대해 제2본체(20)가 회전함으로써, 제2본체(20)는 소정 궤적을 그리며 제1틸팅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틸팅부재(200)의 제1힌지부(202) 및 제2힌지부(204)의 외주면에는 제1스토퍼부재(310) 및 제2스토퍼부재(410)가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스토퍼부재(310) 및 제2스토퍼부재(410)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1본체(10)에 대한 틸팅부재(200)의 배치 상태, 및 틸팅부재(200)에 대한 제2본체(20)의 배치상태는 프리스탑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20)의 제1틸팅 개방 각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있으며, 제2본체(20)의 제1틸팅 개방 각도에 상관없이 제1스토퍼부(300) 및 제2스토퍼부(400)에 의해 제2본체(20)의 제1틸팅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제2본체(20)는 전면이 제1본체(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제2틸팅 개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본체(20)가 제1틸팅 개방된 후 제2틸팅 개방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본체가 닫힌 상태에서 바로 제2틸팅 개방되도록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2본체(20)가 제1틸팅 개방된 상태에서 제2본체(20)의 상단부를 밀어 내리면(또는 제2본체(20)의 하단부를 들어올리면), 제2본체(20)는 틸팅 부재의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전면이 제1본체(10)의 후방을 향하도록 제2틸팅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본체(20)는 선택적으로 제1틸팅 개방 또는 제2틸팅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제2본체(20)의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에 마주앉아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마주앉은 사람에게 디스플레이부의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 단말기 전체의 방향을 전환할 필요없이 간단히 제2본체(20)만을 회전시켜(제2틸팅 개방) 마주하는 사람에게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줄 수 있다. 전술한 제1틸팅 개방시와 마찬가지로, 제2본체(20)의 제2틸팅 개방 각도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있으며, 제2본체(20)의 제2틸팅 개방 각도에 상관없이 제1스토퍼부(300) 및 제2스토퍼부(400)에 의해 제2본체(20)의 제2틸팅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2본체(20)의 제1틸팅 개방시 및 제2틸팅 개방시에 대응되게 디스플레이부의 상하 반전이 자동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틸팅 개방된 상태에서 제2본체(20)를 닫힘 위치로 복귀시킬 시에는, 제2틸팅 개방된 제2본체(20)를 제1틸팅 개방으로 전환한 후 닫힘 위치로 복귀할 필요없이, 제2틸팅 개방상태에서 제1본체(10)에 대해 틸팅부재(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본체(20)를 바로 닫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본체 20 : 제2본체
100 : 틸팅 어셈블리 200 : 틸팅부재
202 : 제1힌지부 204 : 제2힌지부
300 : 제1스토퍼부 310 : 제1스토퍼부재
320 : 제1스토퍼스프링 330 : 제1조절부재
340 : 제1가이드브라켓 400 : 제2스토퍼부
410 : 제2스토퍼부재 420 : 제2스토퍼스프링
430 : 제2조절부재 440 : 제2가이드브라켓

Claims (14)

  1.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에는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에 대해 상기 제2본체를 틸팅시키는 틸팅부재;
    상기 제1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traversely) 힘을 가하여 상기 제1본체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힘을 가하여 상기 제2본체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본체의 전면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1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 가능하며,
    상기 틸팅부재는, 제1평면부; 상기 제1평면부의 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평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제2평면부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스토퍼부재, 및 상기 제1스토퍼부재가 상기 제1힌지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스토퍼부재, 및 상기 제2스토퍼부재가 상기 제2힌지부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토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스프링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의 외주면에는 제1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되며,
    상기 제2힌지부의 외주면에는 제2구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부재는 상기 제2구속홈에 일시적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스토퍼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제2본체에 결합되는 제2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스토퍼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 상에서 탄성적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제1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1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제2스토퍼스프링의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제2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2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에 스크류 체결되며,
    상기 제1조절부재 및 상기 제2조절부재의 스크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스프링 및 상기 제2스토퍼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브라켓에는 제한턱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재에는 회전제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에 대한 상기 틸팅부재의 일정 이상 회전시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상기 제한턱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브라켓을 덮도록 상기 제2본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브라켓에는 각각 스프링삽입홀 및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프링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상기 마감부재가 결합된 후,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스프링이 상기 스프링삽입홀 및 상기 스프링관통홀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조절부재가 상기 스프링삽입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저면 단부에 제공되는 가이드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본체에 대한 상기 제2본체의 개방시 상기 가이드휠은 상기 제1본체의 전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는 제1자석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본체에는 제2자석부가 제공되며,
    상기 제1본체에 대한 상기 제2본체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자석부 및 상기 제2자석부 간에 상호 인력(attractive force)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대해 상기 틸팅부재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틸팅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20110123772A 2011-11-24 2011-11-24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3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772A KR101339798B1 (ko) 2011-11-24 2011-11-24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772A KR101339798B1 (ko) 2011-11-24 2011-11-24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24A KR20130057824A (ko) 2013-06-03
KR101339798B1 true KR101339798B1 (ko) 2013-12-10

Family

ID=4885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772A KR101339798B1 (ko) 2011-11-24 2011-11-24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7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31U (ko) * 1996-10-10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각도 조절장치
KR20110096637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틸트 힌지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131U (ko) * 1996-10-10 1998-07-15 김광호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각도 조절장치
KR20110096637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틸트 힌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824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66B1 (ko)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477328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CN102025808A (zh) 便携终端
KR10090263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175011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KR101207203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US8433062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101339798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996404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1310210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089238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1359616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120136616A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10211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70002598A (ko) 슬라이딩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
KR101264732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120087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힌지장치
KR101114987B1 (ko) 틸팅 힌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120056580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020934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1123069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1050888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118665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KR101081002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