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496A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496A
KR20130080496A KR1020120001314A KR20120001314A KR20130080496A KR 20130080496 A KR20130080496 A KR 20130080496A KR 1020120001314 A KR1020120001314 A KR 1020120001314A KR 20120001314 A KR20120001314 A KR 20120001314A KR 20130080496 A KR20130080496 A KR 2013008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housing
link member
driven cam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209B1 (ko
Inventor
정준진
Original Assignee
이필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필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가 개시된다. 힌지장치는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플립형(sliding-type)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최근에는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될 수 있도록 한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이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통상의 힌지모듈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 힌지모듈은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제공되어 구동캠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종동캠부재, 및 종동캠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하우징 내부에 모듈화되어 제공되며, 통상의 회전 개폐형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가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개폐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개폐 동작시 힌지모듈에서 이음(異音; allophon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힌지모듈의 작동시 하우징에 대해 종동캠이 비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종동캠에 비틀림이 발생함에 따라 종동캠과 하우징 간의 마찰에 의해 작동 이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 힌지모듈은 구조적인 특성상 일정 이상의 개폐력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개폐력이 작용되는 본체의 크기 및 무게가 일정 이상 커질 경우에는 복수개의 힌지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 예로, 기존에는 제1본체와 제2본체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구비된 힌지부싱의 일측에 제1힌지모듈을 연결하고, 힌지부싱의 다른 일측에 제1힌지모듈과 직렬로 배치되도록 제2힌지모듈을 연결한 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본체부의 힌지부싱과 각 힌지모듈 간의 연결 부위를 정확히 밀착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개폐 동작시 힌지모듈에서 이음(異音; allophone)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 힌지모듈은 현실적으로 매우 정밀한 치수정밀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에는 각 힌지모듈의 치수 오차에 따라 힌지부싱과 힌지모듈 간의 연결 부위 사이에 이음 개선을 위한 별도의 부품을 삽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향상된 개폐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장치는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종동캠부재 간의 직선 접촉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각 하우징, 및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각 종동캠부재의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하우징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종동캠부재의 제1 내지 제4평탄면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1 및 제2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제1 및 제2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은 제1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은 제2평탄벽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은 제3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은 제4평탄벽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힌지장치는 공용 구동캠부재, 제1종동캠부재, 제2종동캠부재, 및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용 구동캠부재, 제1종동캠부재, 제2종동캠부재, 및 제1 및 제2하우징은 샤프트와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종동캠부재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는 종동캠부재 및 샤프트가이드부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샤프트가이드부를 통해 샤프트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힌지장치는 가이드브라켓과 같은 피대상체에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피대상체에는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피대상체에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커버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다.
커버브라켓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버브라켓은 피대상체에 대한 제1 및 제2하우징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브라켓의 일단은 걸림 방식으로 피대상체에 구속될 수 있고, 타단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피대상체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커버브라켓에는 피대상체과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류결합홀은 전술한 수용홈에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스크류 체결시 커버브라켓에 작용하는 구속력에 의해 커버브라켓이 제1 및 제2하우징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과 제1 및 제2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용 구동캠부재는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공용 구동캠부재에는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에는 피대상체와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링크부재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에는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에 대한 체결부의 정위치시 위치확인돌기는 위치확인홈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부재에 대한 체결부의 정위치라 함은, 좌측용 및 우측용 두개의 공용 구동캠부재가 사용될 경우,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은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일단은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부재,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본체 및 제2본체라 함은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하우징(또는 케이스)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에 결합되는 각종 연결 요소(예를 들어, 각종 플레이트, 프레임 등)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제2본체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1본체의 노출면에는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로서 여타 다른 통상의 부가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링크부재의 위치, 개수 및 이격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제2본체의 닫힘시 각 링크부재는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각 링크부재가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각 링크부재가 대응되는 다른 링크부재 또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을 매개로 링크부재가 대응되는 다른 링크부재 및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본체의 배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의 타단 및 제2링크부재의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링크부재의 각 타단이 제2본체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 및 제2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만 가이드 플레이트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제2본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링크부재의 일단은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제1본체에는 제2링크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본체에는 가이드브라켓이 결합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이 가이드브라켓에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레일이 제1본체에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제2본체의 개폐 구간 중 일부 구간(예를 들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이 완료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구간)에서만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2본체의 전체 개폐 구간에 걸쳐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댐핑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다양한 댐핑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부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댐핑부는 마찰저항, 유체저항 및 스프링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며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댐핑돌기, 제1본체에 제공되는 댐핑하우징, 댐핑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댐핑돌기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댐핑로드, 및 댐핑로드가 댐핑돌기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댐핑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프레임(또는 제2링크프레임)에 댐핑하우징을 장착하고, 제1본체에 댐핑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댐핑돌기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링크부재의 일단에는 제1본체와 축 결합을 위한 축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돌기는 축결합부를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령, 댐핑돌기는 측면에 개구부를 갖는 대략 "C"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의 길이 및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돌기가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댐핑로드의 단부에는 댐핑가이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댐핑로드는 댐핑가이드를 매개로 댐핑돌기에 접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술한 평탄면 및 평탄벽 구조가 단일 종동캠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구동캠부재,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며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이 형성된 하우징, 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둘레를 따라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종동캠부재, 및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종동캠부재가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에 의하면,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장치의 작동시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비정상적인 유동이 구속될 수 있게 함으로써,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에 따른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이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동캠부재가 하우징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비정상적인 유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된 하우징이 커버브라켓에 의해 구속되되, 커버브라켓에는 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간극없이 하우징의 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커버브라켓과 하우징 사이의 간극이 발생됨에 따른 작동 이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동캠부재에 샤프트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샤프트가이드부를 통해 샤프트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에 대한 종동캠부재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종동캠부재가 하나의 공용 구동캠부재를 매개로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수 오차에 따른 작동 이음(異音)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 하나의 공용 구동캠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공용 구동캠부재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해체가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링크부재의 회전시 연결링크부재의 의해 제2링크부재와 제1링크부재 간의 간격이 소정의 거리 내에서 제한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본체가 제1본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 및 틸팅 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개폐 조작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시, 연결링크부재에 의한 제2링크부재 일단의 당김 및 밀림에 의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시 제2본체의 하단부가 제1본체의 상면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제2본체의 개폐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제2본체의 하단부와 제1본체의 상면 간의 이격 간격)이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작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폐시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조작에 필요한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방 조작시 힘을 가하는 방향이 대략 직선 형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중간에 변경하거나 힘의 세기를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동작시 우수한 미관을 창출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폐 동작시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의 이격 간격이 클수록 미관상 좋지 않고, 개폐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의 이격 간격을 최소화한 상태로 틸팅 동작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개폐의 편리함과 함께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틸팅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서, 제2본체가 제1본체에 대해 미세하게 띄워진 상태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와 제1본체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본체 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채용해야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폐시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에 의해 제2본체의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으며, 제2본체의 개방 또는 닫힘이 완료되는 순간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충격 없이 부드럽게 구현될 수 있으며, 충격력에 의한 제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링크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간이 제1본체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될 필요없이 특정 구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본체의 개방시 노출되는 제1본체의 노출 영역(예를 들어, 키패드 영역)이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으며, 태블릿 컴퓨터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본체의 개방시 제1본체의 상면에 노출되는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거치대 또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틸팅형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이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회전 방식으로 개폐되는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제1본체에 대한 제2본체의 개폐 동작이 힌지장치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개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제1본체에 대해 제2본체가 슬라이드 이동 및 틸팅 이동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며 개폐될 수 있는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통상의 폴더형 개인휴대단말기 또는 다른 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가 적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제1본체(10), 제2본체(20),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연결링크부재(400),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하우징(740), 제1종동캠부재(720), 제1탄성부재(730), 제2하우징(770),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라 함은 통상의 태블릿 컴퓨터를 구성하는 본체의 하우징(또는 케이스) 자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본체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에 결합되는 각종 연결 요소(예를 들어, 각종 플레이트, 프레임 등)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본체(10)는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인터페이스부(12)는 통상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장치는 키패드, 버튼, 스위치, 다이얼, 포인팅장치,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 발광소자,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터페이스부(12)로서 여타 다른 통상의 부가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12)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서 제1본체의 전면에는 영문 표준 자판인 쿼티(QWERTY) 배열을 갖는 쿼티식 키패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숫자 배열을 갖는 키패드 또는 게임에 관련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게임용 키패드 및 터치패드 등이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2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론트 케이스(미도시) 및 리어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본체(20)의 전면에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20)는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를 매개로 제1본체(10)에 대해 소정 궤적을 그리며 소정 각도로 틸팅(tilting)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본체(10)(또는 제2본체)의 양측부에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200)(또는 제2링크부재)의 양 측단부에 각각 연결링크부재(400)가 구비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 제2링크부재 및 연결링크부재가 각각 하나씩만 제공되거나, 제1링크부재, 제2링크부재 및 연결링크부재가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링크부재(200,300,400)의 위치, 개수 및 이격 간격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재(2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링크부재(200)는 소정 크기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가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제1링크부재(200)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200)가 평행하게 배치되기 위한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 측면 투영시 제1링크부재(200)의 우측 단부에는 제1본체(10)와 회전 결합을 위한 제1축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고, 제1링크부재(200)의 좌측 단부에는 제2본체(20)와의 회전 결합을 위한 제2축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축결합부(210)는 제1링크부재(2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회전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및(또는) 제2축결합부가 제1링크부재에 대해 낮은(또는 높은) 회전 중심을 가질 필요없이, 제1링크부재의 일단 및(또는) 타단 자체가 중앙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꺽여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2링크부재(300)가 제1링크부재(20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링크부재(300) 역시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제2링크부재(300)는 제1링크부재(200)와 함께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링크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제2링크부재(300)는 축결합부의 회전 중심을 적절히 변경하거나, 제2링크부재의 양 단부의 높이 자체를 다르게 함으로써 닫힘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본체 및 제2본체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태블릿 컴퓨터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도록 제2본체의 닫힘시 제1링크부재 및 제2링크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본체(20)의 배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24)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200) 타단 및 제2링크부재(300)의 타단은 가이드 플레이트(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24)와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대응되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함은, 회전핀, 회전돌기 및 회전축과 같은 통상의 축 수단을 매개로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대응되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의 일단은 제1링크부재(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부재(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링크부재(400)는 제1링크부재(200)와 제2링크부재(3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시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함으로써, 개폐시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들뜸 현상(제2본체의 하단부와 제1본체의 상면 간의 이격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링크부재(4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 각도로 꺾여지거나 원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 연결링크부재(400)의 일단이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링크부재(400)의 타단과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이 동일한 축 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서로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갖도록 연결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링크부재의 타단이 제2링크부재의 일단과 서로 다른 회전 중심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본체(10)의 상면에는 수용부(222)를 갖는 가이드케이스(2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수용부(21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시,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당겨지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닫힘시,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밀려나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한 제2링크부재(300) 일단의 당김 및 밀림에 의해 제2본체(20)의 하단부가 제1본체(10)의 상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로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대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하우징(740), 제1종동캠부재(720), 제1탄성부재(730), 제2하우징(770),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를 포함하는 힌지장치(700)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폐가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힌지장치(700)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시,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힌지장치(700)가 제1본체(10)에 대한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시 제1링크부재(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는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및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및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은 축선 방향을 따라 높이차를 갖는 골부와 산부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와 제1링크부재(200)의 연결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는 제1링크부재(200)에 스크류 체결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측면 일측에는 체결부(7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716)에는 제1링크부재(200)와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71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용 구동캠부재(710)는 스크류 체결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200)에는 위치확인홈(23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716)에는 위치확인홈(230)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716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링크부재(200)에 대한 체결부(716)의 정위치시 위치확인돌기(716b)는 위치확인홈(230)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링크부재(200)에 대한 체결부(716)의 정위치라 함은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우측에 배치되고,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확인홈(230) 및 위치확인돌기(716b)는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는 두개의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측용 공용 구동캠부재(710)가 우측에 배치(또는 좌측용 공용 구동캠부재가 좌측에 배치)될 시에만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716b)가 위치확인홈(23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740)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 제공되며, 후술할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1탄성부재(730)는 제1하우징(7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740)은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도 5의 774a 참조), 제2평탄벽(도 5의 774b 참조), 제3평탄벽(도 5의 774c 참조), 및 제4평탄벽(도 5의 774d 참조)이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740)이 제1 내지 제4평탄벽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는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722)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740)의 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712)에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1하우징(74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도 5의 754a 참조), 제2평탄면(도 5의 754b 참조), 제3평탄면(도 5의 754c 참조), 및 제4평탄면(도 5의 754d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종동캠부재(750)가 제1 내지 제4평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하우징(74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제1종동캠부재(720)의 제1 내지 제4평탄면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1하우징(740)의 내부를 따라 제1종동캠부재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은 제1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은 제2평탄벽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은 제3평탄벽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은 제4평탄벽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 및 제1종동캠부재가 정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하우징 및 제1종동캠부재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730)는 제1하우징(74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1종동캠부재(720)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730)의 구조 및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탄성부재(730)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로서는 단 하나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탄성부재로서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한 제1종동캠부재(720) 및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제1구동캠프로파일(712)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종동캠부재(720)의 직선 운동이 탄성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770)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타단에 제공되며, 후술할 제2종동캠부재(750) 및 제2탄성부재(760)는 제2하우징(77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하우징(770)은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774a), 제2평탄벽(774b), 제3평탄벽(774c), 및 제4평탄벽(774d)이 형성된 중공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770)이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는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752)을 구비하며, 전술한 제1종동캠부재(720)와 직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770)의 내부를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714)에 접촉되며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의 둘레를 따라서는 제2하우징(77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754a)면, 제2평탄면(754b), 제3평탄면(754c), 및 제4평탄면(754d)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종동캠부재(750)가 제1 내지 제4평탄면(754a~754d)을 포함하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2하우징(770)의 제1 내지 제4평탄벽(774a~774d)에 대응하여 제2종동캠부재(750)의 제1 내지 제4평탄면(754a~754d)이 면접촉된다 함은, 제2하우징(770)의 내부를 따라 제2종동캠부재(750)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제1평탄면(754a)은 제1평탄벽(774a)에 면접촉되고, 제2평탄면(754b)은 제2평탄벽(774b)에 면접촉되며, 제3평탄면(754c)은 제3평탄벽(774c)에 면접촉되고, 제4평탄면(754d)은 제4평탄벽(774d)에 면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하우징 및 제2종동캠부재가 정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하우징 및 제2종동캠부재가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760)는 제2하우징(770)의 내부에 수용되며, 제2종동캠부재(750)가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760)의 구조 및 종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탄성부재(760)로서는 전술한 제1탄성부재(730)와 같이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로서는 단 하나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2탄성부재로서 서로 다른 권선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760)의 탄성력에 의한 제2종동캠부재(750) 및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제2구동캠프로파일(714)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종동캠부재(750)의 직선 운동이 탄성적인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회전시 공용 구동캠부재(710)에 대해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가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탄성부재(730) 및 제2탄성부재(760)로서 서로 동일한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에 각각 동일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가 서로 다른 종류의 스프링 또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제1종동캠부재 및 제2종동캠부재에 각각 다른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힌지장치(700)는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종동캠부재(720), 제2종동캠부재(750),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7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710), 제1종동캠부재(720), 제2종동캠부재(750),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은 샤프트(780)와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샤프트(780)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종동캠부재(750)에 샤프트가이드부(756)가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종동캠부재 뿐만 아니라 제1종동캠부재에도 샤프트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샤프트가이드부(756)는 제2종동캠부재(75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제2종동캠부재(75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780)는 제2종동캠부재(750) 및 샤프트가이드부(756)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780)는 제2종동캠부재(750) 및 샤프트가이드부(756)를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구조는 샤프트가이드부(756)를 통해 샤프트(780)에 접촉되는 직선 구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제2종동캠부재(750)가 직선 이동하는 동안, 샤프트(780)에 대한 제2종동캠부재(750)의 비틀림 및 유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제1본체(10)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1본체(10)에는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에 구비된 링크핀(310)이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기 위한 가이드레일(6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본체(10)에 가이드브라켓(600)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630)이 가이드브라켓(600)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은 가이드브라켓(6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에는 힌지장치(700)의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60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은 수용홈(602)에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브라켓(600)에는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을 덮도록 커버브라켓(6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740) 및 제2하우징(770)의 배치상태는 커버브라켓(61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에 커버브라켓(61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1 및 제2종동캠부재(720,750)에 대한 공용 구동캠부재(710)의 회전은 보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가이드브라켓(600)에 대한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브라켓(610)은 대략 "L"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은 걸림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구속될 수 있고, 타단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가이드브라켓(6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브라켓(600)의 후방 부위에는 걸림돌기(60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브라켓(61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604)가 구속되기 위한 걸림홈(6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브라켓(610)의 타단에는 가이드브라켓(600)과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616)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스크류결합홀(616)은 전술한 수용홈(602)에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스크류결합홀은 수용홈에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수용홈에 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스크류결합홀에 스크류가 체결될 시 커버브라켓에 작용하는 구속력에 의해 커버브라켓 자체가 휘어지며, 커버브라켓과 각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간극은 힌지장치의 작동시 작동이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크류결합홀(616)이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수용홈(602)에 진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크류 체결시 커버브라켓(610)의 타단부에 작용하는 구속력은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이 수용홈(602)에 진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커버브라켓의 타단부가 제1 및 제2하우징(740,770)에 밀착될 수 있게 함으로써, 커버브라켓(610)과 제1 및 제2하우징(740,77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본체(10)에 대해 제2본체(20)가 틸팅되는 구조에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 간의 후방 연결부위가 외부로 직접 노출됨에 따라 외관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 간의 후방 연결부위가 제1링크부재(200)에 의해 덮혀질 수 있기 때문에 깔끔하고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링크부재(200)는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 또는 면적을 갖도록 제공되며,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고 제1링크부재(2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는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폐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제2본체(20)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댐핑력을 제공하기 위한 댐핑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는 구간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본체(20)의 개폐 구간 중 일부 구간(예를 들어, 제2본체의 개방 및 닫힘이 완료되는 지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한 구간)에서만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본체의 전체 개폐 구간에 걸쳐 댐핑부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댐핑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통상의 다양한 댐핑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부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댐핑부는 마찰저항, 유체저항 및 스프링저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댐핑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유체저항을 이용한 댐핑력이라 함은 구리스, 실리콘 오일 등과 같은 통상의 작동유체 내부에서 댐핑부재가 이동 또는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점성저항에 의한 댐핑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되며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부가 링크부재(200,300)의 회전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동된다 함은,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의 회전에 의한 접촉, 마찰 또는 간섭에 의해 댐핑부가 작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댐핑부가 댐핑돌기(510), 댐핑하우징(520), 댐핑로드(530) 및 댐핑스프링(550)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댐핑돌기(510)는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댐핑돌기(510)가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후술할 댐핑로드(530)가 댐핑돌기(5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댐핑돌기(510)의 형상 및 크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에는 제1본체(10)와 축 결합을 위한 제1축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댐핑돌기(510)는 제1축결합부(210)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댐핑돌기(510)가 제1축결합부(210)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형성되되, 측면에 개구부(512)를 갖는 "C"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2본체(20)의 닫힘 상태에서는 후술할 댐핑로드(530)의 단부가 개구부(5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댐핑로드(530)의 단부가 개구부(512)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이 해제된다 함은 댐핑로드(530)와 댐핑돌기(510) 간의 접촉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12)의 길이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으며, 개구부(512)의 길이에 따라 댐핑력이 작용하는 시점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댐핑돌기가 단 하나의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돌기가 복수개의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개구부의 개수 및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댐핑하우징(520)은 댐핑돌기(510)에 인접하게 제1본체(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댐핑로드(530)는 댐핑하우징(52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댐핑돌기(51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댐핑돌기(510)는 댐핑하우징(52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로드가 댐핑하우징의 외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댐핑로드(530)가 소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댐핑로드(530)의 형상 및 구조는 댐핑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핑로드(530)의 단부에는 댐핑가이드(5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댐핑로드(530)는 댐핑가이드(540)를 매개로 댐핑돌기(51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댐핑가이드는 댐핑돌기의 표면을 따라 선접촉 또는 점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가이드가 댐핑돌기의 표면을 따라 면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댐핑가이드(54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장기간의 광범위한 사용온도 범위에서도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갖는 윤활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전술한 가이드브라켓(600)에는 댐핑하우징(52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6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댐핑하우징(520)은 가이드브라켓(600)과 함께 모듈화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링크프레임에 댐핑돌기가 형성되고 제1본체에 댐핑하우징 등이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반대로 제1링크프레임에 댐핑하우징을 장착하고, 제1본체에 댐핑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댐핑로드가 댐핑가이드를 매개로 댐핑돌기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댐핑로드의 단부가 댐핑돌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댐핑스프링(550)은 댐핑로드(530)가 댐핑돌기(510)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댐핑스프링(550)으로서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댐핑하우징(520)과 댐핑로드(530)의 사이에 개재되어 댐핑로드(5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및 틸팅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과 같이, 초기 상태(닫힘 상태)에서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200), 제2링크부재(300) 및 연결링크부재(400)는 제1본체(10)와 제2본체(20)의 사이에서 서로 포개지듯이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본체(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2)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그 후, 제1본체(10)에 대해 제2본체(20)를 개방시킨 상태로 태블릿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사용자가 제2본체(20)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2본체(20)를 제1본체(10)에 대해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통상의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드부를 슬라이드 개방시키는 방식과 같이, 제2본체(20)의 하단을 밀어올리면, 제1본체(10)에 대해 제1링크부재(200) 및 제2링크부재(300)가 회전함으로써,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소정 각도로 회전하며 틸팅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본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본체(10)의 상면에 노출되는 인터페이스부(12)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개방은 힌지장치(700)의 구동력에 의해 반자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본체(20)의 개방시 제1링크부재와 함께 공용 구동캠부재(710)가 회전함에 따라 공용 구동캠부재(710)에 대해 제1종동캠부재(720) 및 제2종동캠부재(750)가 동시에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이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반자동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20)의 개방이 일정 이상 진행되면, 댐핑부가 작동되며 제1링크(100)부재에 댐핑력이 작용함으로써, 제2본체(2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이 일정 이상 진행됨에 따라 댐핑돌기(510)가 댐핑로드(53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댐핑돌기(510)에 댐핑로드(530)가 탄성적으로 접촉됨에 따른 댐핑력에 의해 제1링크부재(20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댐핑력에 의해 제2본체(20)의 개방 이동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전술한 개방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본체(20)의 닫힘시에도 상기 제2링크부재(300)의 일단은 연결링크부재(400)에 의해 밀려나며 제1링크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닫힘시 제1본체(10)에 대한 제2본체(20)의 들뜸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댐핑부에 의해 제2본체(20)의 닫힘 이동 속도 역시 감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본체 20 : 제2본체
200 : 제1링크부재 300 : 제2링크부재
400 : 연결링크부재 600 : 가이드브라켓
610 : 커버브라켓 630 : 가이드레일
700 : 힌지장치 710 : 공용 구동캠부재
720 : 제1종동캠부재 730 : 제1탄성부재
740 : 제1하우징 750 : 제2종동캠부재
760 : 제2탄성부재 770 : 제2하우징
780 : 샤프트

Claims (11)

  1.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피대상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상기 피대상체에 결합되는 커버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브라켓에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피대상체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대상체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피대상체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정위치시 상기 위치확인돌기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2본체;
    일단은 상기 제1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1본체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일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부재;
    일단에 제1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되고, 타단에 제2구동캠프로파일이 형성된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제공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1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일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제공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구동캠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제2종동캠프로파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종동캠부재가 상기 구동캠부재의 타단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제1평탄벽, 제2평탄벽, 제3평탄벽, 및 제4평탄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평탄벽에 대응하여 면접촉되는 제1평탄면, 제2평탄면, 제3평탄면, 및 제4평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 상기 제1종동캠부재, 상기 제2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공통으로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종동캠부재 및 상기 제2종동캠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되는 샤프트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은 상기 장착브라켓에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을 덮도록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되는 커버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브라켓에는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이 진입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결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구동캠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스크류 체결을 위한 스크류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에는 위치확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대응되는 위치확인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에 대한 상기 체결부의 정위치시 상기 위치확인돌기는 상기 위치확인홈에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20120001314A 2012-01-05 2012-01-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1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14A KR101310209B1 (ko) 2012-01-05 2012-01-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14A KR101310209B1 (ko) 2012-01-05 2012-01-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496A true KR20130080496A (ko) 2013-07-15
KR101310209B1 KR101310209B1 (ko) 2013-09-24

Family

ID=4899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314A KR101310209B1 (ko) 2012-01-05 2012-01-05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309A (ko) * 2013-08-13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908B2 (ja) * 2000-11-20 2009-07-22 三菱製鋼株式会社 複数のトルク発生部を有する2軸ヒンジ
KR101074860B1 (ko) * 2009-11-18 2011-10-19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9309A (ko) * 2013-08-13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209B1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4065B1 (en) Portable terminal
KR100949839B1 (ko)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1447249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
KR101207203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90263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1310209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90129647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KR101310210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089232B1 (ko) 슬라이드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769035B1 (ko) 힌지장치
KR101120087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힌지장치
KR20080089832A (ko) 힌지장치
KR101264732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59616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10133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111500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1114987B1 (ko) 틸팅 힌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339798B1 (ko) 다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100054430A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120004595A (ko) 이중 개폐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020934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1062689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0802562B1 (ko) 힌지장치
KR20070002727A (ko) 2-방향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1310211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