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295A -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295A
KR20100020295A KR1020080079007A KR20080079007A KR20100020295A KR 20100020295 A KR20100020295 A KR 20100020295A KR 1020080079007 A KR1020080079007 A KR 1020080079007A KR 20080079007 A KR20080079007 A KR 20080079007A KR 20100020295 A KR20100020295 A KR 20100020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support
information device
necklace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310B1 (ko
Inventor
김국원
조철현
Original Assignee
김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원 filed Critical 김국원
Priority to KR102008007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3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는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이 설치된 지지용 줄과; 상기 지지용 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에 설치되어 한쌍의 단줄과 장줄과; 상기 한쌍의 단줄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의 일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된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정보기기, 거치대, 목걸이형

Description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Holder of information equipment for Support on Body}
본 발명의 스마트폰, PDA,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도록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 PDA,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의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휴대폰은 그 크기가 소형화함으로써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그 크기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휴대폰으로 영화를 보고,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으로 확인하는 확인창이 커짐으로써 휴대폰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정보기기가 커짐에 따라 한 손으로 사용이 점점 힘들어짐으로써 보통 한 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기기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한 손으로 정보기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조작함으로써 그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즉, 한 손으로 비가 오는 날과 같이 우산을 들고 있거나, 또는 지갑, 등 작은 수화물의 물건을 손에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보기기의 사용에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PDA, 노트북, 휴대폰과 같은 정보기기를 이용하여 영화를 보거나 텔레비전 방송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정보기기를 이용하여 영화나 방송을 관람 및 시청을 하고 있으나, 정보기기를 장시간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힘들어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양손으로 정보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정보기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몸에 부착시키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는,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이 설치된 지지용 줄과; 상기 지지용 줄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에 설치되어 한쌍의 단줄과 장줄과; 상기 한쌍의 단줄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의 일측에는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된 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용 지지봉에는 한쌍의 단줄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의 끝단에 설치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2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봉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신축용 지지봉은 상측에 버튼이 형성되고,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격판이 형성된 제1 중공관과; 상기 제1 중공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와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2 중공관과; 상기 제2 중공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와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3 중공관과; 상기 제3 중공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하측단부가 밀폐된 제4 중공관과; 상기 제4 중공관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중공관(4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4 중공관에 형성된 외측 걸림돌기와 결합하여 제4 중공관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와, 상기 제1 중공관에 형성된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고정구가 작동하고,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용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용 지지봉에는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는 제1 중공관의 하측 단부에 설치되되, 일단의 제1 중공관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링이 설치된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재질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에는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보기기를 설치하는 지지대의 각도조절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대와 신축용 지지봉의 사이에는 하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나사홈에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축을 가지는 구와, 상기 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면의 홈이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내측의 하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기 구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면의 호가 형성된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판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신축용 지지봉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는 사람의 목에 지지됨으로써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정보기기를 손으로 파지 않고 바라볼 수 있음으로 편안하게 정보기기를 바라볼 수 있으며, 또한, 양손이 자유로워 손으로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는 신축용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기기를 바라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정보기기를 부착하는 지지대가 회전함으로써 정보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 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는 크게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11)이 설치된 지지용 줄(10)과, 상기 지지용 줄(1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11)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줄(20) 및 장줄(30)과, 상기 한쌍의 단줄(20)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40)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의 일측에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1)가 설치된 지지대(50)로 구성되어, 도 2과 같이 사람의 목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지지용 줄(10)과 단줄(20) 및 장줄(30)은 자유자재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섬유끈, 가죽끈, 로프, 체인 및 와이어 등이 사용된다.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은 도 4와 같이 상단부의 양측과 하단부의 양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봉(60)이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봉(6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연결축(64)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끝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의 내측에 설치되고, 내측 단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리(63)가 형성된 봉(62)으로 구성되어 상기 봉(62)이 하우징(61)의 내측에 삽입과 돌출됨으로써 연결봉(60)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고리(63)에는 단줄(20) 및 장줄(30)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몸에 안착될 수 있도록 후설되는 신축용 지지봉(40)의 제4 중공관(44)에 설치되는 연결봉(60)에는 받침대(65)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난 신축용 지지봉의 사시도와 도 5와 도 6에 나타난 신축용 지지봉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은 상측에 버튼(41a)이 형성되고,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41b)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격판(41c)이 형성된 제1 중공관(41)과; 상기 제1 중공관(4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2a)와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42b)가 형성된 제2 중공관(42)과; 상기 제2 중공관(42)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3a)와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43b)가 형성된 제3 중공관(43)과; 상기 제3 중공관(43)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4a)가 형성되고, 하측단부가 밀폐된 제4 중공관(44)과; 상기 제4 중공관(44)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신축용 탄성부재(45)와; 상기 제1 중공관(4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격판(41c)에 형성된 관통홈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제4 중공관(44)에 형성된 외측 걸림돌기(44a)와 결합하여 제4 중공관(44)을 고정시키는 고정구(41d)와; 상기 제1 중공관(41)에 형성된 버튼(41a)의 누름에 의하여 고정구(41d)가 작동하고,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용 탄성부재(41e)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중공관(41)의 하단부에는 스토퍼(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중공관(41)의 상부 일측에는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1)가 설치된 지지대(50)가 설치된다.
도 3과 도 4와 같이 상기 제4 중공관(44)의 밀폐된 단부와 상기 제1 중공관(41)의 상부 하측에는 연결봉(6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대(48)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대(47)에 형성된 관통홀에 도 5와 도 7과 같이 연결축(64)이 관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중공관(41, 42, 43, 44)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원형 관을 사용하되, 도 10과 같이 사각형의 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타원형 및 오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용 탄성부재(45)는 보통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며, 상기 복귀용 탄성부재(41e)는 판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은 도 6과 같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41a)을 누르면, 누르는 압력(힘)에 의하여 복귀용 탄성부재(41e)가 좌우로 밀려나고, 상기 좌우로 이동하는 복귀용 탄성부재(41e)에 의하여 고정구(41d)가 이동하여, 상기 고정구(41d)에 외측 걸림돌기(44a)가 걸려 고정되어 있던 제4 중공관(44)이 고정력이 해지되어 신축용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4와 도 8과 같이 제4 중공관(44), 제3 중공관(43), 제2 중공관(42) 등의 순으로 차례로 돌출됨으로써 신축용 지지봉(40)이 신축되고, 도 8과 같이 스토퍼(46)를 이용하여 신축용 지지봉(4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스토퍼(46)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고정링(47)을 이용하여 제1 중공관(41)의 하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토퍼(46)을 편리하게 회전시켜 뒤집을 수 벌림링(46a)이 설치된다.
도 9와 같이 신축용 지지봉(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보기기를 고정하는 지지대(50)의 상부면에는 정보기기를 부착시켜 고정시키도록 양면테이프로 이루어진 결합부재(51)가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지지대(50)의 각도를 조절하고, 회전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장치는 하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상부판(52)과, 상기 상부판(52)의 나사홈에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축(53a)을 가지는 구(53)와, 상기 구(53)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면의 홈(55a)이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하부판(55)과, 상기 하부판(55)의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내측의 하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기 구(5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면의 호(54a)가 형성된 너트(54)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판(52)에는 지지대(5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판(55)에는 신축용 지지봉(4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정장치는 너트(54)를 이용하여 구(53)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력을 해지시켜 구(53)를 이용하여 상부판(52)의 각도 및 회전을 시키게 된다.
즉, 너트(54)를 이용하여 구(53)의 고정력을 해지한 다음, 도 9와 같이 상부판(52)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5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회전을 시킨 다음 다시 너트(54)를 회전시켜 너트(54)에 형성된 구면의 호(54a)가 구(53)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을 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이루어진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를 목에 걸고, 신축용 지지봉(4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41a)을 눌러 고정구(41d)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구(41d)에 걸려있는 걸림돌기(44a)를 해지시킨다.
상기 걸림돌기(44a)가 고정구(41d)로부터 해지되면, 신축용 탄성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4 중공관(44), 제3 중공관(43), 제2 중공관(42) 등의 순으로 차례로 돌출됨으로써 신축용 지지봉(40)이 신축되고, 도 8과 같이 스토퍼(46)를 이용하여 신축용 지지봉(40)의 길이를 조절하여 도 2와 같이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대(5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정보기기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잘 보이도록 조절한다.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의 길이를 줄일 경우에는 고정구(41d)에 제4 중공관(44)의 걸림돌기(44a)가 걸리도록 신축용 지지봉(40)을 가압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신축용 지지봉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신축용 지지봉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신축용 지지봉의 부분 상세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신축용 지지봉의 부분 상세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신축용 지지봉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의 지지대부분에 대한 상세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신축용 지지봉의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용 줄 20 : 단줄
30 : 장줄 40 : 신축용 지지봉
50 : 지지대

Claims (6)

  1. 정보기기 거치대에 있어서,
    사람의 목에 지지되며 양단부에 연결링(11)이 설치된 지지용 줄(10)과;
    상기 지지용 줄(1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링(11)에 설치되는 한쌍의 단줄(20)과 장줄(30)과;
    상기 한쌍의 단줄(20)의 끝단과 한쌍의 장줄(30)의 끝단에 설치되는 신축용 지지봉(40)과;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의 일측에 정보기기를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51)가 설치된 지지대(50)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2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봉(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은 상측에 버튼(41a)이 형성되고,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41b)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격판(41c)이 형성된 제1 중공관(41)과;
    상기 제1 중공관(4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2a)와 하 측에 내측 걸림돌기(42b)가 형성된 제2 중공관(42)과;
    상기 제2 중공관(42)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3a)와 하측에 내측 걸림돌기(43b)가 형성된 제3 중공관(43)과;
    상기 제3 중공관(43)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측에 외측 걸림돌기(44a)가 형성되고, 하측단부가 밀폐된 제4 중공관(44)과;
    상기 제4 중공관(44) 내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신축용 탄성부재(45)와;
    상기 제1 중공관(4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제4 중공관(44)에 형성된 외측 걸림돌기(44a)와 결합하여 제4 중공관(44)을 고정시키는 고정구(41d)와;
    상기 제1 중공관(41)에 형성된 버튼(41a)의 누름에 의하여 고정구(41d)가 작동하고,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용 탄성부재(41e)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용 지지봉(40)에는 신축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4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6)는 제1 중공관(41)의 하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고무재질의 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와 신축용 지지봉(40)의 사이에는 하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상부판(52)과, 상기 상부판(52)의 나사홈에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나사축(53a)을 가지는 구(53)와, 상기 구(53)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면의 홈(55a)이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홈이 형성된 하부판(55)과, 상기 하부판(55)의 나사홈에 체결되도록 내측의 하부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기 구(5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면의 호(54a)가 형성된 너트(54)로 이루어진 고정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1020080079007A 2008-08-12 2008-08-12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100983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007A KR100983310B1 (ko) 2008-08-12 2008-08-12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007A KR100983310B1 (ko) 2008-08-12 2008-08-12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95A true KR20100020295A (ko) 2010-02-22
KR100983310B1 KR100983310B1 (ko) 2010-09-20

Family

ID=4209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007A KR100983310B1 (ko) 2008-08-12 2008-08-12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3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9198A1 (en) * 2011-04-11 2012-10-18 Kielland Peter J Portable computer support
KR200468307Y1 (ko) * 2013-01-24 2013-08-06 정재현 휴대폰 거치대
KR101600528B1 (ko) * 2015-01-29 2016-03-07 최세훈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KR101602274B1 (ko) * 2014-11-26 2016-03-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포터블 컴퓨터용 웨어러블 행거장치
WO2016137288A1 (ko) * 2015-02-27 2016-09-01 주식회사 마이포브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105270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마이포브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7119603A1 (ko) * 2016-01-04 2017-07-13 대광아이앤디(주)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KR20190023178A (ko) * 2017-08-28 2019-03-08 조범진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2347934B1 (ko) * 2020-12-21 2022-01-05 기덕종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54B1 (ko) 2009-12-14 2012-08-16 김국원 목에 걸어 착용하는 정보기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46B1 (ko) * 2005-07-15 2007-02-09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KR20080032818A (ko) * 2006-10-11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9198A1 (en) * 2011-04-11 2012-10-18 Kielland Peter J Portable computer support
GB2506080A (en) * 2011-04-11 2014-03-19 Peter Kielland Portable computer support
US9690327B2 (en) 2011-04-11 2017-06-27 Peter J Kielland Portable computer support
GB2506080B (en) * 2011-04-11 2018-02-07 Johann Kielland Peter Portable computer support
KR200468307Y1 (ko) * 2013-01-24 2013-08-06 정재현 휴대폰 거치대
KR101602274B1 (ko) * 2014-11-26 2016-03-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포터블 컴퓨터용 웨어러블 행거장치
KR101600528B1 (ko) * 2015-01-29 2016-03-07 최세훈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WO2016137288A1 (ko) * 2015-02-27 2016-09-01 주식회사 마이포브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KR20160105270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마이포브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용 거치대
WO2017119603A1 (ko) * 2016-01-04 2017-07-13 대광아이앤디(주)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KR20190023178A (ko) * 2017-08-28 2019-03-08 조범진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2347934B1 (ko) * 2020-12-21 2022-01-05 기덕종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310B1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310B1 (ko)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US10694837B1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206943B2 (en) Extension rod device working with fixer for handheld, portable, mobile devices
KR100983308B1 (ko) 어깨 거치대용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US20170251793A1 (en) Hands free device holder
US20180266457A1 (en) Moveable Electronic Device Fixation Clamp
WO2016004741A1 (zh) 一种自动调节式平板电脑支架
US11375056B2 (en) Magnetically configurable strap accessory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CN105283096A (zh) 饰品扣件的解扣具
KR101962624B1 (ko)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200479463Y1 (ko) 휴대 정보통신기기 거치대
KR101899251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101757894B1 (ko) 거치용 브래킷
KR102347934B1 (ko) 다용도 목걸이형 스마트폰 거치대
KR100983309B1 (ko) 어깨 거치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CN211653304U (zh) 一种用于自适应的vr防眩晕装置
KR2016007917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200489527Y1 (ko) 목걸이형 휴대용 선풍기 거치대
KR102308163B1 (ko) 거치대
CN111541777A (zh) 一种基于yolo算法的语音辅助盲人识物系统
KR200369510Y1 (ko)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WO2015196383A1 (zh) 一种终端设备
CN214714134U (zh) 一种神经内科用康复训练装置
CN214197836U (zh) 便携支架及电子产品支撑组件
KR200266280Y1 (ko) 휴대폰 클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