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510Y1 -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 Google Patents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510Y1
KR200369510Y1 KR20-2004-0025107U KR20040025107U KR200369510Y1 KR 200369510 Y1 KR200369510 Y1 KR 200369510Y1 KR 20040025107 U KR20040025107 U KR 20040025107U KR 200369510 Y1 KR200369510 Y1 KR 200369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houlder
holder
suppor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영
김세진
김민우
Original Assignee
김세진
김민우
김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진, 김민우, 김보영 filed Critical 김세진
Priority to KR20-2004-0025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7/00Tiltable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상단부에 어깨를 감싸면서 걸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11)를 갖는 어깨걸이대(10); 상기 어깨걸이대의(10)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 축 회전되는 축착부(21)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타측에 힌지결합부(22)가 형성된 연결구(20); 및 상기 연결구(20)의 힌지결합부(2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에 우산대배치홈(31)이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부(32)를 갖는 지지구본체(30)와, 이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에 배치되어 우산대배치홈(31)을 향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우산대배치홈(31)에 놓여있는 우산대(9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판(40)이 구비된 우산대지지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우산을 고정시킨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어깨에 거는 동시에 멜빵을 이용하여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가슴에 메어 고정시켜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비가 내리는 방향으로 우산이 향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비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어깨걸이용 우산홀더{Umbrella holder for hooking on shoulders}
본 고안은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고정시킨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어깨에 거는 동시에 멜빵으로 가슴에 메어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또한, 비가 내리는 방향으로 우산이 향하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비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게 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다른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반드시 손으로 우산을 잡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급하게 손을 이용하여 용무를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우산을 어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산행거를 출원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 출원된 우산행거는 우산을 지지한 상태로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이밖에 별도로 우산행거를 신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멜빵이나, 또는, 우산행거에 고정된 우산이 비가 내리는 방향을 향해 자유자재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마련되지 않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산을 고정시킨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어깨에 거는 동시에 멜빵을 이용하여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가슴에 메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비가 내리는 방향으로 우산이 향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비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서 가압판이 가압되어 우산대배치홈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서 가압판이 우산대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중 지지구본체가 회동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어깨걸이대 11 : 절곡부
12 : 스톱퍼 12a : 오목부
20 : 연결구 21 : 축착부
22 : 힌지결합부 23 : 걸림공
24 : 힌지결합공 30 : 지지구본체
30a : 힌지결합공 31 : 우산대배치홈
32 : 중공부 33 : 걸림돌부
34 : 홈부 34a : 출몰공
35 : 스프링 36 : 관통공
37 : 절개부 38 : 블록
40 : 가압판 41 : 관통홈
42 : 가압면 43 : 덮개편
44 : 가압부 50 : 우산대지지구
60 : 멜빵 61 : 멜빵띠
62 : 록킹부 70 : 체결구
80 : 슬라이딩지지핀 82 : 스프링
90 : 우산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상단부에 어깨를 감싸면서 걸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어깨걸이대; 상기 어깨걸이대의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 축 회전되는 축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타측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의 힌지결합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에 우산대배치홈이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지지구본체와, 이 지지구본체의 중공부에 배치되어 우산대배치홈을 향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우산대배치홈에 놓여있는 우산대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판이 구비된 우산대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대의 하단부에 착용자의 가슴으로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띠와, 이 멜빵띠의 각 단부에 서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부를 갖는 멜빵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힌지결합부 외측면에 복수의 걸림공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구본체의 일측부에 지지구본체가 연결구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탄성적으로 출몰되면서 상기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돌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슬라이딩 방향 후단면에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구본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에 후단부가 체결되고 그 선단부가 가압판의 관통홈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핀과, 이 슬라이딩지지핀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가압판과 지지구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절곡부(11)를 갖는 어깨걸이대(10)와, 일측에 축착부(21)가 형성되고 그 타측에힌지결합부(22)가 형성된 연결구(20)와, 일측에 우산대배치홈(31)이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부(32)를 갖는 지지구본체(30)와 이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에 배치되는 가압판(40)이 구비된 우산대지지구(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어깨걸이대(10)는 그 상단부가 어깨를 감싸면서 걸 수 있게 영문자 유자(U)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1)를 갖는 봉 형상으로, 그 하단부에는 연결구(20)의 축착부(21)가 축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12)는 연결구(20)를 어깨걸이대(10)에 결합시 분리시켰다가 연결구(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걸이대(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울 수 있는 오목부(1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어깨걸이대(10)의 하단부에는 착용자의 가슴으로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띠(61)와, 이 멜빵띠(61)의 각 단부에 서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부(62)를 갖는 멜빵(6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어깨걸이대(10)의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 축 회전되는 축착부(21)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타측에 힌지결합부(2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 힌지결합부(22) 외측면에는 지지구본체(30)의 걸림돌부(33)가 걸리도록 한 복수의 걸림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편평한 판재를 그 중앙부를 기준으로 해서 그 양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절곡하여 중앙부에는 어깨걸이대(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축착부(21)를 형성하고, 그 타측의 양단부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된 힌지결합부(2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걸림공(23)은 연결구(20)에 축착된 지지구본체(30)가 축 회전시 원호를 그리면서 회전되는 걸림돌부(33)의 궤적에 대응하여 연결구(20)의 외주면 양측에 각각 원호형상으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공(23)의 상부에는 지지구본체(30)의 힌지결합공(30a)과 일치되어 체결구(70)로 체결시키기 위한 힌지결합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산대지지구(50)는 지지구본체(30)와 가압판(40)이 결합되는 구조로서, 이중 지지구본체(30)는 연결구(20)의 힌지결합부(22)에 그 일측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 소정부위에는 연결구(20)의 힌지결합공(24)과 일치되어 체결구(70)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공(30a)이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우산대(90)가 놓여 지지될 수 있도록 길고 오목하게 패인 우산대배치홈(31)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가압판(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관통된 중공부(3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40)은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에 배치되어 우산대배치홈(31)을 향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우산대배치홈(31)에 놓여있는 우산대(9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는 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본체(30)의 힌지결합공(30a) 하단부에는 이 지지구본체(30)가 연결구(20)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탄성적으로 출몰되면서 상기 연결구(20)의 걸림공(23)에 걸리도록 한 걸림돌부(3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33)는 지지구본체(30)의 하단부에 홈부(34)를 형성시키고, 이 홈부(34) 내부 양측면에 각각 출몰공(34a)을 형성시켜 볼 형상의 걸림돌부(33)가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한 후 이들 걸림돌부(33) 사이에 스프링(35)을 배치하여 상기 홈부(34)를 블록(38)으로 밀폐시킴으로써 이 걸림돌부(33)가 지지구본체(30) 내부에 갇힌 상태에서 그 외부로 탄력있게 출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작동구조를 갖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그 구조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40)의 슬라이딩 방향 후단면에는 관통홈(4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구본체(30)에 관통공(36)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6)에 후단부가 체결되고 그 선단부가 가압판(40)의 관통홈(41)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핀(80)과, 이 슬라이딩지지핀(80)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가압판(40)과 지지구본체(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82)이 더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를 기준으로 관통공(36) 맞은편 외측면에는 가압판(40)이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지지구본체(30)와 가압판(40)이 밀착 형합되도록 하는 절개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40)의 우산대(90)를 가압하는 슬라이딩 방향 일측 가압면(42)은 그 상단 일부를 제외한 하방이 오목하게 패여서 덮개편(43)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전체 단면형상이 기역자 형상이 되며, 이 가압면(42)과 덮개편(43)이 우산대(9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덮어씌워 우산대(9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판(40) 중 지지구본체(30)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이 가압판(40)을 손으로 밀어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어깨걸이대(10)의 스톱퍼(12)를 분리시켜 연결구(20)의 축착부(21)를 결합시킨 후 다시 스톱퍼(12)를 장착하여 축착부(21)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연결구(20)의 힌지결합부(22)에 지지구본체(3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이들의 힌지결합공(24,30a)들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구(70)로 힌지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로는 가압판(40)을 배치시킨 후 슬라이딩지지핀(80)을 지지구본체(30)의 관통공(36)으로 삽입시켜 그 후단부는 지지구본체(30)에 체결되도록 하고 그 선단부는 가압판(40)의 관통홈(41)으로 삽입되게 하는 동시에 이 슬라이딩지지핀(8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된 스프링(82)이 지지구본체(30)와 가압판(40) 사이에서 신축되도록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40)은 지지구본체(30)의 절개부(37)에 밀착 배치됨으로써 중공부(32)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우선 지지구본체(3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판(40)의 가압부(44)를 가압시켜 지지구본체(30)의 우산대배치홈(31)을 개방시킨 후 우산대(90)를 이 우산대배치홈(31)에 배치하고 나서 가압부(44)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82)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판(4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그 가압면(42)이 우산대(9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동시에 덮개편(43)이 우산대(90)의 외주면을 덮어씌워 우산대(9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어깨걸이대(10)의 절곡부(11)를 사용자의 어깨에 걸고 멜빵(6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슴으로 둘러메어 어깨걸이대(10)를 신체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빗속을 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만약 바람에 의해 빗줄기가 비스듬히 낙하하는 경우 지지구본체(30)를 비가 오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축 회전시켜 우산이 빗줄기 쪽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비를 적절하게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어깨걸이용 우산홀더는 우산을 고정시킨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어깨에 거는 동시에 멜빵을 이용하여 우산홀더를 사용자의 가슴에 메어 고정시켜 견고히 지지될 수 있게 하고, 또한, 비가 내리는 방향으로 우산이 향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이 가능하여 비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상단부에 어깨를 감싸면서 걸 수 있게 절곡된 절곡부(11)를 갖는 어깨걸이대(10);
    상기 어깨걸이대의(10) 하단부 외주면을 감싸 축 회전되는 축착부(21)가 일측에 형성되고, 그 타측에 힌지결합부(22)가 형성된 연결구(20); 및
    상기 연결구(20)의 힌지결합부(2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에 우산대배치홈(31)이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부(32)를 갖는 지지구본체(30)와, 이 지지구본체(30)의 중공부(32)에 배치되어 우산대배치홈(31)을 향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우산대배치홈(31)에 놓여있는 우산대(9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판(40)이 구비된 우산대지지구(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걸이대(10)의 하단부에 착용자의 가슴으로 둘러메는 한 쌍의 멜빵띠(61)와, 이 멜빵띠(61)의 각 단부에 서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록킹부(62)를 갖는 멜빵(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힌지결합부(22) 외측면에 복수의 걸림공(2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구본체(30)의 일측부에 이 지지구본체(30)가 연결구(20)에 대해 회전되는 동안 탄성적으로 출몰되면서 상기 걸림공(23)에 걸리는 걸림돌부(3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40)의 슬라이딩 방향 후단면에 관통홈(4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지지구본체(30)에 관통공(36)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36)에 후단부가 체결되고 그 선단부가 가압판(40)의 관통홈(41)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지지핀(80)과, 이 슬라이디지지핀(80)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가압판(40)과 지지구본체(30)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82)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KR20-2004-0025107U 2004-09-01 2004-09-01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KR200369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7U KR200369510Y1 (ko) 2004-09-01 2004-09-01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07U KR200369510Y1 (ko) 2004-09-01 2004-09-01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510Y1 true KR200369510Y1 (ko) 2004-12-04

Family

ID=49442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07U KR200369510Y1 (ko) 2004-09-01 2004-09-01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5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56B1 (ko) 2011-09-20 2013-07-0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KR200470570Y1 (ko) 2013-10-07 2013-12-30 허은교 양우산 휴대구
KR101411815B1 (ko) 2014-04-24 2014-07-02 정민시 우산 거치대
KR200481680Y1 (ko) * 2016-06-13 2016-10-31 손홍희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우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56B1 (ko) 2011-09-20 2013-07-09 홍충기 우산장착장치
KR200470570Y1 (ko) 2013-10-07 2013-12-30 허은교 양우산 휴대구
KR101411815B1 (ko) 2014-04-24 2014-07-02 정민시 우산 거치대
WO2015163717A1 (ko) * 2014-04-24 2015-10-29 정민시 우산 거치대
KR200481680Y1 (ko) * 2016-06-13 2016-10-31 손홍희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318B1 (ko) 원터치 접이식 옷걸이
KR102103995B1 (ko) 슬라이딩형 커버 개방 장치
US7828179B2 (en) Collapsible garment hanger
KR980006333U (ko) 벨트걸이와 열쇠걸이
KR100983310B1 (ko)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US20060201309A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 neck lock assembly
KR20160003008U (ko) 셀카봉용 삼각대
US20020124356A1 (en) Retaining clip
KR200369510Y1 (ko)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US6106041A (en) Device for removing ticks
KR10191400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20100020296A (ko) 어깨 거치대용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NL2015963B1 (en) Multifunctional umbrella lamp clamping mechanism.
US20230270225A1 (en) Holder for hairdryer
US20130037678A1 (en) Shaft Device Used for Bag Hanging Device and Bag Hanging Device
KR101899251B1 (ko) 셀카기능을 가지는 등산스틱
KR20190023178A (ko)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JP2013240498A (ja) アーム回動式ハンガー
KR200373953Y1 (ko) 휴대용 램프 홀더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CN214630584U (zh) 一种吹风机放置架
KR200362139Y1 (ko) 접이식 아이롱
KR200198227Y1 (ko) 핸드폰 걸이용 목걸이 줄
CN208243082U (zh) 一种便携式手抓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