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178A -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178A
KR20190023178A KR1020170108523A KR20170108523A KR20190023178A KR 20190023178 A KR20190023178 A KR 20190023178A KR 1020170108523 A KR1020170108523 A KR 1020170108523A KR 20170108523 A KR20170108523 A KR 20170108523A KR 20190023178 A KR20190023178 A KR 2019002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mobile phone
neck
present
cl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624B1 (ko
Inventor
조범진
Original Assignee
조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범진 filed Critical 조범진
Priority to KR1020170108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6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목에 걸어서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는 목에 걸 수 있는 제1스트랩(110)과, 상기 제1스트랩과 대면되게 배치된 U자형의 제2스트랩(120)과, 상기 제2스트랩의 형상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스트랩의 내부 삽입된 금속심재(130)와, 상기 제1스트랩의 단부와 제2스트랩의 대면하는 단부를 결속시키는 클립부재(140)와, 상기 제2스트랩의 중앙에 구비된 핸드폰 거치수단(16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Wearable mobile phone holder on the neck}
본 발명은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에 걸어서 착용하여 두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핸드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길을 걷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 일상의 많은 시간들을 핸드폰 사용에 할애하고 있다.
하지만 핸드폰 사용시에는 핸드폰을 들고 있는 한손은 사용이 어렵게 되므로 행동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며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핸드폰을 들고 있는 팔에 통증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아울러, 핸드폰 사용시에는 고개를 자연스럽게 숙이게 되므로 핸드폰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목과 어깨에 통증이 수반되고, 심할 경우 거북목 증상까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 핸드폰 사용이 급증하는 추세에 따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해결방안 없어 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드폰 사용시 두손이 자유롭고 핸드폰을 쳐다보기 위하여 고개를 숙이지 않아도 되는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는 목에 걸 수 있는 제1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과 대면되게 배치된 U자형의 제2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의 형상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스트랩의 내부 삽입된 금속심재와, 상기 제1스트랩의 단부와 제2스트랩의 대면하는 단부를 결속시키는 클립부재와, 상기 제2스트랩의 중앙에 구비된 핸드폰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재는 대면하는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의 단부를 감싸는 금속 띠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립부재를 통해 결속된 상태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감용 캡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핸드폰 거치수단은 핸드폰 뒷면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된 부착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트랩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목에 걸 수 있는 제1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에 연결된 U자형의 제2스트랩으로 구성되므로 제1스트랩을 목에 착용한 후에 핸드폰을 제2스트랩에 거치시키면, 핸드폰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되면서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도 목과 어깨에 전혀 무리가 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드폰의 사용중에 두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스트랩의 내부에 금속심재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맞추어 제2스트랩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해 가면서 핸드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스트랩에 힌지부가 구비된 경우에 제2스트랩을 다단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의 사용상태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스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제2스트랩이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과 금속심재(130)와 클립부재(140)와 핸드폰 거치수단(16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제1스트랩(110)은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착용이 가능하도록 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트랩(1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목에 원활하게 밀착되며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세탁도 가능하도록 유연하고 인체에 무해한 섬유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랩(110)은 착용감을 극대화시키도록 두께보다 폭을 크게 하여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스트랩(110)에는 제2스트랩(120)이 연결된다.
상기 제2스트랩(120)은 U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스트랩(110)과 대면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트랩(120)의 단부는 대면되는 제1스트랩(110)의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스트랩(120)은 형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금속심재(130)가 삽입된다.
상기 금속심재(130)는 제2스트르랩의 전구간에 걸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트랩(120)에 변경된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스트랩(120)은 내부에 금속심재(13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형상 변경시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하면서 유연한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스트랩(110)의 단부와 제2스트랩(120)의 대면하는 단부는 클립부재(140)를 통해 결속된다.
이 경우, 상기 클립부재(140)는 사용시 큰 힘이 부여되므로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클립부재(140)는 제1스트립(110)과 제2스트립(120)과의 용이한 결속과 분리를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은 상기 개방구간(141)을 통해 클립부재(140)의 내측으로 끼워져 용이하게 결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간(141)을 통해 클립부재(14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클립부재(140)가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상기 클립부재(140)들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클립부재(140)를 통해 결속된 상태의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의 단부에는 마감용 캡부재(15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부재(150)는 끼움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신축성과 밀착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캡부재(150)가 구비되면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정리감이 향상되면서 외관이 우수해진다.
상기 핸드폰 거치수단(160)은 상기 제2스트랩(120)의 중앙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핸드폰 거치수단(160)은 핸드폰 거치수단(160)은 핸드폰 뒷면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된 부착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폰 거치수단(160)은 클립(165)을 이용하여 제2스트랩(120)에 끼움 결합시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핸드폰 거치수단(160)은 핸드폰의 크기에 따라 이격정도를 달리하면서 핸드폰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클램프나 집게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제1스트랩(110)을 목에 걸어서 착용한 다음 핸드폰 거치수단(160)에 핸드폰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제2스트랩(120)을 사용자에게서 멀어지는 바깥쪽 방향으로 벌려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트립을 벌려주게 되면, 제2스트랩(120)이 제1스트랩(110)과 결속된 단부를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꺽이면서 핸드폰이 사용자의 정면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제2스트랩(120)의 내부에 삽입된 금속심재(130)가 제2스트랩(120)의 형상을 따라 휘어지면서 제2스트랩(120)의 꺽인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조건과 맞추어 클립부재(140)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1스트랩(110)과 제2스트랩(12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거나 제2스트랩(120)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해 가면서 핸드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드폰이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고개를 숙이지 않고 두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핸드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스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제2스트랩이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트랩(120)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힌지부(125)들을 이용하여 제2스트랩(120)을 다단으로 접어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1스트랩 120: 제2스트랩
125: 힌지부 130: 금속심재
140: 클립부재 150: 마감용 캡부재
160: 핸드폰 거치수단

Claims (5)

  1. 목에 걸 수 있는 제1스트랩;
    상기 제1스트랩과 대면되게 배치된 U자형의 제2스트랩;
    상기 제2스트랩의 형상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스트랩의 내부 삽입된 금속심재;
    상기 제1스트랩의 단부와 제2스트랩의 대면하는 단부를 결속시키는 클립부재; 및
    상기 제2스트랩의 중앙에 구비된 핸드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는 대면하는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의 단부를 감싸는 금속 띠로 구성된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를 통해 결속된 상태의 제1스트랩과 제2스트랩의 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감용 캡부재가 더 구비된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거치수단은 핸드폰 뒷면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된 부착판인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랩은 접철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부를 구비한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20170108523A 2017-08-28 2017-08-28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1962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23A KR101962624B1 (ko) 2017-08-28 2017-08-28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23A KR101962624B1 (ko) 2017-08-28 2017-08-28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178A true KR20190023178A (ko) 2019-03-08
KR101962624B1 KR101962624B1 (ko) 2019-03-27

Family

ID=6580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523A KR101962624B1 (ko) 2017-08-28 2017-08-28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35A (ko) 2021-08-13 2023-02-21 김정우 팔 받침대
WO2024036875A1 (zh) * 2022-08-15 2024-02-22 张小玲 装在人身上的手机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69A (ko) * 2008-01-10 2009-07-15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단말기 거치장치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20057768A (ko) * 2010-11-28 2012-06-07 오현수 목걸이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40017061A (ko) * 2012-07-30 2014-02-11 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 모바일 기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169A (ko) * 2008-01-10 2009-07-15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단말기 거치장치
KR20100020295A (ko) * 2008-08-12 2010-02-22 김국원 목걸이형 정보기기 거치대
KR20120057768A (ko) * 2010-11-28 2012-06-07 오현수 목걸이형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20040168A (ko) * 2012-02-29 2012-04-26 양두헌 모바일 기기 거치대
KR20140017061A (ko) * 2012-07-30 2014-02-11 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 모바일 기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235A (ko) 2021-08-13 2023-02-21 김정우 팔 받침대
WO2024036875A1 (zh) * 2022-08-15 2024-02-22 张小玲 装在人身上的手机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624B1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469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bly coupling an electronic device to eyewear
US8295533B1 (en) Bluetooth headset lanyard system
KR101962624B1 (ko)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JP2022503521A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US6639985B1 (en) Phone with ear hanger assembly capable of being hung on a user's ear without help from a hand for certain period of time
US7664255B2 (en) Hands free aural device holder
WO2019224753A1 (en) Smartphone case or holder with elastic structure and auxiliary devices to allow user go hand-free on their smartphones
US20100016037A1 (en) Cell phone earpiece retainer
KR200456288Y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KR101974034B1 (ko) 탈부착력을 강화한 스마트폰용 핸드그립
US5218384A (en) Spectacles having pivotable lens covers
JP2002044770A (ja) イヤホン類用装耳具およびハンズフリーイヤホン類セット
CN215837227U (zh) 有利于保护耳朵的头戴式口罩
CN219643951U (zh) 多功能手机支架
KR20180002464U (ko) 핸드폰 고리
KR200198227Y1 (ko) 핸드폰 걸이용 목걸이 줄
KR102226682B1 (ko) 슬라이딩 변위형 스트립 타입 폰 핸들
JP7387972B2 (ja) 電子機器ホルダおよびスタンド兼用電子機器ホルダ
KR200305485Y1 (ko)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CA2366180A1 (en) Headphone type earpiece assembly
KR200289446Y1 (ko) 인체 부착 양면 슬라이드 착탈식 집게가 구비된 목걸이형핸드프리 이어폰용 이어폰 홀더
JP2001340136A (ja) リュックサック
JP2000188632A (ja) 携帯電話及びphsの耳掛具
JP3075106U (ja) イヤホン類用装耳具およびハンズフリーイヤホン類セット
JP2900114B2 (ja) ベルト用中間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