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485Y1 -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485Y1
KR200305485Y1 KR20-2002-0036229U KR20020036229U KR200305485Y1 KR 200305485 Y1 KR200305485 Y1 KR 200305485Y1 KR 20020036229 U KR20020036229 U KR 20020036229U KR 200305485 Y1 KR200305485 Y1 KR 200305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wrist
main body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찬
Original Assignee
홍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찬 filed Critical 홍성찬
Priority to KR20-2002-0036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4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4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며, 일측에 홀을 갖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와 삽탈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홈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활동이나 운동시에 통신 및 음향기기의 소지가 편리하며, 통신 및 음향기기의 고급화 및 소형화에 따른 패션 감각에도 적합하다.

Description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Mobile phone for sticking to wrist and wrist adhesion apparatus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손목에 부착할 수 있는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를 손목에 탈부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대방과 통화를 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휴대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그 결과 지금은 휴대폰 사용자가 3천만명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폰 사용자중 3분의 2가 휴대폰을 통해 무선 인터넷을 즐기고 있을 정도로 휴대폰은 이제 전 국민의 생활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이렇게 사용이 확산되고 있는 휴대폰이지만 휴대폰을 휴대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불편한 점이 발견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을 손에 들고 다니거나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을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는 양손을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하고, 휴대폰을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는 휴대폰이 들어있는 부분이 튀어나와서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으며, 때로는 휴대폰 소지자의 활동에 불편을 주기도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호주머니가 없는 옷, 예컨대 치마나 미니스커트를 입은 경우에는 휴대폰을 손에 들거나 핸드백에 넣어서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휴대폰을 목에 걸고 다니는데, 이런 경우는 신호음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목에 통증을 가져오거나 목디스크의 위험성이 있으며, 더욱이 움직임이 많은 행동이나 도보 이상의 속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목에 걸려있는 휴대폰이 회동하기 때문에 휴대폰 소지자의 활동에 큰 불편함을 주며, 심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일부 사용자들은 헤드폰 타입의 휴대폰 부착 방법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항상 부착대를 휴대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및 음향기기를 소지한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신 및 음향기기를 소지함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고 편리성을 극대화한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을 소지함에 따른 복장의 미감을 해치지 않고 오히려 통신 및 음향기기 소지에 따른 패션 욕구를 충족시키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이에 연결되는 손목부착 부재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이에 연결되는 손목부착 부재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보여준다.
도 5a는 도 4의 걸림부재가 설치된 본체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A-A' 부분을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01,401; 휴대폰, 105/106,205/206; 체결부
111,221; 손목부착부재, 121/122,231/232; 결합부
131,281; 연결부재, 251/252; 걸림부재
261/262; 압축부재, 271/272,311; 탄성부재
411; 금속부재, 405; 홀
241/242,421; 본체, 431; 홈
441; 마그네트, 451; 걸림부재
461; 완충부재, 471; 연결부재
481/485; 이중결합부재, 611; 연결부재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폰의 대향되는 측면들에 형성된 체결부들; 및 상기 체결부들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들과, 상기 결합부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벨트를 갖는 손목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손목부착부재는 복수개의 본체들; 상기 본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들의 홀들에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들;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수축이완가능하도록 형성된 압축부재들; 및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부재들이 수축이완되면 상기 걸림부재들을 수축이완시키는 탄성부재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또한,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며, 일측에 홀을 갖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와 삽탈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 형성된 본체; 상기 홈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연결부재는 벨트나 팔찌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이에 연결되는 손목부착부재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101)의 대향되는 측면들에 체결부들(105,106)이 형성되며, 손목부착부재(111)는 체결부들(105,106)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들(121,122)과, 결합부들(121,122)을 상호 연결하여 휴대폰(10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벨트(131)를 구비한다. 벨트(131)는 사용자의 손목에 감싸기에 적합하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결합부들(121,122)은 각각 후크형 고리로 구성되며, 체결부들(105,106)은 구멍들(151,152)에 의해 분리된 지지대들(155,156)을 구비한다. 결합부들(121,122)을 구성하는 후크형 고리들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지대들(155,156)에 결합시에는 벌어져서 지지대들(155,156)을 감싸기가 용이하게 되다가, 지지대들(155,156)에 완전히 결합이 된 경우에는 지지대들(155,156)을 단단하게 조여서 후크형 고리들이 지지대들(155,156)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후크형 고리들을 지지대들(155,156)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후크형 고리들에 적정한 힘이 인가되어야만 한다.
체결부들(105,106)은 휴대폰(101)의 크기 및 모양에 따라 휴대폰(101)에 4군데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손목부착부재(111)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지지대들(155,156)과 이들과 결합되는 체결부들(105,106)의 구조는 상호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이에 연결되는 손목부착부재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201)의 대향되는 측면들에 체결부들(205,206)이 형성되며, 손목부착부재(221)는 체결부들(205,206)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들(231,232)과, 결합부들(231,232)을 상호 연결하여 휴대폰(20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벨트(281)를 구비한다. 벨트(281)는 사용자의 손목에 감싸기에 적합하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체결부들(205,206)은 홈들(211,212)로 구성되고, 홈들(211,212)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구멍들(215,216)이 형성된다.
손목부착부재(221)는 복수개의 본체들(241,242)과, 본체들(241,24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281)와, 본체들(241,242)에 설치되며 구멍들(215,216)에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들(251,252)과, 본체들(241,242)에 설치되며 수축이완 가능하도록 형성된 압축부재들(261,262), 및 본체들(241,242)에 설치되며 압축부재들(261,262)이 수축이완되면 걸림부재들(251,252)을 수축이완시키는 탄성부재들(271,272)을 구비한다.
걸림부재들(251,252)이 설치된 본체 부분들은 홈들(211,2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들(211,212)보다 작게 형성된다.
압축부재들(261,262)이 설치된 본체 부분은 걸림부재들(251,252)이 홈들(211,212)에 삽입될 때 홈들(211,212)에 삽입되지 않도록 홈들(211,21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손목부착부재(221)가 체결부들(205,206)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압축부재들(261,262)을 눌러서 손목부착부재(221)를 체결부들(205,20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다.
연결부재(281)는 손목을 부드럽게 감싸는 벨트이며, 벨트의 양단부들은 본체들(241,242)의 고정핀들(291,292)에 체결되며, 이들 체결방식은 손목시계와 같은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어떤 체결 방식이나 적용 가능하다. 연결부재(281)는 가죽끈이나 손목시계에서 사용되는 금속 체인식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24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부착부재(301)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11)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손목부착부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는 금속부재(411), 본체(421), 마그네트(441), 완충부재(461), 걸림부재(451) 및 연결부재(471)를 구비한다. 통신 및 음향기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통신기기와 MPEC, 휴대용 CD 플래이어, MD(Mini Disc)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포함하며, 기타,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통신 및 음향기기를 포함한다.
금속부재(411)는 휴대폰(401)의 배면, 예컨대 휴대폰(401)의 배터리에 부착된다. 금속부재(411)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금속부재(411)의 일측에는 홀(405)이 형성된다. 홀(405)은 금속부재(411)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401)을 본체(421)에 장착할 때 자신에게 편리한 방법으로 장착할 수 있고, 때로는 휴대폰(401)과 본체(421)가 결합된 상태의 미적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금속부재(411)는 마그네트(441)에 붙는 금속이면 어떤 재질이나 적용 가능하다.
본체(421)에는 금속부재(411)와 삽탈가능하도록 홈(431)이 형성된다. 본체(421)의 재질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손목에 장착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될 수 있으며, 패션 감각을 높여주는 것이면 적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걸림부재(451)는 홈(431)의 일측에 형성되며, 홀(405)에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재(451)는 도 5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그네트(441)는 홈(431)의 하부에 장착된다. 마그네트(441)는 본체(421)에 하나 이상 부착된다. 마그네트(441)는 본체(421)와 금속부재(411)간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분리도 너무 어렵지 않도록 적절한 자력을 유지해야 함으로 그에 맞게 그 크기와 숫자가 선택된다.
연결부재(471)는 본체(421)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연결부재(471)의 재질은 가죽, 레자, 스판(span), 천,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금속, 시계줄 형태의 벨트가 적용된다.
완충부재(461)는 마그네트(441) 위에 부착된다. 완충부재(461)는 마그네트(441)가 본체(4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금속부재(411)가 마그네트(441)에 결착될 때 마그네트(441)와 금속부재(411)가 직접 충돌하여 금속부재(411)나 마그네트(44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재(441)로는 고무판이나 플라스틱판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한다.
손목부착 장치는 또한, 금속부재(411)가 본체(421)로부터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장치로서 이중결합부재(481,485)를 더 구비한다. 이중결합부재(481,485)는 일단부가 휴대폰(401)에 연결된 수클립(481)과, 일단부가본체(421)에 연결된 암클립(485)으로 구성된다. 수클립(481)과 암클립(485)은 상호 반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중결합부재(481,485)는 클립 외에도 다른 다양한 결합수단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의 걸림부재가 설치된 본체부분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4의 A-A' 부분을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걸림부재는 본체(421)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531) 안에 설치되며, 일단이 본체(421)에 고정된 지지대(511), 즉,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전단부(521)는 금속부재(411)의 홀(405)에 삽탈 가능한 형태, 예컨대, 반원형, 유선형, 등과 같이 둥글게 형성된다. 지지대(511)는 용수철과 같은 스프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전단부(521)는 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부재(451)는 사용자에 의한 손목부착 장치의 착용감을 개선하고,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하중을 줄여준다. 걸림부재(451)의 전단부(521)의 형태는 상하부가 곡선으로 되어 있어서 금속부재(411)가 홈(431)에 결합되거나 홈(431)에 결합되었다가 이탈될 때 걸림부재(451)가 홀(405)에 삽입 및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다.
걸림부재(451)는 홈(431)의 다른 측면들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를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손목부착 장치와 유사하면, 다만, 연결부재(611)가 팔찌로 구성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팔찌의 재질로는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구성하며, 탄성력을 갖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한다. 연결부재(611)를 팔찌로 구성함으로써 패션에 민감한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주며, 타인에게도 미적 감각을 높여준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휴대폰을 포함한 통신 및 음향기기는 사용자의 손목 뿐 아니라 발목에도 찰 수 있고, 팔에는 어디에나 착용될 수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통신기기와 MPEC, 휴대용 CD 플래이어, MD(Mini Disc) 등과 같은 음향기기를 시계와 같이 손목에 부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신 및 음향기기의 분실을 방지하며, 외부 활동이나 운동시에도 통신 및 음향기기의 소지가 편리하며, 통신 및 음향기기를 소지한 상태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통신 및 음향기기의 고급화 및 소형화에 따른 패션 감각에도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본 고안은 또한, 주머니나 가방이 없어도 통신 및 음향기기의 휴대가 간편하며, 통신 및 음향기기가 패션화되는 최근 추세에 적합한 휴대 장치이다.

Claims (10)

  1. 휴대폰의 대향되는 측면들에 형성된 체결부들; 및
    상기 체결부들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들과, 상기 결합부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벨트를 갖는 손목부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들은 각각 후크형 고리이고, 상기 체결부들은 각각 상기 후크형 고리에 끼워질 수 있는 지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들은 상기 휴대폰에 적어도 2군데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들은 각각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홈의 대향되는 양측면에는 각각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부착부재는
    복수개의 본체들;
    상기 본체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들의 홀들에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들;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수축이완가능하도록 형성된 압축부재들; 및
    상기 본체들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부재들이 수축이완되면 상기 걸림부재들을 수축이완시키는 탄성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부착용 휴대폰.
  6. 휴대폰의 배면에 부착되며, 적어도 일측에 홀을 갖는 금속부재;
    상기 금속부재와 삽탈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홈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에 탈착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상부에 설치된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휴대폰에 연결된 수클립과,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된 암클립으로 구성된 이중결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홈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홀에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팔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KR20-2002-0036229U 2002-12-04 2002-12-04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KR200305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29U KR200305485Y1 (ko) 2002-12-04 2002-12-04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229U KR200305485Y1 (ko) 2002-12-04 2002-12-04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485Y1 true KR200305485Y1 (ko) 2003-02-26

Family

ID=4940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29U KR200305485Y1 (ko) 2002-12-04 2002-12-04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4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21Y1 (ko) 2017-01-12 2018-02-27 조선오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KR200489984Y1 (ko) *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21Y1 (ko) 2017-01-12 2018-02-27 조선오 손목 착용형 스마트폰 고정대
KR200489984Y1 (ko) *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WO2019235737A1 (ko) * 2018-06-08 2019-12-12 Kang Beang Suk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2849A1 (en) Leashed Portable Personal Digital Appliance
US8967437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30326790A1 (en) Wearable Band with Ease of Adjustment
US7424110B1 (en) Wrist clip
US20060105821A1 (en) Wrap-around carrying case for cell phone or other personal electronic device
CN100475072C (zh) 支撑装置
US6639985B1 (en) Phone with ear hanger assembly capable of being hung on a user&#39;s ear without help from a hand for certain period of time
KR200305485Y1 (ko) 손목 부착용 휴대폰 및 통신/음향기기 손목부착 장치
KR101962624B1 (ko) 목에 착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KR101475688B1 (ko) 다기능 휴대용 기기 착용 밴드
KR200353441Y1 (ko) 탈착이 용이한 아암밴드
KR200396217Y1 (ko) 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
CN210069430U (zh) 一种手机固定装置
JP2002194610A (ja) 携帯電話装着用バンド
CN106388149A (zh) 一种带有硬质金属腕带的智能手环
JP3068324U (ja) 携帯電話ホルダ―
KR200321561Y1 (ko) 통신/음향기기의 손목부착 장치
KR200191561Y1 (ko) 손목과 상박에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케이스
KR200331305Y1 (ko) 레저용 아암 밴드
CN212752323U (zh) 一种具有卡扣结构的全保护手机壳
KR200283619Y1 (ko) 레저용 팔찌형 핸드폰 케이스
CN215270736U (zh) 口罩结构
CN214179417U (zh) 手环
KR200356554Y1 (ko) 암밴드
CN213756946U (zh) 一种带防脱落结构的手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