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40Y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40Y1
KR200484140Y1 KR2020160002402U KR20160002402U KR200484140Y1 KR 200484140 Y1 KR200484140 Y1 KR 200484140Y1 KR 2020160002402 U KR2020160002402 U KR 2020160002402U KR 20160002402 U KR20160002402 U KR 20160002402U KR 200484140 Y1 KR200484140 Y1 KR 200484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portable terminal
mounting
gri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김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filed Critical 김범진
Priority to KR2020160002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거치대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그립부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회동부;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 및 일 단부에 상기 그립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거치대 {PORTABLE DEVICE HOLDER}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가락에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를 삽탈가능한 방식으로 휴대단말기를 지지장소 예를 들면 차량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되고 스마트폰의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스마트폰용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네비게이션 기능으로 사용하거나 핸드프리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차량에 스마트폰을 장착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일반적인 차량용 네비게이션 부착 거치대처럼, 대시보드 부착식과 앞유리 부착식이 주종을 이루는데, 대시보드 부착식은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대시보드에 흡착보조판을 붙인 후 스마트폰 체결구조를 흡착 보조판에 결합(압축공기를 이용한 체결 구조 또는 끼워
서 장착하는 시키는 체결구조)시키며, 앞유리 부착식은 스마트폰 체결구조를 공기 압력을 이용해 앞유리에 부착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차량 네비게이션용 거치대는 차량에 네비게이션 장치를 지속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스마트폰용 거치대는 잠시 핸드프리 기능을 이용하거나 네비게이션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종래기술의 대시보드 부착식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을 차량에 부착하지 않는 대부분의 경우에 흡착 보조판이 대시보드에 부착되어 있어서 미관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 내에서만 고정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차량 외부의 임의의 장소나 또는 차량 외부에서 이동중에는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1493433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거치대로 활용함은 물론, 차량 외부의 임의의 장소나 또는 차량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그립부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회동부;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 및 일 단부에 상기 그립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부 하우징; 및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그립부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 삽입홈은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회동부의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베이스 부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는 하단에 형성되는 스톱바 지지대; 상기 스톱바 지지대의 상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톱바; 상기 스톱바를 수용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단에 형성되며, 베이스부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부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 적어도 1 이상의 밀착면이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거치부 회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그립부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그립부에 압착력을 인가하는 압착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에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를 지지 장소에 부착하는 지지부에 삽탈가능하게 체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내에서 거치대로 활용함은 물론, 차량 외부의 임의의 장소나 또는 차량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부를 이용하여 베이스부 및 그립부를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거치부 역시 회동부재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휴대단말기를 사용자의 시야에 맞게 최적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거치부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베이스부, 회동부 및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베이스부(100), 회동부(200), 그립부(300) 및 거치부(4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휴대단말기(10)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동부(200)는 일단부는 베이스부(10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그립부(300)를 그립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그립부(300)는 회전축이 회동부(200)의 타단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외력 인가시 회동하고, 외력 제거시 회동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립부(300)는 그 내부에 파지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홀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부(400)는 일 단부에 그립부(300)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타 단부에 차량의 대쉬보드 등과 같은 거치장소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부재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그립부(300)를 거치부(4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체결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부(400)에 거치시키거나, 그립부(300)를 삽입홈으로부터 탈거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부(400)에서 분리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거치부의 전면 사시도, 후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살펴보면, 거치부(400)는 거치부 하우징(410), 그립부 삽입홈(420) 및 거치부 부착부재(430)를 포함한다.
거치부 하우징(41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거치부 하우징은 바닥면은 평평하고 상부면은 경사지게 기울어게 형성되고, 양 측면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게 구성되나, 거치부 하우징의 형상이나 모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립부 삽입홈(420)은 거치부 하우징(410)의 일 면에 형성되어, 그립부(300)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한다. 그립부 삽입홈(420)은 거치부 하우징(4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립부(3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탈거되어, 삽입, 탈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거치부 부착부재(430)는 거치부 하우징(410)의 타 면 즉, 바닥면에 형성되며, 접착성 패드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부착부재로서 접착성 패드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거치 장소가 철판일 경우에는 거치부 부착부재로서 자석 부재가 사용 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로서, 차량의 대시보드에 거치부(400)를 부착한 후, 그립부가 부착된 휴대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기 위하여, 그립부를 거치부(400)에 형성된 거치부 삽입홈에 삽입하여 휴대단말기를 거치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베이스부, 회동부 및 그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는 부착부재 예를 들면, 접착 패드 등이 형성되어,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다. 베이스부(100)는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관통홀(120) 및 베이스 부착부재(13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관통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회동부의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베이스 부착부재(130)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면, 즉 상부면에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동부(200)는 일단이 베이스부(10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그립부의 회전축을 압착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톱바를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부(200)는 스톱바(210), 스톱바 지지대(220), 덮개(230), 회동돌기(240), 상부 결합홈(250), 하부 결합홈(260) 및 탄성체(270)를 포함한다.
회동부(200)는 하단에 형성되는 스톱바 지지대(220)와 스톱바 지지대(220)의 상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1쌍의 스톱바(210) 및 상단에 스톱바(210)를 수용하는 덮개(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덮개(230)의 상단에는 회동돌기(240)가 형성되어 베이스부(100)의 타면에서 관통홀(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부(20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회동돌기(240)가 관통홀(120)에 삽입되는 경우, 베이스부 일면에는 결합링이 구비되어 회동돌기에 끼움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달리, 베이스부(100)에 관통홀(120)이 형성되지 않으면 회동돌기(240)가 베이스부(10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회동돌기(240)는 회동부(200)를 좌우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10)를 보다 다양한 각도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덮개(230)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만곡되어 하방과 양 측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상부결합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톱바 지지대(220)에는 상부결합홈(250)과 대응되어 하방으로 만곡되어 상방과 양 측방이 개구되게 형성된 하부 결합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결합홈(260)을 사이에 두고 스톱바 지지대(220)의 상면에는 양측에 만곡된 형상의 스톱바(210)가 서로 마주보며 1쌍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230)는 회동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스톱바(210)를 수용할 수 있다. 스톱바 지지대(220)와 덮개(230)가 맞닿으면서 상하부결합홈이 대응되어 회동부(200)에는 양 측방이 관통되는 하나의 완성된 형태의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70)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탄성체(270)의 일단이 삽입홈에 끼움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270)의 타단은 그립부의 밀착면과 밀착되어 회동하는 회전축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달리, 스톱바(210)에 별도의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고, 탄성체(270)의 일단이 스톱바(210)의 내측에 고정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체(270)는 그립부(300)의 회동을 통제하고 휴대단말기(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반영구적인 탄성을 가진 우레탄 패드를 이용하여 회동 제어 및 회전축의 느슨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립부(300)는 외주연에 1 이상의 밀착면을 형성하고, 회동에 따라 1 또는 2개의 밀착면이 스톱바(210)와 밀착되어 회동이 정지되면서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거나, 거치부의 그립부 삽입홈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를 거치부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립부(300)는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연(310), 밀착면(320), 회전축(330) 및 파지홀(340)로 구성된다.
그립부(300)는 상단에 적어도 1 이상의 밀착면(320)이 형성되는 회전축(330)을 구비한다. 밀착면(320)은 스톱바(210)와 밀착되기 쉽도록 평평하고 넓은 평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330)은 회동하면서 1 또는 2개의 밀착면(320)이 스톱바(210)와 밀착되어 회동이 정지하게 된다.
회전축(330)은 그립부(300)의 상단에서 외주연(310)을 연결하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모서리가 둥근 육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인접하는 밀착면(320)으로 회동이 용이하며, 다각형태의 밀착면(320)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지지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립부(300)는 외주연(310)이 만곡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파지홀(340)을 포함한다. 파지홀(340)은 상단에 형성된 회전축(330)의 양단에서 외주연(310)을 따라 하방으로 만곡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이나 타원형의 빈 공간을 의미한다.
파지홀을 형성함으로써, 휴대단말기(10)의 배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보다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지홀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거치부의 구성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400)는 거치부 하우징(410), 그립부 삽입홈(420), 거치부 부착부재(430) 및 거치부 회동 부재(440)를 포함한다.
거치부 회동 부재(440)는 거치부 하우징(410)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거치부 하우징(410)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거치부 부착부재(430)는 거치부 회동 부재(44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거치부 회동 부재(440)를 거치 장소 예를 들면 자동차 대시보드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치부 회동 부재(440)는 거치부 회동 플레이트(441), 거치부 회동축(442) 및 거치부 회동 커버(443)를 포함하며, 거치부 하우징(410)의 하부면에는 거치부 하우징 관통홀(415)이 형성된다.
거치부 회동 플레이트(441)는 거치부 하우징의 하부면의 형태에 상응한 형태로 형성된다.
거치부 회동축(442)는 거치부 회동 플레이트(441)의 중앙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거치부 하우징(4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거치부 하우징 관통홀(415)에 삽입된다.
거치부 회동 커버(443)는 거치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거치부 회동축(442)의 단부에 체결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거치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거치부의 구성이 위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을 위주로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400)는 거치부 하우징(410), 그립부 삽입홈(420), 거치부 부착부재(430) 및 압착 수단(450)을 포함한다.
압착 수단(450)은 그립부 삽입홈(420)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립부 삽입홈(420)에 삽입되는 그립부에 압착력을 인가하여 그립부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압착 수단(450)을 부가함으로써 그립부 삽입홈(420)의 크기가 그립부에 상응하게 형성되지 않고 크게 형성되더라도 그립부 삽입홈에 삽입된 그립부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착 수단(450)은 압착 플레이트(451)와 탄성 부재(452)로 구성되며, 압착 플레이트(451)의 일 측은 그립부 삽입홈(420)의 입구 일 측에 탄성복원력을 구비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압착 수단(450)은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착 플레이트의 후면과 그립부 삽입홈의 내측벽 사이에 탄성 부재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를 삽입 설치하여 압착 플레이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회동부
300 : 그립부
400 : 거치부
410 : 거치부 하우징
420 : 그립부 삽입홈
430 : 거치부 부착부재
440 : 거치부 회동부재
450 : 압착수단

Claims (8)

  1.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또는 탈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부는 그립부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회동부;
    상기 회전축이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 및
    일 단부에 상기 그립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며,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거치부 하우징; 및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는 그립부 삽입홈;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거치부 회동 부재; 및
    상기 그립부 삽입홈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그립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그립부에 압착력을 인가하는 압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그립부 삽입홈은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 회동 부재는 거치부 회동 플레이트, 거치부 회동축 및 거치부 회동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거치부 하우징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 회동축은 상기 거치부 회동 플레이트의 중앙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형성된 거치부 하우징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거치부 회동 커버는 상기 거치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거치부 회동축의 단부에 체결되고,
    상기 압착 수단은 압착 플레이트와 탄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일 측은 상기 그립부 삽입홈의 입구 일 측에 탄성복원력을 구비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회동부의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관통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 고정시키는 베이스 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하단에 형성되는 스톱바 지지대;
    상기 스톱바 지지대의 상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한 쌍의 스톱바;
    상기 스톱바를 수용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단에 형성되며, 베이스부의 관통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60002402U 2016-05-03 2016-05-03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0484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02U KR200484140Y1 (ko) 2016-05-03 2016-05-03 휴대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02U KR200484140Y1 (ko) 2016-05-03 2016-05-03 휴대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40Y1 true KR200484140Y1 (ko) 2017-08-03

Family

ID=6062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02U KR200484140Y1 (ko) 2016-05-03 2016-05-03 휴대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59A (ko) * 2020-01-17 2021-07-27 심재성 자석 탑재가 개선된 모바일 거치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125881A (ko) * 2012-05-10 2013-11-20 김남균 휴대용 통신기기의 거치대
KR101493433B1 (ko) 2013-12-20 2015-02-23 주식회사 피플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2101B1 (ko) *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316363B1 (ko) *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125881A (ko) * 2012-05-10 2013-11-20 김남균 휴대용 통신기기의 거치대
KR101316210B1 (ko) * 2012-07-09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101493433B1 (ko) 2013-12-20 2015-02-23 주식회사 피플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72101B1 (ko) * 2015-03-02 2015-11-26 서치영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2959A (ko) * 2020-01-17 2021-07-27 심재성 자석 탑재가 개선된 모바일 거치대
KR102294844B1 (ko) * 2020-01-17 2021-08-27 심재성 자석 탑재가 개선된 모바일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829B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090060473A1 (en) Portable Video Media Device Holder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CN205921631U (zh) 手机壳的指环支架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TWI511564B (zh) Flat support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10174326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KR101146925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TW201914393A (zh) 具有薄型物品收納結構的電子裝置配件
KR200477255Y1 (ko) 사용자 지향적 휴대단말 거치대
KR20210125853A (ko) 휴대폰 거치장치
KR20120066402A (ko) 스마트패드용 거치대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