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5853A - 휴대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5853A
KR20210125853A KR1020200043621A KR20200043621A KR20210125853A KR 20210125853 A KR20210125853 A KR 20210125853A KR 1020200043621 A KR1020200043621 A KR 1020200043621A KR 20200043621 A KR20200043621 A KR 20200043621A KR 20210125853 A KR20210125853 A KR 2021012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esent
connecting member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혁
Original Assignee
장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혁 filed Critical 장민혁
Priority to KR1020200043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5853A/ko
Publication of KR2021012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제1 바디와,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와,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분리 시에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끼움고리부가 형성되게 구비되고,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결합 시에 접철되어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수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장치{MOUNTING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휴대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어플들을 통한 다양한 기능들이 있어 영상시청 및 게임 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거치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거치장치들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면 부피가 증가하고 중량이 크게 증가하여 휴대성이 떨어지고 휴대성을 증가시키도록 제작하면 거치기능이나 파지기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를 통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기기 위한 거치구조 및 휴대성은 확보하면서,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고, 시청 각도 조절이 용이한 거치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 10-1502738 호(2015. 03. 09 등록, 발명의 명칭: 휴대단말기용 거치지지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손으로 고가의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버튼조작이 용이하게 구비되는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사용 시에 연결부재가 접힌 상태로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접혀서 수납되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키는 휴대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분리 시에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끼움고리부가 형성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결합 시에 접철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수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는 회전몸체부와, 상기 회전몸체부에 요입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는 끼움고리부에 손가락을 넣어서 사용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한 손으로 고가의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버튼조작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사용 시에 연결부재가 접힌 상태로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접혀서 수납되므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거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폰 거치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휴대폰 거치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폰 거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휴대폰 거치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및 연결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휴대폰 케이스 또는 휴대폰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200)는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 또는 휴대폰에 부착될 수 있으나, 제1 바디(200)의 부착방식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파지하거나 거치하는 경우에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미사용 시에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300)와 제1 바디(200)의 결합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제2 바디(300)와 제1 바디(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분리 시에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끼움고리부(401)가 형성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접철(folding)되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수납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400)는 일측이 제1 바디(2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제2 바디(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어, 끼움고리부(401)를 형성하거나 접철되는 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00)는 변형가능한 재질로 마련된다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00)는 끼움고리부(401)를 형성한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웠을 때 휴대폰의 무게를 지지할 정도의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에 접힐 수 있는 정도의 유연성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끼움고리부(401)에 손가락을 넣어서 사용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한 손으로 고가의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버튼조작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사용 시에 연결부재(400)가 접힌 상태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접혀서 수납되므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400)는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20)는 제1 연결부(410)와의 사이에 끼움고리부(401)를 형성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끼움고리부(40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하나의 부재를 서로 다른 부분일 수 있고,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400)는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를 연결하는 결합고정부(430)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 및 결합고정부(4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의 결합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연결부재(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사이에 접철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접철 방식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연결부(410)는 접힘 가능하도록 가운데 영역에 제1 접힘부(411)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420)는 접힘 가능하도록 제1 접힘부(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접힘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힘부(411)와 제2 접힘부(421)는 연결부재(400)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거나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재(400)의 성형 시에 제1 접힘부(411)와 제2 접힘부(421)의 위치에서 접힐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접힘부(411)와 제2 접힘부(421)의 형성 방식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제1 접힘부(411)와 제2 접힘부(4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연결부(41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되는 제1 파트와, 제2 바디(300)에 결합되는 제2 파트 및,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힌지 결합하는 제1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20)는 제1 바디(200)에 결합되는 제3 파트와 제2 바디(300)에 결합되는 제4 파트 및, 제3 파트와 제4 파트를 힌지 결합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1 파트와 제2 파트가 선회하여 서로 겹침으로써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제3파트와 제4파트가 선회하여 서로 겹침으로써 접철될 수 있다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10)와 제2 연결부(420)는 유연성과 탄성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탄성 변형되고,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해제 시에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끼움고리부(4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미사용 시에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사이에 연결부재(400)를 용이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 시에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탄성력에 의해 끼움고리부(401)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결부재(400)를 기준으로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2 바디(300)를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연결부재(400)는 결합고정부(430)와, 제1 삽입고정부(413)와, 제2 삽입고정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고정부(430)는 제1 연결부(410)의 제2 방향의 단부와 제2 연결부(420)의 제2 방향의 단부를 연결하고, 제2 바디(3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고정부(430)는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삽입고정부(413)는 제1 연결부(410)의 제1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제1 바디(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삽입고정부(423)는 제2 연결부(420)의 제1 방향 단부에 구비되고, 제1 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삽입고정부(413) 및 제2 삽입고정부(423)는, 제1 연결부(410) 및 제2 연결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고정부(413)와 제1 연결부(410)의 사이, 제2 삽입고정부(423)와 제2 연결부(420)의 사이에는 접힘라인이 형성되어, 연결부재(400)가 제1 바디(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접힘 동작 또는 펼침동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200)는 제2 바디(300)를 향하는 면인 제1 결합면(212)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210)와, 제1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제1 결합홈(241) 및 제2 결합홈(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고정부(413)는 제1 결합홈(241)에 삽입되고 고정되고, 제2 삽입고정부(423)는 제2 결합홈(24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결합홈(241)과 제2 결합홈(242)은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부는 제1 결합면(212)을 향하는 반대 방향에 부착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면인 제2 결합면(312)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310)와, 제2 몸체부(310)에 고정되되 제2 결합면(312)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결합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고정부(430)는 결합판(340)과 제2 결합면(312)의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몸체부(310)는 제2 결합면(312)의 반대 방향의 면에 누름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고정부(430)는 연결부재(400)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결합판(340)과 제2 몸체부(310) 사이에 끼워지기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결합고정부(430)의 두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200)는 제2 바디(300)를 향하는 면인 제1 결합면(212)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210)와, 제1 결합면(2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2 바디(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테두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면인 제2 결합면(312)을 포함하는 제2 몸체부(310)와, 제2 결합면(3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테두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제1 몸체부(210)와 제2 몸체부(310)와 제1 돌출테두리(220) 및 제2 돌출테두리(320)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미사용 시에 제1 돌출테두리(220)부와 제2 돌출테두리(320)부에 의해 측면이 커버되므로, 안정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미관상 깔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테두리(220)와 제2 돌출테두리(3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350)에 손가락을 끼우고 제2 바디(300)를 제1 바디(200)에서 분리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방식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바디(200)는 제1 몸체부(210)와, 제1 몸체부(210)에서 제2 바디(300)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고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후크돌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300)는 후크돌기부(230)가 걸리게 구비되는 후크걸림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의 결합 시에 후크돌기부(230)가 후크걸림부(330)에 걸림으로써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바디(300)가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되는 것에 의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바디(300)를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 시에,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 바디(300)를 제1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 시에,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4,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부재(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400)는 제1 바디(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제2 바디(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모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의 사용 시에 가로보기나 세로보기로의 전환이 용이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각도가 되게 자유자재로 회전시켜서 휴대폰을 파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중 적어도 하나로서, 연결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를 회전바디라 정의한다. 이때 회전바디는 회전몸체부와 안착홈(213) 및 회전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몸체부는 제1 몸체부(210)와 제2 몸체부(310)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안착홈(213)은 회전몸체부에 요입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40)은 안착홈(213)에 안착되고 회전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부재(4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제1 결합홈(241)과 제2 결합홈(242)은 회전판(240)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삽입고정부(413)와 제2 삽입고정부(423)는, 각각 제1 결합홈(241)과 제2 결합홈(242)에 삽입되어 회전판(240)과 회전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바디는 제1 바디(200)이고, 회전몸체부는 제1 몸체부(21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가 휴대폰 케이스(10)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2 바디(300)가 제1 바디(20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20) 중 어느 하나(21)가 끼움고리부(401)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끼움고리부에 손가락을 넣어서 사용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한 손으로 고가의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버튼조작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에 따르면 미사용 시에 연결부재가 접힌 상태로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접혀서 수납되므로,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거치장치(100)는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휴대폰 거치 장치 200: 제1 바디
210: 제1 몸체부 211: 부착면
212: 제1 결합면 213: 안착홈
220: 제1 돌출테두리 230: 후크돌기부
240: 회전판 241: 제1 결합홈
242: 제2 결합홈 300: 제2 바디
310: 제2 몸체부 311: 누름면
312: 제2 결합면 320: 제2 돌출테두리
330: 후크걸림부 340: 결합판
350: 절개부 400: 연결부재
401: 끼움고리부 410: 제1 연결부
411: 제1 접힘부 413: 제1 삽입고정부
420: 제2 연결부 421: 제2 접힘부
423: 제2 삽입고정부 430: 결합고정부

Claims (3)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연결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분리 시에 손가락이 끼워지도록 끼움고리부가 형성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결합 시에 접철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수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디는
    회전몸체부;
    상기 회전몸체부에 요입 형성된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장치.
KR1020200043621A 2020-04-09 2020-04-09 휴대폰 거치장치 KR20210125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621A KR20210125853A (ko) 2020-04-09 2020-04-09 휴대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621A KR20210125853A (ko) 2020-04-09 2020-04-09 휴대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853A true KR20210125853A (ko) 2021-10-19

Family

ID=7822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621A KR20210125853A (ko) 2020-04-09 2020-04-09 휴대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58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762B1 (ko)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762B1 (ko) * 2022-11-10 2023-03-23 이종수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US11841110B1 (en) 2022-11-10 2023-12-12 Jong Su Lee Accessor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O2024101690A1 (ko) * 2022-11-10 2024-05-16 이종수 휴대 단말용 액세서리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255B2 (en) Holding mechanism for stabilizer and handheld stabilizer
US8382059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2223569B1 (ko) 안정화 장치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1366219B1 (ko) 지지대를 가진 전자 장치의 홀더
US9128668B2 (en) Multiple suction cup attachment platform: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on a vertical surface
WO2013003146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10806043B2 (en)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KR101472033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210125853A (ko) 휴대폰 거치장치
KR102451592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618594B1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09035242A2 (en) Swing hinge for mobile phones
KR101935108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200081198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102027709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1560815B1 (ko) 자동 닫힘 기능을 갖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2064505B1 (ko)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CN217463913U (zh) 一种磁吸底座及磁吸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