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569B1 -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569B1
KR102223569B1 KR1020157033345A KR20157033345A KR102223569B1 KR 102223569 B1 KR102223569 B1 KR 102223569B1 KR 1020157033345 A KR1020157033345 A KR 1020157033345A KR 20157033345 A KR20157033345 A KR 20157033345A KR 102223569 B1 KR102223569 B1 KR 10222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ase plate
finger support
spacer element
portable comp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324A (ko
Inventor
앨리슨 그리브
Original Assignee
세이프트레이 프로덕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269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235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트레이 프로덕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이프트레이 프로덕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0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6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also serviceable for other purposes, e.g. to be used as spade, chair, ski-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25Pers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안정화 장치, 안정화 장치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안정화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정화 장치{STABILISING DEVICE}
본 발명은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안정화 장치, 안정화 장치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안정화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태블릿 컴퓨터로도 알려진 휴대용 컴퓨팅 장치, 또는 태블릿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 작업을 하고, 이메일을 확인하고, 게임을 하며, 사진을 찍는 것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대중적인 컴퓨팅 장치이며, 컴퓨팅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권으로서 종래의 데스크톱 컴퓨터를 급속하게 대체하고 있다.
많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하나의 특징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자체의 현재 배향을 검출하여 표시된 이미지를 그런 배향에 가장 잘 맞도록 자동으로 전환 또는 플립하고 크기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떠한 순간에도 이미지가 가장 잘 보이도록 어플리케이션과 이미지에 따라 사용 중에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 돌아다니는 경우,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조작하고 회전시키기 어려울 수가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놓치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어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보호 케이스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강성의 운반 핸들, 그립 또는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런 배열체는 부피가 크고 최종 사용자가 다루기 어려울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인가되는 회전력에 효율적으로 저항할 수가 없다.
상술된 문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필요성이 계속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안정화 장치로서,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에 장착되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부 판과,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지지 부재와,
손가락 지지 부재에 그리고 기부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며,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가 기부 판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는 폐쇄 위치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기부 판과 손가락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손가락 지지 부재가 기부 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안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배향이 전환될 때 인가되는 회전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키보드로서 사용할 때 자신의 다른 손에 의해 인가되는 하향력에 대해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장치는 사진 또는 비디오를 찍거나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의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표시할 때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에 수용될 수도 있다. 기부 판은 케이싱에 대해 회전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그리고 기부 판에 연결되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기부 판 사이의 피벗식 연결부는 기부 판과 연통되는 활주가능 요소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활주가능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활주될 수 있다.
활주가능 요소는 기부 판 내의 리세스에 수용될 수도 있다.
리세스는 활주가능 요소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및/또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의 대향하는 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에지에 안내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내 수단은 기부 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부 판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손가락 지지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비사용시 손가락 지지 부재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유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안정화 장치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안정화 장치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벽 또는 다른 수직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자체 지지 디스플레이 스탠드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열성형 또는 사출 성형 기술에 의해 임의의 강성 또는 비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이다.
안정화 장치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치수이어야 하며,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식으로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안정화 장치와 결합할 수 있는 치수이어야 한다.
안정화 장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대한 안정화 장치의 회전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안정화 장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에 영구 고정되는 커플링 고정구 또는 커넥터 판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또한 커넥터 판 상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되고 커넥터 판과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대해 회전가능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안정화 장치는 기부 판이 연결되는 커넥터 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커넥터 판은 접착 패드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커넥터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커넥터 판이 해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미세흡입 패드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르게는, 안정화 장치는 케이싱에 수용될 수도 있다. 케이싱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주변부 둘레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 유사한 치수일 수도 있다. 스냅 끼워맞춤부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코너에만 그리고/또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측부 둘레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런 배열체는 안정화 장치와 케이싱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안정화 장치는 안정화 장치의 일부는 케이싱의 절결부를 통해 돌출되고 안정화 장치의 일부는 케이싱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케이싱에 수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손과 결합되는 안정화 장치의 부품의 절첩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안정화 장치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케이싱과 동일한 높이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런 배열체는 케이싱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깊이를 사실상 증가시키지 않으며, 안정화 장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매끈한 프로파일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안정화 장치는, 상술된 방식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기부 판을 포함한다.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케이싱 내에 수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정화 장치의 나머지 부분은 케이싱의 절결부를 통해 돌출된다.
기부 판에 인접한 케이싱의 구역 및/또는 기부 판은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을 위한 추가적인 그립을 제공하는 조면화된 또는 텍스쳐링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지탱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손가락 지지 부재는 제1 및 제2 단부가 중앙부의 대향하는 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긴 형상의 본체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손가락 지지 부재는 사실상 원형인 디스크일 수도 있다. 손가락 지지 부재는 평면형일 수도 있다. 손가락 지지 부재의 하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도록 윤곽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기부 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임의의 사실상 강성인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탄성 변형가능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임의의 본딩 또는 용접 수단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는 직접 또는 간접 연결부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가 기부 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기부 판과 연통되는 연결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제1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연결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기부 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제1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기부 판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벗식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기부 판 사이에 형성되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부 판과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른 피벗식 연결부, 예컨대 피벗 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기부 판에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손가락 지지 부재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벗식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손가락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손가락 지지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른 피벗식 연결부, 예컨대 피벗 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손가락 지지 부재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기부 판 및/또는 연결 판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또는 기부 판, 및/또는 연결 판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및 손가락 지지 부재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적절한 예시적인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런 일체형 부품은 임의의 공지된 프로세스,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안정화 장치는 기부 판 내에 배치되는 활주가능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활주가능 요소는 기부 판과 연통될 수도 있다. 활주가능 요소는 기부 판의 리세스에 수용될 수도 있다. 리세스는 연결 판이 내부에 위치되는 리세스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 판은 활주가능 요소가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는 리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도 있다. 리세스는 기부 판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유 채널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보유 채널은 활주가능 요소가 기부 판의 평면에서 양방향(즉, 전후방) 이동으로 제한되도록 활주가능 요소와 결합될 수도 있다. 활주가능 요소는 기부 판과 일정하게 연통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제2 스페이서 요소 또는 제3 스페이서 요소일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손가락 지지 부재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벗식 연결부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손가락 지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손가락 지지 부재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다른 피벗식 연결부, 예컨대 피벗 핀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부는 직접 또는 간접 연결부일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가 기부 판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기부 판과 연통되는 활주가능 요소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벗식 연결부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활주가능 요소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기부 판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활주가능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에지에 안내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 수단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요소를 포함한다. 안내 수단은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를 스페이서 요소의 양측으로 그리고 손가락 지지 부재의 하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손가락 지지 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고, 활주가능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 및 안내 수단 중 하나 이상을 또한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이들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부 판 및/또는 연결 판은 손가락 지지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활주가능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안내 수단 중 하나 이상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완전한 안정화 장치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절첩부의 형태인 힌지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강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적절한 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나일론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런 일체형 부품은 임의의 공지된 프로세스,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제조되면, 그런 부품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된 기부 판에 의해 형성된 채널 내에 활주가능 요소를 위치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기부 판 사이에 또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연결 판 사이에 피벗식 연결부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활주가능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기부 판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장착되기 전에 기부 판 내에 위치 설정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기부 판 사이의 또는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와 연결 판 사이의 피벗식 연결부는 2개의 재료의 용접 또는 본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기부 판은 케이싱 및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의 밀착 끼워맞춤 결합부를 통해 케이싱 내에 보유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기부 판은 케이싱의 절결부의 림과의 스냅 끼워맞춤 또는 압입 끼워맞춤 결합부에 의해, 또는 기부 판이 케이싱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케이싱 내에 보유될 수도 있다.
케이싱 내에 수용될 때,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과 직접 접촉될 수도 있다.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의 심미적인 마무리가 기부 판의 회전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비마모성 재료로 형성되거나 비마모성 재료로 코팅될 수도 있다.
안정화 장치는 손가락 지지 부재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유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보유 요소는 기부 판 또는 연결 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보유 요소는 케이싱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유 요소는 활주가능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사이의 피벗식 연결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활주가능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사이의 피벗식 연결부가 재료의 절첩부인 실시예에서, 보유 요소는 절첩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요소는 폐쇄 위치 쪽으로 편향될 수도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손가락 지지 부재는 자연적으로 폐쇄 위치에 보유되거나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될 것이다. 또한, 안정화 장치는 단일의 스페이서 요소, 및 임의로 단일의 손가락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로, 손가락 지지 부재의 하면은 완충재 층을 가질 수도 있다. 사용시, 사용자의 손가락의 후방부가 손가락 지지 부재의 하면에 접촉될 것이다. 완충재가 존재함으로써 추가적인 편안함이 제공된다.
안정화 장치의 사용
사용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한 손으로 효과적으로 유지 및 지지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자신의 다른 손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하나의 배향에서 다른 배향으로, 예컨대 가로 배향(landscape orientation)에서 세로 배향(portrait orientation)으로 회전시킬 때 인가되는 회전력에 반응할 수 있게 한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지지하는 손을 향해 미끄러짐에 따라, 사용자는 2개의 손가락을 안정화 장치 내로, 스페이서 요소의 양측에 하나씩 삽입할 수 있다. 이런 프로세스는 우선 기부 판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채널 및/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화 장치에 삽입할 준비가 되게 정렬시키는 기능을 하는 활주가능 요소에 의해 용이해질 수도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손가락 지지 부재 및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에 도달하면, 제1 및 제2 단부의 에지 상에 제공된 안내 수단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스페이서 요소의 양측으로 그리고 제1 및 제2 단부 아래로 안내한다. 이런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은 안정화 장치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손가락 지지 부재는 기부 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안정화 장치의 폐쇄 위치, 손가락 지지 부재의 폐쇄 위치, 활주가능 요소의 폐쇄 위치, 및 손가락 지지 부재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가 기부 판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는 위치라는 언급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와 제1 및 제2 단부가 기부 판과 접촉되거나 기부 판에 근접해있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안정화 장치의 개방 위치, 손가락 지지 부재의 개방 위치, 활주가능 요소의 개방 위치, 및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가 기부 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위치라는 언급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가 기부 판과 더 이상 접촉되지 않거나 기부 판에 더 이상 근접해있지 않는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컨대,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 기부 판 또는 활주가능 요소와 임의의 각도, 예컨대 경사각 또는 직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런 위치에서, 예컨대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는 스페이서 요소의 양측에 그리고 기부 판과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한 가지 사용 모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을 스페이서 요소의 어느 한 측에 삽입하여 안정화 장치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면, 손가락의 손등쪽 부분이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의 하면에 접촉될 것이다. 이러한 밀접한 접촉은 엄지손가락 및 네 손가락 모두의 끝과 기부 판과의 밀접한 접촉과 함께, 사용자가 자신의 손을 손가락 지지 부재의 제1 및 제2 단부에 대해 그리고 기부 판에 대해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지탱하고 있는 위치에서 안정화 장치에 대한 제어와, 관련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배향이 전환될 때 인가되는 회전력에 반응하는 능력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이런 사용 모드는 사용자가 자신의 다른 손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주변부에 있는 터치스크린에 접촉할 때, 예컨대 타이핑할 때 발생될 수도 있는 하향력에 대해 사용자가 반응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사용 모드에서, 특히 안정화 장치가 2개의 스페이서 요소를 갖는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을 스페이서 요소들의 어느 한 측에 삽입하여 안정화 장치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런 사용 모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지지 부재에 대해 지탱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관련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배향이 전환될 때 인가되는 회전력에 대한 필요 저항력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스페이서 요소와 두 손가락 사이의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장치는 임의의 기존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개장되어 사용자에게 더 높은 수준의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탑재되는 모드에 따라, 케이싱은 임의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끼워맞춰지도록 적절한 치수로 제조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안정화 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커플링 또는 연결 고정구에 의해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안정화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지지하면서 다른 손을 사용하여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배향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이 사용시에 유리하다. 폐쇄 위치로 절첩되는 안정화 장치로 인해, 그런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싱의 외관이 바로 보호 커버의 외관이다.
또 다른 사용 모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정화 장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 결합된 시스템의 부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은 안정화 장치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벽 또는 다른 수직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나사에 의해 벽 또는 표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픽쳐 후크에 의해 벽 또는 표면에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자체 지지 디스플레이 스탠드, 예컨대 사용자의 사무 책상 위에 배치될 수 있는 크래들형 장치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안내 수단이 후킹될 수 있는 수평 바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손가락 지지 부재의 안내 수단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정화 장치를 상술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브래킷과 결합시킴으로써, 안정화 장치를 자신의 손으로 유지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예컨대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안정화 장치와 부수적인 브래킷에 의해 벽에 장착되어 있거나 책상 위에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여전히 관련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 장치의 가능한 일 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도 및 전면도이다.
도 3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3b는 폐쇄 위치에 있는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폐쇄 위치에 있는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안정화 장치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와, 사용자의 손에 대한 휴대용 컴퓨터 장치의 회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2)에 인접해 있는 안정화 장치의 가능한 일 구조의 분해도이다. 안정화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4로 도시되어 있다. 안정화 장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2)와의 스냅 끼워맞춤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코너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버 또는 케이싱(6)에 수용되는 기부 판(10)을 포함한다. 케이싱(6)은 기부 판(10)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홀(6a)을 가지며, 이 홀을 통해 안정화 장치의 나머지 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기부 판(10)은 사용자가 안정화 장치(4)와 결합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채널(10a, 10b)을 갖는다.
안정화 장치(4)는 스페이서 요소(14)와 일체로 형성되는 손가락 지지 부재(12)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18)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요소(14)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30)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1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18)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36)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12)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스페이서 요소(14)는 스페이서 요소의 다른 단부에서 활주가능 요소(8)에 연결된다. 스페이서 요소(14)는 절첩부, 노치 또는 그루브에 의해 활주가능 요소(8)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18)는 피벗점(22)에서 연결 판(24)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연결 판(24)은 기부 판(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부 판(10)은 연결 판(24)이 예컨대 스냅 끼워맞춤 또는 압입 끼워맞춤 연결부로서 삽입될 수 있는 제1 리세스(26)와, 활주가능 요소(8)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리세스(28)를 갖는다. 리세스(28)는 활주가능 요소(8) 상에 제공된 플랜지(8a, 8b)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보유 채널(38, 40)을 갖는다. 사용자의 손가락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의 에지는 더 양호한 결합을 위해 오목한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는 또한 직선 측면형일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2로 도시된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중앙부(16)의 대향하는 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부(32, 3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부(32, 34)는 긴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안내 수단(32a, 34a)을 각각 갖는다. 안내 수단(32a, 34a)은 트레이의 하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단부(32, 34)로부터 연장되는 아치형 요소의 형태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4로 도시된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2)의 후면 및 전면을 각각 도시한다. 케이싱(6)의 각각의 코너에 있는 돌출부는 스냅 끼워맞춤 연결부를 제공하도록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각각의 코너와 결합된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결 판(24)은 제1 리세스(26)(더 이상 보이지 않음)에 끼워맞춰져 있으며, 활주가능 요소(8)는 제2 리세스(28) 내에 위치되어 있다. 제2 리세스(28)는 활주가능부를 측방향 이동이 불가능하거나 최소로만 가능한 상태에서 전후방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정화 장치(4)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 폐쇄 위치에서,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와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32, 34)는 서로 간에, 활주가능부(8)와 그리고 기부 판(10)과 사실상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며, 기부 판(10)과 접촉된다.
도 3a는 개방 위치에 있는 안정화 장치(4)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가능 요소(8)는 삽입 방향으로 활주가능 요소의 폐쇄 위치에서 활주가능 요소의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그렇게 이동되고 그리고 피벗[20(보이지 않음), 22, 30(보이지 않음), 36] 때문에, 활주가능 요소(8)로 인해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보이지 않음), 18]가 손가락 지지 부재(12), 활주가능부(8) 및 기부 판(10)과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 개방 위치에서,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중앙부(16)와 제1 및 제2 단부(32, 34)는 기부 판(10)으로부터 이격된다. 활주가능부(8)의 이동은 리세스(28)의 양측에 배치되어 활주가능 요소(8)의 플랜지(8a, 8b)(보이지 않음)와 결합되는 보유 채널(38, 40) 및 리세스(28)로 인해 전후방 이동만으로 제한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32, 34)는 4개의 피벗(20, 22, 30, 36) 및 활주가능 요소(8)의 활주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자체 정렬될 수 있다. 이런 배열체는 하중을 가능한 넓은 영역으로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가능한 최상의 편안함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장치의 임의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자신의 손을 지탱할 수 있는 넓은 면을 또한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피벗식 연결부(20, 22, 30, 36)로 인해 활주가능 요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활주가능 요소의 개방 위치로 활주될 수 있으며, 안정화 장치는 삽입 방향으로 개방되거나 펼쳐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떠한 저항도 받지 않고 안정화 장치와 원활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b는 폐쇄 위치로 복귀된 안정화 장치(4)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폐쇄 위치에서 활주가능 요소(8),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 손가락 지지 부재(12) 및 연결 판(24)은 모두 기부 판(10)과 동일 평면 상에서 기부 판과 접촉된다. 기부 판(10)의 안내 채널(10a, 10b)이 이제 활주가능 요소(8) 상의 대응 채널과 정렬되어, 추후에 사용자가 안정화 장치와 결합을 개시할 수 있게 준비된다.
도 4a는 안정화 장치(4)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안정화 장치(4)는 개방 위치에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요소(14)는 스페이서 요소(18)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스페이서 요소(14)와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18)는 동일한 길이이거나 추가적인 스페이서 요소(18)가 스페이서 요소(14)보다 길 수도 있다. 안내 수단(32a, 34a)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화 장치로, 스페이서 요소(14)의 양측 각각으로 그리고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32, 34) 아래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어떠한 저항도 받지 않고 안정화 장치(4)와 원활하게 결합하는 것이 보장된다.
그런 식으로 안정화 장치(4)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안정화 장치(4)를 폐쇄 위치(도 4b 참조)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비사용시,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와 손가락 지지 부재(12)는 폐쇄 위치로 편평하게 절첩되어 기부 판(10)의 제2 리세스(28)에 수용될 수 있다. 도 4b는 안정화 장치(4)를 갖춘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는데, 안정화 장치(4)는 폐쇄 위치에 있으며,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와 손가락 지지 부재(12)가 커버 또는 케이싱(6) 내에 완전히 포함되어 휴대용 컴퓨팅 장치(2)의 매끈한 외관이 유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자가 안정화 장치(4)와 결합된 상태와,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는 커버 또는 케이싱(6)의 사용자의 손에 대한 회전을 도시한다. 손가락 지지 부재(12) 및/또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치를 놓치거나 떨어뜨릴 위험 없이 커버 또는 케이싱(6) 내에 포함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그리고 커버 또는 케이싱(6) 내에 포함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회전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왼손의 중지와 약지를 이용하여 안정화 장치(4)와 결합한다. 그러나, 예컨대 검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안정화 장치(4)와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정화 장치(4)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를 자신의 중지와 약지 사이에 간단히 거치시킬 수 있다. 커버 또는 케이싱(6)이 회전될 때,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 중 하나는 중지와 접촉되고 제1 및 제2 스페이서 요소(14, 18) 중 다른 하나는 약지와 접촉됨으로써, 회전에 저항하기 위한 접촉점을 제공한다. 단 하나의 손가락 지지 부재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는, 자신의 손가락 끝을 기부 판(10)에 대해 지탱하고 그리고 자신의 손가락의 후방부를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32, 34)에 대해 지탱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커버 또는 케이싱(6)의 회전에 저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이 원래 삽입되었던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빼거나, 자신의 손가락을 손가락 지지 부재(12)의 제1 및 제2 단부(32, 34)의 외부 에지 너머로 단순히 벌림으로써 안정화 장치(4)를 매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4개의 피벗식 활주 및 절첩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자의 손을 어떠한 끼임이나 과도한 마찰 없이 용이하게 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안정화 장치로 인해, 사용자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놓치거나 떨어뜨릴 걱정 없이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유리하게 유지하고 그리고 바람직한 배향에 따라 휴대용 컴퓨팅 장치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정화 장치는 비사용시,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매끈한 외관을 유지하도록 휴대용 컴퓨팅 장치가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커버 내에 보유되는 폐쇄 위치로 절첩될 수 있다.

Claims (28)

  1. 휴대용 컴퓨팅 장치용 안정화 장치로서,
    상기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에 장착되고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부 판과,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지지 부재와,
    상기 손가락 지지 부재에 그리고 상기 기부 판에 연결되는 제1 스페이서 요소와,
    상기 손가락 지지 부재에 그리고 상기 기부 판에 연결되는 제2 스페이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가 기부 판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로 존재하는 폐쇄 위치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기부 판과 손가락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손가락 지지 부재가 기부 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안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의 후면 상에 해제가능하게 장착되는 안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판은 휴대용 컴퓨팅 장치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케이싱에 수용되는 안정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판은 케이싱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안정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손가락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 요소는 피벗식 연결부에 의해 기부 판에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식 연결부는 기부 판과 연통되는 활주가능 요소와 제2 스페이서 요소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활주가능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활주될 수 있는 안정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가능 요소는 기부 판 내의 리세스에 수용되는 안정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활주가능 요소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하는 안정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 요소 및/또는 제2 스페이서 요소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안정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중앙부의 대향하는 측부들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안정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 부재는 손가락 지지 부재의 에지에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안정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기부 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요소를 포함하는 안정화 장치.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 제1 스페이서 요소는 일체로 형성되는 안정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판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손가락 지지 부재와 제1 스페이서 요소를 향해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안정화 장치.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장치는 비사용시 손가락 지지 부재를 폐쇄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유 요소를 더 포함하는 안정화 장치.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제1 스페이서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안정화 장치.
  20. 휴대용 컴퓨팅 장치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장치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벽 또는 다른 수직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자체 지지 디스플레이 스탠드인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브래킷은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제1 스페이서 요소 중 하나 이상과 결합되도록 그리고 기부 판, 손가락 지지 부재 및/또는 제1 스페이서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57033345A 2013-04-26 2014-04-25 안정화 장치 KR102223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307605.4A GB201307605D0 (en) 2013-04-26 2013-04-26 Stabilising Device
GB1307605.4 2013-04-26
PCT/GB2014/051307 WO2014174319A1 (en) 2013-04-26 2014-04-25 Stabilis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24A KR20160004324A (ko) 2016-01-12
KR102223569B1 true KR102223569B1 (ko) 2021-03-04

Family

ID=4862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345A KR102223569B1 (ko) 2013-04-26 2014-04-25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13691B2 (ko)
EP (2) EP3611593A1 (ko)
KR (1) KR102223569B1 (ko)
ES (1) ES2745469T3 (ko)
GB (1) GB201307605D0 (ko)
WO (1) WO2014174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0024B2 (en) * 2010-08-19 2020-10-13 Michael Shayne KARMATZ Compacting grip for handheld devices
TWM513548U (zh) * 2015-06-01 2015-12-01 Flytech Technology Co Ltd 保護殼
USD840989S1 (en) * 2015-11-13 2019-02-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39858S1 (en) * 2015-11-13 2019-02-05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40988S1 (en) * 2015-11-13 2019-02-1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10365543B2 (en) * 2015-12-30 2019-07-30 Portero Holdings, Llc Holder for mobile devices
CN105577862A (zh) * 2016-01-17 2016-05-11 于卫华 可折叠夹扣防滑落手机后盖壳
KR101832922B1 (ko) * 2017-09-26 2018-02-27 유현주 스마트 단말기용 핑거 그립
NL2020268B1 (en) * 2018-01-11 2019-07-17 Franciscus Hendricus Morsch Johannes Kit of parts
US10244854B1 (en) 2018-01-12 2019-04-02 Tzumi Electronics LLC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US11988325B2 (en) * 2018-07-03 2024-05-21 Popsockets Llc Expandable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913750S1 (en) 2019-01-17 2021-03-23 Misaine Trade, Inc. Combined pop handle and container
US10638627B1 (en) * 2019-02-05 2020-04-28 Philip Stime Polygonally-shaped finger grip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774871B1 (en) * 2019-03-15 2020-09-15 Quest Usa Corp. Sliding hinge collapsible discs
US10897984B2 (en) * 2019-04-08 2021-01-26 Nebro, Llc Secure device grip
US11444649B1 (en) * 2020-05-15 2022-09-13 Avelino V. de Chavez Rotating side sliding handle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D948492S1 (en) * 2020-08-05 2022-04-12 Apple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962215S1 (en) * 2020-08-05 2022-08-30 Apple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962214S1 (en) * 2020-08-05 2022-08-30 Apple Inc.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01971B1 (ko) * 2020-08-26 2021-09-16 김예슬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CN112374061B (zh) * 2020-11-12 2022-12-13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襄阳供电公司 一种便于收纳的机电设备移动工具
US11671527B2 (en) * 2020-11-16 2023-06-06 David Warren Parish, SR. Articulated grip for mobile handheld device
US11736135B2 (en) * 2021-03-02 2023-08-22 Julian SHAW Accessory for electronic device
TWI766717B (zh) * 2021-06-04 2022-06-0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手持裝置之配件
DE102022115735A1 (de) * 2021-07-01 2023-01-05 Illinois Tool Works Inc. Befestigungsvorrichtung
CN214896400U (zh) * 2021-07-08 2021-11-26 广州泊霖科技有限公司 一种平板电脑保护壳结构
USD963655S1 (en) * 2021-10-09 2022-09-13 Shiyong Ding Tablet cover
TWI786967B (zh) * 2021-11-30 2022-12-11 愛進化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一手持裝置之立架及包含該立架之保護殼
WO2023163242A1 (ko) * 2022-02-23 2023-08-31 윤여신 휴대 단말기용 홀더
US20240081515A1 (en) * 2022-09-13 2024-03-14 ohSnap, Inc. Gri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8873A1 (en) * 2010-08-31 2012-03-01 Ervis Hyseni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US20120228346A1 (en) * 2011-03-10 2012-09-13 Yu Kuen Technology Ltd., Co. Handheld accessory for tablet computers
US20130057005A1 (en) * 2010-03-02 2013-03-07 Safetray Products Limited Tray and device for stablising a tra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973A1 (en) 2003-05-14 2004-11-18 Adomax Technology Co., Ltd. One-hand-holding ai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8382059B2 (en) * 2008-09-09 2013-02-26 Zero Chroma, LLC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8118274B2 (en) * 2009-07-29 2012-02-21 Apple Inc. Multiple position stand
US20110247959A1 (en) 2010-04-08 2011-10-13 Nelson Thomas A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20110279959A1 (en) 2010-05-11 2011-11-17 Manuel Lopez Computer handling device
US20120113572A1 (en) 2010-06-07 2012-05-10 360 Mobility Solu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ases
US8740270B1 (en) * 2010-06-09 2014-06-03 John Miz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8616423B2 (en) 2010-06-09 2013-12-31 Helo Llc Helostrap 525
US8690210B1 (en) * 2010-06-17 2014-04-08 Brian May Computer case shell with handgrip
US20120068043A1 (en) 2010-07-20 2012-03-22 Dc Mobile Design, Llc Personal electronic device holder systems
US9074725B2 (en) 2010-07-29 2015-07-07 Kevin Trotsky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unit
AU2010206091B2 (en) 2010-08-02 2012-03-29 James Stanley Kenneth Bankowski A Single-Hand Tablet Computer Manipulation Device
US8941989B2 (en) 2010-09-29 2015-01-27 James W. Pollex Tablet computer holder and stand
US8827234B2 (en) 2010-10-14 2014-09-09 One Hand Clapping Ltd. One-handed, back-based support for a hand-held object
US20120097831A1 (en) 2010-10-21 2012-04-26 Lollygig LLC Display device case, stand and accessory system
US8162283B1 (en) * 2010-10-28 2012-04-24 Miraslav Royz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104185A1 (en) 2010-10-29 2012-05-03 Carroll James J Portable computer holder
US9267642B2 (en) * 2010-12-22 2016-02-23 The Joy Factory, Inc. Case with integrated swivel hand-strap and pullout stand system
US20120170194A1 (en) * 2011-01-05 2012-07-05 Charles Lord Mobile computer stand
US8490789B2 (en) 2011-04-13 2013-07-23 Thumbs-Up, Inc. Device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component
KR101253763B1 (ko) * 2012-07-16 2013-04-11 노선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
US9145158B2 (en) * 2012-11-02 2015-09-29 Luis Cruz Tablet computer holder
US9300346B2 (en) * 2014-08-01 2016-03-29 Allen Hirsch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7005A1 (en) * 2010-03-02 2013-03-07 Safetray Products Limited Tray and device for stablising a tray
US20120048873A1 (en) * 2010-08-31 2012-03-01 Ervis Hyseni Electronic device case gripper
US20120228346A1 (en) * 2011-03-10 2012-09-13 Yu Kuen Technology Ltd., Co. Handheld accessory for tablet compu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4319A1 (en) 2014-10-30
EP2989521B1 (en) 2019-06-12
EP2989521A1 (en) 2016-03-02
EP3611593A1 (en) 2020-02-19
ES2745469T3 (es) 2020-03-02
US20160069512A1 (en) 2016-03-10
GB201307605D0 (en) 2013-06-12
US10113691B2 (en) 2018-10-30
KR20160004324A (ko) 201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569B1 (ko) 안정화 장치
US9717314B2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shutter stand
US9074725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unit
US20110297581A1 (en) Portable, adjustable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335791B2 (en) Stand and drawing-easel attached to a keyboard to use with mobile electronic devices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7611117B1 (en) Laptop computer document holder
US20120217174A1 (en) Multifunctional protection device for a flat video product
US20090179132A1 (en) Laptop stand
US20060043253A1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a panel computer
US20090179124A1 (en) Computer and document stand
US20120024918A1 (en) Holder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06043B2 (en) Holder combined with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GB2502411A (en) A collapsible stand for a tablet computer
US8833819B2 (en) Cover with handle structure for facilitating hold a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844183B2 (en) Low profile computer support
CN105299407B (zh) 滑动支架组件
EP3198357B1 (en) Computing device with a rotatable display member
US20190058782A1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20200081198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2027709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200475621Y1 (ko) 소형 휴대형 컴퓨터용 케이스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WI461889B (zh) 基座及具有其之電子裝置
TWI508565B (zh) 可攜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