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354B1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354B1
KR101960354B1 KR1020170165180A KR20170165180A KR101960354B1 KR 101960354 B1 KR101960354 B1 KR 101960354B1 KR 1020170165180 A KR1020170165180 A KR 1020170165180A KR 20170165180 A KR20170165180 A KR 20170165180A KR 101960354 B1 KR101960354 B1 KR 10196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hinge pin
ring member
ring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413A (ko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Priority to PCT/KR2018/0077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1213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며,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바디; 내측으로 각각 단턱이 구비된 상부 회전링 및 하부 회전링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메인 바디의 돌출 리브를 수용하고, 양편에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이 구비되어 힌지핀을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링;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동시에 회전링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Accessory having supporting function for handy terminal}
본 발명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고, 복합적인 용도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 가능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는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 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에도 영화 감상, TV시청, 인터넷 사용 등의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손에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벽과 같은 곳에 기대어 세워서 사용자의 시야에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잘 보이도록 위치시킨 후 이용하곤 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을 경우, 어깨 및 손목 등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벽에 기대어 세워 휴대 단말기를 고정 하는 것은 장소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가 구비되어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액세서리 등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스트랩 형태의 액세서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를 편리하게 휴대 할 수 있게 할 수는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때는 이용하기 어렵고, 휴대용 단말기를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치용 액세서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 10-1316363호에는, 휴대 단말기에 베이스부가 구비되고, 베이스부의 타면에 스톱바와 지지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발명은 지지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휴대 단말의 후면에 부착된 베이스부, 스톱바 및 지지부의 결합으로 두껍게 형성된 거치대가 불필요한 부피를 차지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상술한 선행 발명의 경우, 단순히 책상 등과 같은 평탄한 지면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것에 한정될 수밖에 없는 구조인 동시에, 휴대 단말기의 뒷편에 두껍게 형성된 거치대는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를 보관 시 지면에 밀착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파지 및 거치를 돕는 수단으로서,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뒷면에 링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링 부재에 끼워서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면서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링 부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이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의 에어밴트 그릴에 삽입 거치하여 운전 중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영화 등과 같은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 책상 등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후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며,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바디; 내측으로 각각 단턱이 구비된 상부 회전링 및 하부 회전링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메인 바디의 돌출 리브를 수용하고, 양편에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이 구비되어 힌지핀을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링;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동시에 회전링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 단말기 후면에 있는 링 부재에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바닥 등에 떨어뜨릴 염려가 없는 상태에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영상, 문자, 이메일 등의 작성 등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다.
휴대 단말기 후면의 링 부재를 받침대로 사용함으로써, 책상 위나 바닥 등에 일정한 각도로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TV, 영화감상, 음악 감상 등을 하기 위한 사용자의 어느 위치나 어떠한 자세에서도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액세서리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부재는 회전링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홈과 링 부재에 형성된 위치 규제용 돌기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미사용 시 링 부재를 휴대 단말기나 단말기 케이스 이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링 부재로 인한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 규제용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규제용 홈이 구비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링 부재를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원하는 각도에서의 링 부재의 각도 고정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링과 메인 바디의 조합 구조를 이용하여 링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회전 조작 시의 안정감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링 부재 사이에 토션 스프링이 포함됨에 따라서,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 고정 될 경우에도 상술한 링 부재의 특징적인 형태 및 토션 스프링의 탄력 지지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서 이탈됨을 방지하게 되므로, 차량 운행 중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 등이 가해지더라도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구성하는 힌지핀의 실시 예.
도 4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링 부재에 손가락을 끼워서 휴대 단말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고, 복합적인 용도로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 가능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파지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하면서도,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이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 실내의 에어밴트 그릴에 삽입 거치하여 운전 중에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등을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후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는 메인 바디(10)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 바디(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얇은 판으로서,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리브(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메인 바디(10)의 후면에는 양면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제가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 또는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메인 바디(10)의 전면에는 적어도 광고 문구, 로고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인쇄, 부착, 음각 및 양각 중 적어도 어느 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서, 광고 홍보용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내측으로 각각 단턱(22, 32)이 구비된 상부 회전링(20) 및 하부 회전링(20)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상술한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를 수용하고, 양편에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31)이 구비되어 힌지핀(41)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술한 메인 바디(10)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B)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상부 회전링(20) 및 하부 회전링(30)의 단턱(22, 32)의 깊이는 상술한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가 갖는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상부 회전링(20) 및 하부 회전링(30)의 단턱(22, 32)에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를 수용하였을 경우, 메인 바디(10)의 전면과 회전링의 전면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가 갖는 직경은 회전링의 내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는 회전링 내부 직경보다 0.05mm 정도 더 작은 직경을 가져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가 회전링에 결속 되었을 때, 상술한 갭에 의하여 유격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반응하여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유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부 회전링(20)의 양편에는 상술한 힌지핀 수용 홈(31)과 마주보는 면에 힌지핀 덮개(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회전링(30)에 구비된 힌지핀 수용 홈(31)에 힌지핀(41)이 체결된 후, 상술한 힌지핀 덮개(21)가 설치된 상부 회전링(20)이 하부 회전링(30)과 결합됨에 따라서 힌지핀(41)을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회전링은, 상술한 메인 바디(10)의 돌출 리브(11)를 내부에 형성된 단턱(22, 32)에 수용함으로써 메인 바디(10)가 회전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메인 바디(10)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B)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회전링의 양편에 구비된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회전링에 구비된 힌지핀 수용 홈(31)에는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할 힌지핀(41)에 형성된 위치 규제용 돌기와의 맞걸림 작용에 의하여, 링 부재의 고정 각도를 제어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양단에 힌지핀(41)이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동시에 상술한 회전링과 함께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40)를 포함한다.
이 때, 링 부재(40)는 상술한 메인 바디(10)의 후면측과 동일한 방향의 면인 이면의 원주 중심에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오목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오목부(43)로부터 양단 측으로 연장되어 두께가 V형 단면을 갖는 볼록부(42)가 형성된 후, 상술한 링 부재(40) 양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44)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링 부재의 형태는, 휴대 단말을 파지 및 지지하는 거치 용도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며, 특히 후술할 차량 실내의 에어밴트 그릴에 고정시켜 사용할 때, 상술한 링 부재에 형성된 볼록부(42)와 에어밴트 그릴의 틈새와의 걸림 작용을 이용해 차량 운전 중 차량 실내에서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술한 링 부재(4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한 쌍의 링 부재(40)의 양 단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힌지핀 수용홈(31)의 전면 측으로 한 쌍의 링 부재(40)의 양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에어 밴트 그릴의 틈새에 억지 끼움될 시, 한 쌍의 링 부재(40) 사이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한 쌍의 링 부재(40)가 에어밴트 그릴의 틈새 사이에서 서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상술한 링 부재(40)는 특징적인 형태, 즉, 링 부재(40)의 볼록부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의 틈새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과 더불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링 부재(40)에 상술한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성이 부여됨으로써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가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서 이탈됨을 방지하여 차량의 운행 중에도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링 부재(40)는 수평으로 눕혀져 있을 시, 휴대 단말 또는 휴대 단말 케이스의 후면에 맞닿아 있으며, 상술한 메인 바디(10)와 결속되어 있는 회전링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술한 회전링 및 링 부재(40)의 두께는 메인 바디(10)의 두께와 같거나 예를 들어 20% 이하의 오차 범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링 부재(40)의 양단에 형성된 힌지핀(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회전링의 위치 규제용 홈이 설치된 힌지핀 수용 홈(31)과의 맞걸림에 의하여 링 부재(40)의 회전이 구속되어 고정자세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규제용 돌기는 60°간격을 두고 하나의 힌지핀(41) 당 6개의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여러 각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회전링의 힌지핀 수용 홈(31)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홈과 링 부재의 힌지핀(41)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돌기가 서로 맞걸리는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링 부재(40)는 눕혀진 상태나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기 설정된 돌기의 개수에 의하여 회전이 규제되면서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 규제용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홈이 구비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링 부재(40)를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원하는 각도에서의 링 부재(40)의 각도 고정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링 부재(40)는 힌지핀(4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링 부재(40)의 외주면 일 영역이 지면과 밀착되어 상술한 휴대 단말을 경사진 각도로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운전 중 차량의 실내에서 휴대 단말을 거치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한 쌍의 링 부재(40)가 서로 수직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차량 실내에 있는 에어밴트 그릴의 홈 사이에 상술한 볼록부(42)에 의하여 억지끼움되어 상술한 에어밴트 그릴에 걸림에 따라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 전면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서 차량 운전 중 휴대 단말기로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등을 이용할 시,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네비게이션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기 후면에 있는 링 부재(40)에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바닥 등에 떨어뜨릴 염려가 없는 상태에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영상, 문자, 이메일 등의 작성 등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후면의 링 부재(40)를 받침대로 사용함으로써, 책상 위나 바닥 등에 일정한 각도로 단말기를 거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TV, 영화감상, 음악 감상 등을 하기 위한 사용자의 어느 위치나 어떠한 자세에서도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부재(40)는 회전링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홈과 링 부재(40)에 형성된 위치 규제용 돌기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미사용 시 링 부재(40)를 휴대 단말기나 단말기 케이스 이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링 부재(40)로 인한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 규제용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규제용 홈이 구비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링 부재(40)를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원하는 각도에서 링 부재(40)의 각도 고정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액세서리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서 살펴본 본 요소들을 조립하였을 경우의 사시도로서, 60을 참고하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구성으로 중앙에 메인 바디가 위치하여 있고, 메인 바디의 돌출리브를 수용하여 상부 회전링 및 하부 회전링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메인 바디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회전링이 설치되며, 상술한 회전링은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와 결속되어 있는 회전링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링 부재 양단에 설치된 힌지핀이 회전링의 양편에 설치된 힌지핀 수용 홈에 체결됨으로써 하나의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액세서리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후면에 부착되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들에 비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우수한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구성하는 힌지핀(41)의 실시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및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쌍의 링 부재(4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힌지핀(41)은, 링 부재(40)를 회전링에 체결하여 하나로 결합하는 동시에, 결합된 힌지핀(41)을 축으로 하여 링 부재(4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링 부재(40)가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적당한 각도로 펼쳐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를 책상 등의 바닥면에 거치 시, 한 쌍의 링 부재(40)를 서로 간의 적당한 각도 예를 들어, 0~90°의 각도로 펼친 자세로 유지시켜서 휴대 단말기를 지지할 수 있게 하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 하는 경우나 차 실내의 에어밴트 그릴에 끼워서 사용 하는 경우 한 쌍의 링 부재(40)를 겹쳐서 메인 바디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한 다음 이용할 수 있으며, 미사용하는 경우 한 쌍의 링 부재(40)를 도 2에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지게 하여 휴대 단말기에 밀착시켜놓을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 이때, 일정 각도로 링 부재(40)를 유지 및 고정하기 위하여 상술한 링 부재(40)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치 규제용 돌기(45)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위치 규제용 돌기(45)는, 회전링의 힌지핀 수용 홈에 결합 시, 힌지핀 수용 홈에 기 설치된 위치 규제용 홈과의 맞걸림에 의하여 링 부재(40)의 회전이 구속되어 고정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 부재(40)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돌기(45)는 60°간격을 두고 하나의 힌지핀(41) 당 6개의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링의 힌지핀 수용 홈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홈과 링 부재(40)의 힌지핀(41)에 설치된 위치 규제용 돌기(45)가 서로 맞걸리는 위치에서 회전이 규제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링 부재(40)는 눕혀진 상태나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기 설정된 위치 규제용 돌기(45)의 개수에 의하여 회전이 규제되면서 움직임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수용 홈이 구비되어 내구성이 좋아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링 부재(40)를 접었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원하는 각도에서의 링 부재(40)의 각도 고정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100)를 손에 파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할 경우,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한 쌍의 링 부재(40)를 겹쳐서 메인 바디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위치시킨 후, 링 부재(40)에 사용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중지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할 때, 힘을 주고 손으로 쥘 필요가 없고,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바닥 등에 떨어뜨릴 염려가 없는 상태에서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영상, 문자, 이메일 등의 작성 등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링 부재(40)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은 종래발명과 달리 베이스 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액세서리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하더라도 안정적이고 우수한 그립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를 책상 등과 같은 평탄한 지면에 거치시킨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휴대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방송 및 영화 등과 같은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파치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한 쌍의 링 부재(40)를 양쪽으로 벌린 상태에서 적당한 각도로 세우고, 벌려서 세운 링 부재(40)의 하부 외주면을 받침대로 하여 휴대 단말기를 책상 등의 바닥면(200)에 비스듬하게 거치하면, 사용자는 적당한 자세로 거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100)를 통해 방송 컨텐츠 등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도 6의 70을 참고하면, 도6의 70에는 임의의 각도로 벌어져 있는 한 쌍의 링 부재가 도시되어 있으며, 임의의 각도로 벌어진 링 부재는 책상 등의 바닥 면에 거치 시 예를 들어 0~90°의 각도로 펼친 자세로 유지시켜서 휴대 단말기를 바닥 면에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상술한 범위 내에서 링 부재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자세로 유지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링 부재는 양단에 형성된 힌지핀에 의해 회전링과 결합하여 회전링과 함께 수평 방향(B)으로 회전 가능하며, 이와 더불어 결합된 힌지핀 축을 기준으로 한 쌍의 링 부재가 상하 방향(A)으로 회전되어 임의의 각도로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는 용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 파지 기능을 수행하는 용도 및 후술할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 억지끼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차량 실내의 에어밴트 그릴에 삽입 거치하여 운전 중에도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및 음악재생 등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회전링과 메인 바디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링 부재를 회전시키는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회전 조작시의 안정감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링 부재(40)가 수평으로 접혀 있는 경우를 도시한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으로 구비되는 링 부재(40)는 홈과 돌기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잠금 및 해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미사용 시 링 부재(40)를 휴대 단말기나 단말기 케이스 이면에 접은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링 부재(40)로 인한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다.
즉,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는 미사용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링 부재(40)를 메인 바디와 동일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완전히 눕혀서 링 부재(40)의 볼록부(42)가 형성된 이면이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 혹은 휴대 단말기 케이스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발명들과 달리, 베이스 플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아서, 기존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 액세서리에 비해 현저히 얇은 두께로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거나 보관할 시, 안정적으로 파지 및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실시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의 한 쌍의 링 부재(40)를 메인 바디(10)와 수직으로 겹쳐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링 부재(40)를 차량의 실내에 있는 에어밴트 그릴(300)의 홈 사이에 끼우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는 링 부재(40)의 볼록부(42)에 의하여 차량 에어밴트 그릴(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에어밴트 그릴(300) 내의 틈새에 링부재(40)를 삽입하는 경우, 링 부재(40)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42)가 에어밴트 그릴(300)의 틈새에 걸림에 따라 쉽게 빠지지 않게 되고, 결국, 차량 운행 중 외부 충격으로 인한 진동 등이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및 휴대 단말기(100)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기(100)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이에 따라서 차량 운행 중 휴대 단말기(100),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한다거나 손으로 들고 있지 않아도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100)의 네비게이션 화면을 보면서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9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에 고정되는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힌지핀 수용홈의 전면 측으로 한 쌍의 링 부재(40)의 양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50)이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한 쌍의 링 부재(40)의 양 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50)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에어 밴트 그릴(300)의 틈새에 억지 끼움될 시, 한 쌍의 링 부재(40) 사이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50)에 의하여 한 쌍의 링 부재(40)가 에어밴트 그릴(300)의 틈새 사이에서 서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100)를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300) 전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링 부재(40)의 특징적인 형태, 즉, 링 부재(40)의 볼록부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300)의 틈새에 걸려 상술한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100)가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300)에서 더욱 안정감 있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어서 차량의 운행 중에도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된 휴대 단말기(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후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며, 측면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바디;
    내측으로 각각 단턱이 구비된 상부 회전링 및 하부 회전링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의 돌출 리브를 수용하고, 양편에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이 구비되어 힌지핀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링;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회전링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힌지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은,
    상기 힌지핀 수용 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 규제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위치 규제용 돌기와 상기 위치 규제용 홈 간의 맞걸림에 의해 상기 링 부재의 회전이 구속되어 고정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메인 바디의 후면측과 동일한 방향의 면인 이면의 원주 중심에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양단 측으로 연장되어 두께가 V형 단면을 갖는 볼록부가 형성된 후, 상기 링 부재 양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수평으로 눕혀져 있을 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메인 바디와 결속되어 있는 상기 회전링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링 부재의 외주면 일 영역이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을 경사진 각도로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링 부재가 서로 수직으로 겹쳐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실내에 있는 에어밴트 그릴의 홈 사이에 상기 볼록부에 의하여 억지끼움되어 상기 에어밴트 그릴에 걸림에 따라 상기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힌지핀 수용홈의 전면 측으로 상기 한 쌍의 링부재의 양단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의 홈 사이에 억지 끼움 될 시,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한쌍의 링 부재가 서로 탄력 지지되어 상기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가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에어밴트 그릴 전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는 적어도 광고 문구, 로고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인쇄, 부착, 음각 및 양각 중 적어도 어느 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20170165180A 2017-07-10 2017-12-04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96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7739 WO2019112130A1 (ko) 2017-12-04 2018-07-09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7277 2017-07-10
KR1020170087277 2017-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13A KR20190006413A (ko) 2019-01-18
KR101960354B1 true KR101960354B1 (ko) 2019-07-15

Family

ID=6532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180A KR101960354B1 (ko) 2017-07-10 2017-12-04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57A (ko) 2021-07-23 2023-01-31 (주)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0380B1 (ja) * 2019-04-24 2020-06-17 株式会社ギャレリ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 携帯情報端末支持具
KR102577883B1 (ko) * 2021-11-23 2023-09-13 주식회사 프로펠 모바일 기기의 그립 보조구
KR102422309B1 (ko) * 2021-02-15 2022-07-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일체형 그립톡을 구비한 핸드폰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825404B1 (ko)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049B1 (ko) * 2011-01-07 2012-08-17 곽동만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KR200486430Y1 (ko) * 2016-08-24 2018-05-16 최인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58B1 (ko) 2012-04-05 2012-09-21 김정근 거치구를 갖는 손가락 끼움 홀더형 휴대폰 케이스
KR101453889B1 (ko) *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825404B1 (ko)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657A (ko) 2021-07-23 2023-01-31 (주)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13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US20200412400A1 (en) Phone grip attachment
US9267638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9538675B2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US20180167498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20100072334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KR101825404B1 (ko)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KR100802558B1 (ko) 스텝 힌지
WO2013003146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8205776B2 (en) Dual function clip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creen
US20130181903A1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WO2014163233A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US20230223976A1 (en) Mobile phone protective housing
US20230128108A1 (en) Attachment for a mobile phone case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816494B1 (ko)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US20070042746A1 (en) Cellular phone housing with retractable microphone/earpiece assembly
KR200488289Y1 (ko)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KR200484140Y1 (ko) 휴대단말기 거치대
KR20120003972U (ko)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WO2019112130A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CN217159779U (zh) 多功能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