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709B1 -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709B1
KR100702709B1 KR1020060032877A KR20060032877A KR100702709B1 KR 100702709 B1 KR100702709 B1 KR 100702709B1 KR 1020060032877 A KR1020060032877 A KR 1020060032877A KR 20060032877 A KR20060032877 A KR 20060032877A KR 100702709 B1 KR100702709 B1 KR 10070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ting
stopper
rotating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시스
Priority to KR102006003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각도로 회전되는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텝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개인휴대단말기, 스텝힌지, 거치부

Description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및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거치장치를 갖는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끼움부,
112 : 단차부, 120 : 관통공,
200 : 거치부, 300 : 스텝힌지,
310 : 암하우징, 312 : 제1삽입공,
314 : 걸림홈, 318 : 회전홈,
320 : 숫하우징, 322 : 제2삽입공,
324 : 걸림돌기, 330 : 회전부재,
332 : 회전축, 334 : 안착홈,
340 : 스토퍼, 341 : 안착돌기,
342 : 전면부, 343 : 가이드부,
350 : 탄성부재(스프링), 400 : 볼트,
450 : 덮개부재.
본 발명은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각도로 회전되는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phone), 핸드헬드(handheld) PC(Personal Computer), 핸드폰, MP3(MEPG-1Audio Layer-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근래에는 음악감상에서 더 나아가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방송의 개발과 더불어 영화감상이나 텔레비전 시청도 휴대폰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휴대폰을 사용하게 된다.
장시간 휴대폰을 손으로 들고서 사용하기는 손이 아파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 외의 문제점으로 위성 DMB가 보급되면서 안테나의 크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위성 DMB는 복수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이 개발되어 있는데, 복수개의 안테나를 휴대폰에 장착하려면 휴대폰의 크기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도 1 내지 도 3를 제시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 및 충전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상기 충전기(10)는 충전기능과 함께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를 거치시켜 충전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기(10)의 저면(11)은 평평하여 바닥에 놓아 사용할 수 있고 전면(12)에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를 꽂아 충전할 수 있는 거치 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는 거치 홈(13)에 결합하며, 상기 거치 홈(13)은 충전기(10)의 전면(12)에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는 거치 홈(13)에 결합 시 바닥면과 일정각 도를 가지면서 결합하게 된다.
사용자가 영화나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거치홈(13)에 개인휴대단말기(1)를 결합시킨 후 디스플레이(2)를 응시하여 장시간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는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사용 방식은 상기 디스플레이(2)를 시청하더라도 사용자의 고개가 과도하게 숙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장시간 시청에 따른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10)의 상기 거치 홈(13)의 위치 및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와 바닥면과의 각도를 조정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즉, 남녀노소에 따라 적절한 상기 디스플레이(2)의 각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거치 장치를 갖는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휴대단말기(20)가 제공되고, 그 양측면(22, 23)에 결합되는 거치 장치(30)가 게시된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21)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 장치(30)는 그 형상이 ‘ㄷ’자로 그 양단에 힌지(31)가 구성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의 상기 양측면(22, 23)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 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3을 제시한다.
도 3은 도 2의 III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의 양측면(22, 23)은 일정 높이를 형성하도록 단차(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24)는 턱부(25)와 평평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ㄷ’자형 거치장치(30)는 상기 평평부(26)에 힌지(31)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31)는 상기 턱부(25)을 중심으로 거의 90도까지 회전한다.
상기‘ㄷ’자형 거치장치(30)는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턱부(25)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러한 거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거치 장치(30)를 회전하여 상기 턱부(25)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거치 장치(30)가 바닥면과 접촉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를 상기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 장치(30)는 상기 턱부(23)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다.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는 상기 거치 장치(30)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하여 측면에 붙일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하지만,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와 상기 바닥면의 각도, 즉 상기 거치 장치(30)가 항상 일정한 각도 즉 90도로만 회전하여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를 거치하 기 때문에 상기 개인휴대단말기(20)를 여러 각도로 조절하여 세울 수 없어 남녀노소가 공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휴대단말기를 여러 각도로 자유롭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텝힌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착돌기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텝힌지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시키는 스텝힌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텝힌지는,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외주면 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인휴대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본체(100)와, 거치부(200)와, 스텝힌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의 양측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끼움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부(110)의 상부에는 단차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110)에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거치부(200)가 장착되는데, 상기 거치부(20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끼움부(110)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200)의 양단은 상기 단차부(112)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거치부(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단차부(112)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단차부(112) 및 끼움부(110) 없이 상기 거치부(200)를 상기 본체(100)에 힌지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스텝힌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볼트(400) 등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200)가 상기 본체(100)에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의 끼움부(110)에는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텝힌지(300)와 상기 거치부(200)는 볼트(400)에 의해 체결되며, 덮개부재(450) 등을 장착하여 볼트(400)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좋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300)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300)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텝힌지(300)는, 하우징(310,320)과, 회전부재(330)와, 스토퍼(340)와, 탄성부재(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10,32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 장착되는데, 숫하우징(320)과 암하우징(310)으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숫하우징(320)에는 걸림돌기(324)를 형성하고, 상기 암하우징(310)에는 상기 걸림돌기(324)에 대응되는 걸림홈(314)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324)가 상기 걸림홈(31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숫하우징(320)과 암하우징(310)이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볼트 등의 체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숫하우징(320)과 암하우징(310)을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재(330)는 원통형으로서 상기 하우징(310,320)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데, 외주면에는 안착홈(3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330)에는 회전축(3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32)은 상기 하우징(310,320)에 형성된 제1삽입공(312) 또는 제2삽입공(322)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부(200)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330)는 상기 제1삽입공(312)과 제2삽입공(322)에 지지되면서 상기 하우징(310,32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안착홈(334)은 상기 회전부재(330)의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착홈(334)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45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암하우징(3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호(弧)형상의 회전홈(318)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홈(318)에 상기 회전부재(330)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340)는, 상기 하우징(310,320)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330)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340)는, 상기 회전부재(3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면부(342)와, 상기 전면부(342)에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부(343)와, 상기 전면부(342)에 돌출 형성된 안착돌기(3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돌기(341)는 상기 회전부재(330)의 안착홈(334)에 안착되는 것으로 서, 상기 안착돌기(341)와 상기 안착홈(334)은 라운딩된 곡선형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돌기(341)가 상기 안착홈(334)에 부드럽게 안착되고 또한 부드럽게 빠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341)는 상기 안착홈(33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즉, 상기 안착홈(334)이 회전부재(330)의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안착돌기(341)도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안착돌기(341)와 상기 안착홈(334)의 접촉면이 많아져 상기 안착돌기(341)가 상기 안착홈(334)에 지지되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43)는 상기 전면부(3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43)에는 상기 탄성부재(35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350)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토퍼(340)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340)에 이동하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50)에 의해 상기 스토퍼(340)의 안착돌기(341)는 상기 안착홈(334)에 강하게 안착되어 상기 회전부재(330)가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343)는 상기 탄성부재(350)인 스프링이 옆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350)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스프링(3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형성의 곡선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힌지(3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 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30)의 안착홈(334)에는 상기 스토퍼(340)의 안착돌기(341)가 안착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3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돌기(341)는 상기 안착홈(334)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340)는 상기 탄성부재(350)를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330)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다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돌기(341)가 상기 탄성부재(35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재(330)의 다른 안착홈(334)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30)는 상기 안착돌기(341)가 안착홈(334)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음대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스텝힌지(30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에 장착되는 거치부(200)를 여러 각도로 회전시켜 개인휴대단말기를 여러 각도에서 볼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340)의 안착돌기(341)가 탄성부재(3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330)의 안착홈(334)에 강하게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거치부(200)가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아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에서 계속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330)에 형성된 안착홈(334)의 간격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상기 본체(100)를 다양한 각도로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 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텝힌지를 하우징과,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여러 각도로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안착홈을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다수개로 형성함으로서 여러각도로 회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안착돌기를 상기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착돌기와 상기 안착홈의 접촉면이 많아져 상기 안착돌기가 상기 안착홈에 지지되어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스토퍼에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스토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스토퍼에 더욱 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개인휴대단말기에 본체와 거치부를 스텝힌지를 이용하여 힌지결합함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거치부를 여러 각도로 회전시켜 개인휴대단말기를 여러 각도로 조절하여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의 안착돌기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의 안착홈에 강하게 안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경우에만 거치부가 회전하고, 그 밖의 경우에는 상기 거치부가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개인휴대단말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세워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안착돌기는 상기 안착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힌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착돌기가 형성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 힌지.
  4.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를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시키는 스텝힌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텝힌지는,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고, 외주면에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힌지가 장착된 개인휴대단말기.
KR1020060032877A 2006-04-11 2006-04-11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70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877A KR100702709B1 (ko) 2006-04-11 2006-04-11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877A KR100702709B1 (ko) 2006-04-11 2006-04-11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2709B1 true KR100702709B1 (ko) 2007-04-04

Family

ID=3816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77A KR100702709B1 (ko) 2006-04-11 2006-04-11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7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5936A2 (en) * 2008-08-05 2010-02-11 Laird Technologies Korea Yh Hinge assemblie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8363391B2 (en) 2010-01-26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KR101890537B1 (ko) * 2017-12-21 2018-08-21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KR20190050089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971A (ko) 2002-07-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치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95406A (ko)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36349A (ko) 2003-10-16 2005-04-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91631A (ko) 2005-06-27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060010166A (ko)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보조형 복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971A (ko) 2002-07-25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거치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95406A (ko) 2003-04-28 2004-1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거치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36349A (ko) 2003-10-16 2005-04-2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0166A (ko)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보조형 복합기
KR20050091631A (ko) 2005-06-27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5936A2 (en) * 2008-08-05 2010-02-11 Laird Technologies Korea Yh Hinge assemblie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WO2010015936A3 (en) * 2008-08-05 2010-05-27 Laird Technologies Korea Yh Hinge assemblies for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s
US8363391B2 (en) 2010-01-26 2013-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190050089A (ko) *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KR102026534B1 (ko) 2017-11-02 2019-11-14 주식회사 슈가브릭스 다단 회동형 힌지장치
KR101890537B1 (ko) * 2017-12-21 2018-08-21 사단법인 대한산업안전협회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558B1 (ko) 스텝 힌지
KR100909011B1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와 이를 장착한 전자기기
KR100713495B1 (ko) 휴대용 거치대
KR100754586B1 (ko) 휴대용 접이 거치대
US2011005060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EP2708974A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including stylus pen holding means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KR20080109108A (ko) 휴대단말기용 스텝 힌지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US8029302B1 (en)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KR101417708B1 (ko)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09056974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KR101967449B1 (ko)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80109688A (ko) 휴대단말기용 스텝힌지
KR100944592B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JP2008505584A (ja) 移動通信端末機用支持装置
CN201982913U (zh) 支撑结构
KR1006547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KR200454927Y1 (ko) 안테나 젠더가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N214045066U (zh) 电子装置的支架结构、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