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708B1 -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708B1
KR101417708B1 KR1020140004733A KR20140004733A KR101417708B1 KR 101417708 B1 KR101417708 B1 KR 101417708B1 KR 1020140004733 A KR1020140004733 A KR 1020140004733A KR 20140004733 A KR20140004733 A KR 20140004733A KR 101417708 B1 KR101417708 B1 KR 10141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winding
rotation
cas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동
김교용
Original Assignee
박성동
이철우
김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동, 이철우, 김교용 filed Critical 박성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이어폰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기 결합되고 반대측 일면에 버튼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에 복원 가능한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며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이어폰 권취부와, 상기 버튼홀을 통해 누름버튼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시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걸림턱을 회전 규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해제 시 상기 걸림턱에 대한 회전 규제를 해소하는 권취용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복수의 이어폰 헤드가 노출되는 상태로 각 이어폰 헤드의 이어폰 케이블이 복수의 상기 이어폰 권취부에 개별 권취되어 상기 이어폰 권취부로부터 해리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이어폰 헤드에 작용 시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외력 소멸 후 상기 권취용 버튼부의 누름버튼 조작에 따른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복원 동작에 따라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권취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이어폰과,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이어폰 케이블들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Portable terminal case with ear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이어폰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MP3플레이어,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이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의 보급이 증대됨에 따라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시청하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악 청취 및 동영상 시청에 이어폰이 흔히 사용된다.
그리고 이어폰을 통한 음악 청취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하여,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와는 별도로 이어폰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데, 이어폰의 별도 소지 시 이어폰 케이블의 엉킴 등과 같은 불편함이 따른다.
이러한 불편함의 해소를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 또는 휴대폰 자체에 이어폰이 내장되는 것에 관한 기술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은 특허공개 제2002-0017664호(2002. 03. 07. 공개), 특허등록 제10-0584434호(2006. 05. 22. 등록), 특허등록 제10-0536399호(2005. 12. 06. 등록), 특허공개 제10-2012-0078144호(2012. 07. 10. 공개), 특허공개 제10-2012-0047777호(2012. 05. 14. 공개), 특허공개 제10-2013-0065535호(2013. 06. 19. 공개), 특허등록 제10-1187262호(2012. 09. 25. 등록), 실용신안공개 제2001-0000473호(2001. 01. 05. 공개), 실용신안등록 제20-0252049호(2001. 10. 15.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63075호(2004. 09. 03.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385089호(2005. 05. 16.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61079호(2012. 06. 14.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65348호(2013. 02. 07.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어폰 권취장치에 관한 제안은 특허공개 제10-2004-0073049호(2004. 08. 19. 공개), 실용신안등록 제20-0423708호(2006. 08. 04.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들은 이어폰 헤드가 하나뿐인 이어폰을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하는 것이거나, 이어폰 헤드가 두 개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어폰을 단순히 권취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의 내장으로 인하여 휴대폰 케이스의 부피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84434호(2006.05.26.공고), “이어폰 권취 장치를 내장한 휴대 단말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78144(2012.07.10.공개), “이어마이크폰이 일체로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이어폰을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이어폰 헤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 케이블을 한 쌍의 이어폰 권취부에 각각 권취하면서도 그러한 이어폰 헤드 케이블을 이어폰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에 연결하는 접속회로부의 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케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르면 풀린 이어폰 줄이 감기는 버튼부가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된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잇다.
또한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가 항상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가지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기 결합되고 반대측 일면에 버튼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에 복원 가능한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며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이어폰 권취부와, 상기 버튼홀을 통해 누름버튼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시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걸림턱을 회전 규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해제 시 상기 걸림턱에 대한 회전 규제를 해소하는 권취용 버튼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복수의 이어폰 헤드가 노출되는 상태로 각 이어폰 헤드의 이어폰 케이블이 복수의 상기 이어폰 권취부에 개별 권취되어 상기 이어폰 권취부로부터 해리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이어폰 헤드에 작용 시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외력 소멸 후 상기 권취용 버튼부의 누름버튼 조작에 따른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복원 동작에 따라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권취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이어폰과,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이어폰 케이블들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용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누름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일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누름버튼부와, 상기 누름버튼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누름돌기와 대응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돌기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대한 상기 누름돌기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전되고 회전 시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버튼부와, 상기 회전버튼부의 걸림돌기 반대 쪽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부의 누름 해제 시 상기 회전버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복원 탄성부재와, 상기 누름버튼부와 회전버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누름복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는 상기 회전버튼부에 대한 회전중심축의 기능 및 상기 누름복원 탄성부재의 누름동작 안내 기능을 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버튼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 및 누름복원 탄성부재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및 회전버튼부를 상기 회전버튼부의 회전 동작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감싸 지지하는 버튼부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는 휴대용 단말기가 일면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권취부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와,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복원 동작을 위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의 일단이 지지되는 태엽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권취부는 상기 태엽 고정돌기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1 회전판과, 상기 제1 회전판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제2 회전판과,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의 사이에서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어폰 케이블의 권취를 위한 기둥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막힌 일면에 상기 태엽 고정돌기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권취관과, 상기 권취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권취관 내로 삽입된 상기 태엽 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및 권취관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이어폰을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 케이블을 한 쌍의 이어폰 권취부에 각각 권취하면서도 그러한 이어폰 헤드 케이블을 이어폰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에 연결하는 금속배선의 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케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안정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누르면 풀린 이어폰 줄이 감기는 버튼부가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이어폰 플러그가 항상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있어 사용자는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삽입구에 삽입할 필요없이 단지 이어폰을 사용할 때에는 이어폰 삽입구에 배치된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삽입구에 완전히 밀어넣어 이어폰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게 하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 삽입구에 완전히 삽입된 이어폰 플러그를 살짝 잡아당겨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이어폰의 연결을 해제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부품들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사용되는 이어폰 권취부 몸체의 제1 회전판에서 제1 접속회로부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 접속회로부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 접속회로부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권취용 버튼부의 고정 버튼부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권취용 버튼부의 회전 버튼부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권취용 버튼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이어폰 접속 유지부의 구조 및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케이스 본체에 대한 수납구조 및 연결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 이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라 약칭 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미도시, 도 3,4 참조)이 이어폰 플러그(143)를 노출한체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내장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 다시 말해 케이스 본체(110)에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장착되는데, 이때, 케이스 본체(110)에 내장된 이어폰의 이어폰 플러그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에 항상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이어폰 접속 유지부(160)를 가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3 및 도 4에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해 200 및 21의 번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안착되는 케이스 본체(110),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내장되는 이어폰(140),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서 이어폰(140)을 감아 내장하면서 이어폰(140)을 외부로 잡아당기면 이어폰이 풀려 외부로 노출되게 하기 위한 이어폰 권취부(120), 이어폰(14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눌려진 경우 이어폰(140)을 이어폰 권취부(120)가 감아들이게 하는 권취용 버튼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이어폰 권취부(150)는 한 쌍의 이어폰 권취부로 구성되고, 또한 권취용 버튼부(150)도 한 쌍의 권취용 버튼부로 구성된다.
케이스 본체(11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 상에 각 이어폰 권취부(120)를 고정하기 위한 회전 가이드부(114) 및 태엽 고정돌기(115)가 마련된 제1 케이스(111) 및 제1 케이스(111)와 결합하여 그것들 사이에 이어폰 권취부(120), 이어폰(140), 권취용 버튼부(15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12)에 대한 방위를 휴대용 단말기(2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으로 정하여 제1 케이스를 전방 케이스 그리고 제2 케이스를 후방 케이스로 칭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가이드부(114)는 다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대한 부품들의 방향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케이스(111)를 하부 방향으로 하고 후방 케이스(112)를 상부 방향으로 하여 배치한 것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정하였다.
각 이어폰 권취부(120)는 중앙부에서 제1 케이스(111)의 태엽 고정돌기(115)가 관통하는 관통홀(121c)이 마련된 권취부 몸체(121) 및 이러한 권취부 몸체(121)와 결합하여 권취부 몸체(1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123)을 포함한다.
권취부 몸체(121)는 제1 회전판(121a), 제2 회전판(121b), 권취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권취부 몸체(121)는, 중앙부가 뚫려있고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걸림턱(121d)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회전판(121b), 제2 회전판(121b) 아래에 놓여지는 제1 회전판(121a), 제2 회전판(121b)의 중앙부의 테두리로부터 제1 회전판(121a)까지를 연결하는 권취관(122)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2 회전판(121b)의 중앙부에 스파이럴 스프링(123)이 장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에서 스파이럴 스프링(123)은 태엽 고정돌기(115)가 관통된 권취부 몸체(121)에 태엽고정돌기(115)에 의하여 결합하게 된다. 스파이럴 스프링(123)이 안착된 이어폰 권취부(120)의 중앙부에는 덮개(124)에 의하여 덮혀 스파이럴 스프링(123)이 이어폰 권취부(120)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폰(140)은 사람의 왼쪽 귀 및 오른쪽 귀에 꽂는 한 쌍의 이어폰 헤드(141), 이어폰 헤드(141)에 연결되어 연장되고 한 쌍의 이어폰 권취부(120)에 각각 권취되는 한 쌍의 이어폰 케이블(142), 이어폰 케이블(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접속회로부(130), 이어폰 헤드(141)의 반대편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21)에 삽입되는 이어폰 플러그(143), 이어폰 플러그(143)에 연결되고 연장되며, 이어폰 접속회로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적용되는 이어폰(140)은 통상적인 형태를 가지지 않고, 이어폰 케이블(142)과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 사이를 이어폰 접속회로부(130)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이어폰 권취부(120)에 의하여 이어폰 케이블(142)을 감거나 푸는 행위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어폰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이어폰(140)의 이어폰 접속회로부(130)는 이어폰 케이블 접점(131)과 회전 접속단자(132)를 포함하는 제1 접속회로부(130-1) 그리고 고정 접속단자(133)와 제2 금속배선(322)을 포함하는 제2 접속회로부(130-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회로부(130-1)는 제2 회전판(121b)과 마주하는 제1 회전판(121a)의 면에 형성되어 이어폰 권취부(120)에 권취되는 이어폰 케이블(14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이어폰 케이블 접점(131)을 가진다. 하나의 제1 회전판(121a)에 마련되는 이어폰 케이블 접점(131)은 2개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하나는 접지를 위한 접지선 금속접점이고, 다른 하나는 이어폰 제1 신호선 또는 제2 신호선과의 연결을 위한 제1 신호선 금속접점 또는 제2 신호선 금속접점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판(121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하나의 제1 회전판(121a)에는 접지선 금속접점과 제1 신호선 금속접점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1 회전판(121a)에는 접지선 금속접점과 제2 신호선 금속접점이 형성된다. 제1 접속회로부(130-1)는 또한 이어폰 케이블 접점(131)이 형성된 제1 회전판(121a)의 면의 반대면에 이어폰 케이블 접점(13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 접속단자(132)를 가진다. 회전 접속단자(1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판(121a)에 두 개의 동심원 금속배선띠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판(121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나의 제1 회전판(121a)에는 두 동심원 금속배선띠의 구성인 회전 접속단자(132)가 형성되어 이러한 회전 접속단자(132)가 접지선과 제1 신호선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제1 회전판(121a)에도 두 동심원 금속배선띠의 구성인 회전 접속단자(132)가 형성되어 이러한 회전 접속단자(132)가 접지선과 제2 신호선을 형성한다.
회전 접속단자(132)은 제1 회전판(121a) 상에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제1 회전판(121a) 상에 직접 형성된 금속배선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접속회로부(130-2)는 제1 케이스(111) 상에 형성되어 이어폰 케이블(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금속배선(322)과 이러한 제2 금속배선(322) 상에 형성되어 이어폰 권취부(120)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제1 회전판(121a)에 형성된 회전 접속단자(132)와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는 고정 접속단자(133)를 포함한다. 제2 금속배선(322)은 동일한 평면상에 서로 교차됨이 없이 배치되는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속회로부(130-2)는 고정 접속단자(133) 및 제2 금속배선(322)을 포함한다. 제2 접속회로부(130-2)의 제2 금속배선(322)은 제1 원형판부(331), 제2 원형판부(332), 제1원형판부(331)와 제2 원형판부(332)를 연결하는 연결 직선부(333) 및 제2 원형판부(332)로부터 연장된 연장 직선부(334)를 포함하는 절연판(330)의 하면에 형성된다. 제2 금속배선(322)은 제1 원형판부(331), 연결 직선부(333), 제2 원형판부(332) 및 연장 직선부(334)에 걸쳐 형성되는 접지선(322-1)과 제1 신호선(322-2) 그리고 제2 원형판부(332) 및 연장 직선부(334)에 걸쳐 형성되는 제2 신호선(3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신호선들(322-1, 322-2 및 322-3)은 제2 금속배선 단자(323)에서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과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한편, 제2 접속회로부(130-2)의 고정 접속단자(133)는 제2 금속배선(322)의 접지선(322-1)과 접촉하고 절연판(330)의 제1 원형판부(331)에 형성된 최소한 한 개의 접지선 금속접점홀(335)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원형판부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접지선 금속접점(133-1)과 제2 금속배선(322)의 제1 신호선(322-2)과 접촉하고 절연판(330)의 제1 원형판부(331)에 형성된 최소한 한 개의 제1 신호선 금속접점홀(335)을 관통하여 제1 원형판부(331)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제1 신호선 금속접점(133-2) 그리고 제2 금속배선(322)의 접지선(322-1)과 접촉하고 절연판(330)의 제2 원형판부(332)에 형성된 최소한 한 개의 접지선 금속접점홀(335)을 관통하여 제2 원형판부(33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접지선 금속접점(133-1)과 제2 금속배선(322)의 제2 신호선(322-3)과 접촉하고 절연판(330)의 제2 원형판부(332)에 형성된 최소한 한 개의 금속접점홀(335)을 관통하여 제2 원형판부(332)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 제2 신호선 금속접점(133-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금속배선에 의하면, 이어폰 권취부(1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접속단자(132)가 회전하더라도 회전 접속단자(132)에 의한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은 동심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항상 그 배선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절연판(330)에 형성된 금속접점홀(335)을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된 접지선 금속접점(133-1), 제1 신호선 금속접점(133-2) 및 제2 신호선 금속접점(133-3)은 제1 회전판(121a)에 형성된 회전 접속단자(132)에 의한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의 동심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 권취부(120)가 회전하더라도 항상 대응하는 회전 접속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때, 제2 금속배선(322)의 접지선(322-1), 제1 신호선(322-2) 및 제2 신호선(322-3)은 동일한 평면상에 서로 교차됨이 없이 배치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이어폰 작동시에 전기적 간섭이 없어 안정적인 이어폰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금속배선(322)을 인쇄회로기판 또는 유연한 인쇄회로기판에 구현한 전형적인 예에 해당한다.
도 8은 제2 금속배선을 동일 평면상에 구현하는 또 다른 예가 제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회로부의 제2 금속배선(322)은 제1 케이스(111) 상에 형성되는데, 제1 권취부 몸체에 대응되는 제1 영역(119a)과 제2 권취부 몸체에 대응되는 제2 영역(119b)에 걸쳐 형성되는 접지선(322-1) 및 제1 신호선(322-2) 그리고 제2 영역(117)에 형성되는 제2 신호선(322-3)으로 이루어진다. 제2 접속회로부의 고정접속단자(133)는 제1 영역(119a)에서 접지선(322-1)과 접촉하고 제1 케이스(111) 상부로 돌출된 최소한 하나의 접지선 금속접점(133-1), 제2 영역(119b)에서 접지선(322-1)과 접촉하고 제1 케이스(111) 상부로 돌출된 최소한 하나의 접지선 금속접점(133-1), 제1 영역(119a)에서 제1 신호선(322-2)과 접촉하고 제1 케이스(111) 상부로 돌출된 최소한 하나의 제1 신호선 금속접점(133-2) 및 제2 영역(119b)에서 제2 신호선(322-3)과 접촉하고 제1 케이스(111) 상부로 돌출된 최소한 하나의 제2 신호선 금속접점(133-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접지선 금속접점(133-1), 제1 신호선 금속접점(133-2) 및 제2 신호선 금속접점(133-3)은 제1 회전판(121a)에 형성된 회전 접속단자(132)에 의한 접지선, 제1 신호선 및 제2 신호선의 동심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어폰 권취부(120)가 회전하더라도 항상 대응하는 회전 접속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라스틱 기판(제1 케이스)에 반도체 공정에서 적용하는 기상증착법 등을 사용하여 금속배선을 형성하는 예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또한 제1 케이스 상에 일반적인 금속배선을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하는 방법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배선(322)과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 간의 전기적 접속은 제2 금속배선(322)의 제2 금속배선 단자(323)와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의 말단을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 및 사용상의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제2 금속배선 단자(323)에 제2 금속배선 커넥터(324)를 연결하고,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에도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 커넥터(146)를 연결한 다음에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 커넥터(146)를 제2 금속배선 커넥터(324)에 꽂아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2 금속배선의 배선들 모두와 전기적인 접속을 하는 커넥터 PCB가 구비되고, 이러한 커넥터 PCB를 매개로 제2 금속배선의 배선들과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권취용 버튼부(150)는 회전 버튼부(152), 누름 버튼부(151), 회전 버튼부(152)의 한 말단부를 제1 케이스(111)의 고정스프링 고정돌기(118)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회전복원 탄성부재(153), 및 회전 버튼부(152)와 누름 버튼부(151) 사이에 배치되어 누름 버튼부(151)가 눌려졌을 때 누름 버튼부(151)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작용하는 누름복원 탄성부재(154)을 포함한다.
제1 케이스(111)에는 누름복원 탄성부재(154)가 내부에 장착되는 가이드 돌기(116)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1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돌기 2개로 구성되어 그것들 사이에 누름복원 탄성부재(154)가 장착되게 하는 것이지만, 원형 돌기 1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변형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회전 버튼부(152)에는 가이드 돌기(116)를 통과시키는 가이드홀(152d)이 마련되어 있어 회전 버튼부(152)는 가이드홀(152d)에 가이드 돌기(116)가 관통되게 배치된다. 또한 회전 버튼부(152)는 회전복원 탄성부재(153)에 연결되는 말단부(512)에 대향하는 다른 말단부에서 권취부 몸체(121)의 제2 회전판(121b)에 마련된 걸림턱(121d)에 걸리는 걸림돌기(152c)를 가지고 있어 회전복원 탄성부재(153)의 작용에 의하여 걸림돌기(152c)가 제2 회전판(121b)의 걸림턱(121d)에 걸림으로써 이어폰 권취부(120)의 회전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회전 버튼부(152)는 가이드홀(152d)을 둘러싸는 위치에 한 쌍의 회전돌기(152a)를 가지고, 회전돌기 중 하나의 회전돌기(152a)는 걸림돌기(152c) 방향으로 경사면(152b)을 가지고 회전돌기 중 다른 하나의 회전돌기(152a)는 걸림돌기(152c)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면(152b)을 가진다.
누름 버튼부(151)는 회전 버튼부(152)의 회전돌기(152a), 누름복원 탄성부재(154)가 배치된 제1 케이스(111)의 가이드 돌기(116)를 덮고 제2 케이스(112)에 마련된 버튼홀(112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누름 버튼부(151)는 회전돌기(152a)에 마련된 경사면(152b)의 상부를 누르는 한 쌍의 누름돌기(151b)를 가진다.
그리하여, 누름 버튼부(151)를 누르면, 누름 버튼부(151)의 누름돌기(151b)는 회전 버튼부(152)의 회전돌기(152a)에 마련된 경사면(152b)을 수직으로 누르게 된다. 그러면 누름 버튼부(151)의 누름돌기(151b)는 회전 버튼부(152)의 회전돌기(152a)에 마련된 경사면(152b)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가게 되고 회전 버튼부(152)는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회전 버튼부(152)의 걸림돌기(152c)는 권취부 몸체(121)의 제2 회전판(121b)에 마련된 걸림턱(121d)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1)에는 권취용 버튼부(150)가 제1 케이스(111)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작동하도록 하는 한 쌍의 버튼부 가이드 돌기(117)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풀린 이어폰 케이블을 누름 조작을 통해 이어폰 권취부에 감기게 하는 권취용 버튼부의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권취용 버튼부(150)는 권취용 버튼부(150)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전복원 탄성부재(153)의 작용력에 의하여 회전 버튼부(152)가 이어폰 권취부(120)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 버튼부(152)의 걸림돌기(152c)가 권취부 몸체(121)의 걸림턱(121d)에 걸림으로써 권취부 몸체(121)가 회전하지 않게 하는 한편, 누름복원 탄성부재(154)에 의하여 누름 버튼부(151)의 누름돌기(151b))가 회전 버튼부(152)의 회전돌기(152a)에 마련된 경사면(152b)에 작용하지 못하게 하여 권취부 몸체(121)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12을 참조하며, 설명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이어폰 플러그 삽입구에 대해 200 및 21의 번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휴대용 단말기(200)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0)에 안착되면, 이어폰 플러그(143)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삽입구(21)에 항상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 접속 유지부(160)가 케이스 본체(110) 상부 말단에 마련되어 있다. 이어폰 접속 유지부(160)는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 및 이어폰 접속 유지부(160)가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를 포함한다.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는 이어폰 플러그(143) 및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45)이 각각 관통하는 제1 관통홀(161a) 및 이어폰 플러그의 케이블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161b)을 가진다.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는 또한 탄성부재(162)의 일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 요홈(161c)을 가진다. 스프링 삽입 요홈(161c)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62)는 이어폰 플러그(143)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삽입구(21)에 완전히 삽입하여 이어폰(140)이 휴대용 단말기(20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어폰 플러그(143)를 이어폰 삽입구(21)로부터 빼낼 정도의 복원력을 가지지는 않으면서 이어폰 플러그(143)를 이어폰 삽입구(21)로부터 살짝 빼내어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이어폰(140)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그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는 케이스 본체(110) 상부 말단에 고정되고 또한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와 연결되어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가 이어폰 플러그(143)가 연결 상태 및 연결 해제 상태 간의 상태 변경은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가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은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는 고정수단(165)을 가지고 또한 케이스 본체(110) 상부 말단에도 고정수단(10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수단(165 및 101)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간단하게는 접착제에 의한 고정이 구현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에 의한 고정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가 이어폰 플러그(143)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이어폰 플러그(143)가 이어폰 삽입구(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는 걸림구(163)를 가지고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는 걸림요홈(166)을 가진다.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의 걸림구(163)는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의 걸림요홈(166)에 수용되는데,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를 외부로 즉 상부로 뽑아내는 작용력을 가하면 걸림요홈(166)에 수용된 걸림구(163)가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164)에 걸려 더 이상 외부로 나오지 않게 된다. 반면에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를 안쪽으로, 즉 하부로 밀어넣는 작용력을 가하면, 걸림요홈(166)에 수용된 걸림구(163)는 아무런 방해없이 하부로 밀려가서 이어폰 플러그(143)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삽입구(2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161)는 이어폰 헤드(141)가 안착하는 이어폰 헤드 안착부(167)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서 이어폰 플러그의 케이스 본체에 대한 수납구조 및 연결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폰 단말기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는 제1 케이스를 예로 하였음을 밝혀두며, 제1 케이스의 부호는 도 3 및 도 4에 준하여 설명됨을 밝혀 둔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제1 케이스(111)에 이어폰 플러그(143)의 고정 및 이어폰 헤드의 거치를 위한 수납공간(180)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납공간(180)에 플러그 파지부(170)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이어폰 플러그(143)는 수납공간(180)에 고정되는 플러그 파지부(170)에 일체로 결합된체 수납공간(18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케이스 본체의 휴대용 단말기가 결합되는 일면 방향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플러그 파지부(170)는 본체(171), 탄성유동부(172), 탄성부재(173),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71)는 이어폰 플러그(143)가 일체로 결합되며, 탄성유동부(172)는 본체(171)로부터 이어폰 플러그(14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 본체(1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장홀(172a)이 형성된다. 탄성부재(173)는 탄성유동부(172)의 장홀(172a)에 설치되어 탄성유동부(172)에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로부터 이어폰 플러그(143)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며,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174)은 이어폰 플러그(143)와 접속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탄성부재(173)는 이어폰 플러그(143)가 이어폰 삽입구(21)에 완전 삽입 시에는 해당 이어폰 플러그(143)를 이어폰 삽입구(21)로부터 분리시키지 못하는 크기의 탄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체(171)는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로부터 이어폰 플러그(143)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플러그 파지부(17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부(175)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어폰 내장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어폰 플러그(143)가 항상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어폰 삽입구(21)에 삽입된 상태로 있어 사용자는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삽입구에 삽입할 필요없이 단지 이어폰을 사용할 때에는 이어폰 삽입구에 배치된 이어폰 플러그를 이어폰 삽입구에 완전히 밀어넣어 이어폰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게 하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어폰 삽입구에 완전히 삽입된 이어폰 플러그를 살짝 잡아당겨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이어폰의 연결을 해제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어폰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01 : 고정수단
110 : 케이스 본체 111 : 제1 케이스
112 : 제2 케이스 112a : 버튼홀
113 : 수용공간 114 : 회전 가이드부
115 : 태엽 고정돌기 116 : 가이드 돌기
117 : 버튼부 가이드 돌기 118 : 고정스프링 고정돌기
119a : 제1 영역 119b : 제2 영역
120 : 이어폰 권취부 121 : 권취부 몸체
121a : 제1 회전판 121b: 제2 회전판
121c : 관통홀 121d : 걸림턱
122 : 권취관 123 : 스파이럴 스프링
124 : 덮개 130 : 이어폰 접속 회로부
130-1 : 제1 접속회로부 130-2 : 제2 접속회로부
131 : 이어폰 케이블 접점 132 : 회전 접속단자
133 : 고정 접속단자 322 : 제2 금속배선
322-1 : 접지선 322-2 : 제1 신호선
322-3 : 제2 신호선 323 : 제2 금속배선 단자
324 : 제2 금속배선 커넥터 330 : 절연판
331 : 제1 원형판부 332 : 제2 원형판부
333 : 연결 직선부 334 : 연장 직선부
335 : 금속접점홀 140 : 이어폰
141 : 이어폰 헤드 142 : 이어폰 케이블
143 : 이어폰 플러그 144 : 커넥터 PCB
145 :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 146 :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 커넥터
150 : 권취용 버튼부 151 : 누름 버튼부
151a : 누름버튼 151b : 누름돌기
152 : 회전 버튼부 152a : 회전돌기
152b : 경사면 152c : 걸림돌기
152d : 가이드홀 152e : 고정스프링 고정돌기
153 : 회전복원 탄성부재 154 : 누름복원 탄성부재
160 : 이어폰 접속 유지부 161 : 이어폰 플러그 파지부
161a : 제1 관통홀 161b : 제2 관통홀
161c : 스프링 삽입 요홈 162 : 탄성부재
163 : 걸림구 164 : 이어폰 플러그 지지부
165 : 고정수단 166 : 걸림요홈
167 : 이어폰 헤드 안착부 170 : 플러그 파지부
171 : 본체 172 : 탄성유동부
172a : 장홀 173 : 탄성부재
174 : 이어폰 플러그 케이블 175 : 조작부
2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6)

  1. 일면에 휴대용 단말기기 결합되고 반대측 일면에 버튼홀이 형성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에 복원 가능한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며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이어폰 권취부;
    상기 버튼홀을 통해 누름버튼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시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걸림턱을 회전 규제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 해제 시 상기 걸림턱에 대한 회전 규제를 해소하는 권취용 버튼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복수의 이어폰 헤드가 노출되는 상태로 각 이어폰 헤드의 이어폰 케이블이 복수의 상기 이어폰 권취부에 개별 권취되어 상기 이어폰 권취부로부터 해리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이어폰 헤드에 작용 시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외력 소멸 후 상기 권취용 버튼부의 누름버튼 조작에 따른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복원 동작에 따라 상기 이어폰 케이블이 권취되며 이어폰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이어폰;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이어폰 케이블들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회로부를 포함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버튼부는
    상기 버튼홀을 통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누름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누름버튼의 일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누름버튼부;
    상기 누름버튼부와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누름돌기와 대응되는 회전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회전돌기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경사면에 대한 상기 누름돌기의 누름 동작에 따라 회전되고 회전 시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일단에 형성되는 회전버튼부;
    상기 회전버튼부의 걸림돌기 반대 쪽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부의 누름 해제 시 상기 회전버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회전복원 탄성부재;
    상기 누름버튼부와 회전버튼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버튼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누름복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는 상기 회전버튼부에 대한 회전중심축의 기능 및 상기 누름복원 탄성부재의 누름동작 안내 기능을 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버튼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 및 누름복원 탄성부재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수용공간 내면에는 상기 누름버튼부 및 회전버튼부를 상기 회전버튼부의 회전 동작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감싸 지지하는 버튼부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휴대용 단말기가 일면에 결합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어 제1 케이스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어폰 권취부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
    상기 이어폰 권취부의 복원 동작을 위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태엽의 일단이 지지되는 태엽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권취부는
    상기 태엽 고정돌기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제1 회전판;
    상기 제1 회전판과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제2 회전판;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의 사이에서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을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이어폰 케이블의 권취를 위한 기둥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막힌 일면에 상기 태엽 고정돌기의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는 권취관;
    상기 권취관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일단이 상기 권취관 내로 삽입된 상기 태엽 고정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 및 권취관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04733A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1417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698 2013-08-30
KR1020130103698 2013-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708B1 true KR101417708B1 (ko) 2014-07-10

Family

ID=517417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33A KR101417708B1 (ko)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04732A KR101417707B1 (ko)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04734A KR101417709B1 (ko)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732A KR101417707B1 (ko)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0140004734A KR101417709B1 (ko) 2013-08-30 2014-01-14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417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585B1 (ko) 2014-09-19 2016-01-18 김영섭 자가발전형 이어폰이 구비된 이동단말기 케이스
US9521227B2 (en) 2014-10-01 2016-12-13 Kum Oh Electronics Co., Ltd. Cable-withdrawing assembly
KR101558978B1 (ko) 2015-06-18 2015-10-13 (주)금오전자 케이블 인출 유닛 어셈블리
KR101685155B1 (ko) * 2015-01-08 2016-12-12 이철우 비상버튼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95284B1 (ko) * 2015-07-03 2016-02-18 주식회사 이어베이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262B1 (ko) 2012-06-08 2012-10-09 이현서 핸드폰용 이어폰 권취장치
KR101321008B1 (ko)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962B1 (ko) * 2011-11-07 2013-11-25 와이센테크 주식회사 휴대폰 커버형 비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262B1 (ko) 2012-06-08 2012-10-09 이현서 핸드폰용 이어폰 권취장치
KR101321008B1 (ko) 2012-10-05 2013-10-23 함영남 이어폰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707B1 (ko) 2014-07-10
KR101417709B1 (ko)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08B1 (ko)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9066181B2 (en) Interchangeable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cabl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US11818285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788640B2 (en)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and protective casing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TWI630340B (zh) 固持裝置
KR100802558B1 (ko) 스텝 힌지
US20060160412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US201202116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9882595B2 (en) Housing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accessories
US20090036174A1 (en) Mobile Telephone Case
US7175474B1 (en) Power adapter having replaceable plugs
US8282054B2 (en)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U1039299A (en) Cable housing device
US8029302B1 (en)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US8059854B2 (en) Earphone
JP2004272868A (ja) マウスに用いるコードリール
KR100702709B1 (ko) 스텝힌지와 이를 이용한 개인휴대단말기
JP2008227180A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及びスタンドを備えた電子機器
US20150188342A1 (en) Charger structure with multiple functions
JP3229782U (ja) モバイルバッテリー
KR20140135342A (ko) 이어폰 일체형 휴대용 기기 케이스
US20090294308A1 (en)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M431612U (en) Electronic facility protection cover with charge cable
CN108200502B (zh) 一种耳机绕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