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284B1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5284B1 KR101595284B1 KR1020150095594A KR20150095594A KR101595284B1 KR 101595284 B1 KR101595284 B1 KR 101595284B1 KR 1020150095594 A KR1020150095594 A KR 1020150095594A KR 20150095594 A KR20150095594 A KR 20150095594A KR 101595284 B1 KR101595284 B1 KR 101595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ear
- case
- bar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폰 수납수단이 마련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어폰은 이어폰 단자와 이어스피커 사이의 긴 줄이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에 별도의 이어폰 수납수단을 구비하였으나 이 또한 사용 시 마다 이어폰을 길게 잡아당겨 일일이 귀에 착용하는데 시간이 걸려야하거나 항상 귀에 착용한 채로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이어스피커가 이어바(200-B)에 내장되어 있어 휴대하기가 간편하며, 이어바(200-B)가 단말기 보호케이스(100)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어 통화 시 접속부(300)와 이어스피커(ES)를 연결하는 전선을 길게 빼내야하거나 이어스피커(ES)를 별도로 귀에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였으며, 4극접속부에 관통구(300-H)와 이어바(200-B)에 G극과 M극을 순간적으로 합선하는 쇼트부을 구비하여 접속부(300)를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스피커(SPK)와 이어바(200-B)에 내장된 스피커(ES)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이어폰은 이어폰 단자와 이어스피커 사이의 긴 줄이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에 별도의 이어폰 수납수단을 구비하였으나 이 또한 사용 시 마다 이어폰을 길게 잡아당겨 일일이 귀에 착용하는데 시간이 걸려야하거나 항상 귀에 착용한 채로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이어스피커가 이어바(200-B)에 내장되어 있어 휴대하기가 간편하며, 이어바(200-B)가 단말기 보호케이스(100)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어 통화 시 접속부(300)와 이어스피커(ES)를 연결하는 전선을 길게 빼내야하거나 이어스피커(ES)를 별도로 귀에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였으며, 4극접속부에 관통구(300-H)와 이어바(200-B)에 G극과 M극을 순간적으로 합선하는 쇼트부을 구비하여 접속부(300)를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단말기 스피커(SPK)와 이어바(200-B)에 내장된 스피커(ES)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어폰이 장착된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에 접속부를 삽입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 본체 마이크와 스피커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 단말기 통화버튼을 누르지 않고 이어바를 돌리는 것만으로도 ON/OFF 할 수 있는 이어폰을 장착한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어스피커 수납수단이 마련된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할 때 단말기의 수신음이나 재생음이 주위 사람에게까지 들려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소음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으며, 또 반대로 주위가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단말기의 수신음이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어폰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상기 이어폰은 이어폰 단자와 이어스피커 사이의 긴 줄이 있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에 별도의 이어폰 수납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사용 시 마다 이어폰을 길게 잡아당겨 일일이 귀에 착용하는데 시간이 걸려야하거나 항상 귀에 착용한 채로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불편한 함을 해결하기 위해 이어스피커와 접속부를 연결하는 긴 줄이 없이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사용 시 마다 이어스피커가 달린 긴 줄을 뽑아 일일이 귀에 착용하는 불편함을 해결함과 동시에 휴대하기 간편하며, 더 나아가 접속부(300)를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단말기의 스피커(SPK)와 이어바(200-B)에 내장된 스피커(ES)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어바(200-B)가 부착된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별도의 이어스피커(ES)가 이어바(200-B)에 내장되어 있어 이어폰의 기능을 제한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어바(200-B)의 접속부(300)와 이어스피커(ES)가 일체형이어서 이어스피커(ES)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선을 길게 빼내야하거나 무선 스피커를 별도로 귀에 장착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이어바 접속부(300)에는 다수의 절연구(300-H)를, 이어바(200-B) 회전면에는 G극과 M극을 순간적으로 합선하는 쇼트부를 구비하여 접속부(300)를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접철식 이어바(200-B)를 접철하면서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SPK)와 이어바(200-B)에 내장된 이어스피커(ES), 외장마이크(OM)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일단 보호케이스(100) 밖으로 노출되는 긴 줄이 없어 휴대하기가 편리하며, 통화 시 외부 수신음을 듣거나 음악을 재생할 때 주위에 소음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상황에는 접철식 이어바(200-B)를 90도로 펼침으로써 이어스피커(ES)와 외장 마이크(OM)를 작동시켜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이어바(200-B)를 접은 상태에서는 이어바(200-B)의 접속부(300)에 전압이 걸리지 않아 단말기 본체 스피커(SPK)와 본체 마이크(MIC)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분해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분해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이어바(200-B)와 함께 구성되는 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또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뜨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삭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임의로 정의하였음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휴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능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이어폰이 휴대 단말기 본체(100)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제작됨으로서, 휴대 단말기 본체(100)와 이어폰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부(140)를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3극 이어폰 및 4극 이어폰을 구분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옵션 기능 예를 들면, 이어폰 기능, 외장형 스피커 기능 등을 지원하기위하여, 각 기능에 해당하는 외부 장치를 삽입하여 접속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이어폰이 접속될 경우 이어폰의 종류 즉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을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100)의 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어폰과 함께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 본체(100)는 무선주파수부(Radio Frequency)(160), 키입력부(170), 오디오 처리부(150), 인터페이스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5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50)는 인터페이스부(140)에 입력되는 이어폰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MIC)의 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3극 이어폰이 인터페이스부(140)에 접속되면 오디오 처리부(150)의 마이크(MIC)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4극 이어폰이 인터페이스부(140)에 접속되면 마이크(MIC)의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발생하는 기능음/효과음을 이어폰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주파수부(160)로부터 수신된 수화음을 이어폰으로 전송하기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무선주파수부(160), 키입력부(17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표시부(130) 및 이어폰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접속되는 이어폰을 인식하기 위하여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이하 GPIO)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노출접지 막대이어폰과 함께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단말기의 제어부(110)와 오디오 처리부(150) 및 인터페이스부(140)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휴대 단말기 구성 중 인터페이스부(140)를 중심으로 제어부(110), 오디오 처리부(150)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140)는 제1 신호 라인(141), 제2 신호 라인(143), 접지 라인(145),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 비교기(149) 및 기준 전압부(VDD)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 라인(141)은 오디오 처리부(150)의 좌측 이어 스피커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로써, 오디오 처리부(150)의 오디오 L포트와 인터페이스부(140)의 인터 L포트(140-L)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신호 라인(141)은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이 접속되면, 인터 L포트(140-L)를 통해 각 이어폰의 좌측 이어 스피커 단자인 "L" 극과 접촉된다.
상기 제2 신호 라인(143)은 오디오 처리부(150)의 우측 이어 스피커로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로써, 오디오 처리부(150)의 "R"포트와 인터페이스부(140)의 인터 R포트(140-R)를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신호 라인(141)은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이 접속되면, 인터 R포트(140-R)를 통해 각 이어폰의 우측 이어 스피커 단자인 "R" 극과 접촉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노출단자 막대이어폰(200)에서는 이어 스피커를 1개만 사용함으로 "R"포트 연결은 보류될 수 있다.
접지 라인(145)은 인터페이스부(140)에 접속되는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에 형성된 접지 단자와 인터 G포트(140-G)를 통해 접촉하여, 3극 이어폰 또는 4극 이어폰의 접지 단자를 접지(GND)에 연결한다.
상기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은 4극 이어폰에 형성된 이어 마이크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인터마이크의 인터 M포트(140-M)를 통해 오디오 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은 오디오 처리부(150)의 이어 마이크 단자(EM)와 연결된다.
상기 기준 전압부(VDD)는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 일측에 접속되어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에 일정한 기준 전압 예를 들면 2V 내외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기준 전압부(VDD)와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사이에는 제1 저항(R1)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교기(149)는 제어부(110)와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 사이에 접속된다. 이러한 비교기(149)는 이어마이크 신호 라인(147)에 접속되어 있는 기준 전압부(VDD)가 제공하는 기준 전압의 변압을 검사한다.
삭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3극 이어폰이 접속되는 경우, 3극 이어폰의 접지 단자는 접지 라인(145) 및 이어 마이크신호 라인(147)과 접속되는데, 이때 기준 전압부(VDD)의 전압은 3극 이어폰의 접지 단자를 통하여 흐르게 되기 때문에 비교기(149)에는 0V의 전압이 공급된다. 비교기(149)는 기준 전압에서 0V 전압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1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40)에 4극 이어폰이 접속되는 경우, 4극 이어폰의 이어 마이크 단자는 인터 M포트(140-M)를 통해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에 접촉되는데, 이에 따라 기준 전압 중 일부 전압은 4극 이어폰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비교기(149)에 전달되는 기준 전압이 변경된다. 비교기(149)는 이러한 기준 전압의 변경에 따라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술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기준으로 3극 이어폰이 접속되었는지 4극 이어폰이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오디오 처리부(150)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이어폰과 함께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 기능 지원을 위한 이어폰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접속부(300)를 연결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어바(200-B)와 함께 구성되는바, 단말기 보호케이스(100), 보호케이스 상단에 접철식으로 구비된 이어바(200-B), 보호케이스(100) 하단의 접속부(300) 등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접속부(300)와 상단의 이어바(200-B)는 기어들과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표현하는 이어바(200-B)와 일반적인 이어폰과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이어폰은 인터페이스부(140)에 삽입되는 접속부와 이어스피커 사이는 긴 전선줄로 연결되는데 이에 비해 이어바(200-B)는 이들 긴 전선줄을 생략하고, 접속부(300)와 이어스피커(ES)부를 일체형이 되도록 조립하여 그 결과, 이어스피커(ES) 부가 접철운동을 할 때 접속부(300)도 함께 연동하여 움직이게 한 구조이다.
삭제
또 한편, 최근에 출시된 단말기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되는 개방형 스피커와 이어바(200-B)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개방형 스피커역시 접속부(300)와 스피커(ES)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와 일정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사용하는 제품군인 반면에 이어바(200-B)는 일반적인 이어폰과 같이 스피커(ES)부를 귀속에 넣어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다시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의 3부분을 각각 상세히 설명하면, 보호케이스(100) 상단에는 이어바(200-B)를 삽입하는 상단 삽입구(100-UH)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구동축(SFT)이 안장되고, 구동축(SFT) 상단에는 바기어(BGR)와 맞물리는 상단기어(UGR)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접속부 기어(300-GR)와 맞물리는 하단기어(DGR)가 역시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하단에는 접속부 기어(300-GR)가 삽입되는 하단 삽입구(100-DH)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외장마이크(OM)가 내장된다.
상단 삽입구(100-UH)에 삽입되는 이어바(200-B)를 살펴보면, 내부 전면에 이어스피커(ES)가 구비되고, 외부 후면에는 상단기어(UGR)와 맞물리는 바기어(BGR)와 G전극(200-G)이 구비되며, 외부 측면에는 접철식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턱 2개가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상단 삽입구(100-UH)에 조립되는 볼록핀이 구비된다.
보호케이스(100) 하단의 접속부 기어(300-GR)에 접속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접속부 기어 중앙의 관통구(300-P)에는 기어오목홈(300-GRH)이 구비되며 접속부(300) 상단에는 이에 대응하는 볼록홈(300-GRH)이 구비되어 있어 접속부(300)는 일정한 방향으로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부(300)는 4극단자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다시 좌측 이어 스피커 단자인 "L" 극, 우측 이어 스피커 단자인 "R" 극, 접지 단자인 "G" 극, 이어 마이크 단자인 "M" 극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극에는 제1구역에서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과 만나는 위치에 절연구(300-H)가 구비되며 각각의 절연구(300-H)는 절연체로 채워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의 조립요령을 살펴보면, 우선 보호케이스(100) 상단 삽입구(100-UH)의 중심을 기준으로 주위의 각도를 가상으로 분할하여 제1구역, 제2구역으로 제3구역으로 나눈 후, 각각의 구역에서 맡는 역할을 설정하고 이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립한다.
이를 위해 구역별로 조립요령 및 설정된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구역은 상단 삽입구의 내벽과 이어바(200-B)사이의 각도가 0도인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바기어(BGR), 상단기어(UGR), 구동축(SFT), 하단기어(DGR), 접속부 기어(300-GR), 접속부(300) 순으로 조립하다가 마지막에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이 접속부(300)의 절연구(300-H)의 절연체와 접촉하게 되도록 조립하면 단말기와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사이에는 전기적 반응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데 본 설명에서는 이러한 상태를무극상태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제2구역은 상단 삽입구(100-UH)의 내벽과 이어바(200-B)사이의 각도가 약 0도~60도 범위를 지칭하며, 이 구역에서의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은 접속부(300)의 절연구(300-H)들을 벗어나 "L" 극, "R" 극, "G" 극, "M" 극 등의 단자들과 정상적으로 접촉하여 단말기와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사이에는 전기적 반응, 즉 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 경우 보통 단말기 화면에는 이어폰이 연결되었습니다.라는 자막이 뜨게 된다.
제3구역은 상단 삽입구의 내벽과 이어바(200-B)사이의 각도가 약 60도~80도의 범위를 지칭하며 이 구역에서는 이어바(200-B)의 G전극(200-G)과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의 M전극(100-M)이 순간적으로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여 단말기가 ON/OFF 상태로 전환된다.
제4구역은 상단 삽입구의 내벽과 이어바(200-B)사이의 각도가 약 80도~90의 범위를 지칭하며 이 구역에서는 2구역과 동일하게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은 접속부의 "L" 극, "R" 극, "G" 극, "M" 극 등의 단자들과 정상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4극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원칙에 의해 조립되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사용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휴대 단말기를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에 안장한 다음 접속부(300)를 접속부 기어(300-GR)의 중앙 홀을 통해 단말기에 삽입하고 이어바(200-B)를 상단 삽입구(100-UH)에 삽입한 후, 제1구역으로 접어두면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은 절연구(300-H)의 절연체와 접촉되고 따라서 단말기와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사이에는 전기적 반응이 발생하지 않아무극상태가 되는데, 사용자는 이 상태로 단말기를 휴대한다.
무극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와 수신 신호음이 들리면 사용자는 이어바(200-B)를 사용할 수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주위에 소음피해를 줄 우려가 있어 이어바(200-B)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어바(200-B)를 90도로 펼쳐 4구역에 고정한 후 통화하면 되고, 이어바(200-B)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어바(200-B)를 1구역에 그대로 접어둔 채 단말기의 ON/OFF 시스템을 작동시킨 후 통화하면 된다.
이어바(200-B)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를 상세히 설명하면,
이어바(200-B)를 90도로 펼칠 때 1구역부터 4구역까지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정지상태의 제1구역에서는 무극상태가 되고 제2구역에서는 이어바(200-B)의 바기어(BGR)가 상단기어(U-GR)를 돌리게 되고 상단기어(U-GR)는 구동축(SFT)을 통해 하단기어(D-GR)를 돌리고 하단기어(D-GR)는 접속부 기어(300-GR)를 돌려 접속부(300)가 무극상태를 벗어나면서 단말기와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사이에 전압이 걸리면서 전기적 신호가 통하게 되며 이후 이어바(200-B)를 계속 돌려 제3구역을 통과하면 이어바(200-B)의 G전극(200-G)과 단말기 케이스의 M전극(100-M)이 순간적인 접속 상태를 연출하여 단말기가 ON 상태가 되고 제4구역에서 이어바(200-B)는 걸림턱 2에 의해 고정된 채 이어바(200-B)에 내장된 스피커(ES)로 수신음을 듣게 되고 하단에 구비된 별도의 외장 마이크(OM)를 통해 송신음을 보낼 수 있게 되는 등 보통 4극 이어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접속부(300)와 이어스피커(ES)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어 외부로 돌출되는 줄이 없으며, 귀속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이어바(200-B)의 끝이 타원형의 막대 모양이며, 접속부(30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와 구동축(SFT)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접속부(300)는 4극단자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의 접속부(300)를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한 후, 이어바(200-B)를 제1구역에 놓으면 접속부(300)는 무극상태가 되지만,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로 전화를 받기위해 이어바(200-B)를 90도로 회전시키면 제1구역을 벗어나는 순간 접속부(300)에 전기적 신호가 통하게 되며 이후 이어바(200-B)를 더욱 회전시키면 제3구역(B)을 통과하면서 이어바(200-B)의 G전극(200-G)과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의 M전극(100-M)이 순간적인 접속 상태가 연출되어 전압의 변화를 겪게 된다.
즉 기준 전압부(VDD)의 전압은 순간적으로 3극 접지 단자에 걸리게 되기 때문에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교기(149)에는 순간적으로 0V의 전압이 걸리다가 다시 기준 전압이 공급되게 되는데 이러한 전압의 변화는 마치 일반 4극 이어폰에서 ON/OFF 클릭버튼을 한 번 누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되고 비교기(149)는 이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하여 휴대폰이 켜지면서 제어부가 오디오 처리부(150)에 마련된 마이크(MIC)를 비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보호케이스(100) 하단에 구비된 별도의 외장 마이크(OM)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를 사용하여 통화를 한 이후 휴대 단말기(100)를 OFF상태로 하려면 이어바(200-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시 1구역의 위치에 놓으면 된다. 이어바(200-B)를 반대로 돌리는 과정에서 이어바(200-B)의 G전극과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의 M전극(100-M)이 순간적인 접속 상태를 연출하게 되고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켜지는 것과 같은 원리로 꺼지게 되며 이후 무극상태에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음악을 듣기 위해 종전의 일반 이어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본 발명의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의 접속부(300)를 단말기 인터페이스(140)에서 탈착하고 일반 이어폰을 인터페이스(140)에 삽입하면 된다.
보호케이스(100) 상단 삽입구(100-UH) 하단삽입구(100-DH)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이어바(200-B) 바걸림턱(100-BT)
바기어(BGR) 상단기어(UGR) 구동축(SFT)
하단기어(DGR) 접속부 기어(300-GR) 기어볼록홈(300-GRH)
G전극(200-G) M전극(100-M) 기어오목홈(300-GRH)
접속부(300) 관통구(300-P) 절연구(300-H)
제어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40) 인터페이스 입구공간(140-P) 표시부(130)
인터M포트(140-M) 인터L포트(140-L) 인터R포트(140-R)
제1 신호 라인(141) 제2 신호 라인(143) 접지 라인(145)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 비교기(149) 키입력부(170)
오디오 처리부(150) 무선주파수부(160) 전압부(VDD)
스피커(SPK) 마이크(MIC) 이어스피커(ES)
외장마이크(OM)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이어바(200-B) 바걸림턱(100-BT)
바기어(BGR) 상단기어(UGR) 구동축(SFT)
하단기어(DGR) 접속부 기어(300-GR) 기어볼록홈(300-GRH)
G전극(200-G) M전극(100-M) 기어오목홈(300-GRH)
접속부(300) 관통구(300-P) 절연구(300-H)
제어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40) 인터페이스 입구공간(140-P) 표시부(130)
인터M포트(140-M) 인터L포트(140-L) 인터R포트(140-R)
제1 신호 라인(141) 제2 신호 라인(143) 접지 라인(145)
이어 마이크 신호 라인(147) 비교기(149) 키입력부(170)
오디오 처리부(150) 무선주파수부(160) 전압부(VDD)
스피커(SPK) 마이크(MIC) 이어스피커(ES)
외장마이크(OM)
Claims (7)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를 덮는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와;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의 상단 삽입구(100-UH) 중심의 주위를 각도에 따라 구역을 나눈 후, 제1구역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이 접속부(300)의 절연구(300-H)의 절연체와 접촉하게 되도록 조립하고, 제2구역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이 상기 접속부(300)의 단자들과 정상적으로 접촉하게 조립하고, 제3구역에서는 이어바(200-B)의 G전극(200-G)과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의 M전극(100-M)이 순간적으로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도록 조립하고, 제4구역에서는 다시 상기 인터페이스(140)에 돌출된 포트들과 상기 접속부(300)의 단자들과 정상적으로 접촉하게 조립하여, 그 결과 상기 이어바(200-B)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사용하거나 상기 이어바(200-B)의 내장스피커(ES)와 외장마이크(OM)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바(200-B)는;
상기 접속부(300)에 절연체로 채워진 다수의 상기 절연구(300-H)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바(200-B)가 상기 제1구역에 위치할 때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사이에 전기적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바(200-B)의 외부 후면에는 상기 G전극(200-G)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에는 상기 M전극(100-M)을 상기 G전극과 맞닿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이어바(200-B)가 회전하여 상기 제3구역을 통과할 시 순간적으로 쇼트가 발생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가 온, 오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에 바걸림턱(100-BT)을 설치하여 상기 제1구역과 상기 제4구역 사이에서 상기 이어바(200-B)의 접철운동을 제한하여 상기 이어바(200-B)를 접고 이동할 때나 상기 이어바(200-B)를 귀 속에 넣고 통화할 때 고정이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접속부 기어(300-GR)의 중심부에 기어홈(300-GRH)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부(300)가 일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상기 접속부(300)와 상기 내장스피커(ES)가 일체형으로 조립된 상기 이어바(200-B)를 상기 단말기 보호케이스(100)에 함께 구비하여 상기 내장스피커(ES)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는;
상기 이어바(200-B)를 상기 접속부(300)와 상기 내장스피커(ES)가 일체형으로 조립될 때, 'ㄱ' 자 모양이 되도록 조립하여 접철운동을 통해 상기 제1구역에서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고, 상기 제 4구역에서는 상기 이어바(200-B)의 말단부를 귀에 넣기 편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594A KR101595284B1 (ko) | 2015-07-03 | 2015-07-03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594A KR101595284B1 (ko) | 2015-07-03 | 2015-07-03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5284B1 true KR101595284B1 (ko) | 2016-02-18 |
Family
ID=5545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5594A KR101595284B1 (ko) | 2015-07-03 | 2015-07-03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528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5413A (ko) * | 2011-05-07 | 2012-11-15 | 이희재 | 부착형 이어폰 |
KR20130126873A (ko) * | 2012-05-13 | 2013-11-21 | 유장호 | 핸드폰 |
KR101417709B1 (ko) * | 2013-08-30 | 2014-07-10 | 박성동 |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20150064867A (ko) * | 2013-12-04 | 2015-06-12 | 주식회사 이어베이션 | 부착형 이어폰 |
-
2015
- 2015-07-03 KR KR1020150095594A patent/KR1015952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5413A (ko) * | 2011-05-07 | 2012-11-15 | 이희재 | 부착형 이어폰 |
KR20130126873A (ko) * | 2012-05-13 | 2013-11-21 | 유장호 | 핸드폰 |
KR101417709B1 (ko) * | 2013-08-30 | 2014-07-10 | 박성동 | 이어폰 일체형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20150064867A (ko) * | 2013-12-04 | 2015-06-12 | 주식회사 이어베이션 | 부착형 이어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38542B2 (en) |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 |
US8265324B2 (en) |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 |
US7388960B2 (en) |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 |
KR101362334B1 (ko) | 외부 스피커로 사용 가능한 헤드셋 및 헤드셋의 스피커출력 조정 방법 | |
US20140133688A1 (en) | Headset With A Rotatable Speaker Housing | |
US20090175473A1 (en) | Earphone set with detachable speakers or subwoofers | |
US9025787B2 (en) | Earphone plug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 |
US9832560B1 (en) | Headset providing private and detachable loudspeaker audio and external device charging | |
TW200906134A (en) | Wireless headset with extendable microphone | |
JP2011521560A (ja) | 耳掛けとイヤホン本体のヘッドセット | |
JP2010527541A (ja) | 周囲雑音減少機能を備えた通信装置 | |
JP2009534987A (ja) | 無線ステレオハンズフリー付属品 | |
US20140339971A1 (en) | Cover for electronic device | |
EP2811755B1 (en) | Audio processing device | |
KR20080099947A (ko) | 헤드폰 | |
KR101595284B1 (ko) | 기어구동 단말기 케이스 | |
CN114982251A (zh) | 有线耳机 | |
KR100519668B1 (ko) | 이동통신기기 및 소형 음향기기용 휴대형 외부 스피커 | |
JP2013157739A (ja) | ヘッドセット | |
JP6049359B2 (ja) | スピーカー付きアンプおよびオーディオ装置 | |
US20150163581A1 (en) | Headphone with in-axle cord connector | |
KR101673940B1 (ko) |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 |
JP2004064537A (ja) | ヘッドセット | |
JP2015033000A (ja) | イヤホンマイ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集音装置 | |
CN210840021U (zh) | 一种新型高音质的智能降噪耳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