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40B1 -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40B1
KR101673940B1 KR1020150136133A KR20150136133A KR101673940B1 KR 101673940 B1 KR101673940 B1 KR 101673940B1 KR 1020150136133 A KR1020150136133 A KR 1020150136133A KR 20150136133 A KR20150136133 A KR 20150136133A KR 101673940 B1 KR101673940 B1 KR 10167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bluetooth
earphon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윤
송이섭
권청해
권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5013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격이 각기 다른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더라도,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각도를 조절하여 몸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 중에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착용 중에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WHICH HAS ANGL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격이 각기 다른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더라도,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각도를 조절하여 목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 중에 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착용 중에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4G LTE(4세대 Long Term Evolution)이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음성출력단자와 유선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받는 유선이어폰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헤드셋 또는 이어폰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는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3'이 있다.
'선행기술 1'은 소리 재생과 통화를 위한 복수의 기능버튼 및 모바일 단말기의 이어폰 결합홈에 연결되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으로부터 각종 소리의 출력이나 통화에 관련한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받는 연결플러그를 갖는 케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각 기능버튼의 선택에 따른 동작 제어 및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이어폰 본체, 상기 이어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의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과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페어링(pairing)된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단위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은 두 개로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의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두 단위 이어폰의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들과 동시에 통신 가능하게 페어링되도록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폰 본체의 외면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에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플러그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통화 목적으로의 사용시 음성의 수신을 위한 마이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는 동물이나 사람 혹은, 특정 캐릭터를 형상화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본체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해당 이어폰 본체가 형상화하는 동물이나 사람 혹은, 특정 캐릭터의 귀를 형상화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 받는 구조가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는 유선으로 연결되면서 이어폰 본체와 각 단위 이어폰이 서로 블루투스 통신을 하면서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임과 더불어 상기 이어폰 본체와 각 단위 이어폰은 항상 페어링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와 본 발명의 다기능이어폰 간을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동 조작을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 것이고,
'선행기술 2'는 일정 형상의 바디와, 상기 적소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상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와, 상기 바디에서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패용되는 이어 후크 및 상기 바디에서 선택적으로 신장/잠입하되, 신장시에는 PC의 유에스비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휴대용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이외에 내장되어 있는 유에스비 컨텍터를 사용하여 PC와 직접 접속시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어댑터로써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이나 어댑터가 필요 없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며,
'선행기술 3'은 이어폰 헤드 일측 이어폰 줄에 접속한 마이크를 포함한 인쇄 회로기판 및 조절버튼이 구비된 조절몸체, 상기 이어폰 줄 양단 중앙에 설치한 블루투스 모듈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시켜 형성한 넥밴드의 끼움부에 상기 이어폰 줄을 끼우되, 상기 넥밴드의 중앙에 형성한 하우징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내삽하여 넥밴드와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넥밴드의 하우징을 장신구 형상으로 하여 목걸이로 사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넥밴드의 하우징이 장신구 형태로 보여지므로 목걸이로서 외관을 돋보이게 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게르마늄(대체적으로 게르마늄 원석이 바람직함)을 내삽하여 게르마늄으로부터 발산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및 다량의 산소에 의한 사용자의 목 부위의 통증완화 등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의 이어폰 줄 및 블루투스 모듈을 상기 넥밴드의 끼움부 및 하우징에 삽착시켜 사용하게 하므로서 목걸이와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 겸용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범용 이어폰을 제공하는 효과와, 넥밴드만을 착용할 경우 별도로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보관하게 되므로 착용 시 이어폰 줄에 의한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이어폰을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선행기술 2'는 귓바퀴에 걸어서 착용해야 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귀에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상기 '선행기술 3'은 사용자의 목 둘레에 따른 크기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목이 얇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착용상의 불편함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8010호(2015. 04. 28.) (선행기술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2929호(2007. 11. 30.) (선행기술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3328호(2015. 06. 09.)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체격이 각기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더라도,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를 조절하여 목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포함되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걸어 착용가능하도록 요곡지게 구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하우징(210), 상기 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00)와 상기 하우징(20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몸에 밀착시켜, 사용 중에 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격이 각기 다른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더라도,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도를 조절하여 목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목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착용 중에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회동돌기(230)와 회동홈(13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 실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자의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하여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 이 실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몸체(100),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포함되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몸체(100)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가능하도록 요곡지게 구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하우징(210) 및 상기 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220)은, 상기 몸체(100)를 중심으로, 상기 제1하우징(210)과 좌우대칭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 이상에, 중앙이 천공된 회동홈(130)을 갖는 결합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제1하우징(210) 또는 제2하우징(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우징에는,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결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홈(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된 회동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전부하우징(210F, 220F) 및 후부하우징(210R, 220R)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부하우징(210F, 220F) 및 후부하우징(210R, 220R)은, 제1전부하우징(210F)과 제1후부하우징(210R)이 상호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전부하우징(220F)과 제2후부하우징(220R)이 상호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은, 이어폰 케이블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 케이블 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상기 하우징(200)의 회동돌기(2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도록 일부가 확대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상기 하우징(200)의 회동돌기(230)의 결합된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결합사시도로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회동돌기(230)는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돌기(230)는 원형의 외주연을 갖는 원기둥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홈(130)은 상기 회동돌기(230)가 끼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원형으로 천공되어 구성되되, 상기 회동홈(130)의 내주연 직경이 상기 회동돌기(230)의 외주연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자율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돌기(14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을 따라 회동하는 회동가이드(240)가 돌출구성되되,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40)가 걸림고정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상기 하우징(200)의 자율회동이란,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상기 하우징(200)의 회동돌기(230)가 회동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어 구성됨으로 인해, 본 발명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몸에 착용한 이후에, 신체의 작은 움직임만으로도 상기 하우징(200)이 불필요하게 회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측면이란, 상기 몸체(100)의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과 인접하는 면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24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40)는,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주연을 향해 돌출되어 요곡된 호(弧) 형태의 탄성부재(142)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42)의 양 끝단은 상기 결합부(1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돌기(140)가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상기 몸체(100)와 상기 하우징(200)이 회동 시, 상기 걸림돌기(140)가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력을 갖게 되고,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동가이드(240)에 포함되어 구성된 상기 걸림홈(241)과 만나게 되었을 때, 상기 걸림홈(241)에 상기 걸림돌기(140)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하우징(210) 또는 제2하우징(220)의 중앙부나 하부를 파지하고, 좌우로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상기 하우징(200)의 회동돌기(230)가 회동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제1하우징(210) 또는 제2하우징(220)이 상기 회동홈(130) 및 회동돌기(230)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둘레에 맞추어 조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체격이 각기 다른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더라도, 목 둘레에 맞추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각도를 조절하여 몸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중에 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착용 중에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몸체
130 : 회동홈
140 : 걸림돌기
142 : 탄성부재
150 : 결합부
200 : 하우징
210 : 제1하우징
210F : 제1전부하우징
210R : 제1후부하우징
220 : 제2하우징
220F : 제2전부하우징
220R : 제2후부하우징
230 : 회동돌기
240 : 회동가이드
241 : 걸림홈

Claims (5)

  1.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하우징(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케이블로 연결되는 이어폰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포함되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의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가능하도록 요곡지게 구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하우징(210),
    상기 몸체(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100)는,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단부 이상에, 중앙이 천공된 회동홈(130)을 갖는 결합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상기 제1하우징(210) 또는 제2하우징(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우징에는, 상기 몸체(1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몸체(100)의 회동홈(130)과 결합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홈(1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된 회동돌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 중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자율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돌기(140)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결합부(150) 테두리 외측을 따라 회동하는 회동가이드(240)가 돌출구성되되,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돌기(140)가 걸림고정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홈(24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00)은, 전부하우징(210F, 220F) 및 후부하우징(210R, 220R)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부하우징(210F, 220F) 및 후부하우징(210R, 220R)은, 제1전부하우징(210F)과 제1후부하우징(210R)이 상호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전부하우징(220F)과 제2후부하우징(220R)이 상호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40)는,
    상기 회동가이드(240)의 내주연을 향해 돌출되어 요곡된 호(弧) 형태의 탄성부재(142)로 구성되되, 상기 탄성부재(142)의 양 끝단은 상기 결합부(15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20150136133A 2015-09-25 2015-09-25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67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33A KR101673940B1 (ko) 2015-09-25 2015-09-25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33A KR101673940B1 (ko) 2015-09-25 2015-09-25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40B1 true KR101673940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33A KR101673940B1 (ko) 2015-09-25 2015-09-25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5326A (zh) * 2019-12-23 2020-04-10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通信方法、无线耳机及无线耳塞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66Y1 (ko) * 2001-03-23 2001-10-08 텔슨정보통신 주식회사 귀걸이형 이어셋
KR100782929B1 (ko) 2005-09-23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1518010B1 (ko) 2014-02-26 2015-05-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KR20150063328A (ko) 2014-11-05 2015-06-09 주식회사 티피오스 목걸이 겸용 블루투스 내장형 이어폰
KR101542598B1 (ko) * 2014-08-06 2015-08-07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866Y1 (ko) * 2001-03-23 2001-10-08 텔슨정보통신 주식회사 귀걸이형 이어셋
KR100782929B1 (ko) 2005-09-23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1518010B1 (ko) 2014-02-26 2015-05-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KR101542598B1 (ko) * 2014-08-06 2015-08-07 주식회사 블루콤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KR20150063328A (ko) 2014-11-05 2015-06-09 주식회사 티피오스 목걸이 겸용 블루투스 내장형 이어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95326A (zh) * 2019-12-23 2020-04-10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通信方法、无线耳机及无线耳塞
CN110995326B (zh) * 2019-12-23 2022-04-15 无锡中感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耳机的通信方法、无线耳机及无线耳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015B1 (en) Wireless headset carrying case with wireless transmitter
US9031275B2 (en) Headset with a rotatable speaker housing
KR100800103B1 (ko) 헤드셋
US20170295421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7974664B2 (en) Bluetooth earphone and ear-hook device thereof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1600291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US20130094660A1 (en) Hands-free mobile audio device for wireless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headphones for transmitting audio signals therethrough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0824188B1 (ko) 헤드셋
US200600395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 inductive interface
BRPI0621334A2 (pt) fone auricular de áudio
US20060234780A1 (en) Speakerphone with detachable ear bud
KR101518010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US20070049361A1 (en) Side mounted wireless headset
KR101745898B1 (ko) 사용자단말기와의 일체형 충전구조를 갖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KR101713808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넥밴드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KR100933116B1 (ko) 3축 회전 헤드셋
KR20200135335A (ko) 음향 출력 장치
KR200319629Y1 (ko) 헤드셋의 송화기 연결구조
US20140087666A1 (en) Bluetooth earphone
KR101673940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160131431A (ko) 휴대용 무선 스피커 장치
KR101800618B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
EP2553913B1 (en) A handsfree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