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866B1 -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 Google Patents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866B1
KR101745866B1 KR1020160035130A KR20160035130A KR101745866B1 KR 101745866 B1 KR101745866 B1 KR 101745866B1 KR 1020160035130 A KR1020160035130 A KR 1020160035130A KR 20160035130 A KR20160035130 A KR 20160035130A KR 101745866 B1 KR101745866 B1 KR 101745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remote wireless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억
신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콤
Priority to KR102016003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with walkie-talkie}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4G LTE(4세대 Long Term Evolution)이 구현됨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무선통신으로 각종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의 음성출력단자와 유선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받는 유선이어폰보다,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선호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블루투스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 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하는 것으로서,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헤드셋 또는 이어폰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소리 재생과 통화를 위한 복수의 기능버튼 및 모바일 단말기의 이어폰 결합홈에 연결되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으로부터 각종 소리의 출력이나 통화에 관련한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받는 연결플러그를 갖는 케이스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각 기능버튼의 선택에 따른 동작 제어 및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이어폰 본체, 상기 이어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의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과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페어링(pairing)된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 및 상기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수신된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단위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은 두 개로 제공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의 마스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두 단위 이어폰의 슬레이브 블루투스 모듈들과 동시에 통신 가능하게 페어링되도록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폰 본체의 외면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에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플러그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이어폰 본체에는 통화 목적으로의 사용시 음성의 수신을 위한 마이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이어폰 본체는 동물이나 사람 혹은, 특정 캐릭터를 형상화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위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본체의 둘레면에 장착되면서 해당 이어폰 본체가 형상화하는 동물이나 사람 혹은, 특정 캐릭터의 귀를 형상화한 모양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한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 받는 구조가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는 유선으로 연결되면서 이어폰 본체와 각 단위 이어폰이 서로 블루투스 통신을 하면서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임과 더불어 상기 이어폰 본체와 각 단위 이어폰은 항상 페어링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와 본 발명의 다기능이어폰 간을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동 조작을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일정 형상의 바디와, 상기 적소에 설치되는 스피커 장치와, 상기 스피커 장치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상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와, 상기 바디에서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에 패용되는 이어 후크 및 상기 바디에서 선택적으로 신장/잠입하되, 신장시에는 PC의 유에스비 포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휴대용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 이외에 내장되어 있는 유에스비 컨텍터를 사용하여 PC와 직접 접속시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어댑터로써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데이터 케이블이나 어댑터가 필요 없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며,
'특허문헌 3'은 이어폰 헤드 일측 이어폰 줄에 접속한 마이크를 포함한 인쇄 회로기판 및 조절버튼이 구비된 조절몸체, 상기 이어폰 줄 양단 중앙에 설치한 블루투스 모듈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시켜 형성한 넥밴드의 끼움부에 상기 이어폰 줄을 끼우되, 상기 넥밴드의 중앙에 형성한 하우징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내삽하여 넥밴드와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넥밴드의 하우징을 장신구 형상으로 하여 목걸이로 사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서,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넥밴드의 하우징이 장신구 형태로 보여지므로 목걸이로서 외관을 돋보이게 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게르마늄(대체적으로 게르마늄 원석이 바람직함)을 내삽하여 게르마늄으로부터 발산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및 다량의 산소에 의한 사용자의 목 부위의 통증완화 등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의 이어폰 줄 및 블루투스 모듈을 상기 넥밴드의 끼움부 및 하우징에 삽착시켜 사용하게 하므로서 목걸이와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 겸용으로 사용가능하게 하는 범용 이어폰을 제공하는 효과와, 넥밴드만을 착용할 경우 별도로 블루투스 내장형 무선 이어폰을 보관하게 되므로 착용 시 이어폰 줄에 의한 불편함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사용자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직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할 뿐, 사용자 단말기 없이 원거리 무선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8010호(2015. 04. 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2929호(2007. 11. 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63328호(2015. 06. 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같은 채널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와 무선으로 RF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형으로 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20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4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와;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도록 구성된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이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일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의 이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몸체(100), 이어폰(20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같은 채널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와 무선으로 RF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형으로 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20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4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와,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도록 구성된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같은 채널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와 무선으로 RF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200)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모듈의 활성화란,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조작하여 선택된 모듈이 실시간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선택하여 모듈을 활성화 하였을 경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에서 선택되지 않은, 즉 활성화되지 않은 모듈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언제든지 모듈의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대기중인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 상태로 대기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선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300)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에서 선택되지 않은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 상태로 대기하되, 언제든지 모듈의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4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은, PTT버튼(510)과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TT버튼(51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을 조작하여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한 뒤, 상기 PTT버튼(510)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400)에 대고 음성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음성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되어 RF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RF데이터가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됨으로써, 같은 채널상에 있는 무전기에서 RF데이터를 수신하여 발생된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는,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신호는, 별도의 리모컨을 통해 생성되어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에서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RF제어신호처리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신호란,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를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정보가 별도의 리모컨을 통해 생성되어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리모컨은,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에서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이어폰(200)으로 출력될 때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조절버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서 수신된 RF데이터가 상기 이어폰(200)으로 출력될 때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조절버튼,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는 활성화모듈선택버튼,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볼륨을 조절하는 입력볼륨조절버튼,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버튼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기기의 명칭정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사용중인 주파수의 채널정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통해 선택되어 활성화된 모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 디스플레이부(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음성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음성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에서 획득한 음성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거나, 오디오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음성데이터변환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활성화모드와 대기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만 활성화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통신 채널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들로부터 송출되는 신호 중, 같은 채널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RF데이터를 획득하거나,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RF데이터송수신부(121),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에서 획득한 RF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거나, 오디오신호를 RF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RF데이터변환부(122),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활성화모드와 대기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만 활성화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과,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부(131),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의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이 선택되면,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 상기 음성데이터변환부(112)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통신활성화제어부(132),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의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로부터 RF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선택되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제어하여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 상기 RF데이터변환부(122), 상기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원거리무선통신활성화제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드활성화제어모듈(130)과,
마이크(40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을 전달받아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음성수신부(141)를 포함하는 사용자음성수신모듈(140)과,
블루투스통신모듈 제어신호, 원거리무선통신모듈 제어신호, 모드활성화제어모듈 제어신호, 사용자음성수신모듈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모드활성화제어모듈(130), 사용자음성수신모듈(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신호처리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제어신호처리모듈(150)과,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듈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 나머지 하나의 모듈을 제어하여 강제로 대기모드가 되도록 구성된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
상기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를 통해 강제로 대기모드로 전환된 나머지 하나의 모듈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추후에 재생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활성수신데이터저장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활성데이터처리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형으로 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20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를 제어하여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4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사용자음성수신모듈(140)을 통해 음성데이터로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상기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제어하여,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와,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RF제어신호처리모듈(1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은,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와 상기 음성데이터변환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활성화모드와 대기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만 활성화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음성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음성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음성데이터변환부(112)는,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에서 획득한 음성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거나, 오디오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은, RF데이터송수신부(121), RF데이터변환부(122),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활성화모드와 대기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대기모드에서는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만 활성화되어 실시간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는,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이 통신 채널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들로부터 송출되는 신호 중, 같은 채널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RF데이터를 획득하거나,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RF데이터변환부(122)는,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에서 획득한 RF데이터를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거나, 오디오신호를 RF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RF채널선택제어부(123)는,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통신활성화제어부(132)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의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이 선택되면,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송수신부(111), 상기 음성데이터변환부(112)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거리무선통신활성화제어부(133)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의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로부터 RF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선택되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제어하여 상기 RF데이터송수신부(121), 상기 RF데이터변환부(122), 상기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모두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음성수신부(141)는, 마이크(40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음성을 전달받아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신호처리부(151)는, 블루투스통신모듈 제어신호, 원거리무선통신모듈 제어신호, 모드활성화제어모듈 제어신호, 사용자음성수신모듈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모드활성화제어모듈(130), 사용자음성수신모듈(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듈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 나머지 하나의 모듈을 제어하여 강제로 대기모드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활성수신데이터저장부(162)는, 상기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를 통해 강제로 대기모드로 전환된 나머지 하나의 모듈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추후에 재생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200)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는,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를 제어하여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모듈의 활성화란,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조작하여 선택된 모듈이 실시간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선택하여 모듈을 활성화 하였을 경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에서 선택되지 않은, 즉 활성화되지 않은 모듈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언제든지 모듈의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대기중인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 상태로 대기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선택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300)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에서 선택되지 않은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은 비활성화 상태로서, 모듈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 상태로 대기하되, 언제든지 모듈의 기능을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4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다.
상기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은, PTT버튼(510)과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PTT버튼(51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사용자음성수신모듈(140)을 통해 음성데이터로 변환되면,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RF채널선택제어부(123)를 제어하여,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을 조작하여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한 뒤, 상기 PTT버튼(510)을 누른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400)에 대고 음성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음성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되어 RF데이터가 생성되고, 생성된 RF데이터가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됨으로써, 같은 채널상에 있는 무전기에서 RF데이터를 수신하여 발생된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는,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상기 RF제어신호처리모듈(1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신호는, 별도의 리모컨을 통해 생성되어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에서 수신받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RF제어신호처리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신호란,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를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정보가 별도의 리모컨을 통해 생성되어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송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리모컨은,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에서 수신된 오디오신호가 상기 이어폰(200)으로 출력될 때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조절버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서 수신된 RF데이터가 상기 이어폰(200)으로 출력될 때의 출력볼륨을 조절하는 출력볼륨조절버튼,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는 활성화모듈선택버튼,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볼륨을 조절하는 입력볼륨조절버튼,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버튼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에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기기의 명칭정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사용중인 주파수의 채널정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통해 선택되어 활성화된 모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 디스플레이부(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PTT버튼(510) 및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거나,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리모컨(9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통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자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100 : 몸체
110 : 블루투스통신모듈
120 : 원거리무선통신모듈
200 : 이어폰
300 : 활성화모듈선택버튼
400 : 마이크
500 : 무전통신제어버튼부
510 : PTT버튼
520 : RF채널선택버튼
600 : 제어신호수신부

Claims (4)

  1. 블루투스 헤드셋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주파수 허용 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같은 채널상의 RF(Radio Frequency)무전기와 무선으로 RF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되,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C'자형으로 구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양 끝단부와 케이블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어폰(200)과;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과;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음성을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구성된 마이크(4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PTT버튼(510),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버튼식으로 구성되며,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RF채널선택버튼(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와;
    상기 몸체의 블루투스통신모듈(110),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 마이크(400), 무전통신제어버튼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도록 구성된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PTT버튼(510) 및 상기 RF채널선택버튼(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40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에 전달하여 RF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RF데이터를 같은 채널로 설정된 RF(Radio Frequency)무전기에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거나, 주파수 허용범위 내의 다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여 통신 채널로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수신부(600)를 향해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리모컨(9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00)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 또는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 중, 활성화할 모듈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활성화모듈선택부(131),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이 선택되면,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제어하여 블루투스통신모듈(110)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블루투스통신활성화제어부(132),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로부터 RF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선택되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제어하여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원거리무선통신활성화제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드활성화제어모듈(130)과,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부(131)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듈을 우선적으로 활성화하고, 나머지 하나의 모듈을 제어하여 강제로 대기모드가 되도록 구성된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 상기 비활성수신데이터처리부(161)를 통해 강제로 대기모드로 전환된 나머지 하나의 모듈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추후에 재생가능한 형태로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활성수신데이터저장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비활성데이터처리모듈(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0)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기기의 명칭정보, 상기 원거리무선통신모듈(120)이 사용중인 주파수의 채널정보, 상기 활성화모듈선택버튼(300)을 통해 선택되어 활성화된 모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 디스플레이부(7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8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4. 삭제
KR1020160035130A 2016-03-24 2016-03-24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745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30A KR101745866B1 (ko) 2016-03-24 2016-03-24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130A KR101745866B1 (ko) 2016-03-24 2016-03-24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866B1 true KR101745866B1 (ko) 2017-06-12

Family

ID=5921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130A KR101745866B1 (ko) 2016-03-24 2016-03-24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866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831B1 (ko) * 2017-11-27 2018-09-20 유형석 무전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101939921B1 (ko)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KR20190066174A (ko) * 2017-12-05 2019-06-13 알투기어 주식회사 Ptt 단말기
KR102014023B1 (ko) * 2018-03-28 2019-08-23 박창수 넥 밴드형 유무선 튜브 이어 마이크
KR20200130045A (ko) * 2019-05-08 2020-11-18 한빛 세마텍(주)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102205696B1 (ko) * 2019-09-2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CN113347509A (zh) * 2020-02-18 2021-09-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对讲系统和对讲设备交互方法
WO2022098069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써반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WO2022101720A1 (en) * 2020-11-13 2022-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headset
US11540040B2 (en) 2020-10-26 2022-12-27 Midland Radio Corporation Ear-mounted two-way radio system
US12010476B2 (en) 2022-12-22 2024-06-11 Midland Radio Co 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59Y1 (ko) * 2005-02-04 2005-04-19 문치호 다자간 무전통신기 통합형 무선 음향기기(pc, 오디오, 등)헤드 셋
JP2009159402A (ja) * 2007-12-27 2009-07-16 Cosmo Gear Kk Pttリモコン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59Y1 (ko) * 2005-02-04 2005-04-19 문치호 다자간 무전통신기 통합형 무선 음향기기(pc, 오디오, 등)헤드 셋
JP2009159402A (ja) * 2007-12-27 2009-07-16 Cosmo Gear Kk Pttリモコン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21B1 (ko) 2017-10-18 2019-01-17 이승철 블루투스 이어셋
KR101900831B1 (ko) * 2017-11-27 2018-09-20 유형석 무전 통신 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를 위한 방법
KR20190066174A (ko) * 2017-12-05 2019-06-13 알투기어 주식회사 Ptt 단말기
KR102042243B1 (ko) * 2017-12-05 2019-11-08 알투기어 주식회사 Ptt 단말기
KR102014023B1 (ko) * 2018-03-28 2019-08-23 박창수 넥 밴드형 유무선 튜브 이어 마이크
KR102282922B1 (ko) * 2019-05-08 2021-07-28 한빛 세마텍(주)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20200130045A (ko) * 2019-05-08 2020-11-18 한빛 세마텍(주)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102205696B1 (ko) * 2019-09-25 2021-01-21 주식회사 이엠텍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CN113347509A (zh) * 2020-02-18 2021-09-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对讲系统和对讲设备交互方法
US11540040B2 (en) 2020-10-26 2022-12-27 Midland Radio Corporation Ear-mounted two-way radio system
WO2022098069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써반 넥마이크용 무선통신기
WO2022101720A1 (en) * 2020-11-13 2022-05-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a headset
US12010476B2 (en) 2022-12-22 2024-06-11 Midland Radio Co 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755320B1 (ko) 교체 가능한 넥밴드 구조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745898B1 (ko) 사용자단말기와의 일체형 충전구조를 갖는 유무선 겸용 블루투스 이어폰
US20070206829A1 (en) Audio headset
KR101518010B1 (ko) 모바일 단말기용 다기능 이어폰
EP1868411A1 (en) Speaker system for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US20080318639A1 (en) Wireless Headset Switching System
KR101436593B1 (ko) Rf 듀얼밴드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 장치
EP1670283A1 (en) Bluetooth headset
US20140321658A1 (en) Wireless Audio System
KR20080004775U (ko) 외장스피커를 구비하는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US8983100B2 (en) Personal sound amplifier
CN210724784U (zh) 一种耳挂式对讲机
KR200397845Y1 (ko) 무선 음향 신호 중계 장치
KR101124459B1 (ko) 마이크 착탈형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
KR101664195B1 (ko) 스피커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101800618B1 (ko)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헤드셋
JP2008136072A (ja) 補聴システム、補聴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10025661A (ko)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이어폰형 핸즈프리
KR101121927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CN106101903B (zh) 数字耳麦、耳麦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90124832A (ko) 무전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그리고 이의 송수신 방법
KR101376175B1 (ko) 유무선 보청 시스템
KR101673940B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0196444Y1 (ko) 인터넷 전화기용 헤드셋의 무선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