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0045A -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045A
KR20200130045A KR1020190083335A KR20190083335A KR20200130045A KR 20200130045 A KR20200130045 A KR 20200130045A KR 1020190083335 A KR1020190083335 A KR 1020190083335A KR 20190083335 A KR20190083335 A KR 20190083335A KR 20200130045 A KR20200130045 A KR 2020013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lightweight wireless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922B1 (ko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한빛 세마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 세마텍(주) filed Critical 한빛 세마텍(주)
Publication of KR2020013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초경량 무선 단말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단말에 장착된 페어링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일대 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듈,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동시시점에서 다자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다자 통신 모듈,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무선 통신 모듈에서 하나 이상의 음원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원 신호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구비된 채널 조절기를 통해 하나의 음원 신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LIGHTWEIGHT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USER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 단말에서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웹 서핑, 게임, 영상 감상, 문서 열람 및 문서 등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콘텐츠의 종류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요구하는 기능의 사양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휴대 단말의 크기가 점차 커지면서 추가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의 증가로 무게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 단말의 이동성, 휴대성의 특징에 따라 증가된 크기와 무게로 인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증가되고 있어,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는 일부 사용자들은 기존의 송수화기 기능만을 간소화하여 저비용 초경량의 휴대 단말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송수화기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단말의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고, 채널의 선택을 통해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단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무선 통신 송수화기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신 채널을 선택하여 다자간의 통화를 제공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초경량 무선 단말에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단말에 장착된 페어링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일대 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듈,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동시시점에서 다자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다자 통신 모듈, 그리고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무선 통신 모듈에서 하나 이상의 음원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음원 신호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구비된 채널 조절기를 통해 하나의 음원 신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외부에는, 하우징 일면 상단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하우징 일면 하단에 위치하며, 수신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의해 스피커 동작에 대해 통화 모드와 스피커 모드간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스피커 동작 버튼,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버튼, 하우징 측면에 스크롤 휠 형태로 구성되며, 수신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받는 채널 조절기, 하우징 타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 형태의 볼륨 조절기, 하우징 타면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통화 온/오프 버튼, 하우징 타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조도, 색상, 점등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LED, 그리고 하우징 타면에, 선택된 채널 정보, 연결된 단말기의 식별 번호, 음원의 정보, 소리의 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페어링 모듈은, 1회 보안 코드를 생성하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1회 보안 코드가 인증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자 통신 모듈은, 제1 채널부와 제2 채널부로 구분하고, 제1 채널부를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음원 기기와 연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채널부를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동시시점에서 다자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다자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자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이외에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하거나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자 통신 모듈은, 무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여 2개 이상의 단말과 실시간으로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의 다자간 통신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은,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페어링된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을 포함하여 연동되는 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연동되는 둘 이상의 단말이 존재하면 다자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다자 통신 모드를 통해 연동된 둘 이상의 단말간 실시간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으로 송수화기 기능만을 가지는 무선 단말을 제공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여 이동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수신하는 채널의 변경을 통해 상이한 신호를 보내는 송신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함으로써, 다자 통신이 요구되는 교육, 회의, 다국어 통역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의 개략적인 배면, 정면 그리고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의 광 신호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다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모듈을 이용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과의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채널의 음원을 재생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이동통신 단말(2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들이 혼합된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든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무선통신 모듈(110), 페어링 모듈(120), 제어모듈(130), 전원 모듈(140)을 포함하며, 다자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0)은 무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등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200)과 호환하여 음성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모듈(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들 간 개인 무선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을 위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며,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SM 밴드는 별도의 라이센스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ISM 밴드 아래로 2MHz 대역과 ISM 밴드 위로 3.5MHz 대역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어,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방지한다. 블루투스 통신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며, 초당 1600번 호핑 한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200)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110)은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통화 접속을 수신하여 통화 모드를 제공하거나 다수의 음원 기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음원을 수신받아 송출하는 음원 송출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페어링 모듈(120), 일정거리 이내의 근거리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 모듈(120)은 NFC 기능을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페어링 모듈(120)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확인이 되면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보안 코드를 이용하여 보안 코드를 입력한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해서만 페어링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페어링 모듈(120)은 NFC 기능으로 페어링된 이동통신 단말(200)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이전에 페어링 기록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안 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자동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130)은 무선 통신 모듈에서 둘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모듈(130)은 생성한 리스트에서 채널 조절기를 통해 선택된 신호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연결된 신호는 예를 들어, 음원 신호를 송수신하여 통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통화 모드가 아닌 스피커를 통해 음원만을 출력하는 음원 송출기 모드로 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음원이란 음성, 음악등 소리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원 모듈(140)은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내부 기능에 전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다자 통신 모듈(150)은 블루투스, 무선 와이파이, 지그비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일대N 으로 통화 모드를 구현한다. 그러나 다자 통신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방식들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다자 통신 모듈(150)은 페어링된 이동통신 단말(200)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의 다자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다자 통신 모듈(150)이 구비된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로 페어링된 이동통신 단말(200)과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에 다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자 통신 모듈은 제1 채널부와 제1 채널부가 제외된 제2 채널부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음원 기기와 연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채널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부와 제2 채널부에 할당되는 채널의 수는 특정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그리고, 다자 통신 모듈(300)은 초경량 무선 단말(100)에 내장되지 않고 외부 모듈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연결되어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200)은 페어링 모듈(210), 무선 통신 모듈(220) 그리고 직접 회로(230)을 포함하며, 다자 통신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200)은 각각 프로세서 (processor), 메모리(memory), 이동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연산 처리와 이동통신 능력을 을 갖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스마트 기기, 태블릿(tablet) 등이 있다.
페어링 모듈(210)은 입력받은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ID, 번호, 접속 넘버링을 이용하거나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페어링되는 기능 등을 통해 초경량 무선 단말(100)와 페어링을 수행한다.
페어링 모듈(210)은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200) 또는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동시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페어링 모듈(210)은 일대일, 일대다 (일대N )로 다른 이동통신 단말 또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다른 이동통신 단말, 서버 등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220)은 유선 통신,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네트워크 이들의 혼합된 네트워크 등 데이터를 전달하는 모든 형태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직접 회로(230)는 이동통신 단말(200)이 제공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이며, 특정 회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200)은 내부에 다자 통신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자 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 무선 와이파이, 지그비 등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1대N 으로 통화 모드를 구현한다.
다시 말해,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200) 간에 통화 중에서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페어링되어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200),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에 다자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지그비 모듈 셋이 이동통신 단말(200) 메인보드에 칩셋의 하나로 내포될 수 있고, 유심칩에 장착되어 이동통신 단말(2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자 통신 모듈(300)은 이동통신 단말(2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자 통신 모듈(240)이 이동통신 단말(200) 내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외부 모듈인 다자 통신 모듈(30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200)과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다자 통신 모듈(240)과 다자 통신 모듈(300)은 이동통신 단말(200)의 다자 통신을 지원하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반드시 동일한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자 통신 모듈(240,300)에서 지원하는 블루투스, 무선 와이파이, 지그비를 통해 다자 통신을 지원한다고 하면, 이동통신 단말(200) 내부에 다자 통신 모듈(240)로 블루투스와 무선 와이파이가 내장되어 있어도 외부 다자 통신 모듈(300)로 지그비 셋을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초경량 무선 단말(100)에 구비되는 다자 통신 모듈(150,300)과 이동통신 단말(200)에 구비되는 다자 통신 모듈(240,300)은 동일한 구성으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의 개략적인 배면, 정면 그리고 측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무선 단말의 광 신호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긴 사각형의 막대 형상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a)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일측에는 스피커(10)와 타측에는 마이크(11)를 배치한다. 여기서, 일정한 간격은 평균적인 인체의 귀의 위치와 입의 위치를 이용하여 설정된 간격에 기초한 것으로, 추후에 변경하여 설계 가능하다.
스피커(10)는 통화 모드와 스피커 모드로 구분되어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통화 모드는 기본적으로 설정되는 모드이고, 스피커 모드는 스피커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모드이다.
여기서, 통화 모드는 사용자 귀의 위치와 스피커(10)가 밀착되었음을 가정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의 범위를 한정하고, 해당 범위 이내로 소리를 출력하는 모드이고, 스피커 모드는 사용자 귀의 위치와 일정거리 이상으로 스피커(10)가 이격되어 있음을 가정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소리를 출력하는 모드이다.
도 2의 (b)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볼륨 조절기(12), 통화 온/오프 버튼(13) LED(14), 이어폰 커넥트(15)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9)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륨 조절기(12)는 스피커(1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둥근 테의 모양에서 가운데 중점을 포함하는 원형 부분이 제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볼륨 조절기(12)는 바퀴 모양의 부분에 홈과 돌기가 연속적으로 구비된 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볼륨 조절기(12)의 홈과 돌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볼륨 조절기(12)는 회전 방향에 따라 가변 저항을 사용하여 출력되는 음량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조절기(12)가 회전하는 각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저항의 크기가 조절되고 이에 따른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볼륨 조절기(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가 커지고,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소리가 작아질 수 있다.
통화 온/오프 버튼(13)는 볼륨 조절기(12)의 안쪽 영역에 형성된 버튼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과의 통화를 연결하거나, 연결된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LED(14)는 광 표시부로, 통화 온/오프 버튼(13)을 감싸는 바퀴 모양으로 볼륨 조절기(12)와 통화 온/오프 버튼(13)사이에 위치한다. LED(14)는 이동통신 단말(200) 또는 외부 단말(미도시함)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색상, 조도의 크기, 점등 여부 등을 제어하여 신호 수신 상황을 외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c)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스피커(10)로 일정한 소리를 출력하거나 LED(14)로 미리 설정된 색상, 조도의 크기, 점등 여부 등을 통해 신호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LED의 조도, 색상, 점멸 신호에 대한 점등 여부 등이 미리 설정된 LED 제어 테이블을 저장하고, 이를 기초하여 LED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볼륨 조절기(12), 통화 온/오프 버튼(13) 그리고 LED(14)는 하나의 원형의 형태로 서로 결합되어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정면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어폰 커넥트(15)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이어폰의 단자와 접촉되면, 스피커로의 소리 출력을 중단시키고, 이어폰으로 소리를 출력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는 하우징 타면에 선택된 채널 정보, 연결된 단말기의 식별 번호, 음원의 정보, 소리의 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디스플레이부(19)에 표시하고 볼륨 조절기(12)를 통해 조절되는 소리의 크기의 변화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19)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현재 시점의 소리의 크기에서 원하는 소리의 크기로의 조절을 디스플레이부(19)를 확인하며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9)는 터치스크린, 액정표시장치(LCD)등으로 구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가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타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경량 무선 단말(100) 하우징의 형태, 다른 구성과의 배치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도 2의 (c)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전원 온/오프 버튼(16), 스피커 동작 버튼(17) 그리고 채널 조절기(18)를 포함한다.
전원 온/오프 버튼(16)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내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전원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스피커 동작 버튼(17)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외부로 방출되는 스피커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스피커 모드의 설정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채널 조절기(18)은 수신되는 다채널의 신호에서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롤 휠 형태로 구비된다.
채널 조절기(18)는 채널에서의 주파수 크기에 대응하거나 할당된 채널 번호에 대응하여 각 스크롤 휠의 각도를 매칭하여 스크롤 휠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채널을 선택하여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경량 무선 단말(100)의 배면, 정면 그리고 측면에 있어서 배치되는 구성과, 구성들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추후에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이동통신 단말(200)의 다자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200)의 다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200)은 연결신호를 송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한다(S410).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이동통신 단말(200)은 블루투스 신호, 무선 와이파이 또는 지그비등을 통해 연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특정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가 들어오면, 통화 온/오프 버튼(13)으로 입력받아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통화요청 또는 음성 신호등을 포함하는 연결신호를 수신하면 전면에 구비된 LED(14)에 미리 설정된 색상, 점멸 신호에 대한 점등 여부, 그리고 조도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페어링 모듈(120)을 통해 이전 시점에서 페어링되었던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200)에 대응한 LED의 색상, 조도, 깜박임과 같은 점등 효과 등을 포함하는 LED 제어 신호로 LED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14) 제어 신호는 이전 시점에서 미리 설정하여 테이블로 저장하고, 연결된 단말의 종류별로 또는 연결 신호, 통화 중 신호, 연결 중 신호 등 세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200)과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동시 시점에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에 별도의 보안 코드를 설정하여 설정된 보안 코드를 확인 후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경량 무선 단말(100)에 미리 설정된 보안 코드를 이동통신 단말(200)에서 입력하여 허용된 단말간에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코드는 실시간으로 변경이 가능한 1회성 보안 코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200)은 연동된 단말이 2개 이상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20).
이동통신 단말(200)은 현재 시점에 복수개의 페어링을 시도하거나 페어링된 단말이 있는 지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하는 단말은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뿐 아니라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200)은 상이한 제2의 이동통신 단말과 통화를 수행하던 중 하나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200)은 연결된 제2의 이동통신 단말과 페어링된 하나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을 확인하여 두 개의 단말이 연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200)에 연동된 단말이 복수개가 아닌 경우, 페어링된 단말과 통화를 수행한다(S430).
이때, 통화는 일대일 통화 모드로 제공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200)에 연동된 단말이 2개 이상 있으면, 이동통신 단말(200)은 다자 통신 모드로 변환한다(S440).
여기서, 다자 통신 모드는 연동된 이동통신 단말(200)을 중계기로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이한 제2 이동통신 단말 또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200)은 연동된 2개 이상의 단말과 다자 통화를 수행한다(S450).
이동통신 단말(200)은 각 연동된 단말들에게 1대1 무선 수신(Wireless receiver)을 통해 음원을 수신하고 1대 N의 무선 발신(Wireless transmitter)를 통해 음원을 전송하여 다자 통화를 수행한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200)은 일종의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며, 연결된 상이한 제2 이동통신 단말과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음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200)도 하나의 통화 주체로써 음원을 수집하여 연결된 제2 이동통신 단말과 초경량 무선 단말(100)로 음원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200)과 제2 이동 통신 단말과의 연결이 종료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200)과 페어링된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는 다자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동통신 단말(200)과 페어링된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 중에서 일부가 연결을 종료하더라도 종료된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페어링을 유지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이동통신 단말(200)은 다자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200)은 통화중인 이동통신 단말 이외에 페어링된 초경량 무선 단말(100)에 대한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일부 특정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의 연결을 중단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200)에는 실시간 다자 통화를 수행하면서 발생되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다자 통신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200)에는 실시간으로 다자 통화를 수행함에 따라 복수의 음원이 맞물리거나 충돌하여 소실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모듈을 이용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은 외부 모듈로 구현된 다자 통신 모듈(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초경량 무선 단말(100)로 전송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외부 모듈로 구현되는 다자 통신 모듈(300)은 지그비 통신부, 와이파이 통신부, 그리고 블루투스 통신부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200)에는 다자 통신 모듈을 유심칩에 회로화하여 내장되거나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자 통신 모듈을 외부 모듈로 연결함으로써,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200)과 외부 모듈로 구현된 다자 통신 모듈(30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200)은 내장된 오디오 출력부(Audio Output, AO)를 통해 음원을 송신하고 외부 모듈로 구현된 다자 통신 모듈(300)은 오디오 입력부(Audio Input, AI)와 연결되어 음원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음원은 연결된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에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200)과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은 1 대 N 방식으로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b 는 이동통신 단말(200-1)과 이동통신 단말(200-2)간의 통신과 이동통신 단말(200-2)과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다자통신이 동시시점에서 수행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b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2)은 외부 모듈로 구현된 다자 통신 모듈(300)을 이용하여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200-1)과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 100-2, ??, 100-n)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 단말(200-2)은 이동통신 단말(200-1)과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다자 통신 이외에도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 100-2,??,100-n)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과의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200-1)과 이동통신 단말(200-2)이 연결되어 통화하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단말(200-2)과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2, ??, 100-n)이 페어링될 수 있다.
도 6은 이동통신 단말(200-2)에 다자 통신 모듈이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때, 초경량 무선 단말(100-1)은 이동통신 단말(200-1)이 이동통신 단말(200-2) 로 전송하는 음원을 이동통신 단말(200-2)로부터 수신하여 청취 가능하며, 역으로 이동통신 단말(200-2)로 음성을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200-1)로 전송 가능하다.
다시 말해, 초경량 무선 단말(100-1)은 이동통신 단말(200-2)과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200-2)뿐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200-1) 또는 다른 초경량 무선 단말(100-2,..,100-n)과 음원을 송수신하여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에 거주하는 가족과 국내에 거주하는 가족간에 다자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국에 위치하는 가족의 이동통신 단말(200-2)과 국내에 위치하는 가족의 이동통신 단말(200-1)간의 무선 통신 통화 중에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이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들을 통해 동시에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200-1)에 다자 통신 모듈이 구비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200-1)에도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 페어링 되어 다자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200-1)과 이동통신 단말(200-2)이 연결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단말(200-1)에 5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5)과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200-2)에는 10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0, ??,100-2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200-1)과 이동통신 단말(200-2)을 통해 총 15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이 연결되어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다자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의미하며, 도 7에는 다자 통신 모듈이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도 1과 같이, 다자 통신 모듈은 초경량 무선 단말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모듈로 구현되어 초경량 무선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이동통신 단말(200-2)와 페어링되어 통신을 수행하면서도 근거리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과 연결되어 다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근거리에 있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채널 조절기등을 통해 선택된 초경량 무선 단말(100)로 연결 신호를 전송하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페어링된 이동통신 단말(200-2)로부터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과의 연결을 요청받으면, 연결을 수행하여 다자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과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과의 연결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이때,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이동통신 단말(200-2)와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하며, 이동 통신 단말(200-2)와 초경량 무선 단말(100)간의 다자 통신 이외에도 초경량 무선 단말(100-1, ??,100-n)간의 다자 통신도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과 다자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으로 도시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에 상이한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미도시함)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 (200-2)와 페어링된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에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 또는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미도시함)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미도시함)에도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 또는 다른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이 연결됨으로써 다자 통신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채널의 음원을 재생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이동통신 단말(200), 음원 기기(400) 그리고 음원 발생기(500)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1,??,100-n) 중에 하나의 단말을 도시한 것으로, 도 8에서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음원 송출기 모드로 음원을 수신하면, 수신한 음원을 그대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각 이동통신 단말(200), 음원 기기(400) 그리고 음원 발생기(500)등으로부터 복수 개의 신호 채널(A.B.C 등)를 수신한다. 여기서 신호 채널(A.B.C)는 복수개로 확장이 가능하다.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복수 개의 신호 채널(A,B,C)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200),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 기기(500)와 페어링을 통해 특정 채널에 대한 음원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채널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200),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 기기(5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초경량 무선 단말(100-i)은 측면에 구비된 채널 조절기(18)를 통해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A,B,C)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페어링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채널로 여러 종류의 음원중 하나와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다자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의 경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다자 통신모듈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200)로부터의 음원,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 기기(500)를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i)와 실시간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연결된 복수 개의 이동통신 단말(200),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기(500)에서 수신되는 신호 채널을 각각 구분하여 리스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측면에 구비된 채널 조절기(18)를 통해 수신 가능한 채널 리스트(A,B,C등)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한 채널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연결된 채널로부터 수신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미나, 회의, 집회 등의 상황에서 초경량 무선 단말을 통해 안내 방송을 제공하면,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해당 안내 방송을 수신하여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는 참석자가 있는 회의에 있어서, 화자의 내용을 다양한 언어로 동시 통역자가 통역하여 각각의 언어를 각 특정 채널로 송출하면,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을 소지한 참석자는 복수의 통역 채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특정언어로 청취할 수 있다. 물론 채널을 다른 채널로 변경하면 다른 언어를 선택하여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초경량 무선 단말(100- M)은 구비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기(500)는 1:1로 연결되어 음원신호를 수신하면서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1:N으로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i ; i=1, 2, ??, n) 과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초경량 무선 단말(100- M)이 다자 통신 모듈의 일부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음원 신호를 복수개의 다채널로 수신하는 기능과, 다자 통신 모듈의 나머지 일부를 이용하여 초경량 무선 단말(100-i)와 연결하는 기능을 분리하여 각 기능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다국어로 진행되는 회의에서 송출되는 이동통신단말(200), 음원 기기(400) 또는 음원 발생기(500)와 연결되어 N개의 채널 중에서 특정 언어로 통역된 음원을 선택하여 수신한 후 송출하는 동시에 각 음원을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i)과 연결하여 다자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동시통역인 경우에는 한 언어로 발표된 내용을 동시 통역자에 의하여 통역된 후 복수개의 음원 (200, 400 혹은 500 중의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으로 송출된다. 예를 들어, 음원 기기(400-n (n=1,2,,,,N))에는 다국어로 동시 통역된 복수 개의 음원(400-n)이 각각 송출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각 언어로 통역된 음원이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의 다자 통신 모듈의 제1 채널부에 페어링되어 수신되고, 다자 통신 모듈의 제2 채널부에 각 음원에 대하여 각각 복수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i)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100-i)는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로 명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와 1개의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어, 국제 세미나에서 발표자는 영어를 사용하여 발표를 진행하고, 해당 내용을 청취하고자 하는 50명 중에서 한국어로 듣고 싶은 사람이 30명, 영어로 듣고 싶은 사람이 20명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국제 세미나를 주관하는 주최자가 2개의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한국어 음원과 영어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기기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에는 한국어로 번역된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기기(400-1)과 연결하고, 제2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은 영어로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기기(400-2)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은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음원기기(400-1)과 일대일 페어링을 수행하거나 다자 통신 모듈의 제1 채널부를 통해 음원기기(400-1)과 연결할 수 있다. 제2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에, 한국어 음원을 듣고 싶어하는 30명이 가지고 있는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은 한국어 음원을 송출하는 음원기기(400-1)와 연결된 제1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의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은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음원기기(400-1)로부터 한국어 음원을 수신하여 연결된 30개의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하게 영어 음원을 송출하는 음원기기(400-2)와 연결된 제2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은 20명이 소지하는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되어 영어 음원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국제 세미나를 주관하는 주최자가 1개의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음원 채널의 연결과 동시에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의 다자 통신 모듈에서 제1 채널부는 음원기기(400-1)과 음원기기(400-2)와 연결되고 제2 채널부는 50개의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50개의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은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이 제1 채널부를 통해 연결된 음원기기(400-1) 또는 음원기기(400-2)를 선택하여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이때 제1 채널부는 2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음원으로부터 한국어와 영어로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어 음원을 듣고 싶어하는 30명이 가지고 있는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은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통해 음원기기(400-1)에서 한국어 음원을 전송받아 청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영어 음원을 듣고 싶어하는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은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을 통해 음원기기(400-2)에서 영어 음원을 전송받아 20개의 초경량단말기를 연결하여 청취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은 다자 통신 모듈은 제2 채널부를 구성할 때, 제1 채널부에 대응하여 연결 가능한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의 개수를 분배하여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초경량 무선 단말의 다자 통신 모듈이 100개의 채널 연결이 가능하면, 제1 채널부로 5개의 음원을 전송하는 음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100개의 채널 중 5개의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95개의 채널을 제2 채널부로 할당할 수 있다.
이에, 5개의 채널에 대응하여 각 음원 채널당 고르게 할당하게 된다면, 각 채널당 연결가능한 슬레이브 초경량 무선 단말의 개수는 19개로 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단말 개수의 배정은 하나의 예시로 다자 통신 모듈의 연결 개수, 음원 채널 개수, 희망하는 채널의 선호도에 대응한 연결 단말 개수 등과 관련하여, 추후에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은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회의 발표자의 음원을 송출하고, 회의 발표자에게 질의를 할 수 있도록 다자 통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회의 발표자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초경량 무선 단말(100-M)의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다른 언어를 통역해주는 통역자들과 (예를들면 통역자들이 음원기기 400-n, n=1,2, N 를 통하여) 동시시점에서 다자 통신을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활하게 질의를 할 수 있다.
한편, 음원 발생기(500)는 연결된 앰프(600)를 통해 음원 신호를 증폭한 후 초경량 무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증폭된 음원은 현장에 설치된 스피커로 (700)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발생기(500)는 앰프의 여분에 오디오 입력부(AI) 또는 Aux(예비 단자)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음원이 입력되고, 앰프의 유선(AO) 또는 1:1 무선 출력을 통하여 음원을 출력하고 이를 다자 통신 모듈에 연결하여 다자 통신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는 음원 발생기(500)만 앰프(600)와 연결되어 음원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음원 발생기(500) 이외에도 이동통신 단말(200) 로부터의 음원 혹은 음원 기기(400) 등이 앰프(600)와 연결되어 음원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추후에 용이하게 변경 및 설계 가능하다. 음원으로부터 충분한 파워의 음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앰프(600)를 통하여 음원을 증폭하여 초경량단말 (100-i)들과 스피커(700)에 동시에 전달이 가능하다. 이를 응용하면, 현장에서 스피커(700)등을 통하여 동시적으로 큰 음원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예시한다. 또한, 현장에서 세미나의 내용을 한 개의 언어로 (예를 들면, 한국어), 스피커(700)를 통하여 방송하는 것을 (한쪽 귀로) 청취하면서, 다른 언어 (예를 들면, 영어)로 동시 통역되는 내용을 초경량단말기 (100-i)에 연결된 이어폰으로 (다른 쪽 귀 사용) 동시에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여기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스피커 11: 마이크
12: 볼륨 조절기 13: 통화 온/오프 버튼
14: LED 15: 이어폰 커넥트
16: 전원 온/오프 버튼 17: 스피커 동작 버튼
18: 채널 조절기 100: 초경량 무선 단말
110: 무선 통신 모듈 120: 페어링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전원 모듈
150: 다자 통신 모듈 200: 이동통신 단말
210: 페어링 모듈 220: 무선 통신 모듈
230: 집적 회로 240: 다자 통신 모듈
300: 다자 통신 모듈(외장) 400: 음원 기기
500: 음원 발생기 600: 앰프
700: 스피커

Claims (14)

  1.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초경량 무선 단말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연결 신호 또는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장착된 페어링 모듈과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일대 일 페어링을 수행하는 페어링 모듈,
    상기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며,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동시시점에서 다자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다자 통신 모듈,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에서 하나 이상의 음원 송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음원 신호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구비된 채널 조절기를 통해 하나의 음원 신호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하우징 일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하우징 일면 하단에 위치하며, 수신되는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상기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압력에 의해 스피커 동작에 대해 통화 모드와 스피커 모드간의 모드 변경을 수행하는 스피커 동작 버튼,
    상기 하우징 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온/오프 버튼,
    상기 하우징 측면에 스크롤 휠 형태로 구성되며, 수신되는 복수개의 채널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받는 채널 조절기,
    상기 하우징 타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 형태의 볼륨 조절기,
    상기 하우징 타면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통화 온/오프 버튼,
    하우징 타면에, 선택된 채널 정보, 연결된 단말기의 식별 번호, 음원의 정보, 소리의 크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 타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조도, 색상, 점등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3. 제1항에서,
    상기 페어링 모듈은,
    1회 보안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1회 보안 코드가 인증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은,
    제1 채널부와 제2 채널부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채널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음원 기기와 연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채널부를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5. 제2항에서,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외에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하거나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간의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6. 제1항에서,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은,
    무선 와이파이,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초경량 무선 단말.
  7. 네트워크로 연결된 초경량 무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의 다자간 통신 방법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 신호를 송수신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
    페어링된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을 포함하여 연동되는 둘 이상의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연동되는 둘 이상의 단말이 존재하면 다자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자 통신 모드를 통해 연동된 둘 이상의 단말간 실시간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페어링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은 1회 보안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보안 코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입력되면 자동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실시간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 그리고 초경량 무선 단말이 연결되면, 상이한 이동통신 단말 또는 초경량 무선 단말간에 실시간으로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실시간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이 연결되면, 복수 개의 초경량 무선 단말 간에 실시간으로 다자 통신을 제공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메인보드 또는 유심칩에 회로화하여 내장하거나 외부 모듈화된 상기 통신 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은,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다자 통신 모듈을 메인보드 또는 유심칩에 회로화하여 내장하거나 외부 모듈화된 다자 통신 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되어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은,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음원 기기와 연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면, 구비된 채널 조절기를 통해 선택된 신호에 대한 음원을 출력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14. 제12항에서,
    상기 초경량 무선 단말은,
    상기 다자 통신 모듈을 제1 채널부와 제2 채널부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채널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음원 기기와 연결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채널부를 하나 이상의 초경량 무선 단말과 연결하여 다자 통신을 수행하는 다자간 통신 방법.
KR1020190083335A 2019-05-08 2019-07-10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102282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3453 2019-05-08
KR1020190053453 2019-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045A true KR20200130045A (ko) 2020-11-18
KR102282922B1 KR102282922B1 (ko) 2021-07-28

Family

ID=7369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335A KR102282922B1 (ko) 2019-05-08 2019-07-10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9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575A (ko) * 2003-07-31 2005-02-07 (주)케이원정보통신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KR20160139135A (ko) *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오윈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575A (ko) * 2003-07-31 2005-02-07 (주)케이원정보통신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KR20160139135A (ko) * 2015-05-26 2016-12-07 주식회사 오윈 시가잭 장치의 블루투스모듈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922B1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8323B1 (en) Wireless low-latency audio content sharing
KR100782083B1 (ko)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FI114264B (fi) Langattoman neuvottelupuhelinjärjestelmän ohjaus
RU2411691C2 (ru) Аудиогарнитура
US9762317B2 (en) Playing synchronized mutichannel media on a combination of devices
US9561449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wireless speaker
KR101195885B1 (ko)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US9733890B2 (en) Streaming audio, DSP, and light controller system
KR101745866B1 (ko)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US20160050493A1 (en) Wireless speaker system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5846865B (zh) 用于蓝牙音频传输的方法、设备和系统
CN106688225A (zh) 用于通过听觉装置产生多个收听环境的技术
KR100773443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20140321658A1 (en) Wireless Audio System
KR102282922B1 (ko)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KR101001329B1 (ko) 듀얼 헤드셋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2008136072A (ja) 補聴システム、補聴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KR20180064090A (ko) 블루투스 ptt 서비스 시스템 및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이어셋 제어 방법
KR102178272B1 (ko) 다양한 전자기기에 접속 가능한 헤드셋 어셈블리
US9178921B2 (en) Accessory device for mixing audio streams from two portable audio units, and broadcasting device comprising said accessory device
KR100922000B1 (ko) 바이너리 코드분할다중접속 기반 양방향 오디오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동시통역시스템
KR20200142981A (ko) 다기능 모바일 컨트롤러
KR20150142410A (ko) 블루투스 기반의 그룹 통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50049820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라운드 음향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