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96B1 -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96B1
KR102205696B1 KR1020190152048A KR20190152048A KR102205696B1 KR 102205696 B1 KR102205696 B1 KR 102205696B1 KR 1020190152048 A KR1020190152048 A KR 1020190152048A KR 20190152048 A KR20190152048 A KR 20190152048A KR 102205696 B1 KR102205696 B1 KR 10220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cent
unit
meditation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혁 원
김형진
이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기를 제공하는 발향 기능을 구비하여 음향과 발향을 통한 명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는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발향액을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화시켜 향기를 방출하는 발향부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음 이온을 발출하는 음 이온 발생부와, 명상 기능 또는 발향 기능 또는 음 이온 발생 기능에 대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명상 기능을 수행하거나, 발향부를 제어하여 발향 기능을 수행하거나 음 이온 발생부를 제어하여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NECKBAND-TYPE SOUND CONVERTOR WITH FRAGRANCE EMISSION FUNCTION}
본 발명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기를 제공하는 발향 기능을 구비하여 음향과 발향을 통한 명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폰이나 PMP 폰 등 멀티미디어가 스마트폰의 주요 기능으로 내장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하여 여러 가지 컨텐츠들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로 인해 무선 헤드셋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무선 통신 방식 중에서, 블루투스는 무선 통신 기기 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으로 이도 컴퓨터, 스마트폰, 헤드셋,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인쇄기 등의 기기 간에 정보 전송을 처리한다. 블루투스는 통상 10미터에서 최대 수백 미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통신용 케이블 없이 목에 건 상태에서 음향을 재생하는 넥밴드 형태의 스피커가 개발되어 상용화되었다.
본 발명은 향기를 제공하는 발향 기능을 구비하여 음향과 발향을 통하여 명상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발향 기능을 지닌 음향 통신 시스템은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발향액을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화시켜 향기를 방출하는 발향부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음 이온을 발출하는 음 이온 발생부와, 명상 기능 또는 발향 기능 또는 음 이온 발생 기능에 대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명상 기능을 수행하거나, 발향부를 제어하여 발향 기능을 수행하거나 음 이온 발생부를 제어하여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착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명상 기능,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고,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에 따라 명상 기능에 포함된 명상 개인 모드 또는 명상 전문가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착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판단할 수 있는 질의 응답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착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응하는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향부는 발향액을 진동시켜 분해하는 초음파 모듈이나,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키는 발열체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체는 심지에 함침된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향부는 초음파 모듈이나 발열체에 의해 기화된 향 입자를 외부 공간으로 음향 진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향기를 제공하는 발향 기능을 구비하여 음향과 발향을 통하여 명상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모드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명상 기능,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기능에 따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전자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의 발향부들의 실시예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이 우선 설명된다.
먼저, 발향 기능은 향기의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Sweet Orange(심신안정, 우울증 개선 효과), 라벤더(불안, 우울 감정 해소 및 수면 유도 효과), 로즈마리(운동신경 자극, 각성상태 초래, 뇌기능에 대한 자극 효과), 베르가모트(시상하부의 활동 균형을 잡아주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는 효과), 티트리(면역기능 강화, 항진균 작용, 염증완화 효과) 등에 의한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 이온 발생 기능은 음 이온을 생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으로, 공기 정화 효과(예를 들면, 꽃가루, 바이러스, 미세먼지 제거 기능)와, 호흡 기능 개선 효과와, 산성화로 진행되는 혈액 중화 및 정화 효과 및 불면증 개선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명상 기능은 기본적으로는 음악을 음 방출을 통하여 제공하여 착용자가 명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 제공되는 음악에 의해 이완/스트레스/불안, 수면, 우울증 등 삶의 질 개선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는 도 1에서와 같이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30a), (30b)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30)를 구비한다. 본체부(30)는 착용자의 목 뒷편 및 측면에 접촉되며, 제 1 및 제 2 단부(30a), (30b) 각각과 연결된 연결부(3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는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을 지니도록 된다.
본체부(30)는 그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내장된 스피커들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방출홀부(32a), (32b)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방출홀부(32a), (32b)의 저면인 본체부(30)의 내측 공간에 스피커들이 안착된다.
또한, 본체부(30)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한 향기를 방출하는 카트리지 형태의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 및/또는 음 이온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음 이온 발생부(42) 각각이 독립적으로 탈착되는 본체부(30)의 수용 공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0)의 수용 공간들은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 및/또는 음 이온 발생부(42)의 적어도 일부분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제 1 또는 제 2 단부(30a, 30b)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장착되는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 및 음 이온 발생부(42)가 착용자의 입이나 코에 근접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전자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음향 통신 시스템은 전자 통신 장치(50)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와 통신 가능하며 네트워크(70)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80)와 통신 가능하며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를 통하여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통신 장치(50)와, 명상 기능을 위한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며 네트워크(70)를 통하여 전자 통신 장치(50)에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는 착용자로부터의 입력(예를 들면, 전원 온/오프, 발향 기능의 온/오프, 명상 기능의 온/오프,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온/오프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49)에 인가하는 입력부(21)와, 데이터 프로세서(49)로부터의 정보(예를 들면,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이나 모드, 전원 상태 등)를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23)와, 제 1 및 제 2 방출홀부(32a), (32b)에 대응하여 본체부(30)의 내측 공간에 장착되며 데이터 프로세서(49)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 받아 음 방출을 수행하는 스피커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피커부(25)와, 외부 음향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49)에 인가하는 마이크(27),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9)와, 데이터 프로세서(49)의 제어에 의해 발향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향부(40)와, 데이터 프로세서(49)의 제어에 의해 음 이온을 생성하여 방출하는 음 이온 발생부(42) 및, 음향 표출에 의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49)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들(입력부(21), 표시부(23), 스피커부(25), 마이크(27), 통신부(29), 발향부(40), 음 이온 발생부(42) 및 데이터 프로세서(49))는 본체부(30)의 내부 또는 케이스 표면 등에 장착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입력부(21)와, 표시부(23)와, 스피커부(25)와, 마이크(27) 및 통신부(29)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발향부(40)는 데이터 프로세서(49)의 제어에 의해 수용된 발향액을 에너지(예를 들면, 전기 또는 진동 에너지 등)를 이용하여 기화시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되어, 발향 농도와, 발향 시간 및 발향 종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발향부(40)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발향액의 배출이나 방출을 위해 복수인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향부(40)의 발향 기능은 실내 온도/습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계절에 따라 발향 농도 등에 영향이 없으며, 화재 위험도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향기를 위한 발향액들 각각이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에 독립적으로 수용되어 발향되도록 하여, 향기 종류의 선택이 가능하다. 발향부(40)의 발향 원리에 대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음 이온 발생부(42)는 데이터 프로세서(49)의 제어에 의해 에너지(예를 들면, 전기 또는 진동 에너지 등)를 이용하여 음이온을 발생시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되어, 음이온의 배출 농도와, 배출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절할 수 있다.
발향부(40)는 음이온 발생이 가능한 발향액을 이용함으로써, 발향과 음이온 배출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전자 통신 장치(50)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이미 널리 알려진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음향 표출에 의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장치(5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의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다음으로, 전자 통신 장치(5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지닌 정보 통신 장치로서, 착용자의 입력(예를 들면, 명상 기능의 온/오프, 명상 모드의 선택, 발향 기능의 온/오프, 음 이온 기능의 온/오프 등)을 획득하여 데이터 프로세서(69)에 인가하는 입력부(51)와, 명상 기능,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제어(예를 들면, 선택, 조절 등)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53)와, 마이크(57), 스피커부(55) 및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고/수행하거나 네트워크(70)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8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9)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입력부(51), 표시부(53), 스피커부(55), 마이크(57) 및 통신부(59) 등)을 제어하여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와, 입력부(51)와, 표시부(53)와, 스피커부(55)와, 마이크(57) 및 통신부(59)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기술에 불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된다.
데이터 프로세서(69)는 전화 통화 기능과 음향 재생 기능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음향 표출에 의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 데이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예를 들면,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69)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기재된다.
먼저, 데이터 프로세서(49)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에 저장되는 기능 데이터는 명상 기능의 수행을 위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와 명상 전문가 모드 데이터를 포함한다.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는 개인의 건강 상태나 명상 목적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명상 개인 모드는 스트레스, 우울, 집중, 학습, 태교 모드 등을 포함한다. 스트레스 모드는 기존의 불교 명상에서 종교적인 색채를 배제한 마음 챙김에 기반한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프로그램을 통해 정신신체 증상을 호전시키고, 행동, 지각 및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으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는 스트레스 해소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우울 모드는 마음 챙김 명상에 기존의 인지행동치료의 특성을 가미하여 마음 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를 통해 우울증 환자의 재발 예방 효과를 위한 것으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는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집중 모드는 집중을 위한 것으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는 새들의 소리, 나뭇잎이 서로 부딪치는 소리, 아이들의 울음소리 등의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학습 모드는 학습 증진을 위한 것으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는 학습 종류에 따른 음악(예를 들면, 산수 - Folk, 수열추리 - 모차르트 Symphony No.40 & 41, 수학, 물리, 화학 - 클래식 기악곡, 언어(읽기) - 모차르트 소나타 등)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태교 모드는 임신 시기별 태교를 위한 것으로서, 명상 개인 데이터는 임신 초기(1~12주)를 위해 태아보다는 임신부가 좋아하는 음악 데이터, 임신 중기(13~28주)를 위해 정서적 안정을 추구하는 평온한 음악 데이터, 임신 후기(29~40주)를 위해 물이 흐르는 소리, 새가 지저귀는 소리 등 자연의 소리인 음악이나 큰 현악기가 메인인 음악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제공 가능한 명상 개인 모드를 표시하여, 착용자가 입력부(51)를 통하여 명상 개인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상 전문가 모드 데이터는 전문 기관에서 발급한 명상전문지도사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가의 강의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불교 명상, 싱잉볼 명상, 및 차명상 등과 같은 명상 종류에 따른 전문가의 명상 멘트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제공 가능한 명상 전문가 모드를 표시하고, 착용자가 입력부(51)를 통하여 명상 전문가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전문가나 전문가의 명상 멘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착용자에게 명상 개인 모드 및 명상 전문가 모드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설명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에 저장되는 기능 데이터는 발향 기능을 위해, 발향 농도, 발향 시간에 대한 제어와, 발향되는 향기의 종류(즉, 제 1 내지 제 3 발향부(40a, 40b, 40c))의 선택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착용자가 제어 데이터의 발향 농도, 발향 시간, 향기의 종류에 대한 선택이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데이터 프로세서(49)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는 입력부(21) 및/또는 입력부(51)로부터의 착용자의 기능 선택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 데이터를 가변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에 저장되는 기능 데이터는 음이온 발생 기능을 위해, 발생 농도, 발생 시간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착용자가 제어 데이터의 발생 농도, 발생 시간에 대한 선택이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데이터 프로세서(49) 및/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는 입력부(21) 및/또는 입력부(51)로부터의 착용자의 기능 선택 입력을 획득하여, 제어 데이터를 가변 저장한다.
다음으로, 정보 제공 서버(80)는 상술된 명상 개인 모드 데이터 및/또는 명상 전문가 모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자 통신 장치(50) 및/또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로 전송한다.
음향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수동 모드와 자동 모드가 설명된다.
먼저, 수동 모드는 착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모드이다. 수동 모드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의 데이터 프로세서(49)가 입력부(21)로부터의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기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기능 데이터에 따라 전자 통신 장치(50)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하는 경우(제1경우)와, 전자 통신 장치(50)의 데이터 프로세서(69)가 입력부(51)로부터의 착용자의 선택을 통신부(59)를 통하여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49)가 통신부(29)를 통하여 수신된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기능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기능 데이터에 따라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행하는 경우(제2경우)와, 전자 통신 장치(50)의 데이터 프로세서(69)가 입력부(51)로부터의 착용자의 선택(기능 선택 입력)에 따라 기저장된 기능 데이터를 판독하여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기능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59)를 통하여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30)로 전송하고 데이터 프로세서(49)가 통신부(29)를 통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착용자의 선택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제3경우)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능 제어 데이터는 명상 기능의 경우에는 음악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발향 기능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의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명상 전문가 모드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69)는 대응하는 영상 등을 표시부(23)를 통하여 표시한다.
제1 내지 제3 경우에서,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스피커부(25)를 통하여 음 방출에 의한 명상 기능을 수행하거나. 발향부(40)를 제어하여 발향 기능을 수행하거나 음 이온 발생부(42)를 제어하여 음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한다.
수동 모드에서,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의 병행 수행에 의해 불안 지수 감소, 수면의 질, 섬유 근육통 및 피로 감소 효과가 있으며, 명상 기능과 음이온 발생 기능의 병행 수행에 의해 명상을 하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균형을 이루고 뇌파가 안정되고, 음이온이 많은 곳에서 명상을 하면 면역세포의 힘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으며,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의 병행 수행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자동 모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69)가 통신부(59)를 제어하여 네트워크(70)를 통하여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 데이터(스트레스, 우울 등)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는, 데이터 프로세서(69)는 착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판단할 수 있는 질의 응답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질의 응답 데이터를 표시부(53)에 표시하여, 착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응하는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69)는 진단 결과에 대응하는 명상 개인 모드 또는 명상 전문가 모드를 선택하여 명상 기능을 수행하거나, 진단 결과에 대응하여 발향 기능을 병행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동 모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69)는 명상 기능을 자동 모드로 수행하면서, 발향 기능과 음이온 발생 기능의 경우 수동 모드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 및 데이터 프로세서(69) 각각은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착용자가 설정한 시각에 또는 시간 간격으로 명상 전문가 모드를 포함하는 명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 및 데이터 프로세서(69) 각각은 주제별 명언(행복, 성공, 지혜, 우정 등)을 포함하는 명언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명언 데이터를 표시부(23) 및 표시부(53) 각각에 표시하고, 입력부(21) 및 입력부(510 각각으로부터의 사용자의 명언 선택에 따라 선택된 명언을 표시부(53)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 및 데이터 프로세서(69) 각각은 내장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이나 시간 간격마다 명언을 표시부(53)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발향부(40)는 데이터 프로세서(49)의 제어에 의해 발향 농도, 발향 시간 및 발향 종류가 가변되며, 가변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40)는 초음파 모듈(또는 초음파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로 발향액을 진동시켜 분해하여 향 입자를 배출하는 방식이다. 발향부(40)는 발향액을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하며 상측으로 개방구가 형성되며 저면이나 측면에 초음파 모듈이 장착된 수용케이스와, 수용케이스의 내부의 저면이나 측면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모듈로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초음파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음파 모듈을 동작시켜 발향액의 향 입자를 초음파 분해하여 기화시켜 개방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또한,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초음파의 세기, 동작 시간, 초음파 모듈의 동작/중지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40)는 발향액을 내부 수용 공간에 수용하며 상측에 개방구를 지닌 수용 케이스와, 수용 케이스 내의 저면이나 측면에 형성된 발열체(예를 들면, 히터 등)로 구성되며, 데이터 프로세서(49)는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열체를 가열 동작시켜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켜 향 입자를 개방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40)는 격벽에 의해 수용공간이 분리되며 각 분리된 수용공간들 각각에 제 1 및 제 2 발향액을 수용하는 수용케이스와, 수용케이스의 각 분리된 수용 공간들 각각에서의 향 입자 배출을 위한 제 1 및 제 2 동작부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동작부들 각각은 상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의 초음파 모듈이나 발열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제 1 및 제 2 동작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거나 모두 동작시켜 향 입자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발향부(40)의 제 4 및 제 5 실시예는 도 3a 및 3b에서 기재된다.
도 3a 및 3b는 발향부의 실시예들이다.
도 3a에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40)는 발향액(S1)을 수용하며 상측에 개방구를 지닌 수용 케이스(101)와, 수용 케이스(101)의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의 수용 공간(S2)에 발열체(105)를 구비하고 상측에 개방구(103a)가 형성된 가열케이스(103)와, 가열케이스(103)의 발열체(105)와 수용 케이스(101)의 발향액(S1)을 연결하여, 발향액(S1)을 발열체(105)로 이송시키는 심지(102)로 구성된다. 데이터 프로세서(49)는 발열체(105)를 가열 동작시켜 심지(102)에 함침된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켜 향 입자를 개방구(103a)를 통하여 배출한다.
도 3b에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발향부(40)는 발향액(S3)을 수용하며 상측에 개방구(110a)를 지닌 수용 케이스(110)와, 수용 케이스(110) 내에서 발향액(S3)이 수용된 제 1 공간(111)의 저면이나 측면에 장착된 동작부(113)와, 수용 케이스(110) 내에서 발향액(S3)이 수용되지 않은 제 2 공간(S4)의 저면(112)이나 측면에서 음향 재생 시 진동하는 스피커(115)로 구성된다. 여기서, 동작부(113)는 상술된 초음파 진동 모듈이나 발열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프로세서(49)는 동작부(113)와 스피커(115)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부(113)를 동작시켜 향 입자가 제 2 공간(S4)으로 배출시키고, 음향 재생을 위해 스피커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면 스피커의 진동부가 진동할 때, 배출된 향 입자를 그 진동(음향 진동)에 의해 개방구(110a)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30: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50: 전자 통신 장치

Claims (6)

  1. 전방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개방부를 구비하며 착용자의 목 주위나 어깨에 안착되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부와, 전자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스피커부와, 본체부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내장된 스피커부로부터 음이 방출되는 복수의 방출홀들로 구성된 방출홀부와, 제 1 또는 제 2 단부에 근접하여 형성된 수용 공간들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발향액을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화시켜 향기를 방출하는 발향부과, 수용 공간에 탈착되며, 음 이온을 발출하는 음 이온 발생부와, 명상 기능 또는 발향 기능 또는 음 이온 발생 기능에 대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명상 기능을 수행하거나, 발향부를 제어하여 발향 기능을 수행하거나 음 이온 발생부를 제어하여 음 이온 발생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로 구성된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착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명상 기능,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의 수행을 위한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고,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가 명상 기능과, 발향 기능 및 음 이온 발생 기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에 따라 명상 기능에 포함된 명상 개인 모드 또는 명상 전문가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 통신 장치의 데이터 프로세서는 착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거나 판단할 수 있는 질의 응답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여, 착용자가 선택한 응답에 대응하는 착용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발향부는 발향액을 진동시켜 분해하는 초음파 모듈이나,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키는 발열체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발열체는 심지에 함침된 발향액을 가열 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발향부는 초음파 모듈이나 발열체에 의해 기화된 향 입자를 외부 공간으로 음향 진동에 의해 배출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통신 시스템.
KR1020190152048A 2019-09-25 2019-11-25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2205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175 2019-09-25
KR20190118175 2019-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96B1 true KR102205696B1 (ko) 2021-01-21

Family

ID=742375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048A KR102205696B1 (ko) 2019-09-25 2019-11-25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20200066359A KR20210036245A (ko) 2019-09-25 2020-06-02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359A KR20210036245A (ko) 2019-09-25 2020-06-02 복수의 기능성 물질 공급부를 구비하는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056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53A (ko)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60098722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향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41820B1 (ko) *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0481800Y1 (ko) * 2015-08-21 2016-11-10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발향타입 넥밴드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53A (ko) * 2002-09-05 2004-03-1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테마별로 향수를 분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휴대전화기
KR20060098722A (ko) * 2005-03-07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향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41820B1 (ko) * 2013-08-02 2014-09-17 (주)다보산업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200481800Y1 (ko) * 2015-08-21 2016-11-10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발향타입 넥밴드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1745866B1 (ko) * 2016-03-24 2017-06-12 주식회사 블루콤 다자간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45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2983B (zh) 基于人工智能的脑刺激系统、方法、设备和存储介质
US8573980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ng consolidation of memory during sleep
Schneck et al. The music effect: Music physiology and clinical applications
Habibi et al. Music, feelings, and the human brain.
WO202014225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wave generation for transcutaneous vibration
Leeds The power of sound: How to be healthy and productive using music and sound
CN102294068A (zh) 一种智能反馈型音乐放松催眠治疗系统及实现方法
Kass et al. Perspectives from Clinical Neuroscience
US11724061B2 (en) Multi-modality therapeutic stimulation using virtual objects and gamification
KR20200031483A (ko)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102205696B1 (ko) 발향 기능을 지닌 넥밴드형 음향 변환 장치
KR101114299B1 (ko) 두뇌 상태 관리 및 트레이닝 장치 및 그 방법
US11065416B2 (en) Therapeutic device
US20230218856A1 (en) Brainwave entrainment using virtual objects and gamification
US20230233099A1 (en) Breath guide device and method
Fauble From Neanderthal to neuroscience: Healing with sound and voice
Moore Coaching the multiplicity of mind: a strengths-based model
Waterman The power of music to help cope with COVID-19
KR102253649B1 (ko) 자폐성향 및 adhd 증상 개선용 호흡 훈련시스템
KR100496197B1 (ko) 향기치료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N215024707U (zh) 一种情绪智能调节系统
US20230330384A1 (en) Method of delivering an olfactory composition and system for delivering such an olfactory composition
WO2019087669A1 (ja) ディスペンサ
WO2024006950A1 (en) Dynamically neuro-harmonized audible signal feedback generation
Gerohristodoulos The Effect of Alpha Binaural Beats on Virtual Reality Experie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